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분석 및 국내외 특허출원, 등록절차 2009. 3. 12 지혜안특허법률사무소 서 재 승.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NVENTUS Intellectual Property Group 창조경제와 특허의 중요성 the NEW PARADIGM, I NTELLECTUAL P ROPERTY the NEW PARADIGM, I NTELLECTUAL P ROPERTY 특허, 기업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Advertisements

Ⅱ Ⅱ 제안사업 모델 주요 고객 Ⅲ Ⅲ Ⅳ Ⅳ 목표 시장 Ⅰ Ⅰ 시장 니즈 Ⅴ Ⅴ 사업화 대상 기술 1.
 기업가치 평가기법 / 사례연구, 적용을 통한 실무능력 배양  DCF, 옵션 등 다양한 기업가치평가 방법 습득  실전대비를 위한 완벽한 실무중심의 강의와 실전사례 중심의 생생한 살아있는 강의  기업가치평가보고서 작성방법 습득  실전 Case Exercise 를.
SNS ! 건대 ▶ 오리 정보 제공 : 해당 지역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서비스, 제품의 기업에게 정보 제공.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목 차 1 1 기술평가 개념 3 3 기술평가 사례 4 4 기술평가 발전방안 기술평가 요소.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1 산학공동과제도출 범용 3D 프린터를 위한 3D 스캐너 개발 특허법률사무소에서 3D 프린터의 필요성 특허출원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설명하고, 시작품을 구 현해 보기 위한 급속 조형 방법 필요 이를 지원하기 위해 본 특허법률사무소에서는 국내최초로 3D 프린트 제작사업 시작.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Intellectual property
Intwllwctual Property
Intelletual Property.
C O N T E N T S 1. 제안 교육 개요 2. 제안 교육 내용 3. 교육 강사 소개.
2014 서울 희망보따리 동경 상담회 참가기업 모집 일본 동경(‘정치·경제·문화 중심지’, ‘최대 소비지’)에서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국내 조사 산업의 현황 장 재 섭 ACNielsen Korea.
2차 Genesis 연구과제 운영 계획 목적 정의 대상 : 국내 4년제 대학 교수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중전기기 기술개발기금 사업계획서 발표자료 과제명 : ooo 기술개발 ooo㈜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2008년 CreBiz 창업스쿨 교육내용 과정별 주요 교육내용 구 분 창업반 (기초과정) - 3주, 주2회 -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구조조정(restructuring)의 필요성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25W급 RF에너지 전송 설계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e특허나라" 서비스 안내 1. 시스템 개요 2. 주요 서비스 기능.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기업 경영전략의 의의 경영전략 기업경영전략의 요소 확인 전략수행과 달성 기업의 모든 자원인 물적, 인적자원과 능력, 환경적인
웨이퍼 레벨 패키징 기술을 이용한 IPD 및 필터 개발 기술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NET 신기술 인증을 위한 선행기술조사
0. 코스트의 이해 단가 × 양 = 원가 원가는 생산/ 판매활동에 직접 관련된 비용이다 단 가 양
제3절 인터넷 비즈니스 창업성공전략과 고려사항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재무회계의 목적 회계의 기본가정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회계원칙(회계기준) 제약조건
소규모 IPTV 사업자용 실시간 미디어 플랫폼 기술
경영전략 - 신규사업 신규사업 진출 Process 신규사업 추진의 최근 Trend 자문 Point 신규사업 기회탐색 성장전략
기능안전 설계 지원 프로세서 코어(알데바란) 06
2017년 기술사업화 전문코디과정 교육 프로그램(안)
HEVC기반 실시간 Full-HD 비디오 플레이어 기술)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지식서비스&컨설팅학과 커리큘럼
발표평가 자료 작성 유의사항 각 페이지의 작성 TIP을 참고하여 내용 기재 (총 20페이지 이내, 발표시간 약 10~15분)
2.5 Gbps 버스트모드 수신 IC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3조 경영학과 김대혁 경영학과 김종섭 경영학과 이진범 경영학과 신영재 중어학과 한송이
회사소개 리사.
OECD 평균 한국
대 남 학 영 교 Y E T U S N R G V I A M 신소재가 변화시키는 미래사회 (복합 재료)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주요 패턴 (한)문화방송 14 HY울릉도M 13 [ Bottom-Up ] 휴먼새내기체 12 [ Top-Down ]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엔프라넷.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여행용 자동통역서비스를 위한 서버형 한국어 대화체 음성인식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5G서비스 공모양식 XX. XX 제출회사 : 제출자 :.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 투자포럼 조직위원회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 필요시 칸 추가하여 작성 (여러장 작성 가능) ※ 각 기술별 개발단계, 희망 협업형태 상이할 경우 표현 必
OOOOOO 사업계획서 OOOO대학 OOOO과 O반 팀 장 : O O O
IT R&D Global Leader 윈도우 서버 기반 가상 웹 캠 장치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IMP 창업팀 사업계획서 (사업명) IMP지원 창업팀 사업에 관한 소개글 IMP 창업팀명.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특허분석 및 국내외 특허출원, 등록절차 2009. 3. 12 지혜안특허법률사무소 서 재 승

목 차 Ⅰ. 개요 Ⅱ. 특허정보 활용 Ⅲ. 기술의 권리화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V.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Ⅰ. 개요

Ⅰ. 개 요 [지식가치의 변화 과정] 재산화 경로 활용경로 기술개발 (결과물 발생) 기술이전/ 사업화 특허권 확보 Ⅰ. 개 요 [지식가치의 변화 과정] 재산화 경로 활용경로 기술개발 (결과물 발생) 기술이전/ 사업화 특허권 확보 경제적 가치 증대 ○ 글로벌 무한경쟁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 및 활용 활성화를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필요 - 연구개발활동은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을 생산하는 과정 - 지식을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지식재산으로 변화 및 사업화를 위한 지식재산 전략 활용 필요

지식가치의 변화에 따른 효과적 지식재산 전략 수립 및 활용 필요 Ⅰ. 개 요 지식가치의 변화에 따른 효과적 지식재산 전략 수립 및 활용 필요 [지식가치의 변화에 따른 지식재산 전략] 재산화 경로 활용경로 기술개발 (결과물 발생) 기술이전/ 사업화 특허권 확보 특허정보 활용 기술의 권리화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Ⅱ. 특허정보 활용 기업 선행기술 조사 및 분석 특허맵(Patent Map) 분석

선행기술조사라 함은 출원하고자 하는 발명보다 먼저 출원 또는 공개된 II. 특허정보 활용 1) 선행기술 조사 선행기술조사라 함은 출원하고자 하는 발명보다 먼저 출원 또는 공개된 모든 자료를 조사하는 것 ○ 신기술 개발에 관한 아이디어 수집 및 연구개발 테마 선택 ○ 타사가 보유하고 있는 권리를 회피함으로써 중복 연구 및 투자 방지 ○ 기술의 권리관계 파악을 통한 공동연구 또는 라이센싱 추진 ○ 자사와 관계 있는 타사의 권리기술에 대한 이의 신청 또는 무효심판 청구 [선행기술 조사 목적]

선행기술은 발명의 완성 및 특허등록을 위한 지도와 나침반 역할 II. 특허정보 활용 1) 선행기술 조사 선행기술은 발명의 완성 및 특허등록을 위한 지도와 나침반 역할 ○ 선행기술 검토 및 분석을 통하여 발명활동에 도움이 되는 정보 습득   - 선행기술과는 다른 방향으로 발명을 완성하여 특허 받을 가능성 증가 ○ 선행기술 검색 및 검토를 통한 기술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절감   - 새로운 사업 및 연구개발 시작 전 해당분야 특허자료 검색 [선행기술 조사 활용전략]

II. 특허정보 활용 1) 선행기술 조사 [선행기술 조사 수행절차] 본원기술 분석 정보 검색 및 검색식 작성 인용문헌 선택 관련도 판단 전자문서 작성

II. 특허정보 활용 1) 선행기술 조사 [선행기술 조사 사례]

특허지도란 특허에 대한 정보가공을 통하여 분석 및 해석한 결과를 도표로 표현한 것 II. 특허정보 활용 2) 특허동향 조사 특허지도란 특허에 대한 정보가공을 통하여 분석 및 해석한 결과를 도표로 표현한 것 [특허동향조사의 목적] ○「Patent Map」은 연구개발의 방향 및 수단을 가르쳐 주는 길잡이 역할 수행 번호 특허동향조사 목적 1 중복연구 방지 2 테마선정 3 연구개발방향 설정 4 기술 추이 및 미래 예측 5 주요 기술 및 특허 확인 6 타사 연구개발조직 운영실태 파악

II. 특허정보 활용 2) 특허동향 조사 [활용 전략] ○ 시장상황, 상품변혁 및 흐름 인지를 통한 신규사업 선택 - 공백기술분야 인지 및 경쟁회사의 기술상품 변환예측에 활용 - 독자제품 개발촉진 · 유효특허 확보기반 구축에 활용 ○ 전략·유효특허 발굴   - 당사 현재 기술수준 확인 및 타사 기술동향 · 문제특허 파악으로 효과적 특허망 구축 ○ R&D활동과 특허활동의 일체화 - 개발장애 요인의 사전발굴에 의한 특허전략적 연구개발 활동 추진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II. 특허정보 활용 2) 특허동향 조사 [PM을 통한 특허정보 분석 절차]

II. 특허정보 활용 2) 특허동향 조사 [Patent Map 결과 구현]

II. 특허정보 활용 2) 특허동향 조사 [Patent Map 활용 효과] 연구 · 기술 부문 경영 · 기획 부문 - 기술동향 파악 기술 GAP 확인 기술 분포현황 파악 - 기술 상관관계 분석 Patent Map 기술개발동향 파악 - 시장참여 현황 파악 - 기업 상관관계 파악 기술관리 부문 - 특허침해 가능성 파악 - 특허망 분석 - 기술파악/출원방향 설정

Ⅲ. 기술의 권리화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 강화 국내 · 외 지식재산권 확보

Ⅲ. 기술의 권리화 1)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 강화 [특허에 대한 인식 변화 현황] ○ 특허 등 무형자산의 가치 상승으로 인하여 지식재산권 관리가 경영전략의 중요 요소로 부각 [무형자산에 대한 인식 변화]

Ⅲ. 기술의 권리화 1)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 강화 [특허인식 제고를 위한 전략] ○ 기업 전 부서 차원의 지식재산권 관련 교육 및 연수 강화 - 특허부서 차원이 아닌 기업 전 부서에 대한 지식재산권 교육 강화를 통한 지식재산 관리 · 활용 촉진 기반 마련 ○ 해외 지식재산권 제도에 대한 이해 확대 - 국내 지식재산권 제도와 상이한 해외 지식재산권 제도에 대한 이해 확대를 통한 해외 지식재산권 확보 및 국제특허분쟁 대응을 위한 기반 마련

Ⅲ. 기술의 권리화 1)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 강화 [한국 특허출원절차 흐름] 방식 심사 특허출원 출원공개 심사청구 실체 거절이유가 존재하는 경우 거절이유통지 거절이유가 해소된 경우 의견서/보정서 거절이유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거절이유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특허결정 거절결정

2 이상의 동일한 발명에 대한 출원이 존재하는 경우 Ⅲ. 기술의 권리화 1)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 강화 [미국 특허출원절차 흐름] 방식 심사 특허출원 출원공개 실체 심사 거절이유가 존재하는 경우 저촉심사 거절이유통지 2 이상의 동일한 발명에 대한 출원이 존재하는 경우 거절이유가 해소된 경우 의견서/보정서 거절이유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선발명 인정 거절이유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특허결정 선발명 비인정 거절결정

Ⅲ. 기술의 권리화 1)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 강화 [R&D 결과물의 권리화] 硏究開發시작 出 願 件 數 時間 A 社 B 基礎硏究 商品化硏究 製品販賣 [R&D 결과물의 권리화] ○ 제품출시/논문발표보다 특허출원 우선 전략 구사 - A사는 R&D 초기에 넓은 개념특허를 출원하고 응용제품에 대해서도 ‘특허망’ 구축 가능 - B사와 같이 제품판매 직전 대량의 출원을 하게 되면, 출원권리가 해당 제품의 범위 내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어 특허의 질 저하 및 A사의 선행 특허에 의해 무효 가능

Ⅲ. 기술의 권리화 2) 국내 · 외 지식재산권 확보 [바이오 에너지 특허출원 동향] ○ 제1차, 제2차 석유파동의 여파로 선진국에서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에 관심을 기술이면서 바이오에너 지 특허출원이 74년 이후 81년까 지 가파른 상승세 보임 ○ 94년 유엔기후변화협약 채택, 97년 지구온난화방지 교도회의 (COP3) 개최의 영향으로 90년대 중반에 들어 평균수준의 2배 이상 으로 급증하는 양상임 [바이오 에너지 전체 출원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Ⅲ. 기술의 권리화 2) 국내 · 외 지식재산권 확보 [지식재산권의 필요성] ○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 확보   - 특허 등 산업재산권은 독점배타적인 무체재산권으로 신용창출, 소비자와의 신뢰도 향상 및 기술판매를 통한 로얄티 수입 기능 ○ 특허분쟁의 사전 예방   - 자신의 발명 및 개발기술을 적시에 출원 및 권리화함으로써 타인과의 분쟁 사전예방 및 타인이 자신의 권리를 무단사용 시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법적보호 가능 ○ R&D 투자비 회수 및 향후 추가 기술개발의 원천   - 막대한 기술개발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는 확실한 수단이며 확보된 권리를 바탕으로 타인과 분쟁 없이 추가 응용 기술개발 가능 정부의 각종 정책자금 및 세제지원 혜택 [지식재산권의 필요성]

Ⅲ. 기술의 권리화 2) 국내 · 외 지식재산권 확보 [특허명세서의 구조] 특허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특허청구범위 - 과학기술정보 정보공개 - 재산권 정보 - 권리선언

Ⅲ. 기술의 권리화 2) 국내 · 외 지식재산권 확보 [국내출원 절차] ○ 지식재산권 확보방법으로 국내 특허출원을 통한 특허등록과 해외에 직접 출원하는 방법과 PCT 국제출원제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음 [국내출원 절차] 출원인코드부여신청 (사전등록절차) 선행기술조사 출원서작성 제출서류준비 출원번호통지서 수령 (또는 접수증) 심사청구 및 심사 출원공개 접수 및 수수료 납부 등록료 납부

Ⅲ. 기술의 권리화 2) 국내 · 외 지식재산권 확보 [PCT에 의한 국제출원] ○ 특허협력조약(Patent Cooperation Treaty; PCT) - 특허협력조약에 의한 국제출원은 출원인이 자국 특허청에 국가를 지정하여 국제출원서를 제출하면 각 지정국에서 정규의 국내출원으로 인정해 주는 제도 [PCT에 의한 국제출원 절차]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특허권리분석 및 분쟁대응 가이드 마련 특허 포트폴리오 활용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1) 특허권리분석 및 분쟁대응 가이드 마련 [국제 특허분쟁 동향] ○ 선진 제국(諸國)에 의한 국제 특허분쟁 격화 - 해외 선진업체의 특허 무기화 전략 강화 - 후발업체의 특허침해 및 기술유출 시도 증가 [국제 특허분쟁 발생 현황] 기술분야 발생시기 요구업체 해당업체 CDMA 2006.8 Ericsson 삼성 SDRAM 등 2006.7 Rambus 하이닉스 PDP 2005.12 삼성SDI Matsushita DRAM 2005.6  Rambus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1) 특허권리분석 및 분쟁대응 가이드 마련 [목적 및 필요성] ○ 현재의 기술에 대한 회피기술 가능성 및 향후 진행될 기술에 대한 핵심 유망기술 파악 필요     - 현안특허에 대한 정량·정성적 분석을 통하여 특허기술 및 표준기술규격 간 상관관계 제시 필요 ○ 현재 업계에 제기된 현안특허 및 표준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기업의 효과적 라이센싱 대응방안 마련 목적     - 기술 표준 및 특허에 관한 정보부족으로 해외 선진기업의 로열티 협상 압력에 대한 국내 기업들에게 기초 정보 제공 필요      - 특허 협상 테이블에서 즉각적으로 활용 가능한 국내외 기관의 특허에 대한 매입가능성 타진 및 업계로의 이전가능성 검토 필요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1) 특허권리분석 및 분쟁대응 가이드 마련 [활용 전략] ○ 현안특허 및 표준의 비교분석 결과에 따른 분쟁대응절차 및 협상 근거자료 제공     - 특허 분쟁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침 제공 및 로열티 협상 테이블의 협상카드로 활용     - 상세한 권리분석 및 현안특허의 표준관련 여부 분석정보 제공을 통하여 문제의 소지가 있는 특허의 회피기술 및 우회설계 방안 마련   ○ 현안특허의 국가별 출원현황, 등록상황, 존속기간, 서지사항 및 법적상태 등 조사     -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내 업체의 수출전략 및 향후 사업 전략 수립에 있어서 기본적인 지적재산권 전략 데이터로 활용     - 크로스라이센싱을 위한 특허 매입후보 발굴 전략 수립 및 매입후보 특허에 대한 제반 정보 마련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1) 특허권리분석 및 분쟁대응 가이드 마련 관련 기술 현황 [특허권리분석 및 분쟁대응 가이드의 구성] 관련 기술 현황 현안특허 분석 및 대응전략/특허매입 방안 분쟁대응 전략 정리/특허매입 전략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1) 특허권리분석 및 분쟁대응 가이드 마련 [특허권리분석 및 분쟁대응 가이드 활용 효과]

해외 선진국의 경우 특허 포트폴리오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지재권 전략 수립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2) 특허 포트폴리오 활용 해외 선진국의 경우 특허 포트폴리오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지재권 전략 수립 [해외 포트폴리오 제작 업체 홍보물 예]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2) 특허 포트폴리오 활용 [목적 및 필요성] ○ 특허 포트폴리오(PPF; Patent Portfolio)는 지적재산권 전반에 관한 특허전략 및 분석보고서   - 특허클레임 빈발업체의 특허 포트폴리오 조사․분석을 통하여 양질의 특허정보 제공 ○ 특허분쟁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제공을 통한 국내 기업 지원   - 국내 기업 및 중소 벤처기업들의 특허분쟁 대응전략을 위한 기초자료 및 향후 사업화 방향 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2) 특허 포트폴리오 활용 [활용 전략] ○ 선진기업의 특허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특허 분석 기초자료 제공 - 특허 포트폴리오를 통한 주력 생산제품에 대한 분쟁 예측 가능성 제고 및 특허 분쟁대응력 향상 ○ 향후 제품 개발 사업들에 대한 특허관련 Raw-Data 활용 - 기업 · 품목별 선진기업의 전략적 특허 보유 현황 특허정보 파악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2) 특허 포트폴리오 활용 [부서별 활용 전략]

IV. 특허분쟁 대응수단 마련 2) 특허 포트폴리오 활용 [PPF 상 지식재산권전략 상호간의 관계 예]

V.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가치 · 시장성 평가 기술이전/사업화 컨설팅 활용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가치‧시장성 평가 [기술가치평가 의의] ○ 기술평가의 정의 ○ 기술가치평가의 중요성 - 기술평가란 기술이 개발되어 사회에 도입발전보완되었을 때 사회에 미칠 수 있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조사검토하는 분석 작업 - 미국 OTA(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에 의해 기본개념 정립 : 기업이 가지고 있는 기술의 주관적인 가치의 객관화 과정을 통해 기술, 기술비즈니스, 기술기업을 평가한 결과를 다시 화폐적 가치로 전환시키는 작업 ○ 기술가치평가의 중요성 - 기술가치평가는 기술의 옥석을 구분해 선택과 집중의 논리 하에 자원을 배분하고 기업의 혁신성을 높여주며, 자칫 사장될 수 있는 기술을 발굴하고 자극하여 신산업 창출의 가속화에 기여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가치‧시장성 평가 [필요성] ○ 기술가치평가의 필요성 - 중소벤처기업의 무형자산을 담보로 한 대출 및 자금지원 확대 - 벤처기업 인증 등 정부 인증사업에서 기술평가를 필수사항으로 요구 - 기술이전거래에서 기술가치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 - 기술개발의 기획단계에서부터 의사결정 및 개발결과에 대한 기술평가가 요구됨 - 기술의 현물출자를 위한 평가 - 기업의 기술전략수립, M&A 및 기업구조조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 [필요성]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가치‧시장성 평가 [유형] ○ 기술가치평가의 유형 : 기술가치의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기술등급(기술력)평가, 기술성(사업성) 평가, 기술가치평가로 구분 - 기술등급(기술력)평가 : 기술의 사업화 가능성을 백분율이나 등급으로 평가 - 기술성(사업성)평가 : 기업의 전반적 기술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개별기술 수준, 기술인력, 지적재산권, 연구기설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 기술가치평가 : 기술가치의 평가결과를 화폐금액으로 나타내는 것 [기술평가 유형별 평가목적의 차이] 평가유형 평가목적 기술거래 기업거래 투융자 정부지원 기술등급(기술력)평가 ○ 기술성(사업성)평가 기술가치평가 △ 기업가치평가 자료 : 한국기술거래소 기술이전사업화 백서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가치‧시장성 평가 [활용] ○ 기술가치평가의 활용 - 거래 : 기술의 구입, 판매, 라이센싱을 위한 거래가격 산정 - 출자 : 기술현물 출자 시 적정가액 산정 - 투융자 : 기술투자, 기술의 재무증권화 또는 대출 담보 설정 - 세무 : 기술의 기증, 처분, 상각을 위한 세무계획 수립 및 세금 납부 - 전략 : 기업의 가치 증진, 기술 상품화, 분사(Spin-off) 기타 장기 전략적 경영계획 수립 - 청산 : 기업의 파산 또는 구조조정에 따른 자산평가, 채무 상환계획 수립 - 소송 : 특허권 침해, 채무불이행, 기타 재산 분쟁관련 법적 소송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가치‧시장성 평가 [활용 현황] ○ 기술가치평가의 활용현황 [기술평가의 활용 실태 (2005년)] 구분 기술평가 중요성 활용실태 투자 기술현물출자 ◎ △ 초기단계 투자 X 성장단계 투자 ○ 융자 기술보증대출 일반융자 회수 M&A 거래 권리 기술거래 기술분쟁 - 지적재산 및 무형자산의 기술혁신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평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자료 : 산업자원부 기술거래 및 평가기관 지정요령, 2006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2) 기술이전/사업화 컨설팅 활용 [기술거래] ○ 기술 이전 정의 - ‘특허법 등 관련 법률에 의하여 등록된 특허·실용신안·의장 반도체 배치설계, 기술이 집적된 자본재·소프트웨어 등 지적재산인 기술 및 디자인·기술정보 등 기타의 기술이 양도·실시권 허여·기술지도 등의 방법을 통하여 기술보유자로부터 그 외의 자에게 이전되는 것 ○ 기술거래 유형 : 매매, 라이센스, OEM, 기술제휴 [국내외 기술거래 규모 추정 (2004년)] 구분 시장규모(억달러) 종류 금액 합계 국내거래 기업간 27 30 연구기관 기업간 3 국외거래 기술도입 45 60 기술수출 15 자료 : 한국기술거래소 내부자료, 2005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2) 기술이전/사업화 컨설팅 활용 [기술사업화] ○ 정의 [기술사업화 유형] - <기술이전촉진법>상에서는 ‘사업화라 함은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의 개발·생산 및 판매를 수행하거나 그 과정의 관련기술의 향상에 적용하는 것 - 기술 개발, 사업 개발, 시장 개발을 융합시킴으로써 연구개발 성과의 상용화 성공률을 제고 [기술사업화 유형] 구분 사업화 유형 내용 공공부문 공공기술 이전·사업화 * 정부 R&D자금의 투입으로 개발된 기술을 민간기업에 이전하여 사업화는 것으로 정부 R&D 사업의 효율성과 경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 공공기술 개발자 창업 * 대학, 연구기관이 주관이 되어 개발한 기술을 기술개발에 참여한 교수, 연구원 등으로 하여금 창업 및 사업화하도록 하는 방안 민간부문 자체기술 사업화 * 민간기업이 자체 개발하였거나 공동으로 개발한 기술을 직접 제품화하여 판매하는 방안 이전기술 * 기술의 판매희망자와 기술의 구매희망자가 연결되어 민간부문에서 해당기술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이를 사업화하는 방안

단속기업, 합작기업(Joint Venture), 기업분할(Spin-Off)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2) 기술이전/사업화 컨설팅 활용 [기술사업화 전략] ○ 연구개발성과를 활용하여 수익화하는 방법 - 기술 라이센스, 연구원 창업, 다른 기업과의 인수 및 합병 ○ 연구성과를 확산하는 방법 - 산·학·연 공동연구, 기술지도 및 자문, 인력 교류 등 [기술사업화 성공 유형] 기술창업형 단속기업, 합작기업(Joint Venture), 기업분할(Spin-Off) 수익발생형 기술 매매, 기술 라이센스 시장진입형 제품 및 서비스 매출 기술혁신형 품질향상, 공정개선, 생산성 제고

테크노파크, 기술혁신센터, 지역기술이전센터 등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2) 기술이전/사업화 컨설팅 활용 [기술사업화 과정] ○ 기술사업화 과정 - 기술을 개발하는 기술공급자, 기술을 활용하여 사업화를 추진하는 기술수요자, 기술의 이전·사업화 과정을 중개 및 지원하는 기관, 기업의 사업추진 및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거점기관 등 4대 주체가 참여 [기술사업화 참여 주체] 기술 공급자 (대학, 출연(연), 기업연구소, 개인 등) 중개/지원기관 (기술거래, 기술평가, 인큐베이팅, 기술투자 등) 기술 수요자 (대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 등) 기술혁신거점기관 테크노파크, 기술혁신센터, 지역기술이전센터 등

Ⅴ. 기술 사업화 전략 수립 2) 기술이전/사업화 컨설팅 활용 [기술사업화 과정] ○ 기술사업화 추진 과정 - 사업화 니즈와 기술발굴부터 상용화추진개발, 그리고 시장 진출까지의 3단계로 진행 되는데, 사업화 단계에서는 기술, 자본, 인력, 혁신역량, 정보 등이 필요 [기술사업화 과정] 1단계 : 수요파악 및 기술중개 2단계 : 기술이전 및 사업화 3단계 : 사업착수 기술 공급자 산학연 및 개인보유기술 기술가치평가 기술이전/ 거래 사업화 자금 제품화/사업화 추가개발 양산, 마케팅 경영 등 제품/서비스 시장진출 기술패키징 및 기술마케팅 기술 수요자 대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 등 신제품/신사업 전략 및 기술 Sourcing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