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속의 동남아시아 - 경제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우드펠릿 구입문의 ㈜수인물산 마케팅팀장 이원석 ( / )
1. 사회 변동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 하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가치 관 등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2. 민주주의의 시련과 경제 개발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과정과 그 성과는 ? Ⅹ. 대한민국의 발전.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회사소개.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아모레퍼시픽과 IT기술 아모레퍼시픽에서 쓰이는 IT기술.
접수번호 : 스마트콘텐츠 중화권 전략 비즈니스 지원사업 참가 업체 사업계획서 - 프로젝트명(앱) : 업 체 명 :
2010 국제 패션아트 비엔날레 in Seoul A. 국제 패션아트전 B. 국제 패션아트 퍼포먼스 C. 국제 패션아트 세미나
4. 금융의 국제화 가.국제화와 세계경제 (1)국제화와 세계경제의 변화
과거와 현재의 한미 동맹과 미래전 홍우현 김홍빈 강승민 이장희 임현철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한.아세안 FTA 협정의 기대효과 와 의의 무역학과 최영도 이상철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9강. 말레이시아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기업 경영전략의 의의 경영전략 기업경영전략의 요소 확인 전략수행과 달성 기업의 모든 자원인 물적, 인적자원과 능력, 환경적인
김 병 구 글로벌 매너(5) 무역과 교통 김 병 구
필리핀을 알아보아요 필리핀 콕! 찝어 알아보기.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계량분석에 의한 중동부유럽 경제위기 진단과 시사점
대한민국 정부예산규모 추이 대한민국 정부예산 (案 2017)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베트남 투자 환경 및 경제 전망.
월별 외국인 입국통계와 국내에서의 card 이용액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13강. 브루나이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UNISDR ONEA-GETI 안내.
무역 실무론 2012년 전반학기.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Romania 자유 풍요 애국자의 피 Changwon University
제3장 스포츠 산업.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1. 인력계획 1) 인력 계획 프로세스 사업계획 인력계획 과부족 비교 인적자원 수요 예측 가용 인적자원 예측 과잉인력 적정인력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수력에너지.
제1장 기업환경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1.1 기업환경의 변화 1.2 품질경영도입의 필요성.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엔프라넷.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12강. 싱가포르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폐업·도산 사유로 고용보험을 상실한 근로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제조업 23.8 % 기 타 36.8 % %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 원본 PPT 바로가기 >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외국인 노동자 고용사례 일어일문 정 솔.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2. 세계의 종교 분포와 경관 ① 세계 주요 종교의 분포와 확산.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② 문화 행사와 관광 산업의 효과.
필리핀의 문화.
제4편 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교류 제11장 북한의 경제체제와 발전.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DISPUTE on SPRATLY ISLANDS
Presentation transcript:

세계속의 동남아시아 - 경제편-

우리는 왜 동남아시아를 알아야 하는가 1997년 동남아시아에서 시작된 동북아시아의 금융위기 우리는 왜 동남아시아를 알아야 하는가 1997년 동남아시아에서 시작된 동북아시아의 금융위기 지속적 성장으로 인한 자본재와 중간재의 거대한 시장 한국제1위 해외 건설 수주지역 아시아 태평양지역에 있어서 강력한 외교역량

ASEAN의 발전 과정과 한국의 대응 ASEAN의 발전과정 -1967년 8월8일 5개국으로 설립 -1967년 8월8일 5개국으로 설립 -1976년 발리정상회의 지역발전과 안전보장 강조 -1991년 10월 FTA (ASEAN 자유무역지역)창설 -1999년 캄보디아의 가입

한국의 대응 2000년 11월 제 4차 정상회의 내용 : ‘ASEAN+3 정상회의’를 ‘동아시아 정상회의’로 변경제안 2001년 11월 제5차 정상회의 내용 : ‘동아시아 비젼그룹’의 보고서에서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 제의 2003년 9월 한-ASEAN FTA 협상 개시 합의

필리핀 1.국가개요 국명 : 필리핀 면적 : 300,800Km (한반도의 1.3배) 7107개의 섬으로 구성 수도 : 마닐라 기후 : 고온다습한 아열대성 기후 (연평균 27℃)

인종 : 말레이어계 (95%) 언어 : 영어, 따갈로그어, 시부아노, 일로카노, 힐리가이론 등 종교 : 카톨릭 (90%) 개신교 (5%) 이슬람교 (2%) 불교 및 기타(3%) 화폐단위 : 페소 (Peso)

2. 필리핀의 경제현황 1.정체기의 필리핀경제 -마르코스 독재정치 -소수독점체에 의해서 운영 2.경제계획의 시작과 좌절 1.정체기의 필리핀경제 -마르코스 독재정치 -소수독점체에 의해서 운영 2.경제계획의 시작과 좌절 -아키노 정부의 경제개혁 :외국인 직접투자와 실질 GDP증가 3.Phil 2000 Plan과 경제회복 -라모스대통령의 Phil 2000 Plan :근본적인 개방화와 자유화 정책 실시 외향규제 철폐 시장원리 도입 4.아로요 정부의 경제시책 방향 -외국인 투자분야 확대, 금융시장의 개방 가속화

필리핀의 주요 경제지표 항목 단위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1인당 GDP 달러 1,199.7 1,166.8 991,7 1,044.9 1,007.3 989.3 1,029.5 1,208.5 GDP 성장률 % 5.8 5.2 -0.6 3.4 4.0 4.3 4.1 물가 상승률 9.1 5.9 9.7 6.7 4.4 6.1 3.3 무역 수지 백만달러 -11,884 -10,706 -164 4,294 5,908 2,747 4,860 1,870 수출 20,543 25,228 29,496 35,037 37,295 31,243 35,300 34,790 수입 32,427 35,934 29,660 30,742 31,387 28,496 30,440 32,920

3.필리핀 시장의 특성 1. 다양성의 나라 : 인종, 언어, 문화 2. 미래보다 현재 소비를 강하게 선호하는 나라 : 라틴문화의 영향 3. Low/High 가 분명한 나라 : 빈부격차의 심화 4. 높은 교육수준의 나라

4.우리 나라와 필리핀의 관계 필리핀과 우리나라는 이민, 관광, 유학 등 인적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구분 2000년 2001년 2002년 한국의 대필리핀 교역규모 5,175 4,354 4,817 한국의 대필리핀 수출 3,360 2,535 2,950 한국의 대필리핀 수입 1,815 1,819 1,867 무역수지 1,545 716 1,082

필리핀은 한국의 제 11위 교역국으로 제 10위 수출, 제 18위 수입시장임. 한국은 필리핀의 제 5위 교역국으로 제 10위 수출, 제 3위 수입시장임. -주종 수출품목: 전지, 전자, 섬유 등 제조업분야 -주종 수입품목: 전자부품, 농산물, 비철금속

5.우리의 자세 향후 10년 후가 더 기대되는 필리핀 시장 -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저임, 양질의 노동력 향후 10년 후가 더 기대되는 필리핀 시장 -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저임, 양질의 노동력 - 풍부한 자연자원

베트남 1.베트남의 일반적 사항 수도: 하노이(Hanoi) 인구: 8천2백만 명  인구: 8천2백만 명  지리: 중부고원지대로 인도차이나 반도의 동쪽에 위치  국경: 캄보디아, 라오스 , 중국과의 국경  총면적: 33만 34㎢ 한반도의 1.5배  민족: 킨족(89%)외 54개 소수민족  종교: 불교980%) 카톨릭(9%)

2. 복합성을 지닌 베트남 문화  프랑스의 식민통치  인도. 인도네시아 ┼ 유럽문화: (복합성)   3.베트남의 역사  투쟁의 역사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남 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4. 베트남 경제 현황 통일 그 이후의 베트남 :사회주의 국가의 재출범 베트남 경제 개관  통일 그 이후의 베트남   :사회주의 국가의 재출범  베트남 경제 개관   :경제 성장 목표치를 상향 조정한 베트남  최근 경제 동향   :수출입 현황 (단위 : 억불, %)   구분 ’96(증감율) ’97(증감율) ’98(증감율) ’99(증감율) ’00(증감율) 수출 70(32.1) 88(25.7) 93.2(5.9) 115(23.4) 143.1(24.1) 수입 110(46.7) 112(1.8) 1149(2.6) 116.3(0.1) 152.0(30.6) 수지 -40.0 -24 -21.7 -1.3 -8.9 (자료원 : 베트남 상의, Vietnam Economic News)

5. 베트남 경제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기회 [우리의 진출 방향] 베트남 경제의 강점 :수출 중심의 성장 거시경제의 안정 5. 베트남 경제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기회  베트남 경제의 강점   :수출 중심의 성장     거시경제의 안정     빈곤 감소   베트남 경제의 약점과 위기   :수출증가율의 둔화     외국인 직접 투자(FDI)감소 추세     국영 및 재정부문의 비효율성    빈곤 감소의 급격한 둔화 베트남 경제의 기회   :민간 부문의 약진    DPI 유인책

6.베트남 투자시 유의사항   7.결론   : FDI유인책 필요 WTO 등 국제무역기구의 가입 재촉 중국 다음의 커다란 시장 경제성

말레이시아 수도 : 콸라룸푸르 인구 : 말레이인(62%), 중국인(27%), 인도인(8%), 기타(3%) 인구 : 말레이인(62%), 중국인(27%), 인도인(8%), 기타(3%) 언어 : 말레이어, 영어, 중국어, 타국어 국가형태 : 민주주의에 입각한 입헌군주제, 연방국가 국가원수: 국왕 의회 : 내각책임제

문화 : 다민족 복합문화 종교 : 이슬람교(국교 53%), 불교(17.3%), 기독교(2.6%), 유교 등 기타(21.1%) *말레이시아의 경제발전토대 : 이슬람교 *1997년 외환위기와 이슬람 정책

1. 경제의 의해 1) 경제지표

① 경제성장과정에서 수출형 공업화 전략 ② 제조업위주의 수출 전략으로 경제의 대외의존도 과중 ③ 97년 경제 위기 경험 ④ 외국인 투자에 적극적 촉진으로 경각 ⑤ 천연자원 부국으로 풍부한 성장 잠재력

2. 시장의 특성 ① 세계적 경쟁업체들의 경연장 ② 가격이 구매 여부를 좌우하는 시장 ③ 동남아 중심 상권으로 발돋움 ④ 자본재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큰 시장 ⑤ 중국계의 일반상권 장악 ⑥ 생활 수준 향상에 따른 내부 소비재 구매력 증 가 및 고급화

3. 경제 개발 정책 기조┬ 다민족·복합민족국가로서 인종간의 │ 화합 및 통합 국가적 일체감 조석 └ 절대적 경제 수준 향상 및 인종 및 계층간의 균형 있는 발전 ① 부의 구조 관련 정책 ┌ 인종간 배분 ├ 계층간 배분 └ 외국인 부소유 제한

-신경제정책(New Economic Plan:OPP1):1971∼1990 ②장기발전 구도하의 장기경제개발 계획수립 -신경제정책(New Economic Plan:OPP1):1971∼1990 -국가개발정책(National Development Plan:OPP2):1991 ∼2000 -장기발전계획(OPP3:2001 ∼2010) ③Vision 2020 ④산업구조관련 정책 ⑤외국인 투자 적극유치

우리나라와의 교역

한-말 교역의 대응 1.상대적 자본 및 기술 집약적인 분야의 비교우위 → 유지 ☞민간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강구 1.상대적 자본 및 기술 집약적인 분야의 비교우위 → 유지 ☞민간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강구 ☞인적자본의 축적을 통한 기술수준 향상 2. 수출특화구조: 소품목에 집중되어 있음 → 다양화 시도 3. 한-말 산업 내 무역 높은 수송비 + 무역 장벽 → 점진적 제거 ☞연구 개발 집약도가 높은 산업일수록 한-말 무역증가 추세 → 연구개발 투자 확대

싱가포르 1. 개요 국명 : The Republic of Singapore(싱가포르 공화국)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 면적(2003) : 691.7㎢(서울특별시 면적 : 605.5㎢) 인구(2003) : 약 418.5만 (1년이상 거주 외국인 79만 포함) 인종(2003) : 중국계(76.2%), 말레이계(13.8%), 인도계(8.1%), 기타(1.7%) 종교(2000년 인구조사) : 불교·도교(51%), 이슬람교(14.9%), 기독교(14.6%), 힌두교(4.0%) 기후 : 고온다습의 열대성 기후 (11월-1월간은 monsoon기로서 기온이 비교적 낮음)

2. 싱가포르의 기원과 경제적 특성 1819년 영국의 토마스 스탬포드 라플스(Thomas Stamford Raffles)에 의해 처음 발견 1824년 영국의 동인도회사(East India Company)와 무역기지 만들기 위해 말레이반도 남단의 조호르(Johor) 술딴(Sultan)과 조약 맺음.   ⇓130년 동안 영국식민지로서 동남아식민지 경영 중심지이자 대외무역항 역할              (중계무역 중심지) 1959년 영국으로부터 자치권 획득 1960년 싱가포르 수출 90% 재수출이 차지 (중계무역에 크게 의존) 1961년 말레이시아 연방(Federation of Malaysia )에 가입 1965년 말레이시아 연방 탈퇴(완전한 독립국가)

경제발전정책변화의 3단계 1960년~1965년 6년간 수입대체산업기간 1966년~1972년 수출지향정책으로의 전환기 1972년~1978년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자본집약적 산업화전략의 도입기 1979년~수출지향의 자본‧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의 구조조정기 80년대초반      85,86년~심각한 경제적 침체상태 경험 80년대후반~높은 경제성장

1.인적자원 육성개발 2. 정부, 기업, 노동자 3자간 협력 강화 3. 국제화유도 4. 기술 혁신 지향적인 환경 조성 싱가포르 8가지 중장기 전략과 세부 시행계획 1.인적자원 육성개발 2. 정부, 기업, 노동자 3자간 협력 강화 3. 국제화유도 4. 기술 혁신 지향적인 환경 조성 5. 관련 산업의 그룹화 6. 내수산업 및 서비스업의 생산성 제고 7. 국가 경쟁력 유지 및 강화 8. 경제적 취약성 축소 노력

3. 싱가포르 경제현황 주요 경제지표 추이 2001 2002 2003 2004 연간 1/4 2/4 3/4 4/4 G D P   2001 2002 2003 2004 연간 1/4 2/4 3/4 4/4 G  D  P 전년동기비 % -2.4 2.2 1.1 1.7 -3.9 4.9   7.5 12.5 실 업 률 SA, 기말, % 3.3 4.4 4.7 4.5 4.6 5.5   4.5 경상수지 억S$ 289 335 491 125 112 135 119   109 무역수지 264 332 511 121 117 139 134   119   수  출 2,229 2,299 2,749 649 655 702 743   746 749   수  입 1,965 1,967 2,239 529 537 563 609   627 684 소비자물가 기중, 전년동기비 % 1.0 -0.4 0.5 0.7 0.1   1.4 1.9 통화량(M2) 기말, 전년동기비 % 5.9 -0.3 8.1 2.9 4.8   9.9 10.7 은행간금리 3개월,연%,기말 1.25 0.81 0.75 0.63 주가지수 STI, 기말 1,623 1,341 1,764 1,268 1,478 1,631 1,859 1,838 환   율 S$/US$, 기말 1.851 1,737 1.700 1.765 1.756 1.728 1.679 1.716 외환보유액 억US$, 기말 758 823 963 836 866 911 1,027 1,016

경제성장 추이 (전년동기비, %) 2002 2003 2004 2/4 3/4 4/4 연간 1/4 2/4 실질 GDP 3.7 경제성장 추이                (전년동기비, %)   2002 2003 2004   2/4 3/4 4/4 연간 1/4 2/4 실질 GDP 3.7 3.5 2.8 2.2 1.7 -3.9 4.9 1.1 7.5 12.5 제 조 업 12.4 14.8 9.5 7.8 6.2 -6.3 3.3 8.9 11.0 20.6 건    설 -11.1 -11.9 -11.5 -10.8 -14.9 -10.2 -9.6 -8.1 -10.7 1.0 -5.1 도․소매 4.6 5.8 2.7 5.5 0.5 8.4 12.0 6.7 13.8 18.8 호텔․음식 -4.1 -4.4 1.8 -2.9 -5.8 -29.5 -8.2 -5.6 -12.2 3.1 37.6 운수․통신 5.6 5.2 3.8 -10.5 -1.7 3.4 -2.0 19.0 금융서비스 -9.3 -5.7 -8.5 -4.3 6.0 11.5   5.8 기업서비스 2.0 -0.1 1.2 -1.0 -3.3 -1.1 -1.8 2.1   3.7

4.한-싱관계 주요 일지 ◦ 1970.11 주싱가포르 통상대표부 설치 ◦ 1975. 8 외교관계 수립(대사관으로 승격) ◦ 1970.11    주싱가포르 통상대표부 설치 ◦ 1975. 8    외교관계 수립(대사관으로 승격) ◦ 1990.10    주한 싱가포르 상주대사 부임   

경제,통상관계 개 관 ◦ 한·싱 양국 경제는 해외 및 무역의존도가 높다는 공통점 보유 ◦ 한·싱 양국 경제는 해외 및 무역의존도가 높다는 공통점 보유 ◦ 교역, 투자, 건설 부문 등에서 싱가포르는 한국의 중요한 상대국으로서 한·싱 양국은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 ◦ - 한·싱 상호 10위권내 교역상대국이며 싱가포르는 우리의 7대 수출시장 ◦ - 싱가포르는 한국에 약 US$ 125억불 투자국

◦ - 한국 건설업체들은 지난 30년간 US$100억불 건설수주 (그 중 최근 8년간US$65억불) ◦ 약 74개에 달하는 우리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상당수 기업이 동남아 지역본부로 활동 ◦ 싱가포르가 여러 분야에서 지역내 또는 세계적 차원에서 hub으로 기능하는 등의 전략적 중요성에 비추어 싱가포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 ◦ - 물류, 유통, IT, BT 등 분야 공동 진출 등

5.문제점과 전망 문제점 -전문인력부족 -급격한 임금인상 -부족한 자원 전망 -인력개발 집중투자 -지속적 공업화 추진 -아세안 중계무역항 으로서 입지 강화

동남아시아 진입을 위한 환경 부정적 측면 사회간접자본(항만, 도로, 통신, ···) 부족. 불충분한 외국인 투자법. 사회간접자본(항만, 도로, 통신, ···) 부족. 불충분한 외국인 투자법. 긍정적 측면 지속적인 성장과 성장 잠재력. ASEAN 자체의 시장규모 확대. 서양열강에 비해 우호적인 국가 이미지. 한 – ASEAN, FTA 협상 개시 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