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식품의 유해잔류물질 관리현황과 예방대책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표 3. 영유아 식품군별 대표식품의 1 인 1 회 분량 식품군 1 인 1 회분량 곡류 (190kcal) 밥 1 작은 공기 (130g) 백미 (55g) 국수 1/2 대접 ( 건면 50g) 냉면국수 1/2 대접 ( 생면 75g) 떡국용떡 1 인분 (80g)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농림축산식품부 검역정책과 수의사무관 장재홍. Ⅰ Ⅲ Ⅱ Ⅰ 주요 축산물 수출 현황 ( 검역기준 ) 72 개국 103 품목, 175 천톤 601 백만 $ (2012 년, 비식용포함 ) 구 분 비 고비 고 총 계총 계 수출량 147,895170,687175,167.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절화 심비디움 수출 목 요일. 일본 화훼시장 위치 일본 250 여개 화훼시장 ( 경매시장 ) 중심 출하 도치기현, 쿠마.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콜라에 우유를넣으면 ? 1 조 ( 이주상, 이문수, 정주현, 홍희진 ). - 모둠명 / 지은이유 - 탐구주제 / 탐구동기 - 역할분담 - 진행과정 / 실험내용 - 관련직업 차례.
Clostridium difficile 정량 배양과 반정량 배양의 비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박상준.
2-4 과학 탐구 정은혜, 이상은, 김동희. 탐구 동기 더운 여름날 음식이 부패하는 것을 보고 어떤 음식에 가장 곰팡이가 많이 생길지 궁금해져서 탐구를 시도 하게 되었다.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신화학산업을 위한 바이오리파이너리의 원천기술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돈버는농업, 살맛나는 농촌 급변하는 축산환경 극복을 위한 축산업 국제경쟁력 강화대책 (목) (친환경농축산국)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이스라엘 만든이 : 권정안.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김 미 승 축산물 위생감시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김 미 승
연수프로그램 실시계획서 1. 신청부서 CTO 미래 IT 융합 연구소 기획팀 2. 연수프로그램 실시 목표 / 내용
원산지 표시실태조사 최애연(전국주부교실중앙회).
구간추정 (Interval Estimation)
국내 말 임상 분야 소개 한국말임상수의사회.
기 업 설 명 회 보 령 제 약 2003 년 2월.
Ⅱ 현장 안전관리 활동 현황 1. 안전관리 활동 준수현황 2. 안전관리 활동 실적 3. 안전관리 활동 보고.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Clostridium difficile 연관 설사 진단을 위한 Toxin A/B immunoassay의 유용성 평가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 신뢰성 시험 계획 및 결과서 ( 갑지 ) □ 계획 ■ 완료 AD DUCT ASSY FR SEAT BACK
LMO 등급 분류 - 1) 미생물 또는 유래 유전물질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나노필터(nano filter) 나노바이오화학과 강인용.
원가 관리 규칙 개정이력 개정일자 개정번호 ㈜합동전자 페 이 지 HDC /3 개정번호 개정일자
1. 이의신청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기 마이페이지 ▶계약이행능력평가 ▶이의신청관리 ▶물품분류명 ▶신청 No
미국육류수출협회 (USMEF) 2009년 2월 25일(수)
○ 심수관개법 - 잡초 발생 전에 논의 수심을 10~15cm 유지시켜 잡초 종자의 발아 및 생육을 억제시키는 방법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벌꿀 중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분석 식 품 약 품 분 석 과 윤 설 희.
No : Application Title ㈜회사명 담당자명 담당자 연락처 Company logo.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Flash Communication Server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호르몬이란? 동물의 내분비 샘에서 분비되어, 몸 안을 순환하며 화학적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작용을 하는 물질의 총칭.
MEF Beef Seminar 국내 쇠고기 시장 상황 이 위 형.
Preg-Q를 이용한 임신반응검사의 평가 진단검사의학과 생화학계 이 상 연.
광고 속에 나타난 햄버거의 현실 탐구.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치과와 미생물.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Ch10. 축산식품 위해요소 중점관리제도(HACCP)운영
1. 한우성별 등급판정 내역 (두/%) 기간 전국 암 비거세 거세 ’13.1~ , ,584 27,703
제1장 기업환경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1.1 기업환경의 변화 1.2 품질경영도입의 필요성.
No : Application Title ㈜회사명 담당자명 담당자 연락처 Company logo.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백신의 형태 백신이란 ; 용어는 가축 질병의 원인이 되는 한 종류 또는 다수의 특이한 항원체나 톡신을 적당한 방법으로 배양 또는 처리하여 만든 제품을 말하며 어떤 종류의 백신은 경구적으로, 어떤 종류의 백신은 비경구적으로 적용된다.  톡신은 어떤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
품 질 문 제 개 선 대 책 서 수 신 : 참 조 : 발 신 : 작성일 : 구 분 작 성 검 토 승 인 중 간 통 보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8. 생물농약의 이해 1.
등급별 정산캠페인 설명자료
주문자상표부착(OEM) 수입식품 위생점검 서비스
No : Application Title ㈜회사명 담당자명 담당자 연락처 Company logo.
ECOZONE Clean Water Healthier Life ㈜ 에 코 바 이 오 친환경 절수형 소변기 정화장치
협력사 품질문제 개선대책서 동신공업㈜ 2016년 08월 29일 LFA 품 번 품 명
주제 : 동물용의약품의 안전사용과 축산식품의 잔류물질 관리
이산화염소에 대한 주요 연구 보고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은 인체 질병 및 치사 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예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멜라민 이란? 서울특별시 식품안전추진단 ( Q) 멜라민은 어디에 사용되나요?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고효율 전구체 생산 모듈시스템 개발 및 플랫폼기술 개발 대량생산용 인공지능 전구체 합성세포공장 개발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Presentation transcript:

축산식품의 유해잔류물질 관리현황과 예방대책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독성화학과장 손 성 완

축산물 안전관리의 중요성 패스트푸드 발전에 따라 축산식품 소비 크게 증대 미생물과 잔류물질 등 위해요인 상존 패스트푸드 발전에 따라 축산식품 소비 크게 증대 미생물과 잔류물질 등 위해요인 상존 수입축산물 급증으로 국내산축산물의 시장경쟁 치열 국내산 축산물의 안전성 및 신뢰성 제고

잔류물질이란? 잔류물질(Residue) : 축산물에 잔류되는 모든 화학물질의 원물질과 그 대사물질을 말한다. 동물용의약품 농약 유해중금속 다이옥신, PCB등 곰팡이독소(아플라톡신 M1)

잔류물질의 위해성 동물용의약품 환경오염물질 내성균생성, 전달 과민증 유발 암의 유발 등 만성중독증 암의 유발 내분비교란

잔류검사 실시배경 및 검사체계 구축 대일수출돈육 설파제검사(‘89.3) 잔류허용기준및분석방법제정(‘89.5.22) 잔류조사5개년사업추진(‘90) 식육잔류검사실시요령제정(‘96.2.5)

국내산 식육 잔류검사체계 농림부 국립수의과학 검역원 시,도 축산위생연구소 NRP계획수립 및 검사결과 종합보고, 잔류위반농가관리 식육 잔류물질검사실시요령 국립수의과학 검역원 검사실시 및 결과보고 시,도 축산위생연구소

2004 국내산 식육잔류검사 현황 구 분 대상축종 검사항목 검사실적(두수) 잔류조사 소, 돼지, 닭, 80종* 95,775 구 분 대상축종 검사항목 검사실적(두수) 잔류조사 소, 돼지, 닭, 80종* 95,775 오리, 양(염소) 규제검사 소, 돼지 항생,항균제 10종 11,591(‘03) + 모니터링검사 검출물질) 탐색조사 소, 돼지, 닭, 니트로푸란계 대사물질(4종) 240 * 항생물질 23, 합성항균제 26, 호르몬 2, 농약 29

식육잔류물질검사요령 개정내용 (농림부고시 제2005-17호, ’05.3.2) 식육잔류물질검사요령 개정내용 (농림부고시 제2005-17호, ’05.3.2) 엔로프록사신(enrofloxacin)검사항목 추가 잔류위반농가의 규제검시기간 연장(3 6개월) 규제검사시 간이검사 양성농가 출하제한 잔류위반농가의 담당공무원 지정관리

잔류위반농가 인터넷 공개 - 수의과학검역원 홈페이지 - 잔류위반농가 : 98농가(’05.11.16) - 소 : 젖소 34, 육우 27, 계 61농가 - 돼지 : 32 농가 - 닭 : 5 농가 출하제한농가 : 4농가 (’05.11.16) - 유우 1, 돼지 1, 닭 2

우리나라 잔류허용기준 구 분 항생물질 합성 호르몬 농약 기타 계 항균제 쇠고기 20 25 2 82 1 130 구 분 항생물질 합성 호르몬 농약 기타 계 항균제 쇠고기 20 25 2 82 1 130 돼지고기 20 20 1 55 1 97 닭고기 17 20 - 51 1 89 오리고기 3 7 - 42 52 칠면조고기 9 9 - 42 60 양고기 7 11 - 57 1 76 염소고기 3 7 - 48 58 사슴고기 1 3 - 33 37 토끼고기 1 4 - 31 36 말고기 - 3 - 42 45 유 7 7 - 57 2 73 알 3 2 - 44 1 50 전체 23 34 2 87 3 149

국내산 식육잔류검사 결과 - 축종별 잔류위반율 - 국내산 식육잔류검사 결과 - 축종별 잔류위반율 - 단위 : % 잔류검사 평균 잔류위반율 : 0.16%

국내산 식육잔류검사 결과 - 축종별 잔류위반율(규제검사) - 국내산 식육잔류검사 결과 - 축종별 잔류위반율(규제검사) - 단위 : % 규제검사 평균 잔류위반율 : 1.38%

국내산 식육잔류검사 결과 - 축종별 잔류위반율(모니터링) - 국내산 식육잔류검사 결과 - 축종별 잔류위반율(모니터링) - 단위 : % 모니터링검사 평균 잔류위반율 : 0.12%

<우리나라 식육의 잔류위반율> 국내 및 외국의 식육잔류검사 결과 비교 단위 : % 단위 : % <외국의 식육잔류위반율> <우리나라 식육의 잔류위반율>

<국내 주요 항생제 계열별 사용량> 국내 동물용항생제 사용량과 식육잔류위반율 단위 : Kg 단위 : % <국내 주요 항생제 계열별 사용량> <약물별 식육잔류위반율>

약품별 식육잔류위반율(’04)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0.13%) 옥시테트라싸이클린(0.07%) 테트라싸이클린(0.02%) 페니실린(0.009%) 아목시실린(0.002) 암피실린(0.004%) 세프치오퍼(0.001%) 설파메타진(1.64%) 설파디메톡신(0.42%) 설파모노메톡신(0.3%) 설파퀴녹살린(0.24%) 설파메라진(0.06%) 엔로플록사신(0.006%)

축종별 잔류위반약물(’04-’05) 소 : 설파메타진, 설파디메톡신,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엔로플록사신 돼지 : 설파메타진, 설파모노메톡신,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닭 : 엔로플록사신

국내산 식육의 잔류위반원인 단위(농가수) 구 분 2002년 2003년 휴약기간 불준수 80 91 비육후기사료 미급여 7 26 구 분 2002년 2003년 휴약기간 불준수 80 91 비육후기사료 미급여 7 26 권장량 초과 투여 2 1 약제무첨가사료의 교차오염 1 4 미승인약제 사용 - 1 투약기록 불량 - 4 기타 37 59 총계 127 186

우리나라 수입 축산물 잔류검사(‘04) 서울•부산지원 중점항목검사(쇠고기 등 13개 품목, 66종, 3,842건/년) 감시항목검사(쇠고기 등 10개 품목, 57종, 852건/년) 검사비율: 약 15% 탐색조사 강화검사 농림부 계획수립 및 검사결과 종합보고 국립수의과학 검역원 검사실시 및 보고 서울•부산지원

수입 축산물의 잔류검사 불합격 현황(‘99-’05) 돼지족(미국 34.2톤, CTC검출, ‘99) 쇠고기(호주20.4톤, 엔도설판, ‘99) 닭고기(태국23톤, 설파퀴녹살린, 99) 칠면조고기(미국23.5톤, 설파디메톡신, ‘00) 돼지고기(미국46톤, CTC, ‘00) 오리고기(태국22톤, 설파퀴녹살린, ‘00) 소족(카나다15.9톤, OTC,CTC, ‘01) 돼지고기 및 족(미국68톤, OTC,CTC, ‘01) 돼지고기(벨기에21.1톤, 설파메타진, ‘02) 돼지부산물(미국22톤, CTC, ‘02) 돼지고기(프랑스 21.7톤, 설파디메톡신, ‘03) 돼지고기(칠레7.2톤, 다이옥신, ‘03) 돼지고기(오스트리아22톤,설파메타진,’04) 돼지고기부산물(미국22.7톤,프랑스21.3톤,CTC 및 SDM,SQX,’04) 쇠고기(뉴질랜드9.5톤,엔도설판)

우유 위생관리의 중요성 우유는 사람에 필요한 영양소를 가장 골고루 갖춘 완전식품 미생물 오염에 의해 부패되기 쉽고 인수공통전염병 매개 동물용의약품이나 공기, 물, 토양 등 사육환경을 통한 화학물질 잔류

왜 소비자는 우유의 항생제 잔류에 대해 우려하는가? 왜 소비자는 우유의 항생제 잔류에 대해 우려하는가? 앨러지등 과민증 인체에 감염되는 세균의 내성 발현 평소 완전식품이라는 이미지 치즈, 발효유 등 유가공품 생산 저해

원유의 잔류검사체계 낙농진흥법 제14조 원유검사 원유검사공영화실시(‘99.7.6) 낙농진흥회소속 집유장 잔류검사

우유의 잔류허용기준 < ‘03. 7. 1 시행 > 물 질 명 잔류허용한계치(㎎/㎏) 비 고 벤질페니실린/프로케인페니실린 0.004 존속 옥시테트라싸이클린 0.1 존속 네오마이신 0.5 신규 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스트렙토마이신 0.2 신규 세프티오퍼 0.1 신규 스펙티노마이신 0.2 신규 스피라마이신 0.2 신규 설파디메톡신 0.01 존속 설파메타진 0.025 존속 디미나진 0.15 신규 알벤다졸 0.1 신규 이소메타미디움 0.1 신규 치아벤다졸 0.1 신규 페반텔/펜벤다졸/옥스펜다졸 0.1 신규

국내 항균물질 간이검사법 간이검사방법 검사원리 검사소요시간(1시료당) TTC-II 미생물발육억제 2시간30분 간이검사방법 검사원리 검사소요시간(1시료당) TTC-II 미생물발육억제 2시간30분 Charm II 미생물수용체 10분 Charm ROSA 면역크로마토그라프 8분 Parallux 형광면역측정 5분 Delvo Test 미생물발육억제 2시간30분

국내산 원유의 검사성적 단위:% ‘02 : 1,237/2,504,439t ‘03 : 1,075/2,309,080t ‘04 : 803/2,242,882t 불합격율 : 0.03%

목장별 잔류위반율 미국(‘03) : 1,009/665,627농가(0.15%) 한국(‘03) : 1,472/135,011농가(1.1%)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조사결과> 국내산 원유의 항균물질 잔류 조사결과 단위:% ‘96 : 36/590(6.1%) ‘97 : 28/346(8.1%) ‘01 : 3/330(0.9%) ‘02 : 3/431(0.7%)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조사결과>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조사결과> 항균물질 종류별 검출현황 단위:% 설파제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테트라싸이클린계 베타락탐계 마크로라이드계 플루오로퀴놀론계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조사결과>

우유의 항생제 잔류위반원인 잔 류 발 생 원 인 %(건) 계 100(460) 휴약기간 불준수 61(279) 잔 류 발 생 원 인 %(건) 휴약기간 불준수 61(279) 불법약제 사용 10(48) 항생물질 잔류 대용유 또는 초유 급여 8(39) 투약기록 불량 6(29) 권장량이상 투약 6(27) 사료오염 4(16) 실수에 의한 약제첨가사료 급여 4(16) 기 타 1(6) 계 100(460)

식용란의 미생물 및 잔류검사실시 농림부고시 제2005-78호(2005.11.17) 시행일자 : 206.1.1 검사기관 : 시,도 축산물위생검사기관 검사항목 : 이물질, 변질 및 부패란, 살모넬라균(Sal. Enteritidis),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엔로플록사신

“휴약기간”이라 함은 가축을 식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동물용의약품의 사용을 일정기간 금지하는 기간을 말한다. 휴약기간이란 무엇인가? “휴약기간”이라 함은 가축을 식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동물용의약품의 사용을 일정기간 금지하는 기간을 말한다.

축산농가의 항생제에 대한 인식도 바이러스와 세균의 차이를 일반적으로 “잘 알고 있다”가 61.0% “들어보기는 했으나 차이를 잘 알지 못한다”가 32.4% 항생제내성이란 “항생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라고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가 58.8% 동물용 항생제 투여 시 사용설명서에 적힌 용량대로 “정확히 사용설명서대로 용량투여”가 48.1% 농장에서 항생제 사용 후 기록여부를 조사한 결과 “기록하지 않는다”가 56.5%

축산물의 잔류예방 대책 양축농가 사료 및 동물약품 제조업체 생산자단체 도축 및 가공업체 정부(농림부, 검역원, 시,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