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4. 서식지와 개발. 2. 멸종의 원인 인간의 대규모 교란으로 자연을 변형, 악화, 파괴시켜 종과 군집을 멸 종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7 가지 인간활동 1) 서식지 파괴 (disturbance, 주로 물리적 구조 훼손 ) 2) 서식처 조각화 (fragmentation,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작성일 : 작성자 : 허재승, 주현승, 김준수 ? 지구 온난화의 의미.
지구 온난화와 환경문제 과학기술윤리 21 조 발표 김병철 이형주.
7 대 자연 경관으로 선정된 성산일출봉.  제주도의 지질  한라산의 지질및 생태환경  백록담.
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 01 생물과 환경의 상호 관계 … 01 생물과 환경의 상호 관계 02 개체군과 군집의 특성 02 개체군과 군집의 특성 03 물질의 순환과 에너지의 흐름 03 물질의 순환과 에너지의 흐름.
73357 이미경. 대지위치 위치 : 여수시 중앙동 446 번 지일대 면적 : 1015 ㎡ 건폐율 : 60% 용적률 : 1300%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해양 오염과 대책 난 깨끗한 것이 좋아.. 학습 목표 해양 오염의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생태학개론 제 2 주제 : 조직의 계층구조. 1. 계층구조 계층구조 (hierarchy) - 구분된 요소들이 정돈되어 있는 일련의 계열 - 인간사회와 마찬가지로 생태계도 계층구조가 존재 - 생태계의 계층구조를 이해 → 유기체적 작용 ( 움직임 ) 을 이해.
환경 문제 1. 다양한 환경의 위기들 2. 환경문제의 정치경제학 3. 환경문제의 원인 4. 환경위기에 대한 대안들 5. 환경위기에 대한 해결책 모 색을 위하여.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HOT한 것은 싫어! 운리중학교 1학년 6반 27번 박성준.
Ⅱ. 태양계와 지구 Ⅱ-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2. 지구의 진화.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세계의 날씨 Weather of the world.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II.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1. 지구계 2. 지구계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우리는 어떻게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4. 화석 연료의 사용과 지구 온난화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온실 기체와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Ch.4. 화석 연료와 환경 문제 화석 연료(Fossil Fuel)? 환경 문제 석유 천연가스 석탄
5-2. 오존층의 역할과 파괴 오존층의 형성 생물의 출현  자유 산소 집적  오 존층 형성 자유 산소의 역할
Hydrogen Storage Alloys
구체 방수 혼화제 - 베스톤 유주현.
먹이사슬 제작 6-2한인희,김도윤 부족해도 잘봐주세요..
*계절의 변화.
태양광발전 원리 Solar Followers.
지구의 환경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
01 대기 오염 02 수질 오염 03 토양 오염 04 해양 오염 05 우주 쓰레기 06 환경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3M Crystalline window film
산불예방.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지구온난화 보고서.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3. 멸종과 절멸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협).
우리나라의 외래종 확산과 과제: 다 없애는 것이 좋은가?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자 기 소 개 서 학과 : 멀티미디어공학 학번 : 이름 : 정민영.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바나나는 왜 싸지? -값싼 바나나의 숨겨진 비용.
태풍과 토네이도 물리현상의 원리 제5조.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중2 사회 Ⅴ.자연재해와 인간생활.
Clean blue sky 우리손으로 만듭시다!.
수력에너지.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억 톤 산업용 배출량 가정용 배출량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긴급 공지 사항 중간고사를 부득이한 사정에 의해 치르지 못한 학생들은 사유서를 관련 서류와 함께 목요일까지 자연대 2호관 309호에 제출해 주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기회를 얻지 못하니 반드시 기간을 엄수해 주기 바라며 서류 제출이 늦어질 경우 사전에 연락 바랍니다.
세계 지리 · 권동희 Ⅱ. 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지구과학교육  VI. 지 구  일기와 기후 끝.
생물막 (Biofilm).
Envoronmental Biology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Envoronmental Biology
Presentation transcript:

Chapter 4. 서식지와 개발

2. 멸종의 원인 인간의 대규모 교란으로 자연을 변형, 악화, 파괴시켜 종과 군집을 멸 종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7 가지 인간활동 1) 서식지 파괴 (disturbance, 주로 물리적 구조 훼손 ) 2) 서식처 조각화 (fragmentation, 절편화, 단편화, 조직화 ) 3) 서식처 쇠퇴 (degradation, 오염을 포함한 질적 저하를 의미 ) 4) 범 지구적 기후 변화 5) 인간을 위한 천연 생물자원의 과도한 이용 6) 외래종의 침입 7) 질병의 확산

1) 서식처 파괴 생물다양성의 주요 위협 요인 : 서식처의 유실 생물다양성 보호수단 : 서식지 보존 절멸위험 식물에 영향을 주는 서식처 위협의 중요도가 높은 순서 - 경작 (38%), 상업적 개발 (35%), 수자원 개발 (30%), 야외활동 (27%), 가축 방목 (22%), 오염 (20%), 사회기간시설 및 도로 (17%), 산불의 교란 (13%), 벌목 (12%)

- 야생생물 서 식처의 50% 이 상이 아프리카, 아시아 열대지 역의 여러나라 에서 파괴되었 다 (WRI, 2000)

[ 출처 ] ( 리뷰 ) 열대 우림 | 작성자 소민맘( 리뷰 ) 열대 우림 소민맘

(1) 위협받는 열대우림 -- 열대우림의 파괴 : 생물종의 유실 을 의미 - 열대우림의 숲 : 육지표면의 7% 를 차지하지만, 생물종의 50% 이상을 포함 (Myers, 1986) - 열대 상록수림은 1800m 하부에 위치하고, 강우량은 100mm/month, 종풍부도가 높고, 종간상호작용이 다양, 종분화 가능성 높음 열대우림 : 토심이 얕고 양분이 부 족  쉽게 황폐화 되고 벌채 후에는 쉽게 유실된다. 열대림의 면적 : 약 1600 만 Km 2 ( 현재면적 : 950 만 Km 2 )  감소 원 인은 60% 이상이 이동경작 때문

- 이동경작 : 산림 일부를 벌채, 소각하고 몇 차례 경작하며 토양의 비옥 도가 감소되면 방치해 버리는 경작 형태, 시간이 지나면 2 차림이 형성 ▲ 사라와크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목재 하역작업 모습 ▲사라와크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목재 하역작업 모습 [ 출처 ] 아시아환경현장 1 - 플랜테이션 경작으로 인해 열대 우림이 파괴된 모습

예 ) 마다가스카르 면적 : 112,000km2  38,000km2 로 감소 ( 원인 : 이동경작, 가축방목, 산불  현재 매년 1,100km2 이 벌채  2020 년에는 보호림 1.5% 를 제외한 모든 습윤삼림이 파괴 (Green and Sussman, 1990) 28 종류의 여우원숭이가 서식  멸종 예상

(2) 열대 낙엽활엽수림 : 열대우림 보다 경작과 방목, 베어내고 불태우기 가 더 유리, 강우량이 mm 이므로 뿌리를 통한 흡수가 용이, 인구밀도가 열대 우림보다 5 배 높고, 원래 면적의 2% 만 남음 (3) 초지 : 경작지나 목초지로 이용하여 면적 감소 ( 예 : Illinois 주, Indiana 주 : 벼과 ( 科 ) 초원 1500 만 ha  현재 1400ha 만 남음, 나머지는 경작지로 교체 (Chadwick, 1993) (4) 습지 및 수중서식처 : 수생생물의 서식, 홍수조절, 식수 및 전력 생산 ( 미국의 습지 : 지난 200 년 동안 습지면적의 절반이 파괴  달팽이종 류의 40-50% 가 멸종, 미국의 520 만 km 의 하천 중 98% 가 파괴 ) (5) 망그로브 숲 : 높은 염도에 견딜 수 있는 몇몇 목본류 들로 구성, 새우 와 어류의 산란처, 연료, 목재로 인한 벌채 심각, 인도, 태국,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에 넓은 면적이 있음

말레이지아의 맹그로브 숲

(6) 산호초 : 해양 면적의 0.2% 차지, 해양 어류의 1/3 가량이 서식, 남획, 해수면 온도 상승, 산림벌채에 의한 침전물의 퇴적, 조류의 이상증식 등의 원인으로 훼손 심각

(7) 사막화 : 계절적으로 건기가 있는 지역, 열대 초지와 낙엽활엽수림, 온 대 관목 숲 지역, 전세계 토지의 47% 를 차지, 10 억 인구의 생활터전, 약 73% 가 사막화 진행, 그 중 25% 는 식물이 생산력을 상실 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생물 군집의 붕괴와 토양층 손실이 사막화 의 원인이 됨 ( 예 : 아프리카 사헬지역 ) 과도한 방목으로 인해 황폐화된 사헬지대

가. 사헬지대란 세네갈 북부․모리타니 남부에서 말리 중부․니제르 남부․차드 중남부까지, 서 쪽에서 동쪽으로 띠 모양으로 이어져 있는 곳으로 그 규모가 폭이 약 300km, 동서 길이가 약 5000km 에 달한다. 건조한 사하라 사막에서 열대아프리카로 옮아가는 점이지대 ( 漸移地帶 ) 로서, 식생 ( 植生 ) 은 스텝 또는 사바나의 경관을 보여준다. 이 지역은 겨울에는 북동 무역풍의 영향으로 고온 건조하며 1 년 의 대부분이 건계이다. 여름에는 남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6 ∼ 8 월의 짧은 우 계에 200mm 안팎의 비가 내린다. 사헬 지대의 북부에서는 주로 유목을 하 고, 세네갈강 ( 江 ) ․나이저강․차드호 ( 湖 ) 의 연안에서는 농사도 짓는다. 현재는 오랜 가뭄과 인구 증가등으로 인해 생태계 파괴가 심각하다. 엠파스 백과사전

그림 1. 사헬지대 연 강수량의 변화 추 이 ( 해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추세 ) 그림 2. 사헬지대의 평균 강수량에 비해, 오 늘날 강수량이 얼마나 부족한가를 보여주는 비교표, 1970 년대 이후 강수량이 (-) 를 보임 으로써, 강수량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다.

사헬지대 _ 사막화에 대처하는 인간의 노력

2) 서식처 조각화 - 커다란 서식지의 면적이 감소하거나 갈라져 분할되는 현상 - 가장자리 효과 (edge effect): 서식처들의 변형이나 경관이 악화되고 고립되어 가장자리의 상태가 변화하게 되는 현상 - 도로, 철도, 운하, 전선, 담장으로 인해 생물종의 이동을 방해하는 장 벽 때문에 나뉘어짐

서식처 조각화의 영향 (1) 종의 영속성을 위협하여 확산이나 정착할 수 있는 잠재력을 제한 (2) 지역 고유종들이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킴 (3)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개체군이 제한된 지역에서 2 개 또는 그 이상 의 아개체군 (subpopulation) 으로 분할되어 개체군의 감소와 절멸을 유도 (4) 바람이 강해지고 습도는 낮아지며, 숲 가장자리는 온도가 상승하여 산불 발생률이 높아짐 (5) 분할된 조각에 의해 외래종 등과 토착 병원균 종들이 침입할 가능성 이 증가 (6) 야생 개체군이 사육식물이나 동물들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여 질병이 급속도로 확산

3) 서식처 쇠퇴 (degradation) 와 오염 가시적인 피해는 없지만 점차적으로 군집에 피해를 주거나, 멸종이 일어날 수 있다 - 목초지의 방목  고유종이 사라지고 방목과 답압 [ 踏壓 ] 에 견디는 외 래종이 군집을 변화시킴 - 바다 트롤어선의 조업 : 해양 바닥층 파괴로 해면동물과 민감한 생물 군집을 파괴

오염원 : 경작지의 농약, 하수 및 비료 같은 화학물질, 배기가스, 침전 물의 퇴적  생물다양성 뿐만 아니라 인류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침 (1) 살충제 오염 : 생물농축 (biomagnification)-DDT 와 분해물질  화학살충제는 대기와 물을 통해 확산되기 때문에 원거리의 생물 에게도 영향을 미침 (Davidson et al., 2002; Bustnes et al., 2003) (2) 수질오염 : 살충제, 제초제, 폐유, 중금속, 세제 및 산업폐기물을 수 중에 투입하므로서 발생  부영양화 (eutrophication) ( 예 : 참치와 수은, 수중의 질소와 인 농도 증가로 인한 bloom 현상 ) 출처

(3) 대기오염 : 최근 인간의 건강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관심을 가짐 - 산성비 : 제련소나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질산염과 황산염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대기 중의 수분입자와 결합하여 질산과 황산이 만 들어져 산성비가 된다. 산성비는 토양, 연못, 호수 등 물의 pH 를 낮추 고 알루미늄 같은 독성 금속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어류의 산란 이나 미생물의 분해작용 및 양분의 재순환과 생태계 생산성을 감소 시킨다.

- 오존 발생과 질소 유입 : 자동차, 발전소 및 다른 산업활동  탄화수 소와 질소 산화물을 폐기물로 배출  햇빛을 받아 대기와 반응  오 존과 광화학 스모그 (photochemical smog) 라는 2 차 화합물 발생  자 외선을 차단해 주지만 식물조직에 피해를 주어 부서지고, 군집에 영 향을 주어 농업생산성을 저하시킴 - 독성 금속 : 납, 아연 및 다른 독성 금속의 발생  대기 중으로 방 출  동식물에게 피해를 줌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콜로라도 주립대학

표. 오존의 영향을 받기 쉬운 식물체 및 생태계의 요인 구 분구 분기 능 적 요 인기 능 적 요 인구 조 적 요 인구 조 적 요 인 개 체 (Organism) 광합성, 호흡, 영양분 흡수 및 분배, 탄소의 분배 엽면적 및 잎의 분포, 생체량 개 체 군 (Population) 재생율, 고사율, 경쟁, 생산성 수령 및 크기, 개체군 밀도, 유전적 조성, 공간적 분포 형태 군 집 (Community) 개체수 과잉과 조절, 천 이 ( 경쟁 · 섭식 포함 ) 종조성 및 다양성, 영양 수준 및 먹이 그물, 엽면적지수 등 물리적 구조 생 태 계 (Ecosystem) 생태계 생산성, 물순환, 영양물질 순환, 에너지 흐름 생체량, 토양특성, 생태 계 구성요소 집단

4) 범 지구적 기후 변화 온실가스 (greenhouse gas) 와 온실효과 (greenhouse effect): 대기 중 이산화탄소, 메탄 등 가스들은 태양광선을 통과시켜 빛 에너지가 대 기를 통과 함으로서 지구표면의 온도가 올라가게 한다. 열이 지구에 서 우주로 방출되는 속도를 늦춤  지구온난화의 원인 ( 예 ) 20 세기 동안 전세계 온도가 0.6 도 상승, 해수면 온도가 지난 50 년 동안 평균 0.06 도 증가

우점종의 환경변화 미 적응  생물군집의 변화와 악화를 가져옴 ( 예 ) 미국의 가문비나무 - 전나무 군락, 미루나무 - 자작나무 군집의 90% 의 쇠퇴가 예상됨 (Rushing and Primack, 2004)  온도가 높아지거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면  이를 선호하 는 침입종 (invasive species) 과 병충해 종의 증식이 가속화됨 5) 과도한 개발 - 과도한 개발로 인해 멸종위기 포유류와 조류의 약 1/3 이 위협받고 있 음 (Hilton-Taylor, 2000) - 야생동물의 합법적, 불법적 매매로 많은 종이 감소되고 있음 - 동식물에 대한 자원의 가치가 부상  시장이 형성되고, 지방 주민들 은 그 자원을 찾아 판매 ( 자원의 감소  가격 상승, 과잉개발 압 력 ) - 최대지속가능수확 (maximum sustainable yield): 매년 개체군의 손실 없이 자연적으로 보충되어 최대로 수확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을 의미 (Essington, 2001)

- 위기종에 대한 국가간 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 보전을 위한 지름길 ( 예 : 고래의 수 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