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964년 겨울
작품 이해 1964년 황량하고 추운 계절인 겨울, 피곤하고 우울한 사람들이 모인 선술집의 밤을 통해 그 당시의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다. 사회적 연대성과 동질성을 상실한 현대인의 소외 의식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작가는 “서울,1964년 겨울”이라는 구체적인 공간과 시간을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시.공간은 산업화로 인해 인간의 물상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군사정권에 의해 민주화의 열망이 좌절되던 당시의 시대상을 대표하는 것으로, 작가는 이를 통해 현대인의 내면과 삶의 모습을 탐구하고 있다.
핵심정리 배경 : 1964년 어느 겨울 밤, 서울 거리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주제: 현대 사회의 지식인의 고뇌와 인간 소외
등장 인물 *- 나(25세) : 육사 시험에 실패, 구청 병사계에 근무. 소외감과 고독감을 느끼며 살아감 안(安, 25세) : 부잣집 장남. 대학원생. 삶에 대해 냉소적이지만 자기 구원을 시도하는 인물이다. - 외판원(35~6세) : 가난한 외판 사원인 그는 아내의 시체를 판 죄책감에 빠져 괴로워 하다가 여관에서 자살함.
구 성 ▶발단 : '나'와 '안(安)'이라는 대학원생이 포장마차 술집에서 만나 무의미한 대화를 나눔. ▶전개 : 낯선 사내가 말을 걸어오며 자신의 불행을 말하고 동행해도 좋으냐고 간청함. ▶위기 : 화재(火災)가 난 곳에서 사내는 아내의 시체를 판 돈을 불 속에 던지고는 불안에 빠짐. ▶절정 : 여관에 도착한 셋은 각각 다른 방에 투숙함. ▶결말 : 다음날 아침, 사내의 자살이 밝혀짐. '나'와 '안(安)'은 무덤덤한 표정으로 그곳에서 헤어짐. -- '개미'의 상징 : 꿈틀 거리고 있는 양심
특징 전반부는 서술자의 직접 서술, 중반부는 주로 대화, 후반부는 행동을 통해 인물을 구체적으로 제시 호흡이 긴 문장과 짧고 경쾌한 문장의 교차 무의미한 대화의 연속 상징적,비유적 어휘의 사용
대화의 의미 ‘나’와 ‘안’은 결코 자신들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들의 대화는 개인적이고 진실된 것이 아닌 무의미한 말놀이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의 대화를 통해 작가는 소통이 단절된 현대인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현대 사회의 어두운 뒷모습과 도시적 삶의 파편화로 인한 인간 소외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익명화된 등장 인물이 지니는 의미 이 작품의 등장 인물은 ‘나’, ‘사내’, ‘안’과 같이 익명화 되어 있다. 이는 현대 도시인의 삶의 방식인 개인주의 의사 소통의 단절, 개성 상실 등에 대한 작가의 의도가 담겨 있다.
개미를 피하려는 ‘나’의 심리 이 작품에서 개미는 죽은 사내로 연상되어‘나’의 죄책감과 양심을 자극하는 상관물이다. 그러므로 개미를 피하려 얼른 발을 피하는 ‘나’의 모습은 인간적 양심을 외면하는 ‘나’를 형상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우리가 너무 늙어 버린 것 같지 않습니까?” 라고 말한 이유? ‘나’와 ‘안’은 사내의 죽음을 방치하고 피해 버리는 등 많은 것을 겪은 늙은이처럼 무덤덤하고 무관심한 모습을 보인다. ‘소외’와 ‘비정함’으로 점철된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외면하고 거기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따라서 ‘안’의 이 말은 젊은이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자신들의 태도에 대한 성찰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물의 태도 나 ‘사내’ ‘안’ 자신의 모든 것을 토로하면서 자신의 고뇌를 함께 나눌 것을 간청 자신의 세계에 틀어박혀 타인을 도울 겨를이 없음 자신의 모든 것을 토로하면서 자신의 고뇌를 함께 나눌 것을 간청 ‘사내’의 자살을 짐작하지만 말리지 않음 냉소적 동정적
작품 투시도 나 의사 소통의 부재와 고독 인간관계 형성에 대한 경계 도시인의 이기심과 소외감 안 사내
시속 300㎞로 달리는 기차와 부딪혀도 살 수 있는 방법은? 63빌딩에서 뛰어내려도 죽지 않는 방법은? 시속 300㎞로 달리는 기차와 부딪혀도 살 수 있는 방법은? 마하 3으로 날 수 있는 비행기 위에 서 있는 방법은? 독약을 아무리 먹어도 살 수 있는 방법은? 1층에서 뛰어내린다. 뒤에서 부딪힌다 멈춰 있을 때 올라간다. 해독제와 같이 먹는다.
② 간결하고 함축적인 문장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위 글의 서술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작중 인물이 서술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② 간결하고 함축적인 문장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③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사건이 진행되고 있다. ④ 인물의 대화와 행동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⑤ 상징적 배경 묘사를 통해 상황을 암시하고 있다 제시된 장면은 세 사람이 밤거리를 돌아다니다가 여관에 들어온 때로부터 다음날 아침 ‘나’와 ‘안’이 죽은 사내를 뒤로 한 채 여관을 떠나 헤어질 때까지의 이야기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위 글을 영화로 제작하기 위해 의논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여관은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살릴 수 있도록 허름한 곳으로 정하는 게 좋을 거야. ② 화투는 사건의 극적 반전을 암시하는 중요한 소품이니까 잊지 말고 잘 준비해 두어야 해. ③ 여관방 내부의 모습은 세 사람의 역할과 성격이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꾸밀 필요가 있겠지? ④ 첫 장면의 밤거리 모습은 조명을 아주 밝게 해서 어두운 골목길과 대조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게 좋겠어. ⑤ 마지막 장면에서 ‘나’와 ‘안’의 역할을 맡은 배우들은, 애틋한 표정과 목소리 연기로 이별의 아쉬움이 잘 드러나도록 하자. 작품의 분위기는 인물이나 사건, 배경 등의 요소가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인물들 간의 대화 내용이나 아저씨의 죽음이라는 사건 등을 고려할 때, 이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우울하고 쓸쓸함’이다. 여관은 사건을 둘러싼 공간적 배경이므로, 이러한 분위기에 어울리도록 ‘허름한 곳’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위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인물들의 성격을 대화와 행동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② 상징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인물의 심리를 드러내고 있다. ③ 사건을 체험한 사람이 직접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④ 현실에 대응하는 과정을 통해 인물의 성격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⑤ 특정한 시대적 배경을 제목으로 설정하여 내용의 사실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 글에 등장하는 인물 이름은 구체적인 이름을 갖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작가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① 현대인의 이기심 ② 삶의 방향성의 상실 ③ 이상과 현실의 괴리 ④ 현대 사회의 냉혹한 현실 ⑤ 익명성과 인간 관계의 단절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물의 제시 방법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② 인물 사이의 갈등의 해소가 주요 내용이다. ③ 현대 도시인의 소외 현상을 자세히 보여 준다. ④ 비극적이고 외로운 현대인의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다 ⑤ 등장 인물들의 대사와 행동을 통하여 당시 시대상을 엿볼 수 있다.
이 글의 인물 설정 방식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인간 관계의 순간성. ②현대 사회의 익명성. ③ 도시인의 개인존중 정신. ④개별화되어 버린 인간 관계 ⑤인간 관계의 피상적인 접근.
‘여관’의 상징적 의미를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①현실을 극복하는 공간. ②자아를 억압하는 공간. ③집단적이며 밀폐된 공간. ④개별화하고 단절된 삶의 공간 ⑤내면 의지를 다지는 성숙의 공간.
위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삶의 공허함과 파편성이 드러난다. ② 인물 사이의 갈등이 사건으로 발전한다. ③ 현대 사회 인간 관계의 단절 현상을 엿볼 수 있다 ④ 소외된 인간의 무의미한 상황을 펼쳐 보이고 있다. ⑤ 사회의 연대성을 잃어버린 인간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등장 인물의 성격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안’은 자기 중심적인 인물이다. ② ‘나’는 타인에 대한 관심이 많은 인물이다. ③ ‘사내’는 비극적인 운명이 예감되는 인물이다. ④ ‘사내’는 자신의 고통을 공유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⑤ 세 사람은 상호간에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 작품에 대한 감상 중 반영론적 관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주제 의식을 상징적으로 잘 표현한 것 같아. ②사람이 죽었는데도 신고하지 않다니 너무 비도덕적이야 ③개인주의가 만연한 1960년대 서울의 한 단면을 드러내고 있군. ④ ‘사내’의 자살을 통해서 깊이 있는 인간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았어 ⑤1960년대에 어느 여관에서 일어났던 살인 사건을 작가가 다시 구성한 것이라고 하더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