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 문화연구의 주요이론(3)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 문화연구의 주요이론(3)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Presentation transcript:

1 ● 문화연구의 주요이론(3)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 문화연구의 주요이론(3)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PPT : 문화 연구 이론(정재철 편저) Handout : 페미니즘 사상(로즈마리 통 저) 역사문화기획론/임정희 교수님 역사문화학과 최수연

2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페미니즘(Feminism)
- 사전적 의미 : 사회, 정치, 법률 면에서 여성에 대한 권리의 확장을 주장하는 주의. (비슷한 말) 남녀동권주의, 여권 확장론. - 목적 : 성차gender에 기인하는 불평등과 억압을 고발하고 해결하고자 시작. - 접근 : 정치적, 이론적, 미학적 접근.

3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페미니즘(Feminism)
- 분류 : 앤 카플란(Ann Kaplan)의 이원론적 구분 - 근원주의(Essentialism) - 자유주의 페미니즘, 급진적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비근원주의(Anti-Essentialism) –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 로즈마리 통(Rosemarie Tong)의 페미니즘 구분 - 자유주의 페미니즘, 급진적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 (+) 사회주의 페미니즘, 실존주의 페미니즘, 정신 분석학적 페미니즘,

4 페미니즘의 역사 개관 - 계몽주의 사상과 자유주의 사상, 마르크스주의의 보급과 시민혁명, 미국독립 등으로 여성의 권리 인식.
- 계몽주의 사상과 자유주의 사상, 마르크스주의의 보급과 시민혁명, 미국독립 등으로 여성의 권리 인식. 메리 울스톤크래프트, 버지니아 울프, 시몬느 드 보봐르 등. "여자는 여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로 키워질 뿐이다." 여성의 열등성은 본성에 따른 것이 아니라, 사회적 교육에 따른 것이라 주장. 보봐르는 《제 2의 성》에서 자아로서의 여성, 타자로서의 여성을 설정해 항상 '제 2의 성'으로서 열등하게 취급된 여성의 운명과 역사를 고찰했다. 18세기 후반 《여성 권리의 옹호》출판. 여성의 참정권과 교육권, 직업에 대한 권리 등을 주장. 계몽주의 사상을 여성 문제에 체계적으로 도입. 여성들이 남성들로부터의 경제적 독립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으나, 그 구체적 대안 제시에는 실패.

5 페미니즘의 역사 개관 - 1960년대 : 페미니즘 열풍. 급진적 페미니즘 전개.
- 1970년대 : 후반에 들어서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전개. 여성의 불만/불평은 페니스가 없기 때문이라는 프로이트의 이론에 반대. - 1980년대 : 포스트모더니즘 영향. "하나의 고정된 여성 이론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 - 1990년대 : 생태학과 페미니즘을 결부한 에코 페미니즘 부상. 여성과 자연간의 동일성.

6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 페미니즘의 역사

7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 자유주의 페미니즘

8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자유주의 페미니즘 - 성 차별의 원인 : 성과 성차의 동일시
즉, 남성성이 강조되는 직업으로부터 여성을 특별히 배제시키는 것. - 전개 : 메리 월스톤크래프트 → 존 스튜어트 밀&헤리엇 테일러 → 베티 프리단 (by. 로즈마리 통) - 해결 방법 고전적 자유주의 페미니즘 : 차별적인 법률과 정책 폐지. → 시민의 자유에 맡김 (자유의지론) 복지주의적 자유주의 페미니즘 : 특별 고용이나 역차별 정책 시행. → 정책적 개입 (복지/평등주의)

9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자유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
- 공공의 복지보다 개인 자유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강조. - 엘쉬테인 : 남성과 인간, 남자다운 덕목과 인간다운 덕목을 동일시한다고 비난. <엘쉬테인이 지적한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3가지 약점> 1) 여성은 마음만 먹으면 남성과 같이 될 수 있다는 주장. 2) 대부분의 여성은 남성과 같이 되기를 원한다는 주장. 3) 모든 여성은 남성적인 가치를 열망하기 위해서 남성과 같아지기를 원해야 한다는 주장 - 앨리슨 재거 :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들이 남성의 가치들을 지나치게 수용한다고 비판.

10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18C 자유주의 페미니즘 – 메리 월스톤크래프트
- <여권 옹호론> (메리 월스톤크래프트) “여성들에게 있어서 자연스럽게 보이는 덕목은 사실상 가부장적 사회의 요구와 훈련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사회에서 정의하는 여성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진정으로 여성을 행복하게 만들어주지는 않는다.” 메리 월스톤크래프트 (Mary Wollstonecraft ~ 1797)

11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18C 자유주의 페미니즘 – 메리 월스톤크래프트
- 여성의 이성적이고 도덕적인 능력 강조. - 여성에게 남성과 동등한 교육의 기회 부여 주장. 누구나 인간답게 키워지기 위해서는 이성적이고 도덕적인 능력을 발달시킬 기회를 부여 받아야 한다는 칸트적 생각에 근거. - 여성 교육 = 공공 복지에 이바지 (공리주의적) - 여성의 ‘인간다움’ 강조. 메리 월스톤크래프트 (Mary Wollstonecraft ~ 1797)

12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18C 자유주의 페미니즘 – 메리 월스톤크래프트
- 한계 : 여성의 사회적 자유와 경제적 기회에 대한 주장 없음. ‘남성적 덕목 > 여성적 덕목’ 묵인. 부르주아 기혼 여성들의 문제에만 한정. 여성의 정치 참여나 투표권 획득의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음. 메리 월스톤크래프트 (Mary Wollstonecraft ~ 1797)

13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19 C 자유주의 페미니즘 – 존 스튜어트 밀 & 해리엇 테일러
- 여성의 교육, 자유, 경제적 기회 제공 주장. - 밀 vs 테일러 밀 : 여성의 천성은 전업주부에 더 적합. 여성의 자유로운 노동시장 출입 허용 = 여성 해방 여성의 능력은 인정하지만, 남녀의 신체적 차이 역시 인정. 교육과 동등한 역할 강조. 테일러 : 여성이 수입원이 되는 것은 자율적 시민이 되는 데에 반드시 필요. 여성들에게 <교육>, 노동에서의 <동료의식>, 법적 절차에 의한 <동등한 역할>이 주어져야 함. - 한계 : 여성의 범위를 일부 부유층에 한정. 존 스튜어트 밀 (John Stuart Mill, 1806 ~ 1873), 해리엇 테일러 (Harriet Taylor Mill 1807 ~ 1858)

14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20 C 자유주의 페미니즘 – 베티 프리단 베티 프리단
- 시대적으로 페미니즘의 열풍. 실천적인 운동으로의 발전. - <여성의 신비> (베티 프리단) 여성 해방은 여성의 초인적인 노력에 의한 사회 권력의 획득. 결혼과 양육의 포기는 여성의 진정한 행복 추구에 장애. 슈퍼우먼의 필요성. - <제 2의 단계> (베티 프리단) 여성에게 너무 남성적인 권력에 참여하기를 강조한 나머지 여성이 누릴 수 있는 것들을 부인하게 되었음을 주장. 남성과 협력적으로 여성 운동을 전개할 것을 촉구. 베티 프리단 (Betty Friedan, 1921 ~ 2006)

15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과 사회주의 페미니즘

16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근본 원인 : 자본주의적 계급 구조
- 여성 불평등의 원인 : 자본주의 제도에서의 계급적 착취 구조, 남성에 의한 착취. 산업자본주의 이후 여성의 일은 상대적으로 비생산적이라고 여겨짐. -> 여성의 가사노동에 적절한 가치 부여 - 남성의 소외는 사회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위안받을 수 있지만, 여성의 소외는 주로 가정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여성들은 자아를 찾기가 힘들며, 더욱 억압적. - 엥갤스 : 성적 차별은 경제적 동기에서 비롯되고 수행. 사유 재산 제도의 성립 = 부계 사회의 형성 (여성의 남성에 대한 경제적 의존) - 해결 : 여성의 해방 = 여성의 경제적 해방 근본 원인 : 자본주의적 계급 구조

17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사회주의 페미니즘 근본 원인 : 자본주의적 계급 구조
- 여성 불평등의 원인 : 여성들에 대한 남성들의 압박 - 이원 체계론자 :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제도는 서로 별개의 사회 제도. 가족 제도의 이념적인 부분은 정신 분석학적 틀로만 설명 가능하다고 주장. - 통합 체계론자 :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제도의 구조를 하나의 체계(노동 분업이나 인간 소외)로 설명. 근본 원인 : 자본주의적 계급 구조

18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 급진적 페미니즘

19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급진적 페미니즘
- 여성의 다양한 면모와 활동에 관심을 가진 다양한 페미니스트들의 그룹. 여성의 억압 = 가장 근본적인 인간 억압 =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불평등 문제! - 형태 : 예술, 생태, 출산, 성차와 성 활동, 여성의 예술/종교/과학… - 공통적인 관점 1) 여성들은 역사적으로 최초의 피지배 집단 2) 여성 억압은 사실상 모든 사회에 존재하는 가장 보편적인 현상 3) 여성 억압은 계급 사회 철폐와 같은 다른 사회 변화에 의해 제거될 수 없는 가장 뿌리 깊은 것 - 남성/가부장 사회의 여성 억압 방식 = 여성의 육체를 통제. - 의의 : 정치적 담론에서 제외되었던 여성 억압의 양상들을 체계적으로 담론화.

20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급진적 페미니즘 - ‘출산/생물학적 어머니’에 대한 상반된 견해
슐라미츠 파이어스톤 : 육체를 통한 출산 제거. 모성 본능은 문화적인 구조물에 불과. 아드리안 리치/메리 오브리엔 : 출산은 여성들의 자아를 찾는 데 중요한 관건. 출산 능력을 스스로 통제하고 소유하는 방법 모색 필요. 어머니의 역할 포기 = 자신의 육체에 대한 권리 포기 - 가부장 사회에 대한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의 반응 케이트 밀레트 : “여성 억압의 뿌리인 가부장제에서 구성된 성 체계는 반드시 제거되어야 함.” → 해결책 : 양성(Bisexuality) 메리 데일리 : 급진적이고 레스비어니즘적인 분리주의 옹호 = 남성의 성적 지배에서 분리된 여성들만의 성 행위. 캐서린 A. 매키넌 : 성 활동이 바로 남성 세력의 장소이며, 필연적으로 지배 관계를 형성한다고 주장. 레스비어니즘이 여성의 필요에 부응하고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일한 성 관계라 규정

21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22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들어가기 전에…)
- <구조주의와 해체주의, 후기 구조주의> 구조주의 : 체계와 관계의 형식, 즉 구조에 주목하는 이론적 관점. 구조주의자들은 본질적 또는 내재적 의미라는 개념 자체를 거부하며, 규칙이나 구속,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에 관심을 갖는다. 대표적으로 롤랑 바르트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루이 알튀세, 자크 라캉, 미셀 푸코 등. 해체주의 : 일종의 사고방식. 기존의 권위나 기준(전통적으로는 신)을 겨냥하여 비판. 이원론을 부정하고 다원론을 취한다. 자크 데리다( )가 제창한 비평이론. 후기 구조주의 : 혹은 탈 구조주의. 구조주의를 반박하고, 다양성과 상대성, 구조의 주체를 연구한다. 구조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으로, 절대적 구조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입장이다.

23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포스트모던 페미니즘(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
- 남근 중심적 사고를 부인하더라도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어떤 새로운 진리를 설정하는 것을 거부. 대표적으로 엘렌 식수, 루스 이리가레이,, 줄리아 크리스테바 등.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두 뿌리 1) 시몬 드 보봐르의 실존주의 철학 2) 라캉과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

24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뿌리 1) 시몬 드 보봐르
- “여성의 타자성” 가부장적 사회에서 중심이 되는 남성과는 달리, 여성은 사회적, 문화적 한계 때문에 항상 타자로 남음. - 포스트모던 페미니스트들은 이에 대해, “여성의 타자성은 주류적 규범, 가치, 행동들을 비판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며, 관대함, 다원성, 다양성, 차이를 허용하는 사고, 표현 방식으로 쓰일 수 있다”고 주장. 시몬 드 보봐르 (Simone de Beauvoir, 1908.~ 1986)

25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뿌리 2) 자크 데리다 자크 데리다
- 데리다의 비판 : 우리의 사고나 신체, 문화를 제한하는 기존 사상의 해체. 한계 : 진리의 허구로부터의 해방은 사실상 불가능 - 페미니스트들의 역설 : 남성적 희열에서 제외되어 상징적 질서 밖에 존재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역으로 상징계를 뛰어넘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해석. 자크 데리다 (Jacques Derrida, 1930 ~ 2004)

26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뿌리 2) 라캉 - 남근 이론.
- 남근 이론. - 여성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거세 공포’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초자아를 성립하는 데 실패한다고 보고 상징적 질서 속에 완벽하게 존재할 수 없음을 지적. - 포스트모던 페미니스트들이 반대하거나 극복해야 할 중심 과제로서 사용. 프랑스의 철학자 ·정신분석학자. 언어를 통해 인간의 욕망을 분석하는 이론을 정립하여 ‘프로이트의 계승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27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세 이론가 1) 엘렌 식수
- 남성적 글쓰기 VS 여성적 글쓰기 ->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적 글쓰기는 억압 - 글쓰기와 성욕 사이의 연관에 주목. 여성적 글쓰기를 통한 상징적 질서에의 도전. 즉, 여성들 자신을 글로 표현하는 것. - 남성적 글쓰기 : 남근과 리비도(성욕, 성적 본능)적인 유기적 조직에 뿌리 박고 있음(변화나 이동 불가). 남성들은 개념들과 용어들을 둘씩 결합시킨 후 항상 그 중 하나에 다른 하나보다 특권을 부여함으로써 실재를 임의적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차별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성적 글쓰기 : 우주적. 윤곽을 새기거나 구분할 필요가 없어 대담하게 계속될 수 있음. 생각할 수 없는 것, 생각되지 않는 것을 이끌어 내는 변화의 글쓰기.

28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세 이론가 2) 루스 이리가레이
- 페미니즘 이론에 정신분석학을 적용. - 기존의 철학, 정신분석학이 남성적인 사고에 근거하며, 여성을 남성에 종속된 범주로 보는 것을 비판. 여성 = 남성에게서 독립된 범주 - 시몬 드 보봐르 VS 루스 이리가레이 시몬 드 보봐르 루스 이리가레이 여성의 범주 남성적 틀 안에 안주 여성은 독립된 범주 페미니즘-정신분석학 남근적 편견 비판 및 결별 정신분석학 내에서 프로이트와 라캉 비판

29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세 이론가 2) 루스 이리가레이
- <이리가레이의 여성 해방 전략> 1) 여성의 꾸준하고 용기 있는 발언 2) 여성의 섹슈얼리티 회복 및 긍정적 의미 획득 3) 남근 중심적 담론의 효과 과장 (남성 흉내)

30 The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세 이론가 3) 줄리아 크리스테바
- 여성성과 생물학적 여성을 동일시하기를 거부. 즉, 여성적인 것이 표현될 수 있더라도 표현해서는 안 된다는 시각. - 상황적인 전복이나 소요 그리고 인식적 담론의 대체 등을 전략으로 하여 상징계를 흔들고자 함. - 이방인, 무질서, 광기, 저급한 것들과의 화학을 통해 혁명적인 힘을 이용하려 함.

31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 페미니즘적 매체 연구

32 영화와 페미니즘 - 영화에서의 페미니즘은 운동으로서도 큰 의미를 지님 -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행해지는 영화 연구>
1) 페미니즘 영화에 대한 연구 2) 여성 영화인에 대한 연구 3) 페미니즘적 영화 비평/페미니즘적 영화 이론

33 페미니즘 영화 - 1960~70년대 : 페미니즘이 학문으로 성장하고 세분화되면서 매체 영역에서의 연구가 등장, 발달.
: 복잡하고 난해한 아방가르드적 언어의 숭상 -> 여성 영화 관객을 계급화 : 새로운 영화 언어 시도, 생산적 의미 전달 필요성 문제가 대두됨 : 초기 페미니즘 영화는 할리우드 영화(가부장적 영화)에 나타나는 여성 이미지의 전형성에 초점. - <루비 리치(B. Ruby Rich)의 여섯 가지 분류> 1) 정당화 형 영화 : 여성의 현실과 역사에 대한 기록적, 의미를 가지는 영화 2) 서신or상응 형 영화 :성찰적 의미를 가진 영화 3) 재구성적 영화 : 영화 장르를 여성의 이슈와 연결하여 재구성하고자 하는 영화 4) 메두사 형 영화 : 기존의 질서를 전복하고자 하는 영화 5) 교정적 리얼리즘 영화 : 수정된 리얼리즘으로 이상적 현실을 표현하고자 하는 영화 6) 투사 형 영화 : 페미니스트의 탈을 쓴 남성적 영화

34 페미니즘 영화 - 1990년대 : 후기 페미니즘적 영화 그룹 – 1970년대의 영화 작업이 남겨놓은 문제점에 초점.
: 탈페미니즘 여성 영화 – 1970년대와 단절하려고 하며 여러 여성 문제가 주제. 상업적 성공. - <1990년대 페미니즘 영화의 중요 장르> 1) 후기 페미니즘 영화 : 레스비언 영화의 강세. 2) 제3세계 여성 영화 : 제3세계 여성의 시각으로 여성의 정체성을 표출. 3) 기록 영화, 역사적 영화 등 - 다양한 소재와 시각 제시. 다양한 인종과 계급을 통한 다원적인 여성의 정체성 추구.

35 페미니즘 영화 비평 및 이론 - 1960년대 말 : 사회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페미니즘 영화 비평.
- 영국의 경우, 보다 이론적인 접근 시도. 기호학, 정신분석학, 마르크스주의적 방법론 등. - 1970년대 비평가 로라 멀비 :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학 이론을 이용,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의 즐거움은 가부장적인 사회의 무의식적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고 주장. 로라 멀비 (Laura Mulvey, 1941 ~ )

36 페미니즘 영화 비평 및 이론 - 1980년대 페미니즘 영화 비평의 두 시각 : 재현의 문제 and 관객의 문제
: 알튀세르의 이론에 근거한 이데올로기로서의 재현, 기호학에 근거한 언어적 약호로서의 영화와 재현, 정신분석학에 근거한 재현적 장치와 관객의 무의식적 동일시 등의 문제 제기. 인간은 사회를 이루는 각종 구조적 층위에 의해 규정된 존재라고 보는 시각. '구조로서의 이데올로기'에 주목. 국가를 억압적 국가기구와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 구분. - 억압적 국가기구 : 정부, 군대, 경찰, 법원, 감옥 등, 물리적 지배. -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 사람의 생각, 신념, 가치관, 감성 등을 근본적으로 지배, 그것들이 생산되는 방식을 통제, 지배적 사회 관계 유지.

37 텔레비전 연구와 페미니즘 - 1980년대 이전 : 페미니즘 연구의 사실적인 부재.
미국)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있어서, 페미니즘은 객관성이 결여. 영국) 페미니즘은 학문이라기보다 운동이라는 시각. - 1980년대 : 텔레비전에서의 페미니즘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 - 현대 : 후기 구조주의적 페미니즘의 철학적, 인식적 명제가 지배적.

38 텔레비전 연구와 페미니즘 - 1980년대 앤 카플란의 분류 : 텔레비전에 있어서의 페미니즘 연구를 세 단계로 분류.
연구/관심분야 주목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계량적 방법으로 드라마 속 여성의 역할을 연구 여성이 자본주의적 지배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고 통제되는가 여성의 삶 반영 경제적, 산업적 권력 구조와 텔레비전의 관계에 주목 급진적 페미니즘 급진적 페미니즘에 근거한 텔레비전 = 전통적 가족 제도를 모든 사회악의 해결책으로 제시 = 모든 이야기가 남녀의 결합으로 끝 = 실제와는 다른 결혼의 이미지를 제시 텔레비전의 가족 제도 묘사에 주목 후기 구조주의적 페미니즘 텔레비전 장치, 관객 동일시 구조,텔레비전 시청의 특질 연구 텔레비전이 어떻게 성차로써의 관객을 구성하는가? 어떻게 성차 특수성이 있는 기법을 구성하는가?

39 The End 역사문화기획론/임정희 교수님 역사문화학과 최수연


Download ppt "● 문화연구의 주요이론(3)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