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창 윤 Jooculture.com 미디어 비평 2주~3주 미디어 비평의 방법과 기준
목차 1. 한국 방송작가 시스템의 변화 2. 미디어 비평의 방법 1) 작가비평 2) 텍스트 비평: 서사비평 3) 페미니즘 비평 4) 기타 미디어 비평(이데올로기 비평, 제도 정책 비평 등) 3. 텔레비전 비평의 기준 2
1. 한국 방송작가 시스템의 변화 3 맥락 연속극에서 시즌제로 변화 1인 작가에서 집단작가체제로 변화 PD의 감독에서 관리자로서 변화 예능PD와 예능작가의 드라마 제작: 기존 제작관습 극복 케이블TV의 새로운 창작 시스템 필요성 미국식 제작시스템의 도입: 집단 작가제도(collective authorship) 수석작가(head-writer, showrunner) 드라마 내용의 책임자(창작 책임, 작가관리, 작가선택, 작품개발 등) main storyline 설정 + sub-storyline(sub-writers) 외주제작의 증가 제작사와 제작자의 선택이 방송사의 입김보다 중요해짐 (2014 〈호텔킹〉(MBC), 작가에 의한 PD교체)
4 1인 집필 시스템 전통적인 방식
5 공동 집필 시스템 김지수-손영목, 〈내일은 사랑〉 김영현-박상현, 〈뿌리깊은 나무〉, 〈선덕여왕 〉 홍진아-홍자람, 〈베토벤 바이러스〉
6 크리에이터(Creator) 시스템 미국식 작가 집필 시스템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제작사를 소유 크리에이터가 다수의 작가들을 고용 2004년 A-Story(최완규) 2007년 KP & Show(김영현, 박상연) 〈식객〉, 〈로비스트〉, 〈이산〉, 〈아이리스〉, 〈선덕여왕〉, 〈최강칠우〉 등
7 집단 창작시스템 집필 과정에 PD의 참여 (집필과 감독이 분리되어 있는 크리에이터 시스템과 차이) 〈응답하라〉 시리즈(tvN), 〈막돼먹은 영애씨〉(tvN) 〈귀신 보는 형사 처용〉(OCN), 〈네 이웃의 아내〉(jTBC) 케이블과 종합편성 채널을 통해 확대 기존 드라마 제작과정보다 효율성을 강조 예능PD와 예능작가의 진출
8 예능드라마 출범 응답하라 예능PD 신원호, 예능작가집단(이우정, 이선혜 등 5명) 드라마 제작 사전지식이 없어 단독집필의 어려움 예능국 제작 시스템(아이템 작가, 대본작가 기반) 순간순간의 애드리브: 개방적이고 유연한 제작 리얼리티 쇼의 드라마화 〈프로듀사〉(KBS, 2015) KBS 예능국이 만든 첫 드라마
2. 미디어 비평의 방법 9 제작자: 연출가, 제작에 참여하는 기술진, 연기자, 극작가 텍스트: 음성 코드, 영상 코드(촬영, 배경, 세트, 분장 등)으로 구성 수용자: 성별, 연령, 인종 등에 따른 인구학적 사회적 배경 제도: 좁은 의미는 방송제작 시스템, 넓은 의미는 제도, 규제 맥락: 텍스트가 제작되고 방영되는 시간 문화: 일상생활과 사회구조를 포함하는 총체적 의미체계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따른 비평의 방법 제작자 - 텍스트 - 수용자 (작가비평) (장르비평, 서사비평) (수용자 비평) 제도(산업, 정책비평) 맥락(이데올로기 비평) 문화(문화비평, 페미니즘 비평 등)
1) 작가비평 10 대중문화 작가와 창조성의 신화 작가(author): 자신의 미적 감수성과 영향력을 통해서 텍스트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 작가주의(authorship/auteurism): 특정 작품 하나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의 총체(corpus of texts)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나는 ‘세계관’과 ‘스타일’ 작가(writer)-창작물의 중심: 계몽주의 작가개념: 자본주의+개인주의+저작물의 권위(기독교 영향)(Foucault) 스크립터(scripter)로서 작가(Barthes) “카리스마 이데올로기”로서 작가(Bourdieu) 자본주의 대량 생산체제에서 대체 가능하지 않은 것(창작자로서 작가)
11 영화작가는 작가적 지위를 부여 받음 텔레비전 작가는 작가적 지위를 부여 받지 못함 텔레비전 작가(대중문화 작가/가요작곡가 등)는 고급예술 작가보다 창조적이거나 진지하지 못한가? “대중문화는 위로부터 강요된 것이다. 대중문화는 기업인에 고용된 기술자(technicians)들이 제조하는 것이며, 수용자는 수동적 소비자이다” (MacDonald, 1957). 대중문화 작가는 산업에 의해서 고용된 임금노동자인가? 대중문화 작가는 자율성을 갖고 있지 못한가? 대중문화 작가는 고급문화 작가와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는가?
12 창조성의 신화 창조성 개념은 낭만주의 예술관으로 천재로서 작가와 연관 ‘창조성’은 자본주의 도입에 따른 예술의 소유권 개념과 인간정신의 발로로서 개성을 강조하는 시대의 산물 19세기 사회에 통합하지 못한 예술가를 ‘창조적인 것’으로 간주 고급예술에서 작가의 창조성 개념은 하나의 신화에 불과 낭만주의 예술관을 현대 대중문화에 적용할 수 없다 년대 프랑스 영화비평가, Truffaut가 작가주의 제기 평론가들이 작가정책(la politique des auteurs) - 텍스트 내 중심적이고 유일한 의미의 원천으로 감독(작가)개념설정
13 작가주의의 전제 1) 영화나 문학은 심오함을 표현하는데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2) 영화언어는 독자성을 갖는다 3) 영화는 단순히 대중적 즐거움에 호소하는 대중예술이 아니다 작가(auteur)와 연출가(metteur-en-scene)구분 -연출가는 기술자로서 산업적 생산이나 제도의 틀에 있는 사람 - 기술적 능력(technical competence)을 지니지만, 자신의 개성을 - 표현하는 통일된 세계관과 스타일을 갖지 못함
14 내적 의미(interior meaning) (영상재료를 통해서 영화적 의미를 표현하는 연출능력) 스타일 (개성표현 능력) 기술적 능력 (촬영, 편집, 시나리오 등 활용 능력)
2) 텍스트 비평 15 기호학적 비평(semiology) 기호(Sign):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 기표 (청각, 영상) 기의 (개념) 기표기의 기표기의 III. 기호 통합적 관계 계열적 관계
16 서사비평(narrative criticism) 서사(narrative): 이야기(story)와 담론(discourse) 이야기는 통합적 관계, 담론은 계열적 관계를 의미 이야기-사건, 인물, 배경 속에서 사건이 전개되는 방식에 대한 분석 이야기의 시간순서(현재-회상-예시) 인물의 특성 이야기의 배경으로서 공간의 의미 담론 – 이야기의 표현방식(묘사, 시점, 촬영방식, 편집, 배경음악, 보이스 오버 등)
3) 페미니즘 비평 17 미디어가 남성중심주의의 생산 및 재생산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그 지배구조를 어떻게 끊을 수 있는가? 1970년대 이후 gender는 중요한 사회적 변인 급진적 페미니즘- 가부장제를 억압의 지배체제로 인식 자유주의 페미니즘 – 구조적 모순보다는 여성에 대한 남성의 편견, 사회제도의 미비에 초점 사회주의 페미니즘 – 가부장제 + 자본의 노동통제(중첩적 관계) 포스트 페미니즘 관심 미디어 속의 여성 이미지 분석(성적 대상, 열등한 존재, 가정과 관련된 일에 대한 책임) 여성이나 남성은 재현된 이미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 대한 분석 미디어는 어떤 방식으로 여성 이미지를 고착화하는가에 대한 분석 (관음성의 대상으로서 여성, 남성중심적 연출방식)
4) 기타 미디어 비평 18 이데올로기 비평 허위의식으로서 이데올로기 세계관으로서 이데올로기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문화산업(culture industry) 미디어 텍스트 안에 지배권력의 의도가 어떻게 숨겨져 있는가? 저널리즘에서 지배층 중심의 뉴스가치 비판과 분석 제도 정책비평 방송제도에 대한 관심(공영방송, 상업방송 등) 방송법에 대한 관심(등급제, 편성규제 등) 비평목적의 대상은 시청자가 아니라 산업, 정책입안자, 제작자 등
3. 텔레비전 비평의 기준 19 1) 전문가주의 기준(professionalism) 기획영역 기획의 적절성, 기획의 충실성, 기획의 독창성 내용영역 소재의 적절성, 선정성/폭력성, 언어표현의 적절성, 비언어적 표현의 적절성, 오락성 형식영역 구성의 완결성, 출연진의 적합성, 포맷의 독창성, 영상의 완성도 2) 텔레비전 미학의 기준 텔레비전의 일상성(리얼리즘realism), 역사성(일상의 역사) 장르별 영상의 수준과 완성도 3) 시장의 기준 수용자가 원하는 것을 주라 높은 시청률 = 질 좋은 프로그램
20 4) 의례(rituals)의 기준 텔레비전이 공동체의 가치와 규범을 담고 있는가? 의례의 기준은 수용자의 크기나 예술적 측면을 배제 공통의 경험을 만들어냄으로써 공동체의식 전국노래자랑, 올림픽 월드컵 중계, Royal Wedding 5) 시민의식과 권리의 기준(Citizenship and rights) 텔레비전이 민주적 포럼을 제시하고 권력자를 감시하는가? 공론영역(public sphere)의 제공 시민의식과 정보를 얻는 시민의 권리에 부응 저널리즘의 입장에서 정보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 6) 생태학(ecology)의 기준 텔레비전이 바람직한 규범, 윤리, 가치를 보여주는가의 여부 7) 다양성(diversity)의 기준 가치의 다양성, 프로그램 장르나 유형의 다양성, 편성의 다양성 프로그램 문체나 스타일의 다양성, 자원의 다양성, 시청자의 다양성
21 Littlejohn 바람직한 텔레비전 비평의 기준 1) 프로그램에서 거짓말, 실수, 심각한 왜곡을 지적 2) 6개월~1년 혹은 그 이상 기간에 나타나는 경향과 유형을 파악 3) 방송매체의 본질과 창조적 가능성을 과감히 고려 4) 단순히 프로그램을 평가하기보다 사회적 효과와 맥락에서 평가 5) 일반 시청자의 상식에서 평가 6) 좋은 비평가는 교육자의 역할 Shrage: ‘합리적 옹호비평’(rational advocacy criticism)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