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릭의약품 신뢰성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2013.1.24 식품의약품안전청.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국제공인교정기관 한국시험교정기술원. 본사 / 교정센터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60 ( 소하동, 광명테크노파크 B 동 501 호 ) TEL : ~1, FAX : ( 주 ) 한국시험교정기술원 (KTCTI) 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으로부터.
Advertisements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불특정 공격에 무너진 H 사 업무 시스템 서서히 저하 내부에서 원인 불명으로 네트워크의 속도가 서서히 저하 되는 현상이 발생 공격의 발생 핵심 장 비 서비스가 되다 되지 않는 현상이 심해지고 결국 핵심 장 비는 장애가 발생하게 됨 장비 장애 발생 핵심 장비 장애 전체.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정보보안 담당자 교육 자료 일시 : (금) 장소 : 광주교육정보원 대강당 발표자 : 백창범.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우수훈련과정 수강 신청서
도전과 열정을 지닌 우수한 인재를 모집합니다! 2011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개채용 ▶ 모집부문 및 응시자격 ▶ 지원방법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중전기기 기술개발기금 사업계획서 발표자료 과제명 : ooo 기술개발 ooo㈜
접수번호 : 스마트콘텐츠 중화권 전략 비즈니스 지원사업 참가 업체 사업계획서 - 프로젝트명(앱) : 업 체 명 :
제약 산업의 이해.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2010 하반기 눈높이 간담회 의약품심사부.
신기술 장비 공모제도 LG 디스플레이는 업계, 학계 및 연구소와 긴밀하게 협업해서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순서 시간 참여자 등록 13:30~14:00 개회사 14:00~14:05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연구기획조정과 임철주 과장 환영사
의료기기 임상시험의 기반구축 방안 오 용 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국내 말 임상 분야 소개 한국말임상수의사회.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점검(Audit)과 실태조사(Inspection)
허가사항 초과 약제 비급여 사용 승인 근거 : 보건복지가족부 고시 제 호 ( )
제1장 병원 경영의 이해 및 병원 환경의 변화.
Government Policies on pharmaceuticals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공인인증서 신청 및 발급 제일 먼저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인터넷뱅킹 신청.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1. 이의신청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기 마이페이지 ▶계약이행능력평가 ▶이의신청관리 ▶물품분류명 ▶신청 No
과제 제목 : 책임연구자: 연구자 주도 / 의뢰자주도 (제약회사 명칭) 다기관 / 다국가 연구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숙명여자대학교 IACUC 웹사이트 이용 매뉴얼
HP: 사업 제안서 거울이 부착된 안약용기 HP: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발표평가 자료 작성 유의사항 각 페이지의 작성 TIP을 참고하여 내용 기재 (총 20페이지 이내, 발표시간 약 10~15분)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Open4U 공급업체 접속 방법 Open4U 시스템 신규 접속 방법 메인 화면 및 로그인 하기 초기 비밀번호 변경하기
기술보증기금.
기획재정부 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추진단
제1장 기업환경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1.1 기업환경의 변화 1.2 품질경영도입의 필요성.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에너지관리공단 효율기술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 신고방법 시험기관 안내용.
㈜엔프라넷.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공인인증로그인 매뉴얼.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클럽 상담자'로 봉사 국제협회  지대위원장 연수.
공인인증로그인 매뉴얼.
노란책 온라인 쇼핑몰 프로젝트 계획서.
주문자상표부착(OEM) 수입식품 위생점검 서비스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WISE DQ.
모유착유기 구성품 허가ㆍ관리 방안
【기술보증기금】.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고효율 전구체 생산 모듈시스템 개발 및 플랫폼기술 개발 대량생산용 인공지능 전구체 합성세포공장 개발
공인인증로그인 매뉴얼.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및 인플루엔자 사업 참여 매뉴얼
씨엔케어㈜ 제품 소개
IP 아카데미 대학 지식재산 이러닝 단체교육 신청 안내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제네릭의약품 신뢰성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2013.1.24 식품의약품안전청

I. 제네릭의약품을 둘러싼 정책환경(1) [품질경쟁] 다품종 소량생산에서 소품종 대량생산으로 변화 대내적 환경 [품질경쟁] 다품종 소량생산에서 소품종 대량생산으로 변화 오리지날약과 생물학적 동등성 확보와 GMP 하에 품질경쟁(양적에서 질적으로 변화해야할 시점) [약제비 절감] 고가의 오리지날 품목을 저가의 제네릭의약품으로 대체 생물학적 동등성과 글로벌 수준의 품질이 확보된 제네릭의약품의 사회적 수요증대

I. 제네릭의약품을 둘러싼 정책환경(2) [한미 FTA ] 국내에서 뿐만아니라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무한 경쟁 불가피 대외적 환경 [한미 FTA ] 국내에서 뿐만아니라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무한 경쟁 불가피 미국 등의 제네릭의약품이 국내 수입되고, 우리나라 제네릭도 외국과 경쟁 허가특허 연계제도 시행에 따른 지식재산권 관리 강화

II. 신뢰성 관점에서 제네릭의약품의 특징(1) 생물학적 동등성시험 <신약> <제네릭의약품> 비임상시험(GLP) → 신뢰성 보증업무 (GLP) 임상시험(GCP) → 생동성시험 (GCP) (피험자 동의) (피험자 동의) 임상시험실시기관 지정 → 생동성시험기관 지정 (분석기관 포함)

신뢰성 관점에서 제네릭의약품의 특징(2) 품질자료 신약원료 = 생동성 원료 : DMF, ICH Q7, 신약 = 생동성 품목 : GMP 특허(지식재산권) 신약의 특허만료전에 생동성 등 연구 완료 특허존속기간중 시판하고자 할 때 : 특허쟁송 표시기재 생동성이 입증되면 신약과 동일한 효능, 용법 등 표시 신약/제네릭 : 생산시설 정기 약사감시 실시

III. 국산 제네릭의약품의 현주소 국내 기업간 제네릭의약품 경쟁만으로는 한계 글로벌 제네릭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테바사 : 고품질의 대량생산 및 글로벌 마켓팅 네트워크 확보 리베이트 근절 정책 : 건전한 시장경쟁 체계로 전환 중 시장의 투명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더 노력 필요 국산 제네릭의약품의 신뢰성은 회복 중 그러나, 아직 2006년 생동성 조작사건으로 잃어버린 소비자 불신의 불식에는 한계 30%의사만 제네릭의약품 신뢰 (반신반의 64%, 한국일보 11.3월)

제네릭 신뢰성 확보 정책현황 1. 철저한 시험관리 2. 피험자보호, 신뢰성 보증 강화 ① 시설, 운영체계가 적합평가된 생동성시험기관에서 시험실시(기관지정제 도입) ② 시험계획서에 대하여 시험기관내 심사위원회 및 식약청의 사전승인 ③ 허가 신청된 품목에 대한 철저한 실태조사 ④ 모든 기초자료(raw data) 및 컴퓨터 원본자료 제출 ⑤ 분석기기의 자료조작 방지프로그램(Audit trail※) 설치 의무화 2. 피험자보호, 신뢰성 보증 강화 ① IRB를 통한 피험자의 안전보호 및 보상 등 피험자의 권익 검토 ② 피험자는 만19∼55세 성인중 건강진단시 병적증상, 소견이 없는 경우에 선정 ③ 시험 전 3개월 이내에 생동성시험 또는 기타 임상시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제외하여 중복 참여하는 것을 방지

3. 엄격한 법률 적용근거 마련 4. 글로벌 기준의 품질확보 5. 정보제공 및 홍보노력 ① 거짓 시험성적서를 발급하는 경우 시험기관 지정을 취소 ② 정밀약사감시 실시 : 행정처분 등 위해요소를 고려한 평가결과에 따라 52개 업체, 156품목에 대해 실시 4. 글로벌 기준의 품질확보 국제수준의 GMP기준시행, 품목별 GMP시행(’08년) 5. 정보제공 및 홍보노력 ① 일반의약품, 전문가용 홍보 리플렛 및 동영상 배포(11년) ② 식약청-의사협회(11명) 합동 생동성 기관 및 제약기업 방문(11년) ③ 식약청-언론사(8명) 생동성 기관 및 제약기업 방문(11년)

자칫 생동성 시험/제네릭 품목의 질과 신뢰성 저하(?) 국산 제네릭의약품의 현주소(3) 기업 : 채산성을 높이려는 노력 직접생동대신 위탁생동 전환 ; 생동성 시험 축소 저가원료 사용 등 원가절감 노력 생동성 기관 : 줄어든 생동성 시험시장에 대응 자칫 생동성 시험/제네릭 품목의 질과 신뢰성 저하(?)

IV. 제네릭의약품 신뢰성 향상 정책방향 <안전성 관리는 지름길이 없다> 추진방향 생동성 시험 : 신뢰성,윤리성 지속확보, 시험대상 확대 품질 : 국제수준의 품질확보, 국제적 인정 소비자 신뢰성 : 소비자 정보제공, 홍보강화

IV. 제네릭의약품 신뢰성 향상 정책방향 <안전성 관리는 지름길이 없다> 생동성 시험 글로벌 스탠다드에 의한 신뢰성 확보 노력 지속 생동성 시험이외에 비교용출시험에 대해서도 Audit trail 실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생동성 시험의 윤리성 관리 지속 동의서, 피험자 중복참여 관리 등 철저 산제, 과립제 등으로 생동성 시험 의무화 대상 확대 - 과학적으로 생동성 시험이 불필요한 성분은 의무화 해제 추진 생동성, 비교용출자료 신뢰성 문제 발견시 허가취소 등 엄격한 법적용

제네릭 허가신청시 CTD 제출 의무화 추진 및 PIC/S 가입, GMP상호인정 추진 등을 통한 국제적 신뢰 확보 품질 확보 제네릭 허가신청시 CTD 제출 의무화 추진 및 PIC/S 가입, GMP상호인정 추진 등을 통한 국제적 신뢰 확보 생동성 품목에 대한 엄격한 변경관리 제조단계 GMP 변경관리 강화(중요공정을 허가사항으로 관리) 생동성 품목에 사용되는 원료의약품 DMF 지정관리 원료의약품 품질관리 기준 국제조화(ICH Q7 의무화 검토) 제네릭의약품 생산업체 중심의 정밀약사감시 실시 지속 제네릭의약품 수출하려면 국제기준에 따라 실태조사 필요(FDA,EMA)

우수한 생동성 시험 인프라 확충 : 기관지정제를 통한 엄격한 관리 소비자 신뢰성 우수한 생동성 시험 인프라 확충 : 기관지정제를 통한 엄격한 관리 불법 사항이 발견되면 엄격한 법집행을 통해 적당한 관리는 안된다는 의식고취 의약사 단체, 제약기업, 소비자 단체와 함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제네릭의약품의 정보제공, 홍보강화를 통한 인식전환 제네릭 경쟁력 강화 지원 신뢰성과 관련없는 절차적 규제는 과감한 철폐 의약품특허인포매틱스를 통한 특허조사 분석 지원 해외 허가등록 지원 정책 개발(해외규제기관과 협력 등)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