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중앙 아시아 선교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이 용 규
2
들어가기에 앞서서 이슬람 선교와 중앙 아시아 선교는 선교 한국 세대 이후 최대의 화두
백 투 예루살렘 운동 또는 실크로드 선교, 서진 운동 등 중앙 아시아와 이슬람권 선교 전략에 대한 역사적 재이해 필요 큰 그림 그리기와 퍼즐 작업
3
목차 A. 몽골 역사에서의 기독교 전파 B. 몽골 제국 이전의 중앙 아시아 기독교
C. 한국 선교계에 있어서 “성령의 서진론”에 대한 재이해 필요 D. 기독교는 서구의 종교인가? E. 비잔틴 제국에서의 기독론을 둘러싼 논쟁의 원인과 그 여파 F. 네스토리안들이 지나간 길: 실크로드와 초원 길 G. 중앙 아시아 지역에 있던 동방 교회의 쇠퇴 이유
4
몽골 역사에서의 기독교 전파
5
케레이트 족 전도 13세기 야콥파 기독교도 역사가인 바르 헤브라이오스가 기록한 “교회사”의 기록
몽골 케레이트 부족의 10만 부중이 세례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었다.
6
옹구트족 전도 또 하나의 중요한 네스토리안 부족
이 부족 역시 칭기스 한 가문과 혼인 맹약을 맺었다. 이 부족은 내몽골의 수도인 호호트 (후허호트) 지역에 퍼져 살고 있었다. 호호트에서 서북 지역으로 18 킬로미터 떨어진 지역에서는 네스토리우스 교도들의 유적이 다수 발굴된 바 있다.
7
초기 몽골 선교와 현 선교의 연계성 지역적 역사적 선교 전략 1896년 울란바아타르에서 활동한 노르웨이 선교사 올라 내스테가르드(Ola Naestegard)의 에피소드
8
몽골 제국 시기의 기독교 현황 1. 몽골 중앙부에만 10만여명의 기독교인들이 있었음
2. 마르코 폴로의 증언: 중앙 아시아와 몽골 고원 일대에 적어도 세 명에서 네 명 중 한 명꼴로 기독교인 존재
9
B. 몽골 제국 이전의 중앙 아시아 기독교
10
6세기를 거치면서 투르크족과 위구르족에 기독교 전파
위구르라는 단어가 (아람어와 같은 계열의) 시리아어로 “크리스챤”이라는 뜻으로 사용됨 680년 경 기록된 시리아어 역사 문헌, <<소연대기(Chronica Minora)>>: 주교 엘리야가 투르크족 왕과 그 부족민을 전도한 이야기
11
네스토리안 총주교 티모시 1세(823년 사망)의 두 편지글
위구르 – 케레이트 – 옹구트 – 나이만 – 몽골제국 - 외몽골 – 내몽골 – 부리야트 – 야쿠트/사하로 이어지는 신앙의 연결 고리 티베트 불교와 이슬람교는 후발 주자: 민족 종교로 오해되고 있는 현실
12
C. 한국 선교계에 있어서 “성령의 서진론”에 대한 재이해 필요
13
영국 역사학자 기본(Gibbon)의 오해: 사도행전의 사도 바울이 아시아로 향하려고 했을 때 성령이 막았다는 기록에 대한 서구 중심적 오해 (행 16: 6-10)
성령의 운행 방향: 로마 – 유럽 – 아메리카 – 한국 – 중국? 그렇다면 장장 1500 여년 간의 역사 동안을 하나님은 아시아 사람들을 버려두셨다는 말일까? 서구인들의 인종적인 우위와 아시아 지배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악용될 소지
14
이슬람과 라마 불교가 토착 종교인가? 그리스어의 용례로 본 아시아 오순절 사건과 아시아 지역 출신 전도 아시아에서의 초대 교회/ 사도들의 아시아 전도 노력 동심원적 교회 확산
15
동방 교회 성립과 네스토리안들의 동방 선교: 가장 활발한 선교 활동/ 남아있는 그루터기로써의 역할
로마서 11장의 재이해 유대인/ 이방인/ 이방인 중의 이방인 아시아 선교의 본질: 다시 찾음/ 회복/ 남은 자 사상
16
D. 기독교는 서구의 종교인가?
17
기독교는 서구의 종교인가? 1. 기독교는 서구에 기원을 둔 것이 아니다. 2. 아시아의 많은 기독교인들이 서구를 통해서
1. 기독교는 서구에 기원을 둔 것이 아니다. 2. 아시아의 많은 기독교인들이 서구를 통해서 복음을 접하게 된 것도 아니다. 3. 복음을 서구 문화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4. 아시아에서의 초기 기독교회들은 그 뿌리와 전통면에서 유럽에 뒤지지 않는다.
18
사도들의 전승 베드로: 로마 교회와 안디옥 교회 마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교회 안드레: 러시아와 스코트
도마: 인도의 기독교회 (중국에까지 갔다는 전승이 존재) 마태: 이디오피아에서 전도. 이란에서 목회 하다가 죽음 열심당원 시몬: 이집트 유다: 메소포타미아로 감. 시몬과 함께 에데 사와 이란 지역에서 목회하다가 순교 바돌로매 (나다나엘): 아르메니아에서 순교
19
전승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논의 헤브라이즘의 그리스 로마 토착화가 가진 문제 이슬람교가 투르크인, 아랍인, 페르시아인들의 민족 종교라는 믿음의 허구성 이미 기독교 초기 역사부터 성령은 전방위적으로 역사하심
20
E. 비잔틴 제국에서의 기독론을 둘러싼 논쟁
21
알렉산드리아 주교였던 키릴루스와 안티오크파 이면서 콘스탄티노플 주교였던 네스토리우스의 종교 논쟁
알렉산드리아측의 교리: 플라톤적, 철학적, 신학적, 비유적 안티오크측의 교리: 아리스토텔레스적, 역사적, 해석학적 성경 해석학상의 차이와 문화적 대립
22
정치적 분쟁이 최대 쟁점 네스토리우스의 본래 이론은 그를 이단으로 내어몬 반대파들에 의해서 왜곡된 형태로 일반에게 소개됨. 언어상의 문제 개입.
23
사무엘 모펫 교수의 견해: 19세기와 20세기 들어서 발견된 시리아어로 된 네스토리우스 자신의 글에 근거해서 판단할 때, “네스토리우스는 서구에서 항상 생각해 왔던 것처럼 이단적이지 않다.” 뉴질랜드 출신의 선교사이자 신학자인 Hugh Kemp 역시 그의 몽골 기독교 역사 연구인 Steppe by Step에서 같은 입장 표명
24
칼케돈 회의의 모순적 정치 편향: 단성론을 부정하면서도 키릴루스를 지지함
칼케돈 회의의 모순적 정치 편향: 단성론을 부정하면서도 키릴루스를 지지함. 반면 양성론을 인정하면서도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규정함.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내몬 쪽도 비잔틴 제국 중심의 카톨릭 교회로부터 분리됨. 네스토리우스의 입장: “내 가장 소중한 소원은 하나님이 모든 축복을 누리시는 것이며, 나 자신은 파문된 채 남아있어도 개의치 않는다.” 비잔틴 기독교의 분열 양상이 중근동 지역에 미친 폐해
25
F. 네스토리안들이 지나간 길: 비단길과 초원 길
26
몽골 제국을 전후한 시기에 동서를 연결하는 세 가지 교역로: 초원길, 비단길, 바닷길
중앙 아시아에서의 전도는 열정적인 순회 전도자, 구도자, 그리고 상인들에 의해서 이루어짐. 종교 전파에 있어서 길과 관문의 중요성
27
비단길의 역사적 역할에 대한 과장 숨겨진 초원길의 중요성 비단길 개념이 가지는 개념상의 문제 1. 점, 선에서 면으로써의 이해 2. 목적이 아닌 과정으로써의 이해 (거쳐지나가는 곳) 3. 정복주의적 관점
28
G. 중앙 아시아 지역에 있던 동방 교회의 쇠퇴 이유
29
신학과 전략상의 문제? 환경적, 정치적, 사회적 요소 1. 돌발적인 흑사병의 확산 2. 급진적 이슬람의 확산 3. 시리아어 전수와 사제 공급의 한계 동방에서의 기독교 쇠퇴와 유럽의 강성화가 맥을 같이 함.
30
동방 교회의 무덤가 비석 (키르기즈스탄)
31
동방 교회 십자가 문양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