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산 ’ 현상과 한국 모성의 사회적 위치 황 정 미 (2006. 5.). ‘ 저출산 ’ 현상을 보는 관점 주류 정책담론 - 저출산과 경제성장 : 저출산이 경제성장율에 미치는 영향 : 고령인구 증대 및 부양인구비 상승으로 인한 사회보험 재정문제 : 노동력 수급 불균형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Ⅰ. 향후 우리사회 전망Ⅱ. 주요 외국 저출산 대책Ⅲ. 저출산대책 추진전략 Ⅳ. 중점 검토과제.
Advertisements

순 풍 삼 분 임 과 자녀에게 가장 좋은 선물은 동생입니다 이런모습, 상상이나 해보셨나요 ? 행 복 한 출 산 과 든 든 한 노 후.
1. 사회 변동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 하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가치 관 등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저출산 · 고령사회 대비 시행계획 사람과 지식은 국가경쟁력이다. 2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 21 조 (’05.9.)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시행령 정부의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06.7.) 시행계획 작성 기본 치침 교육인적자원부 시행계획.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Contents 1. 배경 및 필요성 2. 국가표준 ( 안 ) 도출을 위한 소비자단체 활동 계획 3.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 추진 과제.
1 2. 시황 및 전망 ♦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급락후 반등 과정 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수급이동이 KOSPI, KOSDAQ 의 극명한 수익률 차이를 보임.
3. 인구 문제 지역에 따라 인구 문제의 차이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당면한 저출산 · 고령화 현상의 원인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책을 제시 할 수 있다.
 1 부 : 여성과 사회 1 장 : 여성과 불평등 2 장 : 여성연구의 관점 3 장 : 여성과 복지  2 부 : 현대사회의 여성문제와 여성복지 4 장 : 여성노동과 여성빈곤 5 장 : 여성폭력 : 성폭력 · 아내폭력 6 장 : 여성과 이중차별 : 장애여성과 노인여성.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유쾌한 리서치 ’ - 불법 다단계업체 관련 조사 - 엠브레인 December
구 분구 분사례수 ( 명 ) 비율 (%) 서울시 거주 북한이탈주민 2, 성별 남성 여성 1, 연령별 19~20 대 대 대 대 대 이상
사례 중심의 광고기획론 강미선 지음. 1. 애니콜 ( 제일기획, 2007, 28 회 금상 ) 애니콜 ( 제일기획, 2007, 28 회 금상 ) 2. 삼성 갤럭시탭 ( 제일기획, 2012, 33 회 동상 ) 삼성 갤럭시탭 ( 제일기획, 2012, 33 회 동상 ) 2.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1.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직장 내 성차별에 관한 조사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제12주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노후 대비에 관한 조사 -
[예제] 의사결정나무 현재의 공장을 기술적 진부화에 대비하여 현대화하는 문제를 고려 중인 상태에서,
MBC 손에 잡히는 경제 ‘유쾌한 리서치’ - 성적과 성공 관련 의식 조사 - 엠브레인 November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 경영학부 최은지 경영학부 이창현
2012 PISA 한국 VS 핀란드.
디케Dike-정의의여신 Footer Text 4/21/2019.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Ⅱ. 가족복지 정책 가족복지론 최진령.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입사지원서 인 적 사 항 학 력 사 항 경 력 사 항 가 족 사 항 능력사항 및 해외경험 지원분야 홍 길 동 洪 吉 童
3조 경영학과 김대혁 경영학과 김종섭 경영학과 이진범 경영학과 신영재 중어학과 한송이
CHAPTER 3 여성과 복지국가.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OECD 평균 한국
2015 1인 청년 가구 수 65.5만 50.4만 1인 청년가구 중 여성 비중 (%)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하이브리드 문화 현상 11조 윤주성, 이호, 허성녕.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자녀의 심리적 안정도에 미치는 부모요인 분석.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저 출산 고령사회! 무엇이 문제인가? (수).
한국의 경제성장율 추이 저출산율 (25 ~ 29, 단위 %) 임금과 노동생산성의 변화율
과목명 : 중학교 사회 3학년 단원명 : Ⅵ. 인구 성장과 도시 발달 3. 인구 및 도시 문제 (교과서 p )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여성들의 음주 변화 남성 음주률 기준 규격화 (배) 출생년도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고령화 사회 이렇게 해결! (고령화 사회 해결방안)
가족 생활의 변화 초기화면 기술·가정 1학년 1학기 1.가정 생활의 설계 예절 교육 1. 가정 생활 문화의 변화
MBC 손에 잡히는 경제 ‘유쾌한 리서치’ - 기념일 관련 조사 엠브레인.
남양주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0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얼마나 많은가? Lezhin.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위와 같이 귀사에 입사를 희망하며, 위 기재내용이 사실과 일치함을 증명합니다.
Presentation transcript:

‘ 저출산 ’ 현상과 한국 모성의 사회적 위치 황 정 미 ( )

‘ 저출산 ’ 현상을 보는 관점 주류 정책담론 - 저출산과 경제성장 : 저출산이 경제성장율에 미치는 영향 : 고령인구 증대 및 부양인구비 상승으로 인한 사회보험 재정문제 : 노동력 수급 불균형과 성장잠재력의 잠식  출산의 주체인 여성과 모성에 대한 관심의 상대적 결여 : 여성을 ‘ 도구화 ’ 하는 인식에 경계 : 여성의 권리와 기회구조의 공정성이라는 차원에서 저출산 정책의 방 향을 재검토할 필요성.

저출산 원인을 보는 시각과 그 한계 과도한 국가주의 * 강력한 가족계획 및 산아제한 정책의 결과로 출산율 저하 * 산업화, 도시화의 결과 소자녀 규범의 확산으로 출산율 저하 근대화이론에 안주 * 가족규범 붕괴 및 가족해체, 여성들의 모성규범 약화로 출 산율 저하 가부장제적 편견

이론적 배경 ‘ 출산율 하락 ’ 이라는 수치 자체의 변화보다는, 출산을 줄이게 되 는 사회적 맥락과 기회구조의 질적인 변화를 주목해야 함 출산의 주체인 여성 / 모성이 놓여있는 사회적 맥락 (context) 과 기 회구조의 변화 가족 / 국가 재생산과 성별분업의 재조정 – 새로운 젠더 계약 (gender contract) 의 필요성 제기 (Esping-Andersen, 2002) 1) 전통적 가족중심형 여성 2) 경력과 모성의 양립을 원하는 여성 3) 경력 추구형 여성

노동시장 개인화 ( U. Beck) : 남성만 ‘ 노동시장 일대기 (biography)’ 를 추구 -> 여성과 남성 모두 노동시장 일대기를 추구 산업화가 진전될수록 ( 특히 여성의 ) 취업주기와 가 족주기를 어떻게 조절, 양립하는가의 문제가 가족 재 생산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과제로 등장

합계출산율의 변화 (1960~2003)

출산율 변화추이의 국제비교 자료 : 한국 자료는 통계청,, 각년도 ( 한국여성개발원 여성통계 DB 외국자료는 World Bank, 1984, World Tables, Vol.II, ( ), Population Reference Bureau, World Data Sheet, 각년도. (Brewster & Rindfuss, 2000) * 1960 년 수치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

기존 연구 검토 Sleebos (2003) : OECD 국가의 출산율 양상과 변화에 대한 국가간 비교 연구 1980 년 : 여성의 취업 률과 교육수 준이 높은 국 가일수록 출 산율이 낮음 1999 년 : 취업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출산율 높음 : 이혼율이 높은 국가에서 출산 율 높음 : 성평등 정책, 가족 / 직장 양립 정책이 제도화된 국가에서 출 산율이 높은 경향.

기존연구 검토 ( 이재경 외 2005) 양성평등 수준에 따라 출산율 양상이 달라짐. * 성평등 지수 (GDI: Gender-related Development Index ) - UNDP 에서 남녀간의 학력, 소득격차 등을 비교 하여 여성평등수준을 지수화하여 매년 발표함 - GDI 와 출산율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U 자 형이 나타남.

GDI 와 출산율의 관계

자료 전국 출산력조사 (2000) 원자료 중 -15~64 세 기혼여성 응답자 (10,712 명 ) 대상 분석 자료 특성 - 기혼여성만을 포함 ( 이들 중 89.5% 가 유배우 여성 ) - 50 세 이상 고연령층이 많이 표집됨 (25.6%) - 취업에 대한 문항은 “ 혼전 취업경험 여부 ”, “ 현재 취업 여부 ” 만 있으며 취업력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없다는 한계

취업 여부에 따른 평균 자녀 수 평균 자녀 수 F값F값 현재 취업 ** 현재 비취업 2.23 혼전 취업 ** 혼전 비취업 2.74 취업이 자녀 수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되지 않음 혼전 취업여부 / 현재 취업여부를 교차 시킨 새로운 변수 생성

취업경력에 따른 평균 자녀 수 * 혼전취업 / 현재비취업 응답자, 즉 결혼 후 취업을 중단한 주부층의 자녀 수가 가장 적게 나타남

교육수준 * 경력중단 여부 교차표 혼전취업 / 현재 비취업인 응답자 - 전문대 및 대학학력을 소지한 고학력자 많음. - 대학학력을 가진 여성의 절반 가량이 혼전 취업 경험이 있으나 현재 전업주부로 살고있음 ( 고학력 여성의 전업주부화 현상 )

연령 * 경력중단여부 교차표 결혼 후 경력중단자 중에는 30 대 이하의 젊은 연령층이 많이 포 함됨 생애주기 효과 – 출산, 양육기에 경력중단이 일어남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국제비교 (2002)

연령 별 평균 출생아 수 ( 경력유형별 ) 경력유형 세 (N)35-39 세 (N)40-44 세 (N)45-49 세 (N) 연속취업 1.64 (568) 1.95 (741) 2.07 (697) 2.50 (403) 결혼 후 취 업중단 1.77 (883) 2.01 (763) 1.97 (514) 2.22 (347) 결혼 후 신 규취업 2.00 (44) 1.91 (156) 2.18 (264) 2.65 (262) 연속 비취 업 1.77 (115) 2.06 (179) 2.02 (236) 2.31 (229) 전체 1.73 (1610) 1.99 (1839) 2.05 (1710) 2.42 (1241 ) F값F값 5.910** **13.751***

어머니 취업과 자녀 수 관계의 변화  40 세 -49 세 연령층 : 전체 유형과 일치 : 경력중단 전업 주부 < 결혼 후 신규취업여성 ( 교육수준 효과 ) : 현재 전업주부인 여성 < 현재 취업 중인 여성  세 연령층 : 통계적 유의도는 없지만 유형의 변화 일어남 : 현재 전업주부인 여성 > 현재 취업 중인 여성  세 연령층 : 계속 취업 중인 여성의 자녀수가 가장 적음 젊은 세대로 올수록 취업한 여성이 자녀를 적게 낳는 경향 - 젊은 층의 출산지연 효과 ? ( 만혼, 노산의 경향 ) - 혹은 어머니의 새로운 선택 ?

해석 : 어머니 지위에 대한 “ 협상 ” 의 context 가부장제적 협상 ( bargaining with patriarchy : Kandiyoti 1998 ) 취업여성은 가족주기에 맞추어 취업주기를 조절 가족주기와 취업주기를 병행할 수 없을 때 노동시장에서 퇴장하 는 현상 취업여성의 자녀 수가 경력중단 여성보다 많음 : 고학력 여성의 전업주부화 경향 / 저학력 여성의 생계형 취업 전통적 모성 규범 : ‘ 취업한 여성이 가정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 는 강한 규범적 압력

유동적 계약 ? ( rolling contract : Giddens 1992)  취업한 기혼여성의 자녀수가 비취업 기혼여성의 자녀 수보다 더 적은 현상 – 유동적 계약으로의 이행 ?  가족주기와 취업주기가 충돌할 때 취업주기에 맞추어 출산을 지 연하거나 줄이는 선택이 나타남 ( 고학력 취업여성의 저출산, 만혼, 비혼 현상 )  개인적 성취를 강조하는 규범 : 취업 여성이 좋은 신부감, 취업한 아내의 발언권 신장, 이혼을 금기시하는 태도의 약화 등.

 후기 현대사회 or 후기산업사회 - 여성은 ‘ 어머니이자 노동자 ’ 로써 이중적 지위를 갖게 되며, 여성들은 자신 의 가족주기와 취업주기를 어떤 방식으로든 조절해야 하는 요구에 직면. 가부장제적 협상 ‘ 모성지위 ’ 를 기준 으로 노동자 지위 를 조절 / 협상 가족주기 / 취업주 기의 조절은 개별 여성의 차원에서 이루어짐 유동적 협상 ‘ 노동자지위 ’ 를 기 준으로 모성지위 를 조절 / 협상 가족주기 / 취업주 기의 조절은 사회 적 제도로 조절됨. 한국사회 : 과도기 ? 경기 요인, 계층 요인 에 따라 모성 / 노동자 지위를 조절하는 다양 한 유형이 존재 가족주기 / 취업주기를 조정하는 사회제도와 시스템의 부재 한국사회 : 과도기 ? 경기 요인, 계층 요인 에 따라 모성 / 노동자 지위를 조절하는 다양 한 유형이 존재 가족주기 / 취업주기를 조정하는 사회제도와 시스템의 부재

정책적 함의  최근의 출산율 저하는 주로 만혼화에서 기인함 - 만혼화는 단기적으로는 경기불황 및 청년실업 효과 - 장기적으로는 여성들이 가족주기와 취업주기를 조절 / 병행하는 유형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남  최근 논의되는 저출산 관련 정책들은 출산관련 의료 지원 ( 불임클리 닉 ), 일시적 장려금 지급, 보육비용 지원 등 - 소득에 따른 차등지원, 둘째 자녀 이상 우대 원칙은 일관되게 적용하 고 있음 - 그러나 출산의 주체인 여성 / 모성이 놓여있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불 충분한 고려 - 각각의 정책이 가족주기 / 취업주기의 조정을 어떻게 전제하고 있는지, 혹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가 필요

-) -) - - 일시적 보조금 ( 출산장려금 등 ) 일시적 보조금 ( 출산장려금 등 )  낮은 여성취업율  강한 가부장적 모성규범  어머니의 직접 자녀양육을 권장  낮은 여성취업율  강한 가부장적 모성규범  어머니의 직접 자녀양육을 권장 중장기 보조금 ( 일정기간 아동양육 비 지원 등 ) 중장기 보조금 ( 일정기간 아동양육 비 지원 등 ) 일 / 가족 양립정책 ( 부모휴가, flexi-time 등 ) 일 / 가족 양립정책 ( 부모휴가, flexi-time 등 )  여성취업이 확대되지만 평생취업은 불투명 한 상황 ( 잦은 경력중단 )  집중적 모성 (intensive mothering) – 자녀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  개별 가족의 자녀양육비 부담 ( 공보육 인프라 미비 )  여성취업이 확대되지만 평생취업은 불투명 한 상황 ( 잦은 경력중단 )  집중적 모성 (intensive mothering) – 자녀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  개별 가족의 자녀양육비 부담 ( 공보육 인프라 미비 )  여성취업 확대, 핵심노동력화  평생취업 지향  개인적 성취를 중시하는 규범 확산  아동양육의 사회적 책임, 공보육 인프라 확대  노동시간 단축 및 가족친화적 고용형태 증가  여성취업 확대, 핵심노동력화  평생취업 지향  개인적 성취를 중시하는 규범 확산  아동양육의 사회적 책임, 공보육 인프라 확대  노동시간 단축 및 가족친화적 고용형태 증가

 앞으로 출산율 추이는 - 여성들이 가족주기와 취업주기를 병행할 수 있는 새로운 선택지의 제공할 수 있는가에 영향을 받을 것 - 특히 고학력 취업 여성들이 ‘ 낳지 않을 권리 ’ 보다는 ‘ 낳을 권리 ’ 를 추구하게 만드는 새로운 사회계약 (gender contract) 이 형성될 수 있는가에 달려있음 고 맙 습 니 다고 맙 습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