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역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지역사회복지론 ) Community welfare 제 4 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목차 Ⅰ.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Ⅱ.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Ⅲ.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Advertisements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선교전례사목부. 선교전례사목부 사목목표 사목목표주요시책 1 사목 교서에 따른 업무 1-1. “ 신앙의 해 ” 주제에 따른 업무 및 교육 1-2. 제 2 차 바티칸 공의회에 따른 선교 방법의 체계적 교육 확대 1-3. 선교를 위한 레지오, 구역반장의 인식 고취 1-4.
지역사회복지론 3 주차 :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3 교시 :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김경석 교수.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학생 포트폴리오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 포트폴리오란 ? 포트폴리오의 기능  학생의 경험 및 전공 관련 학습결과를 정리한 결과물  학교생활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 재능 및 취미 등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  자신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회복적 생활교육 Restorative Discipline
3장 정신보건정책과 전달체계의 현황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해.
사회복지학부 03H0028 안상엽.
Volunteer work.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Is Web Usability Abstract or Concete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2-3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지역사회복지론 -.
2-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지역사회복지론 -.
제6장 사회복지는 언제부터인가.
Ⅰ. 인보관과 인보정신 * 인보관의 각 국가별 기원
포항시종합자원봉사센터 오인섭 , 임건택.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박 경 진.
<실습일정표> 7월 3일~8월 4일(5주)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Is Web Usability Abstract or Concrete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적십자 이야기.
정신보건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사회복지실천론.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제2장 지역사회복지.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부패실태와 대책 장한마로.
미국 음악교육자협의회 (MENC,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사회복지실천론 이수천 M.A.,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제장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제1절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실천 지도교수 : 장 덕 희 교수님 발 표 자 : 권 영 주.
보건교육방법론 1주.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미국 영국.
조직화란 조직의 목표를 최상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제 2 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외국(미국, 영국).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Anyang Volunteer Center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사회복지실천론 장덕희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주관 : (사)한국사회복지심리사협회, 강남전문학교 공동
사회복지실천기술론(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미국사회복지정책의 역사.
2017년 2학기.
사례관리 case management.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정신보건센터.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제8장 지역사회복지.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지방자치제도.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2019 꿈나라 교육캠프」 교육봉사자 모집 모집 개요 ㅅ 신청 방법
Presentation transcript: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역사적 배경 1601년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구빈법 지방정부로 하여금 빈곤한 자를 원조 시설중심 → 지역사회중심 시설중심 → 지역사회중심 일할 능력이 있는 빈곤자에게는 원조 X 수혜자격 검사를 통해 최하봉급액수 이하로만 원조제공

역사적 배경 지역사회중심의 구호 시설보호의 효율성 낮음(비용 多, 효과 低) 오늘날의 재가복지 서비스 최소한의 빈곤자, 최소의 액수, 최단 기간만 원조 (우애방문자들의 수혜자격 검사 – 오늘날의 자산조사) 실질적인 원조 X , 우애방문자들의 상담, 조언제공 수준 열등처우의 원칙

역사적 배경 우애방문자(friendly visitors) 인도주의적 기능 중산층 기독교 부인들이 상담 및 교육, 교화의 역할 빈곤을 가난한 자들의 탓(무지, 게으름) 차별대우하는 태도 사회통제적 기능 정부의 원조에 대한 수혜자격 평가, 조사, 등급제 실시 = 전혀 우애적이지 않은 사람들

역사적 배경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COS) 최초의 자선조직협회 : 영국 런던(1869) 미국의 경우 800여 개의 군소 자선단체들이 연합 자선적 원조를 직접 제공한 것이 아니라 자선단체들을 과학적으로 통합 조정해주는 역할 우애방문자들의 역할 : 도덕성 교화, 가족의 위계질서 유지 사회복지사들의 역할 : 수혜대상자 점검, 중복수혜 방지 개별사회사업(casework)의 시초

역사적 배경 인보관 운동(Settlement House Movement) 1885년 토인비홀(Toynbee Hall) 시초 1889년 제인 아담스가 세운 헐하우스(Hull-House) 일하는 모든 사람들이 이곳에서 숙식하며 생활 한 지역사회 내에서 함께 살면서 그 주민들과 하나가 됨을 표방 대학생들, 사회개혁가들 (→ 현대 지역사회 사회복지사들) 빈곤의 원인 : 무직(산업화 착취의 결과) 집단교육 및 토론을 통한 사회변화 모색(거주, 연구조사, 개혁) 형제자매 간의 우애의 질서 빈곤, 장애를 가진 소외계층에 대한 권한부여(empowerment) 강조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전문직으로의 발돋움 보수체계의 정립 우애방문자들의 봉사활동에 대가를 지불(지속성, 책임성↓= 책임성↑) 지도감독자 관리자를 고용(현재의 슈퍼바이저) 교육 및 훈련제도의 채택 교육의 필요성 대두, 교육프로그램 마련 뉴욕자선학교 6주간의 여름학교를 시작으로 발전(1년과정, 2년과정)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전문직 성장의 위기 정신의료영역, 심리학, 사회학 등 다른 학문들과의 원조과정을 통해 전문직으로 번창 1915년 플렉스너(의학교육 비평가) : 사회복지 전문직에 대한 비판 체계적 이론과 기술 부족 전문적 환경 개선 : 교육 및 훈련을 위한 학교 설립, 책 발간, 협회 구성 1917년 리치몬드의 사회진단(social diagnosis) 전문적 기술 습득 전문인으로서의 정착을 위한 노력 짧은 기간동안 빠른 발전이 이루어짐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전문직으로 정착 사회복지사들의 역할영역이 넓어짐(병원, 학교, 법정 등) 사회복지실천의 공통요소를 정리하는 작업필요 1929년 밀포드 회의(개별사회사업 방법론 발표) 병원, 아동상담소, 가족치료세팅 등 사적이고 개인적인 문제에 투입 1930년 대공황, 뉴딜정책으로 공공영역에 사회복지사 고용 시작 개인문제의 근원은 사회에 있음(직업상실, 우울증 등)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성장단계 치료적 접근방법의 회생 2차 대전 후 전쟁으로 인한 가족의 붕괴, 가족의 분리, 청소년 문제 등 복합적 문제를 가진 ct를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 아웃리치(outreach) 상담실에서 ct를 기다리기보다 ct가 있는 곳으로 접근 1960-70년대에 확산 지역사회를 접근대상의 단위로 봄(통합적 방법론의 정착) = 개인문제와 사회문제를 두루 섭렵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정착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한국에서의 정착 1921년 태화여자관(현.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최초의 지역사회복지관 미국의 인보관 운동의 형태(사회계몽, 사회개혁) 무지, 빈곤, 비위생, 차별, 착취로부터의 해방 1985년부터 복지관 설립이 활발해짐 현재 407개의 사회복지관 설립 1997년 정신보건법의 시행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탄생 1987년 사회복지전문요원(1997년부터 전담공무원) 탄생 2004년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운영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한국에서의 정착 최초 정식교육기관 :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사회복지학회 등 공식모임 탄생 매년 9월 7일 ‘사회복지의 날’ 제정 자격제도 확립(2003년부터 국가자격시험 도입) 사회복지인력 확대(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일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