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개념 시조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기간에 정제되어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 속적으로 생명력을 유지해 온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 시가이다. 시조라는 명칭 은 조선 영조 때의 가객 ( 歌客 ) 이세춘 ( 李世春 ) 이 사용한 ‘ 시절가조 ( 時節歌調 )’ 라 는.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 개념 시조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기간에 정제되어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 속적으로 생명력을 유지해 온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 시가이다. 시조라는 명칭 은 조선 영조 때의 가객 ( 歌客 ) 이세춘 ( 李世春 ) 이 사용한 ‘ 시절가조 ( 時節歌調 )’ 라 는."— Presentation transcript:

1 1. 개념 시조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기간에 정제되어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 속적으로 생명력을 유지해 온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 시가이다. 시조라는 명칭 은 조선 영조 때의 가객 ( 歌客 ) 이세춘 ( 李世春 ) 이 사용한 ‘ 시절가조 ( 時節歌調 )’ 라 는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 당시에 유행하던 노래 ’ 라는 뜻이다. 2. 형식 초장 3(4) 4 4 음보 중장 3(4) 4 4 음보 종장 3 5(6) 4 3(4) 4 음보

2 3. 형태상 평시조 : 평시조 : 기본 형식의 단형 시조이다. 엇시조 : 엇시조 : 종장을 제외한 나머지 구 ( 句 ) 중, 어느 한 구의 길이가 늘어난 시조이다. 사설시조 : 사설시조 : 종장의 첫 구를 제외한 나머지 구 중, 두 구 이상의 길이가 늘어난 시조. 특히 중장의 길이가 무제한으로 길어진 장형 ( 長型 ) 시조이 다. 연시조 : 연시조 : 2 수 이상의 평시조가 묶여 한 편을 이룬 시조이다.

3 4. 시대상 고시조현대시조 성격 노래 가사의 일종으로 발달 – 일정한 전문 작가가 없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지어짐 노래의 가사라는 면을 벗어나 명확히 시라는 의식하에 쓰여짐 – 일정한 작가 ( 시인 ) 들이 지음 종류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평시조 ( 단형 시조 ) 가 주종을 이루며, 연시조가 성행 내용 풍류적, 관념적 성격 유교적, 자연 친화적 주제 명료한 주제 의식 탐미적, 지성적 성격 개성적, 암시적 주제 내적 감정과 심리 묘사 형식 제목이 없고 고사의 인용이 많음 장별 배행의 3 행 형식 상투어 및 한자어의 사용 빈번 단형의 간결성 중시 ( 평시조 중심 ) 음악성 중시 제목이 있으며, 현대시적 기교 발달 구별 배행, 양장 시조 등 다양한형식 개성적인 시어 및 고유어 사용 장형의 복잡성 중시 ( 연시조 중심 ) 이미지 중시

4 1501~1570. 중종, 명종 때 문신, 학자. 12 살에 숙부 이우 ( 李堣 ) 에게서 논어 ( 論語 ) 를 배우고, 도연명 ( 陶淵明 ) 의 시를 읽고 좋 아했다. 28 살에 진사가 되고, 34 살에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 이조좌랑을 지냈다. 40 살에 사헌부 지평, 홍문관 교리를 거쳐 43 살에 성균관 사성이 되어 성묘하러 고향에 왔다가 벼 슬을 그만둘 결심을 했다. 홍문관 응교, 전한이 되었으나 장인 의 장례로 귀향했다. 도산서당에서 심경 ( 心經 ) 을 강의하고 심성을 논의했다. 주자 의 이기이원론 ( 理氣二元論 ) 을 발전시켜 이기호발설 ( 理氣互發 說 ) 을 주장하였다. 자질이 영오 ( 穎悟 ) 하고 뜻이 고상하여 벼슬 보다는 학문에 열정을 쏟았고, 전원에서 후진을 교육하고 산 수를 즐겼으며, 도학적 실천과 삶의 정서를 시로 표현하였다. 도산십이곡 ( 陶山十二曲 ) 등 시조 13 수가 전한다.

5 ▶ 학문 수양에의 의지 ▶ 학문 수양에의 의지 靑山 ( 청산 ) 엇뎨하야 萬古 ( 만고 ) 애 프르르며, 流水 ( 유수 ) 엇뎨하야 晝夜 ( 주야 ) 애 긋디 아니한고. 우리도 그치디 마라 萬古常靑 ( 만고상청 ) 호리라. 푸른 산은 어찌하여 영원히 푸르며, 흐르는 물은 또 어찌하여 밤낮으로 그치지 않는가. 우리도 저 물같이 그치는 일 없이 저 산 같이 언제나 푸르게 살리라.

6 이 작품은 12 수로 된 연시조로 전반부는 로 자신이 세운 도산 서 원 주변의 자연 경관에서 일어나는 감흥을 읊었고, 후반부는 으로 학문 수양에 임하는 심경을 노래하였다. 이 작품의 창작 배경은 ' 도산십이 곡 발 ' 에 나타나 있다. 우리 가곡이 무릇 음란한 노래가 많아서 이야기할 만한 것이 못 되며, 이별 ( 李鼈 ) 의 ' 육가 ( 六歌 )' 를 본떠 이 노래를 짓는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이를 아이들로 하여금 익혀 부르게 하여 나쁜 마음을 씻 어 버리고 서로 마음이 통하게 하고자 한다는 퇴계의 문학관을 밝히고 있 다. 에서는 자연에 대한 예찬적 태도는 있으나 풍류적 태도를 드 러내고자한 것이 아니라, 청산과 유수의 영원성을 통하여 학문의 길을 나 타내고자 한다.


Download ppt "1. 개념 시조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기간에 정제되어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 속적으로 생명력을 유지해 온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 시가이다. 시조라는 명칭 은 조선 영조 때의 가객 ( 歌客 ) 이세춘 ( 李世春 ) 이 사용한 ‘ 시절가조 ( 時節歌調 )’ 라 는."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