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현황 및 정책방향 14. 11. 10.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Fly Incheon Airport. 연혁 / 부지조성공사 착공 / 인천국제공항 개항 / 2 단계 건설 완료 및 운영 개시 / 해외사업.
Advertisement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당사 매출 분석 보고서 전략기획팀 이상훈 팀장.
PASSION PASSION Spanish Language! 최고를 위한 열정 스페인어과.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ESCO 사업 관련 금융기법 활용 차 례 Ⅰ. ESCO 사업 개요 Ⅱ. ESCO 자금조달의 문제점 Ⅲ. 신규 자금조달 방안 Ⅵ. 자금조달을 위한 제도개선.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의료산업은 좋은 일자리와 성장동력의 축 10.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Ⅱ Ⅱ 제안사업 모델 주요 고객 Ⅲ Ⅲ Ⅳ Ⅳ 목표 시장 Ⅰ Ⅰ 시장 니즈 Ⅴ Ⅴ 사업화 대상 기술 1.
2003 년 ¼ 분기 경영실적 April, 본 자료는 2003 년도 ¼ 분기 실적에 대한 외부 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 서 투자자 여러분의 편의를 위하여 작성된 자료입니다. 본 자료의 내용 중 일부는 회계감사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음을 양지하여.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2011 년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고객만족도 조사결과. 1 Ⅰ. 조사 설계 제 1 장. 조사 개요 구분 업무별 조사설계 환경산업분야해외진출 ( 수출 ) 지원분야 환경 R&D 분야 환경인증평가 녹색경영 분야 환경정보 분야 환경벤처 기업육성 환경 전문인력 양성 환경산업 육성자금.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금융수학의 역할 가톨릭대학교 전인태 가톨릭대학교 전인태. 금융산업 개인 기관투자자 연기금 보험회사 등등 개인 기관투자자 연기금 보험회사 등등 다양한 형태 기술 아이디어 기업 기술 아이디어 기업 다양한 형태 매칭 자금조달 투자상품제공 주식, 채권 전환사채.
2 차 전지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속 2010 년 IT 용 2 차 전지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 예상 스마트폰 및 넷북 수요 확대로 소형 2 차전지 수익성 지속 모멘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 애플 아이폰 출시와 같은 스마트폰 수요증가 다음주 애플 테블릿 PC.
회사소개.
2014 서울 희망보따리 동경 상담회 참가기업 모집 일본 동경(‘정치·경제·문화 중심지’, ‘최대 소비지’)에서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아모레퍼시픽과 IT기술 아모레퍼시픽에서 쓰이는 IT기술.
중전기기 기술개발기금 사업계획서 발표자료 과제명 : ooo 기술개발 ooo㈜
접수번호 : 스마트콘텐츠 중화권 전략 비즈니스 지원사업 참가 업체 사업계획서 - 프로젝트명(앱) : 업 체 명 :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주간 자산관리 전략( ) Wealthcare센터 서경덕 차장.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15 방위산업이차보전 설명회.
해외 건설 수주 현황 한광고등학교 배영민 Tel :
목 차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I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SCM의 정의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관리망
체코, 테멜린 원전 3-4기 건축 공급업체 명단 (잠정).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Programme 2005년도 제1차 강구조센타 이사회 보고 30 March 2005 RIST 강구조연구소 장 인 화
Operation & Maintenance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직무 공통 · 직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과 실무를 겸비한 중소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 · 자기소개서, 면접 등 취업 컨설팅과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АБИИ (Азиатский банк инфраструктурных инвестиций)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foreign/others/newsview ?newsid= 보도 : 미국 뉴욕타임스(NYT)
UNISDR ONEA-GETI 안내.
2012 PISA 한국 VS 핀란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기술보증기금.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2002 3/4분기 실적.
제안 요약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 기간 수행 전략 ㈜인성교육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엔프라넷.
여행용 자동통역서비스를 위한 서버형 한국어 대화체 음성인식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Bizforms PowerPoint 영업, 마케팅 표준제안서_2 (제안서 작성방법 포함) 원본 PPT 바로가기 >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 원본 PPT 바로가기 >
한국투자신탁운용 해외 자산군 비즈니스 전략 현황 향후 전략 • 국내 자산군 대비 해외 자산군 규모는 크지 않은 편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2018년 1/4분기 성과평가보고서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2018년 2/4분기 성과평가보고서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Presentation transcript:

해외건설 현황 및 정책방향 14. 11. 10

목 차 해외건설시장 전망 해외건설산업의 과제 Ⅲ 해외건설산업 현황 Ⅰ Ⅱ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Ⅳ

Ⅰ 해외건설산업 현황 3

1. 해외건설산업 현황 해외건설 수주 추이 2000년대 중반 이후, 고유가에 바탕을 둔 중동국가들의 석유화학·발전 등 플랜트 건설(제2중동붐)과 개도국들의 인프라 및 주택건설이 지속 증가 한국 건설기업들은 국내시장 위축에 대응하여 해외진출을 확대하였으며, ’06년 165억불이던 수주액이 ’13년 652억불로 확대(최근 5년 평균 620억불) - 해외건설시장 점유율 : (03) 1.9%, 12위 ⇒ (13) 7.8%, 6위 단위: 억불 4 4

1. 해외건설산업 현황 해외건설의 발전 해외건설은 조선·반도체·자동차를 추월하는 신성장동력으로 성장 * 1998년 41억불 2009~2013년, 5년 연속 600억불 수준 수주, 누적 6천억불 달성(2013.12) ’13년 해외건설 수주(652억불) > 반도체(571억) > 자동차(487억) 5

1. 해외건설산업 현황 한국 해외건설의 강점 한국 해외건설은 높은 기술력과 공기를 준수하는 근면성실함으로 곳곳에서 세계건설의 역사를 새롭게 써가고 있음 * 건설산업 글로벌경쟁력 평가(건기연) : (‘13) 종합 7위 (가격 5위, 설계 19위, 시공 4위) < 세계건설의 역사를 바꾼 공사들 > 세계 최고층 빌딩(162층) UAE 부르즈 칼리파 타워 세계최대 토목공사(106억불) 리비아 대수로 공사 최대난이도 공사 싱가폴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 6

해외건설시장 전망 Ⅱ 7

1. 세계경제 전망 금년도 세계경제 흐름 세계경제는 완만한 회복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성장동력이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전환되는 모습 선진국은 미국 등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지속되고, 유로지역도 경기침체에서 점차 회복되는 모습 - 중국 등 신흥국은 경기적·구조적 요인으로 성장속도가 이전보다 둔화 미국, 유로존, 신흥국간 三分(three speedrecovery)되어 고르지 않은 성장흐름 세계경제 선진국 미 국 일 본 유 로 2012년 3.2 1.5 2.8 1.9 △0.6 2013년 2.9 1.1 1.6 2.0 △0.4 2014년 3.6 2.6 1.2 1.0 * 자료: IMF(’13.10월) 8 (위험 요인) 美 양적완화 축소, 국가채무 한도 협상 진행 등 불확실성 상존

2. 해외 건설시장 전망 세계 건설시장 규모 전망 ‘14년 세계 건설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9.1% 성장하여 규모가 10조불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며 2017년까지 연평균 8.5% 성장 전망(Global Insight) < 세계 건설시장 규모 전망(조달러) > 세계 인프라 시장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BMI) * 인프라시장 규모(억불): 38,697(’13) → 41,055(’14) → 43,707(’15) 국제유가는 양호한 수급여건이 지속되어 13년보다 소폭 하락한 연평균 103$/B(두바이유 기준) 수준 예상(14.1, 에너지경제연) 9 9

2. 해외 건설시장 전망 해외건설시장 전망 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외국업체에 개방된 해외건설시장은 14년도 8천억불 내외로 추정되며, 안정적 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해외건설시장 규모(백억불, 추정): 73(’13) → 80(’14) → 88(’15) 특히, 중동지역은 13년 보류되었던 대형 석유화학 플랜트 발주가 본격화되면서 우리기업 수주가 금년보다 증가 전망 * (쿠웨이트) 신규 정유공장 140억불, [이라크] 주바이르 유전개발 23억불 등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베트남·태국·말레이시아 등 인프라 확대와 중앙 아시아의 석유화학 및 정유공장 설비투자 확대 전망 * (카자흐) 석유·가스화학 산업 11-14년간 200억불 투자계획, (우즈벡) 14년중 발전 및 석유가스화학 부문에 약 75억불 투자 예정 등 10 10

해외건설산업의 과제 Ⅲ 11

1. 해외건설산업 과제 해외건설 문제점 해외건설은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동·플랜트·대기업에 편중, 투자개발형, 고부가가치 사업에서는 경쟁력이 낮은 상황 - 수주 편중에 따라 유가 등 대외환경 변화에 취약 중소기업 수주비중이 5~6% 수준에서 정체 (13년 5.3%) ※ 글로벌금융위기로 인한 주택 건축부분 수주 급감이 감소추세 주요원인 다만, 최근에는 업계 수주다변화 노력, 대형 플랜트 공사 수주 영향 등으로 수주지역이 다변화되는 모습(13년에는 아시아지역이 42%로 1위, 중동 40% 2위) 12

1. 해외건설산업 과제 지역별 수주현황(’14년 8월) 지역별 2013.8.31 2014.8.31 전 체 406 447 중 동 전 체 406 447 중 동 174 259 아시아 154 89 중남미 1 56 북미.태평양 62 26 유 럽 7 12 아프리카 8 5 (자료: 해외건설협회, 단위: 억불) ’13년 8월 ’14년 8월

1. 해외건설산업 과제 공종별 수주현황(’14년 8월) 공종별 2013.8.31 2014.8.31 전 체 406 447 전 체 406 447 플 랜 트 226 364 토 목 124 35 건 축 43 29 기 타 13 19 (자료: 해외건설협회, 단위: 억불) ’13년 8월 ’14년 8월

1. 해외건설산업 과제 해외건설 수주구조 지역별 수주구조 비교 공종별 수주구조 비교                                                                                                    주: 세계는 ENR, 한국은 해건협 통계 기준(08~12 평균) 15

1. 해외건설산업 과제 중소기업 수주 현황 중소기업 수주 규모가 정체되어 있으며, 하도급 진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구분  (단위: 백만불)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전체 해외수주 49,148 71,579 59,144 64,881 65,207 중소기업 (전체 대비 중소비중) 5,510 (11.2%) 4,712 (6.5%) 4,818 (8.1%) 3,397 (5.2%) 3,497 (5.3%)  - 해외도급 3,674 1,703 1,915 765 559   ・ 원도급 2,997 131 1,772 400 325   ・ 하도급 677 388 143 366 234  - 국내 원도급 62 80 137 75  - 국내 하도급 (중소전체대비 비중) 1,773 (32.2%) 2,929 (62.2%) 2,766 (57.4%) 2,570 (75.7%) 2,861 (81.8%) 16

1. 해외건설산업 과제 해외건설 수주구조 최근 세계 건설시장은 단순도급 공사에서 고기술, 고부가가치의 투자개발형 공사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나, 한국은 단순도급 공사가 대부분 * 항만, 도로, 신도시 개발 등 투자개발사업 공사 수익률은 도급공사의 2-3배 수준 *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선진국의 경우 투자개발사업 수주비중이 65-75% 차지 17

1. 해외건설산업 과제 해외건설 외화가득률 해외건설업의 외화가득률이 31%대로 주력 수출산업에 비해 크게 낮은편 * 선진국의 경우 40-45% 수준 < 해외건설업 및 주요 수출산업의 외화가득률 > 해외 건설 주 요   공 종 별  반도체 조선 자동차 플랜트 토목 건축 용역 31% 41% 11% 21% 54% 40~50% 60~70% 70~80% 주: 1) 외화가득률(%)=(수출액­수입액)/수출액   2) 12년말 준공보고 기준(해건협) 18

1. 해외건설산업 과제 건설 ENG 분야 건설 ENG 분야는 선진국과 비교하여 경쟁력이 낮고, 구조적으로 취약 - 기술수준이 최고수준 대비 61.8% 수준, 선진국과 기술격차 4.8년 - 효율성·시공에만 집착하여 특히, 설계 등 소프트웨어 기술과 핵심소재 등 고부가가치 기초·원천기술 부족 < 경쟁국과의 핵심 기술수준 비교(미국=100) > 국 가 원천기술 기본설계기술 상세설계기술 기자재 시공관리 한 국 72.8 73.4 85.0 81.5 82.6 E U 92.3 91.1 91.3 87.1 88.2 일 본 90.3 88.4 89.1 87.2 19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Ⅳ 20

해외건설 비전과 목표 비 전 목 표 양적성장(수주확대) 질적성장(수익성 제고) ◈ 14년 700억불 수주달성, 17년까지 해외건설 5대강국 진입 ◈ 양적성장(수주확대)과 함께 질적성장(수익성 제고) 병행 양적성장(수주확대) 질적성장(수익성 제고) 해외건설수주 세계 시장점유율 50위 이내 한국기업 비중동 지역비중 투자개발형 비중 엔지니어링 시장점유 652억불 37% 1,000억불 달성 50% 8.1% 2.3% 9% 달성 10% 6개 1.2% 8개 2% 21

해외건설 정책방향 과거 미래 해외건설기업 자금가용성 부족 맞춤형 금융지원 강화 단순 도급사업 위주 수주 해외건설 수익성 제고 지원 대기업 위주 진출 중소, 중견기업 진출 활성화 중동·플랜트에 집중된 수주 진출시장 및 공종 다변화 ✚ 효율적인 지원체계 구축 22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1) 맞춤형 금융지원 강화 글로벌 인프라펀드(4천억원)를 산업은행 등 공공기관 중심펀드로 개편하여 투자개발형 사업 진출을 활성화하고, 타당성조사 지원 지속 추진(’14년 20억원) * 공기업-정책금융 MOU 체결(13.12), 1호펀드 운용사 선정(14.1), 투자협약식(14.6) 타당성조사 사업을 통한 사업정보를 해외건설 플랜트정책금융지원센터와 공유하여 펀드(자본)와 정책금융기관(대출)의 원스톱 건설금융 제공 * 정책금융기관(수은,무보,산은) 및 산업별 협회(해건협,플산협,건설공제)로 구성된 조직으로 14.1월 수은내 설치, 사업기획 및 정책금융 자문, 주선 수행(14.1) 해외개발사업 투자펀드 설립근거 마련 ( 14.5 해촉법 개정안 발의, 개정추진) * 펀드 보유자산 담보제공, SPC 직접대출 허용 등 자본시장법에 대한 특례 마련 23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1) 맞춤형 금융지원 강화 중소, 중견기업을 위한 이행성보증 지원확대를 위해 건설공제조합 이행성 보증규모를 확대(2천억 →2.4천억원)하고, 보증확대를 위한 제도 정비추진 * 해외에서 통용가능한 보증상품 개발, 해외보증한도 검토 및 개선 건설사의 신용도 위주로 발급하던 해외건설 보증서를 사업성 평가를 기반으로 수익성이 높은 해외사업 에 대해 발급할 수 있도록 유도 (정책금융 →시중은행] MDB와 해외 투자개발형사업 발굴 및 공동투자를 위한 상호협력을 강화하고, 해외 민간투자사업 협력포럼 개최(14.9, 서울) *카타르홀딩스, ADIC 등 중동국부펀드와도 상호 실무협의체 구성, 운영 24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2) 해외건설 산업 수익성 제고 지원 해외건설 사업 리스크관리를 위해 주요지역별 진출전략, 리스크 정보 제공 (14.1월, 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 설립] * 사업공종별(플랜트, 건축, 토목, Eng)로 기업 스스로 사업리스크 분석시스템 제공 플랜트 분야에 집중되었던 해외건설기업 협의회(해건협)를 신도시, 주택, PF 등으로 다변화하여 시장정보 및 진출 리스크 공유 * 09년부터 발전, 석유화학, 가스플랜트 등 총 20개 분야별 위원회 구성, 운영 해외건설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위해 해외건설에 특화된 R&D 추진구축 * 해수담수화 플랜트, 해상풍력, LNG플랜트 등 기술 포함 25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2) 해외건설 산업 수익성 제고 지원 개도국 PPP사업 등 발굴을 위해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한 후, 금융을 연계제공하는 패키지형 인프라 해외수출 추진하여 우리기업 수주기회 확대 * 신도시 물산업, 교통시스템 등 전후방 연계효과 큰 분야를 대상, 14년 예산(50억원) 개도국 고위 공무원 초청연수를 확대(13년:70명→14년:100명)하고, 세계물포럼 (15.4월), 세계도로대회(15.11월) 등 국제교류 행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강화 중소중견기업 수주전후에 프로젝트 국가의 공무원 대상으로 기술교육을 지원 하는 방식으로 해외건설 수주 지원(건기연, 4개국) 26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3) 중소, 중견기업 진출 확대 유망한 중소, 중견업체를 우수 해외건설업체로 선정하여 집중지원 (14.6, 실적이 우수한 업체, 해외에 진출하려는 중소업체 대상] * OJT, 시장개척자금 지원우대, 해외건설수주지원단 참여, 우수업체 간담회, 인증마크 사용 등 개도국에 적용할 적정기술 수준을 조사, 개발하여 역량강화(건기연, 7건 시범사업) * 대상국에 적합한 재료, 기술로 경제적인 설계, 시공, 유지관리를 도모하는 기술 해외건설사업 추진 프로세스 등 진출 기본정보, 유관부처 및 기관의 지원정책 등이 망라된 해외건설 진출 매뉴얼 발간 (14.12, 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3) 중소, 중견기업 진출 확대 중소기업수주지원센터(해건협)에 해외 현지 전문상담위원을 신규 위촉(30명) 하여 현장감있는 전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 * 중소기업센터 전문상담위원 : (12) 39명 → (13) 59명 → (14, 현지위원 포함) 70명 해외지사 설립이 어려운 중소업체에게 해건협 해외지부 사무실에 공동근무를 허용하는 등, 금년말까지 해외지부 효율화방안도 마련 추진 * 현재 7개국 7개소 운영 : 인니, 인도, 멕시코, 페루, UAE, 리비아, 카자흐스탄 대, 중소기업 동반진출 기업에 대해 건설산업기본법상 상호협력평가에서 인센 티브를 제공(14.9)하고, 해외건설 표준하도급 계약서도 제정(14.6)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3) 중소, 중견기업 진출 확대 해외건설 단기 전문인력 양성규모를 확대(13년:3.5천명→14년:4천명)하고, 외국어 전문교육(영어, 스페인어, 중국어 등) 강화 * 영어전담과정 확대(13년 100명 →14년 360명), 스페인어, 중국어과정 신규개설(50명) 중소기업 신규채용자에 대한 해외현장훈련(OJT) 지속추진하고, 1개 업체당 최대 지원인원 확대(10명→15명) 및 최소 훈련기간을 단축(3월 미만시 지원금 환수) * OJT 지원규모 : (12) 36개사 217명 → (13) 65개사 424명 → (14) 300명 해외건설 전문인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해외건설, 플랜트 마이스터고 (서울도시과학고) 16년 차질없는 개교 준비 (14년 기숙사설계지원, 교육과정 컨설팅 등)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4) 진출시장 및 공종 다변화 이란, 리비아 등 주요국에 대해 맞춤형 진출전략 수립 * (아프리카) 리비아 (중동) 이란,이라크 [아시아) 미얀마, 인도 (중남미) 콜롬비아 타겟형 수주지원단 연중 파견(8회), 13년 세일즈외교 대상국가 후속조치 이행 * 중국(신도시), 러시아(철도), 카자흐스탄(Expo), 베트남(교통, 플랜트), 브루나이(도로) 인니(교통,플랜트), 필리핀(수자원), 라오스(수자원) 등 30 전후방 연계, 파급효과가 큰 도시, 국토정보, 공항, 도로, 수자원분야 적극진출 * 도시(한국형 해외도시개발 패키지 사업모델], 국토정보[스마트 국토엑스포] 공항개발[공항경쟁력 강화위원회], 도로[국외수주정보지원시스템], 수자원[세계 물포럼]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4) 진출시장 및 공종 다변화 신시장 초기 개척자금(49억원) 타당성 조사지원액을 상향조정(건당 2억→3억) * 수주성공 기업이 반납해야 하는 환수금 부담 대폭경감(50 →20%), 차기년도 시장개척자금 지원신청시 가산점 및 추가자금 지원 파급효과가 큰 메가, 복합 프로젝트, 공종진출 확대 * (도시) 해외도시개발 정보제공, 국제기구 협력 등을 통해 한국형 해외도시개발 모델 개발 [국토정보] 스마트 국토엑스포 활용(8.26~28, 서울], 해외진출지원센터(대한지적공사) 운영 [공항] 해외공항개발사업 진출을 위해 공항경쟁력 강화위원회(국토부, 공항공사 등) 운영 [도로] 국외 수주정보 지원시스템(도로교통협회) 구축, ITS 수출지원센터[ITS협회) 협업 [수자원] 세계물포럼(15.4월] 준비회의, 국제협력 물산업협의회 등을 통해 로드맵 마련

14년 해외건설 추진계획 (5) 효율적 지원체계 구축 해외건설 Think-Tank기능을 수행하는 해외건설 정책지원센터 개소(14.2월) * 해외건설, 플랜트 정책금융지원센터(14.1)와 정례협의회 개최 → 정책, 금융기능 특화 해외개발금융포럼(국회), 해외건설플랜트 수주지원협의회(기재부)로 협업강화 한국 해외건설 브랜드(슬로건)을 마련하여 체계적 홍보지원 기반 구축 중장기적 해외건설 진흥방안을 위해 제3차 해외건설진흥계획 수립(15~19년) 3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