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대 국가의 성립과 정치 발전 2 고대의 경제 생활 3 고대의 사회생활 4 고대의 문화 2 고대 국가 시대 1 고대 국가의 성립과 정치 발전 2 고대의 경제 생활 3 고대의 사회생활 4 고대의 문화
1 고대 국가의 성립과 정치 발전 고대 국가의 형성 1. 연맹 왕국 : 여러 소국 중 우세한 집단의 족 장을 왕으로 선출 고대 국가의 형성 1. 연맹 왕국 : 여러 소국 중 우세한 집단의 족 장을 왕으로 선출 2. 중앙집권적 고대 국가의 형성 ① 자기 집단 및 다른 집단에 대한 왕의 지배 력 강화 ② 정복 활동(영역 확대) 과정에서 경제력 · 군사력의 성장 → 왕권 강화 ③ 율령 반포 → 통치 체제 정비 ④ 불교 수용 → 집단의 통합 강화 3. 고대 국가로의 발전 과정 : 선진 문화 수용 정도 · 지리적 위치에 따라 차이 → 고구려 · 백제 · 신라 순으로 고대 국가 체제 정 비, 가야는 연맹왕국 단계에서 해체됨 삼국의 성립 1. 고구려 ① 성립 : 부여계 유이민(지배층)과 압록강 유역 토착세력의 결합으로 성립, 수도 천도( 졸본성 → 국내성) ② 태조왕(1C 후반) : 정복활동 활발(옥저 · 낙랑 정벌), 고씨에 의한 왕위의 독점적 세습 , 집단의 통합(5부 체제 형성) ③ 고국천왕(2C 후반) : 부족적 전통의 5부를 행정적 성격의 5부로 개편, 왕위의 형제 상 속을 부자 상속으로 전환, 족장이 중앙 귀족 으로 편입 → 왕권 강화, 중앙집권화 진전 2. 백제 ① 성립 : 고구려계 유이민(지배층)과 한강유 역 토착세력의 결합으로 성립 ② 고이왕(3C 중엽) : 한강유역 완전 장악, 관 등제 정비 · 관복제 도입 → 중앙집권 국가 의 토대 형성 3. 신라 ① 성립 : 진한 의 소국 중 하나인 사로국에서 출발, 경주 지역의 토착민 집단(지배층)과 유이민 집단의 결합으로 성립 ② 초기의 정치 : 박 · 석 · 김의 3성이 교 대로 왕위 차지 → 유력 집단의 우두머리를 이사금(연맹장)으로 추대 ③ 내물왕(4C) : 정복 활동 활발(낙동강 동쪽 진한 지역의 대부분 차지) → 중앙집권 국가 로 발전 시작, 김씨에 의한 왕위 계승권 확립 , 마립간(대군장) 칭호, 고구려 군대의 주둔( 왜 격퇴 과정) → 고구려의 간섭 · 고구려를 통해 간접적으로 중국 문물 수용
정치적 발전 1. 고구려 -3세기 중반(동천왕) : 오와 교류, 서안평 공격 -> 위(관구검)의 공격을 받아 한대 국내 성이 함락됨 -4세기 초(미천왕) : 서안평 점령, 낙랑군 축출(313) -> 이 당시 중국은 5호 16국 -4세기 말(소수림왕) : 중앙 집권 국가로의 체제 개혁을 추진, 새로운 발전의 토대를 구 축 -> 불교수용(372), 태학설립, 율령반포 2. 백제 -4세기 중반(근초고왕) : 왕권 중심의 중 앙 집권 체제 정비. 왕위의 부자상속제 확립 -영토확장 : 마한 정복, 고구려의 평양성 공격(고국원왕 전사), 가야 여러 나라에 대한 지배권 행사 -활발한 대외 활동 : 중국의 요서, 산둥, 일본의 규수 지방에까지 진출(고대 상업 세 력권 형성) -침류왕 때 : 불교공인(384 ; 중앙 집권체 제를 사상적으로 뒷받침 함) 3. 신라 -5세기 초(눌지왕) : 불교 전래(고구려 묵 호자), 나제동맹 결성(433 ; 군사 동맹), 왕위 의 부자상속제 확립 -5세기 말(소지왕) : 6촌을 6부 행정 구역 으로 개편(왕권강화), 백제(동성왕)와 결혼 동맹 결성 -지증왕(500~514) : 국호 변경(사로국 -> 신라), 왕호변경(마립간 -> 왕), 수도와 지방 의 행정구역 정리(지방제도를 군사제도와 병행, 정비함), 우산국 정복(이사부 ; 512) 삼국간의 항쟁 1. 고구려 ① 광개토 대왕(4C 말~5C 초) : 만주 지방에 대한 대규모 정복사업 단행,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 → 한반도 남부에까지 영향력 행 사 ② 장수왕(5C) : 중국 남북조와 교류 → 중국 세력 견제, 평양 천도, 백제 수도인 한성을 함락시키고 한강 이남까지 진출 → 광개토 대왕릉비 · 중원 고구려비 건립 2. 백제 ① 문주왕(5C) : 고구려의 남하로 웅진(공주) 으로 천도 → 대외 팽창 위축, 중국 · 일본 과의 무역 침체로 경제력 약화 → 왕권 약화, 귀족세력의 국정 주도 ② 동성왕(5C 말~6C 초) : 신라와 동맹 강화 → 고구려에 대항 ③ 무령왕(6C 초) : 22담로에 왕족 파견 → 지 방통제 강화, 백제 중흥의 발판 마련 ④ 성왕(6C 중반) : 사비(부여) 천도, 남부여 로 국호 개칭, 중앙관청 정비(22부로 확대), 지방제도 정비(수도 → 5부, 지방 → 5방), 불 교 진흥(겸익 등용, 일본에 불교 전파), 남조 와 교류, 신라와 연합해 한강유역 탈환 → 진 흥왕의 공격으로 상실, 관산성에서 전사 3. 신라 ① 진흥왕(6C) : 국가적 조직으로 화랑도 개 편(인재 양성 목적), 불교 교단 정비(사상적 통합), 한강유역 확보 · 함경도 진출 · 대 가야 정복 → 단양 적성비 · 진흥왕 순수비 ② 한강유역 장악의 의미 : 경제 기반 강화, 전략 거점 확보, 중국과의 직접 교역 가능
고구려의 대외 항쟁 1.동서 세력과 남북 세력의 대립 (1)6세기 말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대립적 국 제관계 형성 ->동서 세력(신라-수 연합),남북세력(돌궐-고구려-백제-왜 연합) (2)한반도:백제와 고구려 연함-.신라 견제 목 적 2.고구려와 수의 전쟁 (1)배경:고구려가 요서지방 선제공격 (2)수의 침입과 살수대첩 1>수 양제의 공격:113만명의 대군을 동원하여 고구려 공격 2>결과:을지문덕의 활약->수의 대패->무리 한 전쟁과 국력소모로 멸망 3.고구려와 당의 전쟁 (1)배경: 1>당 태종의 세계 제국 건설 야심->고구려 압 박 2>고구려:천리장성 축조->연개소문의 정변->대당 강경 정책추진 (2)당의 침략과 안시성 싸움 1>당의 침략:연개소문의 정변을 구실로 침략 2>안시성 싸움(645년): 당군, 추위와 군량미 부족으로 퇴각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1.나·당(신라,당) 연합의 성립 (1)신라의 위기 1>백제 의자왕:신라 공격->대야성 등 40여 개의 성 함락 2>김춘추:고구려에 군사적 지원 요청 3>고구려와 백제의 동맹:신라의 교통로를 끊 기 위하여 당항성 공격 (2)나·당 연합의 성립 1>여·제(고구려,백제) 협공 극복을 위해 신 라가 당에 구원 요청 2>신라와 당의 밀약: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하 면 대동강 이북의 땅을 당에 넘겨주기로 약 속 2.백제의 멸망(660년) (1)대내적 상황:의자왕의 실정과 정치 질서의 문란, 지배층의 향락 심화 <-삼천명의 궁 녀와 놀고있는 의자왕 (2)대외적 상황과 멸망: 나·당 연합군의 공 격->계백, 황산벌전투 패배->사비성 함락 3.고구려의 멸망(668년) (1)7세기 중반 고구려의 상황:연개소문 사후, 치열한 권력 쟁탈전 발생 (2)나·당 연합군의 공격: 평양성 함락 신라의 삼국통일 1.백제와 고구려의 부흥 운동 (1)백제의 부흥 운동 1>주도 세력:복신과 승려 도침(주류성)->왕자 풍을 왕으로 추대 2>결과:지도층의 내분, 나·당 연합군의 공 격으로 실패 (2)고구려의 부흥운동 1>주도세력:검모잠->안승을 왕으로 추대 2>결과:지도 세력의 내분으로 실패 3>고구려 유민:대부분 발해에 흡수 2.신라와 당의 전쟁 (1)신라의 부흥운동 지원 1>고구려 부흥운동 지원:고구려의 왕족 안승 이 보덕국 건국 2>당군 축출:웅진 도독부 폐지 (2)당군 격파:매소성 싸움,기벌포 해전 3.신라의 삼국 통일의 의의와 한계 (1)한계:외세(당)를 끌어들인 점, 대동강 이남 지역만을 차지한 점 (신라는 약속을 잘지 켰네요) (2)의의:외세를 스스로 몰아내어 통일 완수, 우리민족의 역사 발전의 토대 마련
통일신라 정세 : 영역확대, 인구증가, 대외관계 안 정, 정치안정, 왕권의 전제화 통치체계 : 14관청, 9주 5소경(금관경, 중 원경, 북원경, 서원경, 남원경) ① 태종 무열왕(654~661) : 최초의 진골출신 왕, 통일전쟁 과정에서 왕권강화, 이후 무열 왕의 직계자손만이 왕위를 세습(무열왕~혜 공왕 130여년동안), 상대등 세력 억제, 집사 부 시중의 기능강화(왕권강화), 진골귀족세 력의 약화 ② 문무왕(661~681) : 당을 축출하고 삼국통 일을 완수, 우이방부 설치 ③ 신문왕(681~692) : 김흠돌의 난, 귀족세력 숙청, 9주5소경의 지방행정조직 완비, 관료 전 지급, 녹읍폐지, 국학설립(유교이념 확립) ④ 성덕왕(702~737) : 신문왕의 차남, 당나라 문화 수입, 사신왕래, 백성들에게 정전지급 ⑤ 경덕왕(742~765) : 녹읍부활(757), 석굴암, 불국사 건립(751) ⑥ 혜공왕(765~780) : 왕당파 세력과 진골 귀 족 세력의 대립 갈등, 780년(혜공왕 16) 지정 의 난 와중에 혜공왕이 살해되고 김양상(선 덕왕) 즉위. ⑦ 신라의 멸망 : 8세기 후반 중앙 귀족들 간 권력싸움 전개, 왕권 약화, 지방통제력 약화, 진골귀족들의 정권다툼으로 신라하대 155년 간 20여명의 왕이 교체됨, 김헌창의 난, 장보 고의 난, 농민의 동요등으로 국력 쇠락, 6두 품세력이 반 신라세력으로 성장, 지방의 유 력호족들의 성장 (견훤, 궁예) 후삼국 성립, 이후 고려가 후삼국 통일하여 신라를 멸망시 킴(경순왕) 발해 성립 : 고구려장군 대조영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유민 과 말갈집단들이 길림성 돈화시 동모산 기슭에 발해건국(698), 연호를 ‘천 통’이라 함, 국호를 ‘진’이라 하였다고 곧 ‘발해’로 바꿈 구성 : 고구려의 계승(일본의 국서에 고려 , 고려국왕의 명칭), 발해의 지배층은 왕족인 대씨(大氏)릴 비롯하여 고씨, 장씨, 양씨등의 고구려인 정치체계 : 3성 6부제(정당성, 선조성, 중 대성/충부,인부,의무,지부,예부,신부), 5경 1 5부 62주(상경, 중경, 남경, 동경, 서경) 군사체계 : 10위(중앙군은 대장군과 장군 이 통솔), 지방군(지배조직에 때라 지방관이 지휘
2 고대의 경제생활 경제정책과 수취제도 ①성장 과정 주변 소국과 전쟁하고 정복하던 그때 그 피 나던 시절 -정복한 땅의 지배자(즉 패배자)→공물: 토 산물을 거둠. -군공을 세운 사람←식읍: 일정 지역의 토지 와 농민을 줌. ②수취 제도 조세: 재산의 정도에 따라 공물: 특산물 역:='노동력' 15세 이상의 남자 동원 ③경제 농업: 시책. 구휼정책: 소 이용하는 우경, 저 수지 작업 =농민 경제 안정 수공업: 관청에서 수공업자 배정해서 필요한 물품 만들게 함 시장: 신라 6세기 동시전 국제무역: 신라 4세기 이후 당항성에서 교역 ④생활 [귀족] -자기 땅+녹읍, 식읍, 노비=호화4종세트=풍 족하고 화려한 생활 -노비 노동력 동원+고리대=재산 증식 [농민] -자기 땅 경작하는 자영농과 남의 땅 경작하 는 소작농이 있었음 -국가나 귀족에게 물건 바치고 노동하는 곳 에서 막노동했음=많이 안습이였음 -이렇게 힘들었어도 스스로 농사 기술을 개 발하는 독학 정신 발동해서 농업 생산력 향 상 -그러나 자연 재해를 겪거나 빚을 못 갚을 경 우 노비, 유랑민, 도적이 되기도 함 남북국 시대 ⑴통일 신라 ①수취제도 조세: 생산력의 10분의 1(1/10) 공물: 촌락에서 특산물 거둠 역: 16세에서 60세의 남자. 군역과 요역 ②민정문서★ -당시 경제와 세무 행정을 나타냄→이 문서 를 바탕으로 조세, 공물, 역 거둬들임 -땅 크기, 인구 수(노동력★), 가축 수, 토산 물→촌주가 기록해서 작성 -매년 조사, 3년마다 재작성★ (매년 재작성, 3년 조사 아님;; 가끔 가다 낚는 문제도 있음 조심;;) ③정책 -식읍 제한, 녹읍 폐지 -구휼 정책 강화 =결국 왕권 강화 ④경제 시장 설치→남시, 서시 (아..뭔가 빈약해..여기 간단한 보충 추가요) ⑤국제 무역 -공무역+사무역 비중↑ -일본: 백제랑 친했던 일본이라서 초기 제한, 저조→나중에 성행 -이슬람: 울산에서 거래 -장보고의 완도 청해진→남해와 황해의 해 상 무역권 장악 -각종 신라 타운: 신라인 거주지 신라방 신라 촌, 신라인 다스리는 신라소, 여관 신라관, 절 신라원 ⑥생활 [귀족] -식읍, 녹읍: 노동력 동원(아무래도 여러 일 을 시켰나보다) -고리대를 이용한 호화 생활←사치품 수입( 비단,유리그릇,양탄자같은..) [농민] -한계: 조세, 공물, 역때문에 허리가 휘어→ 특수 지역 향, 부곡은 더 심해 -당시 퇴비(덩)을 이용하는 시비법 존재x→ 땅 묵히기(휴경) -척박한 땅→결국은 소작농 생활 ⑵발해 ①경제 농업: 북쪽이라 산이 많아서 밭농사, 산이여 서 목축(강원도 대관령 목축업을 생각하면 되겠지) 수공업: 다양한 분야에서 발달 상업: 상경 용천부에서 발달 ②국제 무역 -당: 산둥 반도 덩저우에 있는 발해관 -일본: 활발
통일신라의 경제생활 1. 귀족의 경제생활 1) 특징 : 통일은 전후하여 왕실과 귀족은 이 전보다 더 풍족한 경제 기반을 소유하게 되 어짐 2) 왕실 : 새로 획득한 땅을 왕실의 소유로 하 고 국가 수입 중 일부를 왕실 수입으로 삼았 음. 3) 귀족 1) 식읍과 녹읍을 소유하고 그 지역의 농민 들을 지배하여 조세와 공물을 징수하고 노동 력도 징발함 2) 노비, 섬, 목장 등을 소유하고 고리대업 도 하였으며, 필요 물품은 노비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음 -> 귀족 세력 억제책 : 관료전 지급과 녹읍 폐지(신문왕, 689), 일반 백성에게 정전 지급 ( 성덕왕, 722) 4) 왕족, 귀족들의 향락 생활 : 호화 주택(금 입택)과 별장(사절유택) 소유 -> 포석정, 안 압지(인공연못, 높은 정원 조정술과 축제술, 귀족의 생활모습 반영(사치, 향락), 14면체 주사위 발견(놀이기구 인가)) 5) 국가 경제의 위기 : 녹읍제 부활(경덕왕, 7 57), 사원의 면세지 증가 등에 기인 2. 농민의 경제 생활 1) 농민의 생활 (1) 농민이 보유한 토지는 대부분 척박하여 계속 경작할 수 없었음. 대다수의 농민은 생 계 유지를 위해 소작을 함( 수확량의 절반 이 상을 소작료로 냄. 지주는 수확량 절반 + 농 기구 대여료 등 반 이상을 가져가고 농민은 반도 못가져감 불쌍함.) (2) 전세는 생산량의 1/10 정도였으나 공물 과 부역으로 인해 농사에 지장을 초래함. 조 세 부담은 통일 전보다는 줄었으나 귀족이나 촌수 등 세력가에 의한 수탈은 줄지 않았음. (3) 8세기 후반에 이르러 귀족이나 지방 유 력자(호족) 들에게 토지를 빼앗긴 농민이 늘 어남 -> 소작농이나 노비 또는 유랑민이나 도적이 되었으며, 이런 현상은 고리대업이 성행하면서 더욱 심해짐. 2) 향, 부곡민 : 일반 농민보다 더 어려운 형 편이었음( 농민보다 더 많은 공물을 부담. 완 전 불쌍 개 불쌍) 3) 노비 : 왕실, 관청, 귀족, 절 등에 속해 있었 음. 각종 물품을 제작하고 일용 잡무를 담당. 주인 대신 농작을 관리하거나 주인의 땅을 경작함. 발해의 경제생활 1) 수취제도 : 조세, 공물, 부역 등으로 구성 2) 귀족 ; 대토지를 소유하고 당의 물품을 수 입하여 호화 생활을 함 3) 농업, 수공업, 상업( 9세기 이후 발달. 발 해왕 선왕 전성기 -> 해동성국) (1) 농업 : 밭농사가 중심이었으며 일부 지 방에서는 벼농사도 행해짐 (2) 목축, 수렵 : 발달함. 솔빈부(5경 15부 62 주 중 하나)의 말은 주요 수출품. 모피, 녹용, 사향등도 대량 생산하여 수출 (3) 수공업 : 금속 가공업, 직물업, 도자기 업 발달(가볍고 광택이 뛰어남), 특히 철의 생산이 많고 양질의 구리도 생산 (4)상업 : 수도(상경) 등 도시와 교통 요충 지에서 발달. 현물 화폐를 주로 사용(외국 화 폐도 사용) (5) 무역 : 당, 신라, 거란, 일본 등과 무역. 사신과 더불어 상인들이 동행하여 무역을 함 -> 당 : 문왕 이후 활발(발해관 : 산둥성 덩저우에 설치). 주로 모피, 인삼 등 토산물 과 불상, 자기 등 수공업 제품을 수출하고, 귀족의 수요품인 비단, 책 등을 수입 -> 왜 : 외교관계(신라 견제)를 중시하여 활발한 무역 전개. 무역의 규모도 큼 (6) 어업 : 발달. 그물 사용. 고래 등 다양한 어종을 잡음
3 고대의 사회생활 신분제사회의 성립 ▣ 사회계층과신분제도 1. 신분제도형성 ①정복사업전개- 지배와피지배층형성 ②위계서열마련 2. 부족연맹체시대신분제도 ①호민- 경제적부유층 ②하호- 농업종사평민 ③노비- 주인에게예속하는천민 3. 귀족, 평민, 천민성립 ①가, 대가- 호민을통해읍락지배(부여, 고구려) ②자신의관리, 군사력소유 ③중앙집권국가형성시기- 귀족으로편제 4. 신분제의운영 ①귀족- 등급에따라승진, 특권, 제한차별 ②경제적혜택차등 ③신라골품제도 ▣ 귀족평민천민 1. 왕실, 귀족 ①중앙귀족- 왕족, 옛부족장출신 ②정치권력과사회경제적특권향유 ③ 지배층만을 대상으로하는 신분제 운영(골품제 도) 2. 평민층 ①대부분농민- 자유민 ②정치적, 사회적제약- 농업종사평민 ③조세납부, 노동력징발- 생활곤궁 3. 천민 ①노비 ◇왕실, 귀족, 관청에예속 ◇가족구성어려움, - 주인집거주, 주인땅경작 ◇전쟁포로, 형벌, 부채노비 ②집단예속민- 마을단위 삼국시대의 신분제 ▣ 고구려사회기풍 1. 국민성 ①사회기풍- 씩씩하고상무정신이강함 ②특별한형태의절하기- 빠른동작을위하여 ③빠른걸음 2. 형법- 매우엄격 ① 반역자 - 화형, 참형, 가족은 노비 ②살인자, 패전자 - 사형 ③ 절도자 - 12배상 ④도축자 - 노비로 삼음 3. 귀족 ① 왕족- 고씨, 5부 출신 ②지위세습, 관 직담당국정운영 ③전쟁시출정 4. 백성 ①자영농민- 조세, 병역, 토목공사동원 ②생활불안정- 부채증가, 노비전락 ③진재법 - 빈민구휼 5. 천민, 노비 ①피정복민평민출신 ②남의말, 소를죽인자- 자식이노비가됨 6. 혼인풍습 ①형사취수 ②서옥제- 델릴사위제도 ③남녀간자유교제가능- 연애결혼 ④결혼예물- 남자집에서돼지고기, 술만보냄 ▣ 백제인의생활 1. 국민성 ①언어, 풍속, 의복- 고구려와비슷 ②키크고깔끔한의복착용 - 중국기록 ③상무정신충만- 승마, 궁술선호 2. 형법- 매우엄격 ① 반역자 - 화형, 참형, 가족은 노비 ② 살인자, 패전자 - 사형 ③ 절도자 - 귀양, 2배상 ④뇌물, 횡령- 3 배상, 종신금고 3. 지배층 ①왕족: 부여씨, 8대성 귀족 ②중국고전, 역사책읽기, 한문구사에능통 ③관청실무에능함 ④투호, 바둑, 장기즐김 ▣ 신라골품제도와화랑도 1. 화백 - 씨족사회전통계승 ①만장일치회의제도 ②국왕선출, 폐위- 국왕견제역할 ③ 장점 - 부정방지, 단결강화, 귀족세력과왕권 사이권력조절 2. 골품제도 ①개인의사회활동, 정치활동제한 ②관등상한선정함- 6 두품불만 ③가옥규모, 장식물, 복섹, 수레규제 3. 화랑도 ①기원 - 씨족사회의청소년집단 ②기능 ◇사회의중견인물양성(교육적 기능) ◇계급간의갈등조절, 완화 ③교육 ◇일상생활규범, 전통에대한지식습득 ◇각종제전, 의식에관한훈련, 수렵전쟁기술습 득 ④효과 - 협동단결, 정신함양, 강인한체력연마 ⑤정비 - 진흥왕때국가조직으로확대 ⑥세속5계 ◇원광의지도이념이발전 ◇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 유택
남북국 시대의 사회 모습 ▣ 통일후신라사회의변화 1. 민족동질성형성 ① 언어, 풍속 비슷 ②복장, 절모습- 약간 차이 ③양에사신파견때- 백제사신이통역 ④ 혈연적동질성, 문화적공통성형성- 민족문화, 단일국가형성 2. 민족융합정책 ①백제, 고구려옛지배층- 신라관등수여 ②9 서당편성- 백제, 고구려유민편성 3. 왕권강화 ①진골왕위세습(진덕여왕 이후) - 무열왕이시초 (김씨 독점) ②신문왕의진골귀족일부숙청 4. 진골귀족 ①정치적사회적비중유지 ②중앙관청장관직독점 ③합의를통한국가중대사결정 5. 6두품 ①학문과실무능력- 국왕보좌 ②학문과종교적식견풍부 ③신분제약으로중앙직장, 지방장관은불가 6. 골품제의약간변화 ①골품의구분점차희미해짐 ②3 두품이하평민과동등 ▣발해의사회구조 1. 지배층 ①고구려유민 - 왕족대씨, 귀족고씨 ②중앙관직차지, 수도와큰고을거주- 노비예속 민부림 2. 피지배층 ①말갈인(촌락 농민) ◇농민은촌락에거주, 촌장을통한국가의지배 ◇일부- 지배층상승, 촌락우두머리 ②조세부담, 노동력징발 ③말갈사회의전통유지 3. 발해의지식인- 당문화수입 ①당에유학 - 빈공과합격 ②신라와문화우월경쟁 ③고구려문화와전통계승 ▣ 통일신라인의생활 1. 경주의모습 ①정치, 문화의중심- 귀족거주대도시화 ②구획된시가지- 바둑판형 ③궁궐, 관청귀족저택, 민가 - 17만호 ④기와집, 숯사용 ⑤소비도시- 조세, 특산물, 국제무역품집합 2. 귀족의생활모습 ①금입택- 호화주택 ②노비, 사병보유 ③대토지시골소유- 수입원 ④서민상대고리대 ⑤불교후원, 여성불사에거액희사 ⑥사치생활 ◇진기한사치품선호- 아라비아산고급향료, 동 남아산장식품 고급목재, 에메랄드 ◇신분문란의요인- 흥덕왕사치금령 ◇소박성, 강인한국민정신사라짐 3. 평민들의생활 ①자기토지농사- 근근한생활 ②귀족의소작인 ③부채의증가로노비로전락 ▣ 통일신라말의사회모순 1. 사회혼란 ①귀족의정권다툼, 토지확대 ②백성생활곤궁 ③지방토착세력, 사원대토지소유 ④중앙정부통치력약화- 농민착취가중 2. 호족등장 ①자연재해반복- 백성생활더욱곤궁 ②무장조직결성- 호족 3. 정부의대책- 실효를거두지못함 ①수리시설정비 ②재해민- 조세면제 ③농민구휼 ④해적으로부터보호 4. 농민의봉기 ①소작생활, 유리걸식, 화전민, 노비화 ②농민봉기발생- 진성여왕 ③상주지방- 원종, 애노난 ④전국적농민항쟁발생
4 고대의 문화 1) 학문의 발달 ⑴ 교육 기관 : 고구려는 중앙에 태학 ‧ 지방에 경당 설치, 백제는 오경박사를 두어 유교 경전 교육 ⑵ 발달 분야 : 천문학(천체 관측 중시), 수학(건축물에 활용) 발달 2) 불교와 도교의 전래 ⑴ 불교 - 전래 시기 : 삼국이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던 시기에 수용 - 역할 : 새로운 국가 정신 확립과 왕건을 사상적으로 뒷받침 - 신라의 불교 : 불교식 왕명, 왕실을 석가 집안에 견주어 권위를 높임 ⑵ 도교 : 신선 사상에 노장사상 결합, 귀족 사회에서 유행 3) 금속 기술의 발달 : 제철 기술을 국가 차원에서 관리, 수준 높은 공예 기술(철제 무기나 농기구, 백제의 칠지도와 금동대향로, 신라 고분의 금관과 각종 장신구 등) 4) 음악과 미술 ⑴ 음악 : 백제의 정읍사, 왕산악 거문고, 우륵 가야금 ⑵ 미술 : 고구려 고분 벽화나 신라의 천마도, 담징(다카마쓰 고분) ② 고분과 불교 유산을 남기다 1) 고분과 고분 벽화 ⑴ 고구려 : 초기 돌무지무덤 → 굴식 돌방무덤으로 변화, 다양한 벽화가 그려짐 ⑵ 백제 : 초기 계단식 돌무지무덤 → 벽돌무덤(무령왕릉), 굴식 돌방무덤 ⑶ 신라 : 돌무지덧널무덤 2) 탑과 불상 ⑴ 탑: 백제 익산 미륵사 석탑 ‧ 부여 정립사지 5층 석탑, 신라 묘전 ‧ 분황사 모전 석탑 ⑵ 불상 : 6세기경 불상 제작 시작, 초기에는 중국의 영향, 우리 고유의 특징이 많이 제작됨 ③ 중국, 서역, 일본과 교류하다 1) 중국, 서역과의 대외 교류 ⑴ 고구려 : 중국 북조와 북방 초원의 여러 민족과 교섭, 남조와도 교류 ⑵ 백제 : 중국 동진을 비롯한 남조와 활발하게 교류, 중국과 왜를 연결하는 해상 교역 주도 → 해상왕국으로 성장 ⑶ 신라 : 초기에 고구려를 통해 중국 문화 수용, 서역과도 교류 ⑷ 가야 : 중국이나 왜와 교류, 신라에 영향 줌 2) 일본과의 교류 ⑴ 백제 : 일본에 한자와 유학 전래, 의박사‧역박사‧천문박사 등 기술자들이 일본의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 건축에도 영향을 줌 ⑵ 고구려 : 종이 ‧ 먹 제조 방법 전래 ⑶ 신라 : 배 만드는 기술과 둑 쌓는 법 전래 ⑷ 불교 전파 : 일본의 고대 문화 형성에 큰 영향 ⑸ 미술 : 고구려 담징(호류 사 벽화), 고류 사 목조 미륵보살 반가상(삼국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