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포장의 파손방지 대책 소성변형 저감대책 교면포장 파손방지대책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96 Cavity 열 해석 평가 96Cavity 에 적용된 HRS 온도 분포 상태 검토 Thermal Analysis Objective Analysis Type Temp. ( ℃)
Advertisements

2 호선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결과보고 승무지부 성수지회. 힘차게 전진하는 승무지부 성수지회 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 유해요인 조사내용 1. 운전실내 의자 불량개소 파악 2. 운전실내 돌출부위 파악 3. 2 호선 전 구간.
1. 제품 소개 담수능력이 있는 적층식 제방블록 강우시 일정량의 빗물을 담수하여 서서히 침투수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의 유·출입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적층식 제방블록 사진 1. 적층식 제방블록.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세월호 침몰과 오뚜기 원리 2학년 6반 14번 김현성.
구포3동 대우 아파트 입구 우천시 도로 침수 (축협 두배로 마트 앞) 문제점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설비기기의 소음, 진동 대책.
- PE HOSE 개선대책 대아수지공업(주) D.A.C.
▣ 근접센서(condet 시리즈) ▣ 물을 많이 사용하거나 순간 물 분사압력이 강한 산업 현장에서는 기존의 IP68 방수등급의 제품을 사용하시는 경우 침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격거리 10~15cm에서 80℃온도하에 80~100bar의.
시 공 계 획 서 현장명 : 서울대학교 신양학술정보관3 공 종 : 노출콘크리트공사 금 웅 건 설 주 식 회 사.
양천길 개착구에 매설된 지하지장물(상수도, 전력구 등)의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제조공학 담당 교수 : 추광식 산업시스템공학과.
1. 초음파 가공의 구성 1. 초음파 가공 ◆ 초음파 가공기의 장치 구성
Awning 구조해석 결과 보고서 (사) 전북대 TIC R&D사업단 선행기술팀
소재제거 공정 (Material Removal Processes)
건설분야–교육자료 교육미디어 포장, 포설 및 다짐 작업안전 포장 장비 반입 포장 시공 포설 및 다짐.
浩山 엔지니어링주식회사 ENGINEERING & MANUFACTURE
부산광역시 (BUSAN METROPOLITAN CITY)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1)
목차 개선 제안 제안과제 장점 설계도 1. 연구과제 2. 주요 개선 내용 3. 대표적인 연질골격재 사용의 성공사례
구체 방수 혼화제 - 베스톤 유주현.
응력과 변형도 – 축하중.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MAGNI 109 THE MAGNI GROUP,ING. (ASTM B 시간 ) 제품 설명: 외관: 성능 데이타:
덤프트럭 작업시 장비 안전기준 작업시 유의사항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장비별 공통 안전수칙10계명 굴삭기 •버켓 탈락방지용 안전핀 설치 •비탈면 전도방지 위한 작업경로 확보
현장관리 모범 사례.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 관중심 접합 접속하는 관거의 내면 중심부가 일치되도록 접속 시키는 방법. 수위접합과
먼저 본사의 잘못으로 귀사에 피해를 드린 부분에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7. 전자석 센 전자석 만들기 2007 과학수업평가포럼.
항온 항습기 실외기 이전설치 계획 10RT 실외기 제원 제조사: 씨지아이 품명 : RC100A 압축기 동력: 7.5kw
2011 봄학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탄성 해석 김진근 교수 건설 및 환경공학과 KAIST.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방수 및 누수방지 착안사항.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아크릴 시트방수 특허 제 호 ㈜ 흥 신.
1. TR&T 공 법 개요 TR&T 공법은 가. 지하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대구경 강관을 압입하고 나.강관내부를 굴착한 다음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사방시설 우수사례 제출(서식) 2018 제출 기관명.
5m 차량차단기.
4.7 보 설계 보 설계과정 (a) 재료강도 결정 (b) 보 단면 산정 (c) 철근량 산정 (d) 최소 및 최대 철근비 확인
Gland Packing 과 Mechanical Seal의 비교
건물형 이동식 샤워장 시방서 모델명 : BT80-S 제조사 : ㈜코리아 카라반.
교실용 SD-101 system (특허 ) 장선: 30x70x0.8t 지주: 주 장선 간격 : 900mm
1-5 용해도.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공정표준 준수를 위한 설비 개선 항목 주물생산부 공정 구분 라인명 문제점 개선 방안 비고 사처리 1, 3, 5라인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문제: 길이 1. 5m의 봉을 두 번 인장하여 길이 3. 0m로 만들려고 한다 아! 변형(deformation)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 품질 문제 대책서 작성시 주요점검 사항 (Check Sheet)
P707 내진랙 Series.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 개선대책 유효성 평가 1. 개선대책 유효성 평가 ▶ 평가 방법 - 실린더 온도 조건 변경 ( )
압출 개요 압출 작업 압출하중의 근사계산 압출 공정변수 하중 근사식 모델재료의 이용 전방압출의 해석
고체역학1 중간고사1 부정행위는 친구의 죽이기 위해서 자신의 영혼을 불태우는 행위이다! 학번 : 이름 :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광물과 광물학.
DAEHAN SOLUTION MEXICO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SONUDPROOF SMART RACK P-707Series SOUNDPROOF SMART RACK.
고해상도 IP 무선 송수신기 제품 MANUAL Model Name : D2400.
▣ QXk 품질 실패사례 반영 결과 과거 차 정보 QXk 차종 반영(확인)결과 ▶현상, 문제점 -.현 상 : Cap 외관불량
Work SMART, Smart CammSys
Presentation transcript:

아스팔트포장의 파손방지 대책 소성변형 저감대책 교면포장 파손방지대책

소성변형 저감대책

소성변형의 원인 차륜 통과위치를 따라 골이 패인 형상

소성변형의 원인 원인 재료요인 - 골재의 편장석 - 입도불량 - 아스팔트 연질 - 아스팔트 침입도등급의 문제점

소성변형의 원인 원인 배합설계요인 - 설계아스팔트함량 부적정 - 혼합온도, 다짐온도 - 이론최대밀도 - 다짐횟수 - 콜드빈 배합설계 : 콜드빈 투입비 결정

소성변형의 원인 원인 배합설계요인 - 핫빈 배합설계 : O.A.C 결정 - 현장배합(Job Mix Formula) - 콜드빈과 핫빈의 입도관리

소성변형의 원인 원인 시공요인 - 다짐부족 또는 과다 - 노상약화 환경요인 - 과적차량, 교통정체 - 이상기후(고온)조건

소성변형 저감대책 보수 - 노면절삭 - 절삭덧씌우기 대책 - 골재입도개선 : SMA, 배수성포장, CRM포장 등 - 개질아스팔트 : PG 76-22 등

교면포장 파손방지 대책

교면포장 파손 사례 펀칭현상

교면포장 파손사례 교면슬래브 열화 철근노출

교면포장 파손사례 균열 및 포트홀

교면포장 파손사례 콘크리트 열화

교면포장 파손사례 토분 퇴적

교면포장 파손현황 조사범위 최근에 발생된 교면포장의 파손과 관련하여 시행된 기술자문결과를 대상으로 분석 지역별 파손현황 - 전체 : 49개소 중부(5), 강원(26) 충청(8), 경북(2) 경남(8) 강원지역본부에서 포장파손이 가장 많이 발생

지역별 파손특성 강원지역본부에서 슬래브 열화가 가장 심함. 적설지역에서 염화물침투에 의하여 포장파손이 많이 발생

교면방수 형식별 특성 침투식 방수는 염화물침투로 슬래브 열화가 많이 발생

교면포장 파손원인 분석 적설지역에서의 교면포장 파손 방수형식별 교면포장 파손 다짐부족에 의한 파손 배수시설의 배수기능 상실

적설지역에서 교면포장파손 습염식살포로 염화물을 이전보다 많이 살포하게 됨.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부족 등으로 제설작업으로 녹은 물이 침투하게 됨. 침투된 물은 염화물을 함유하여 슬래브를 열화시킴. 따라서, 우수를 차단하거나, 침투수를 신속히 배제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함.

방수형식에 의한 교면포장 파손 교면방수는 포장파손의 가장 큰 원인 시트방수 : 시트와의 융착불량 도막방수 : 층간 부착강도 저하 침투식 방수 : 차단막이 없음.

시트방수의 파손원인 시트위에 고온의 아스팔트 혼합물이 융착되어야 하나, 혼합물의 온도저하로 시트와의 융착불가로 부착강도가 저하됨. 다짐부족에 의하여 우수침투가 발생 침투수는 차량하중의 과잉간극수압에 의하여 포장체와 방수막을 분리

시트방수의 파손원인 백태현상 및 포트홀 시트와 포장체의 분리

도막방수의 파손원인 방수막을 형성하며, 방수막은 층간 접착이 중요함. 교면포장에서는 차량하중의 진행방향으로 수평전단응력이 발생됨. 방수층은 수평전단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부착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함. 방수막이 부착강도를 상실할 경우 교면포장 파손(밀림, 포트홀)이 발생

도막방수의 파손원인 슬래브와 방수층 분리 밀림 및 균열에 의한 포트홀

침투식방수의 파손원인 침투식방수는 방수막을 형성하지 않음. 포장체로 침투한 물은 슬래브에 체류 제설작업시 염화물이 같이 침투 침투된 염화물은 슬래브 열화를 가속화

침투식방수의 파손원인 철근 노출 골재분리

다짐부족에 의한 포장파손 다짐이 불량하면 우수의 침투가 발생 아스팔트 혼합물은 다짐완료후 초기공극률이 8%미만이 되어야 함. 8%를 넘을 경우 포장체내부로 우수 침투 침투수는 차량하중에 의한 과잉간극수압으로 포장파손이 발생

다짐부족에 의한 포장파손 공극률과 투수관계 : 8%넘으면 투수급증 체류수의 용출

배수시설의 배수기능 상실 현재 종방향 배수드래인 파이프 시공 종방향배수 시설에도 불구하고 침투수가 용출되고 있음. 종방향 배수시설만으로는 배수에 한계 다차로의 경우 배수거리 증가 종방향 및 횡방향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배수거리 단축 필요

배수시설의 배수기능 상실 종방향 드래인 파이프 매설 파이프 매설근처 코아채취 : 침투수 용출

교면포장 파손방지대책 신설구간의 파손 방지대책 유지보수구간의 파손방지대책  교면방수, 교면포장두께, 다짐 및 온도관리, 침투수의 처리 유지보수구간의 파손방지대책  슬래브 보호, 교면방수, 교면포장

신설구간의 파손방지대책 교면방수  적설지역에서는 시트방수 원칙 교면포장 두께  침투식 방수 사용금지(라멘교 포함)  도막방수 : 접착강도와 두께 확보 교면포장 두께  교면포장의 하단에서 부착응력 발생  부착응력 감소를 위하여 두께증가 필요  최소두께는 반드시 8cm 확보

신설구간의 파손방지대책 다짐 및 온도관리  다짐을 철저히 하여 투수 억제  방수층과 혼합물이 융착될 수 있도록 온도 및 다짐관리 철저  콜드조인트에서 투수발생  콜드조인트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두 대 의 피니셔로 동시포설

신설구간의 파손방지대책 교면 침투수의 처리  포장체로 침투한 물의 신속한 배수 필요  침투수의 배수를 위하여 종횡단 배수 시설 설치  다차로 구간 종단배수시설 추가 설치

신설구간의 파손방지대책 종횡방향 배수시설 설치예

유지보수구간의 파손방지대책 슬래브 보호  슬래브가 열화된 부분은 완전히 제거  부분보수일 경우 초속경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보수  전면보수일 경우 LMC로 보수  슬래브와 방수층 접착이 중요

유지보수구간의 파손방지대책 교면방수  침투식 방수로 시공된 경우는 침투식 방수로 재보수하는 것을 금지  시트나 도막방수로 시공된 경우 방수 상태가 양호하면 방수막 보호조치  방수시공시 층간 접착이 중요 - 도막위에 택코팅 실시 : 역청고무계 - 시트는 아스팔트혼합물의 온도관리

유지보수구간의 파손방지대책 교면포장  종횡단 배수시설 설치 포설 등  콜드조인트 최소화 : 피니셔 두 대 동시  다짐관리 : 기준밀도의 96(97)%이상  두께조정 : 4cm에서 5cm로 증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