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육종가 상생한마당 화훼산업 현황과 육종산업 육성 방향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 훼 과 신 학 기
목 차 I 국내외 화훼산업의 현황 II 국내 화훼육종의 발전과 전망 III 화훼 육종산업 육성 방향
I. 국내외 화훼산업 현황 1. 국내 산업 현황 ▣ 화훼산업의 변화 1990년도 하반기부터 수출유망작목으로 각광 국가 경쟁력을 갖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크게 성장 ○ 화훼산업의 변화 추이(1990~2012) 구 분 ‘90 ‘95 ‘00 ‘05 ‘10 ‘11 ‘12 농가수(호) 8,945 12,509 13,080 12,859 10,347 10,054 9,450 재배면적(ha) 3,503 5,343 5,891 7,950 6,829 6,833 6,429 생산액(억원) 2,393 6,090 6,649 10,101 8,510 8,215 7,566 수출액(만$) 144 636 2,889 5,214 10,307 9,060 8,396 중국으로부터의 절화수입(2013) : 국화 64.0 백만송이, 카네이션 8.8
▣ 화훼수출 현황 : 2010년 최고 이후 하강세 장미,나리, 난, 국화, 선인장 등 5대작목이 수출 주도 ( 천$ ) 연 도 액 나 리 장 미 난 류 국 화 선인장 기 타 연 도 총수출액 (만$) 271 2,770 5,007 3,982 5,809 7,622 7,718 10,307 9,060 8,396 6,084 2013년 수출 감소: 60.8백만$) (전년대비 -28%) 장미 -46%(14.8백만$), 나리 -34%(19.9), 난 +19%(11,8), 국화 -30%(6.9), 선인장 +34%(3.8) 2013년 수입 : +7%(‘13.12. 51.1백만$) 난초 -4%(18.8백만$), 나리 -25%(4.6), 국화 +134%(6.8), 카네이션 +28%(2.1)
2. 세계 화훼산업과 여건 ▣ 세계의 화훼 산업 - 총 재배면적은 약 157만 ha, 생산액은 500억 유로 - 재배면적은 중국(46%, 72만ha, 일부 제외), 인도(27만ha), 미국(20만ha)순이며 - 생산액은 중국(111억€), 미국(110억€), 네덜란드(53억€) 순임 주요 국가 중심의 통계자료로서, 중소 국가들의 화훼자료들이 많이 누락 됨. 종 류 재배면적(ha) 생산액(백만유로) 계 1,573,367 50,084 절화∙분화 652,000 28,000 구 근 류 28,428 677 관 상 수 892,939 21.407 인용자료의 연도는 국별로 편차가 크고, 2010년 이전자료도 많음(자료 : AIPH 2013) 전반적으로 정체 국면.
▣ 세계의 화훼 수출 세계의 화훼(절화∙분화) 수출 현황 (자료 : AIPH 2013) 유 럽 66.1% - 총 수출규모는 102.8억 유로(‘12)이나 증가 추세 - 유럽이 66%, 네덜란드는 49%(50.8억€) 점유 미 주 17.0% 아프리카 7.8% 유 럽 66.1% (절화 49%, 분화 51%) 아시아 5.6% 중동 0.8% * 네덜란드 총 수출액 : 66.3억€ (구근 6.8억 등 포함)
▣ 주변국의 화훼산업 비교 한국, 중국, 일본의 주요 화훼 비교 (2012, 각국 발표) ♣ 총재배면적(‘12, ha) : 한국 6,429 중국 1,120,300 일본 19,410(+화목류 등 12,300) * 중국은 식∙약∙공업용 화훼, 잔디 포함
3. 국내 화훼산업 부진의 요인 ▣ 삶의 여유, 그 척도 화훼산업 : 내적 요인 경제적인 여건은 나아지고 있으나 주위를 돌아다 볼 여유는 없다.
▣ IT 기기의 생활 도구화 : PC → 스마트폰 컴퓨터 중독?
▣ 꽃 이용 문화의 제약요소 주변 생활여건의 변화 베란다 없는 아파트 겨울 혹한과 여름철 고온다습
▣ 꽃 이용 문화의 제약요소 선물용, 행사용 중심의 소비 조화(造花) 사용 확산
▣ 화훼상품의 비교 가치 고객의 시각으로 판단! 경쟁상품을 따돌릴 만큼 충분히 매력적인가? 절화수명은 충분하고, 분화는 재사용이 가능한가?
II. 국내 화훼육종의 발전과 전망 1. 국내 화훼육종의 발전 ▣ 국내 화훼류 품종등록 현황 ○ 총 4,736품종이 등록 (2013.12. 현재, 국립종자원) - 그 중 화훼류가 2,679품종으로 57% 점유(출원은 3,634품종) 버섯류, 88 1.9% 사료작물, 26 0.5% 특용작물, 172 (3.6%) 과수류, 243 (5.1%) 채소류, 763 16.1% 식량작물, 765 16.2% 화훼류, 2,679 56.6%
- 화훼류는 보호등록된 2,679품종 중 국산 품종이 1,532품종으로 57.2% 점유(’13. 12.) 국산품종 중 1,066개(69.6%)는 국가 기관에서 육성 : 정부 주도형 화훼 품종육성 (국외) 개인, 33 1.2 국 가, 532 19.9% (국외) 종묘업체, 1,114 41.6% 지자체, 534 20.0% 외국 (42.8%) 국내 (57.2%) 개 인, 317 11.8% 종자업계, 128 4.7% 기타, 21 0.8
▣ 국산 품종 보급률 □ 국내 육성품종은 대부분 2007년부터 점차 보급 활기 국산 화훼품종 추정 보급률(2013) □ 대외 로열티는 장미, 난, 국화 등 70억원 수준으로 추정(’13)
2. 국산 화훼품종 개발의 주요 성과 ◎ 접목 선인장 2003년 독일국제꽃박람회 - 최우수상, 금상(6), 특별상
◎ 하추국‘백마’ - 우수품종상 대통령상 수상(2010)
◎ 장미‘딥퍼플(필립)’ - 모스크바 국제꽃박람회 대상(2012) ◎ 장미‘매직핑크’ ◎ 장미‘핑키걸’
◎ 프리지아‘샤이니골드’ ◎ 신나팔나리‘두산’ 총리상 수상(’13) ‘골드리치’ ◎ 심비디움 ‘대국’ 점유율 35% - 우수품종상 대통령상 수상(2008) ‘골드리치’ ◎ 심비디움 ‘대국’ 총리상 수상(’10)
페튜니아(Wave Petunia 포함) 500개 계통 프리뮬라(Polyantha) 200개 계통 육성 ◎ 초화류 우량 계통 육성 페튜니아(Wave Petunia 포함) 500개 계통 팬지(Pansy) 300개 계통 육성 프리뮬라(Polyantha) 200개 계통 육성 시클라멘(Cyclamen) 300개 계통 육성
3. 현 국내 화훼 육종의 진단과 전망 ▣ 정부기관 주도의 품종 개발과 보급 ▣ 민간육종으로의 전환과 진입 장벽 정부육종 ○ 화훼 등록품종 중 국산품종 비율 : 총 2,679품종 중 57.2% 점유 - 국산품종은 국가 및 지자체 개발 품종이 대부분 : 69.6%(’13.12.) ○ 보급은 초기단계 : 다양한 품목, 육종 인프라 및 시장의 영세성, 인식 부족 - 일부 작목은 증식에 장기간 소요 : 난, 나리 등 ▣ 민간육종으로의 전환과 진입 장벽 ○ 품종개발의 주체는 궁극적으로 민간업체가 될 것임 ○ 전문 육종업체 부재 : 규모의 영세성 ○ 우수한 전문 육종인력과 다양한 유전자원의 부재 ☆ 육종 주체의 의지와 통찰력 + 정책적, 제도적 유인책(신품종 보호 등) 필요 정부육종 민간육종
▣ 육종가의 권리보호 수준 : 수요자 의식이 중요 ▣ 국산품종의 다양성과 우수성 미흡 ○ 짧은 육종 역사, 개인육종가 수준의 품종개발 ○ 최근 품종은 일부 우수성과 기호성을 갖춤 ○ 전문 종묘업체의 부족과 우수성 검정체계 미흡 : 글로벌화, 규모화 등 ▣ 육종가의 권리보호 수준 : 수요자 의식이 중요 ○ 대체로 민심은 영세 농가에 우호적 : 육종가 권리보다 더 배려 ○ 화훼산업의 부진으로 로열티 지급 및 정상묘 구입기피 경향 : 자가 육묘 등 ○ 시범사업 등 종묘를 지원에 의존하려는 요구 ○ 육종가∙종묘업체에게는 농업인이 고객 : 법적 대응 기피, 악순환
▣ 육종산업과 종자∙종묘∙종구산업 연계 부족 ▣ 소득원으로서의 육종산업 : 전망은? ○ 육종회사가 생존할 수 있는 경영적 측면의 논리 :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 네덜란드 육종회사는 가족 중심의 경영 → 인수 합병 → 글로벌화 - 육묘회사가 육종회사로 발전하는 경우 ▣ 육종산업과 종자∙종묘∙종구산업 연계 부족 ○ 품종은 증식분야인 종자, 종묘, 종구산업 및 생산, 수출업까지 연계 - 특히 구근산업은 큰 비중을 차지 : 생산비의 50% ○ 전문 육종업체가 연계산업의 발전 유도 : 산업을 리드하는 위치 ☞ 화훼산업의 부진이 종자산업을 더욱 어렵게 만듦
III. 화훼 육종산업 육성 방향 품종개발 생산단지 소비시장 육종산업의 중요성 시사점 육종산업의 중요성 글로벌 국제시장의 활용 선진국이 선점(화란, 일본, 대만, 독일, 호주..) - 대부분 민간 육종회사에서 담당 - 대학·연구소는 민간지원을 위한 기초기술 개발 - 첨단연구에는 국가, 연구소, 민간업체가 공동 연구 - 생명공학 품종은 대기업의 집중 투자 필요 품종개발 천혜적 기후조건과 싼 인건비가 우선 - 콜롬비아 등 중남미, 케냐 등 아프리카, 중국 등 동남아 국가 생산단지 소비시장 선진국 중심의 소비시장 - 미주, 유럽, 일본 등 - 러시아 등 생산 한계지역 ※ 네덜란드 장미 수출입(2013) ▪ 세계 제일의 장미 수출 및 수입 국가 - 수출 : 27.5억 송이 10.9억$ (40센트) - 수입 : 33.5억 송이 5.5억$ (16센트) (콜롬) 12.2억, 3.7억$(30) (미국) 15.6억, 4.0억$(26) 시사점 육종산업의 중요성 - 육종이 생산을 선도하고, 시장을 주도 - 민간육종의 활성화로 다양한 품목 개발 글로벌 국제시장의 활용 - 수출, 수입 등 국경 없이 해외시장 개척 - 기후조건, 노동력 등 우수한 생산지역 활용
▣ 육종 : 국산품종의 품질은 최고인가, 충분한가? 1. 우수 국산품종의 개발 ▣ 육종 : 국산품종의 품질은 최고인가, 충분한가? ○ 우수한 소수의 품종이 전체 육종 수준을 대변 ○ 세계 최고의 품종도 분야별, 시장별 목표를 두고 추진 필요 ○ 다양한 유전자원의 확보와 활용 우수한 품종이 산업을 지탱 유용 유전자원 및 유전·육종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 - 우수한 유전자원 확보가 우수품종 개발의 기본 - 육종주체간 교류를 통해 다양한 정보 공유가 가능
2. 국산품종의 품질과 보급 ▣ 보급 : 국산품종의 품질은 아직 불안한가? ▣ 소득원으로서의 품종개발은? 만족할 만한 품종은 언제쯤에… 세상에는 완벽한 품종이나, 모두가 만족하는 품종은 없다 직접 개발한 것만 고집할 것인가? ▣ 소득원으로서의 품종개발은? 품종만으로 경영이 가능한가? 주 소득원으로서 충분한가? ‘그린 뷰티’ 국내 생산환경은 경쟁국에 비해 열세
▣ 어떻게 보급하고 산업화 할 것인가? 신품종의 특성과 장단점을 면밀히 파악 보급 - 시범재배, 현장 평가, 재배 매뉴얼 공급 생산자의 재배여건에 적합한 현장 컨설팅 : 정성과 관심 - 반드시 농가소득에 보탬이 되도록… - 소득이 안되어도 불만이 없도록… 전문육종회사는 Breeder + Selector + 육성품종 생산시스템 구축
3. 소득원으로서의 육종산업 ▣ 육종산업과 종자∙종묘∙종구∙수출산업 연계 ○ 품종은 증식분야인 종자, 종묘, 종구산업 및 생산, 수출업까지 적용 확대 - 특히 구근산업은 큰 비중을 차지 : 생산비의 50% ○ 전문 육종업체가 연계산업의 발전 유도 : 산업을 리드하는 위치 ☆ 품종을 개발하고, 종묘를 생산하고, 신품종을 재배하고 수출하는 일관체계 Dekker
4. 육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지원 ▣ 품종보호제도의 엄격한 시행 ▣ 전문 육종회사의 육성과 다양한 육종가의 양성 - 육종가의 권리 보호 : 정부기관 개발 품종 포함 ☆ 정부 주도 육종하에서 불법 사용자 제재 미흡 - 외국 품종까지도 엄격하게 보호 : 민간업체 적극적 참여 유도 ▣ 전문 육종회사의 육성과 다양한 육종가의 양성 - 대표적 육종회사의 역할 : 개인육종가 개발품종의 보급 확산 - 개인 육종가의 육성과 지원 활성화 ☆ 품종개발 지원, 해외 등록 지원, GSP 추진, 민간육종 공동연구(농진청) ☆ 취미 원예가, 은퇴한 기관 육종가들을 다양하게 활용 ⇒ 육종전문회사
5. 수출지향적, 글로벌 마인드 필요 ▣ 아시아는 화훼 육종의 신 개척지 ▣ 동남아 제국은 화훼 신품종의 소비처 주변국은 화훼 소비국가 : 일본, 러시아, 중국(미래) - 동남아 제국들은 생산의 경쟁 상대 : 중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 일본, 대만 이외에는 육종강국이 없음 ▣ 동남아 제국은 화훼 신품종의 소비처 주변의 풍부한 인적, 물적 자원들을 활용 - 화란은 육종/물류로 세계시장의 50% 점유 ☞ 신품종의 배타적 권리 활용 ⇒ 국제경쟁력 제고
품종 개발 우수품종 개발 보급 고품질 생산 수출시장 확대 작목별 종합기술 개발 → 농가 소득 증대 수출 주력 품목 육성 우수품종 개발 보급 고품질 생산 수출시장 확대 작목별 종합기술 개발 → 농가 소득 증대 수출 주력 품목 육성 수출 품종보호제도 활용 배타적 수출시장 확보 생산 유통 현장애로기술 발굴 및 해소, 유통기술의 확립 대외로열티 극복 보급 우량묘 생산 보급 종자산업 육성 품종 개발 육종 개인, 민간업체 정부, 지자체 연구기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