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삼국의 성립과 발전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01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01 학습 목표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의 영토 확장 정책을 정리할 수 있다.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학습 목표 •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의 영토 확장 정책을 정리할 수 있다. •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대국을 성장하였음을 설명 할 수 있다.
01 미리 보기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영토 확장 광개토 대왕 광개토 대왕릉비 영토 확장 장수왕 충주 고구려비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미리 보기 광개토 대왕 영토 확장 광개토 대왕릉비 장수왕 영토 확장 충주 고구려비
01 내용 정리 광개토 대왕의 영토 확장 1. 배경: 중국의 분열기(위∙진∙남북조 시대)를 활용 2. 영토 확장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내용 정리 1 광개토 대왕의 영토 확장 1. 배경: 중국의 분열기(위∙진∙남북조 시대)를 활용 2. 영토 확장 남쪽 • 백제 공격 → 한강 이북 차지 • 신라에 침입한 왜 격퇴, 금관가야 세력 약화 북쪽 • 만주 남부 지역 차지 • 동부여와 숙신 정복
01 3. 광개토 대왕릉비: 광개토 대왕의 업적 기록, 장수왕 건립, 고구려의 자부심을 나타냄(‘영락’ 연호 사용,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3. 광개토 대왕릉비: 광개토 대왕의 업적 기록, 장수왕 건립, 고구려의 자부심을 나타냄(‘영락’ 연호 사용, ‘태왕’, ‘성왕’ 호칭 사용). 광개토 대왕릉비의 현재 모습(왼쪽)과 광개토 대왕릉비(오른쪽) 중국은 현재 관광객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01 장수왕의 남진 정책 배경: 중국의 남북조와 각각 교류 → 중국과 외교적 안정 추구 평양 천도(427)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2 장수왕의 남진 정책 배경: 중국의 남북조와 각각 교류 → 중국과 외교적 안정 추구 평양 천도(427) ⑴ 목적: 본격적인 남진 정책 추진 ⑵ 평양의 이점: 고조선 이래 문화 발달, 물산 풍부(대동강 유역의 평야 지대 확보), 바다로의 진출에 유리 ⑶ 결과: 국내성 기반의 귀족 세력 약화 → 왕권 강화
01 3. 남진 정책 추진: 고구려의 평양 천도 → 위협을 느낀 백제와 신라가 동맹 체결(433)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3. 남진 정책 추진: 고구려의 평양 천도 → 위협을 느낀 백제와 신라가 동맹 체결(433) ⑴ 영토 확장: 백제 공격, 한성 함락(475) → 남한강 유역 진출, 한반도 중부 지역까지 확보 ⑵ 충주 고구려비 건립: 한반도에 있는 유일한 고구려 비 → 당시 고구려의 영토 확인, 고구려인의 천하관 확인 충주 고구려비 비문을 통해 고구려인들이 스스로 천하의 중심이라는 자부심을 가진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보충] 고구려의 전성기 5세기 한반도의 정세 5세기 고구려의 천하관 대왕의 은혜로운 혜택이 하늘까지 미쳤고, ∙∙∙∙∙∙ 백잔(백제)과 신라는 옛날부터 복속된 백성으로, 조공을 바쳐 왔다. -”광개토 대왕릉비 비문” 고구려는 4세기 후반 광개토 대왕 때에 북쪽의 영토를 크게 확장하여 전성 시대를 열게 되었다. 이후 5세기 장수왕 때에는 남쪽으로 진출하여 고구려 최대의 영역을 확보하였다. 광활한 영토를 바탕으로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한 고구려는 스스로 천하의 중심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게 되었다.
01 확인 학습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확인 학습 1 광개토 대왕은 [ ]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여 고구려의 자부심을 나타냈다. 2 고구려가 한반도 중부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하였음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유물은? 3 다음 내용을 읽고 맞으면 O, 틀리면 X로 표시해 보자. 장수왕은 왜를 추격하는 과정에서 가야 연맹의 맹주였던 금관가야 세력을 약화시켰다. [ ] (2) 고구려의 평양 천도 이후 백제와 신라는 위협을 느끼고 나∙제 동맹을 체결하였다. [ ] 영락 충주 고구려비 X O
‘백제가 중흥을 위해 힘쓰다’를 학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