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생각하는 힘 (1) 장 마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이 사진의 사회적 배경은?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 마 - 윤흥길- 시대적 배경을 알 수 있는 소재 : 빨치산, 빨갱이,6.25 전쟁 소재를 통해 알 수 있는 시대적 배경 : 장 마 - 윤흥길- 시대적 배경을 알 수 있는 소재 : 빨치산, 빨갱이,6.25 전쟁 소재를 통해 알 수 있는 시대적 배경 : 6.25 전쟁 직 후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다음 영화의 공통점은? 제공 : ㈜ 엠케이 픽처스, ㈜ 필름 쿡 플러스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이 글들의 시대적 배경은? 홍 길 동 전 옥상 의 민들레꽃 안 네 일 기 30 년 그 날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학 습 목 표 ‘장 마’의 의미와 주제를 말할 수 있다. 시대적 상황이 인물의 삶에 미친 영향을 말할 수 있다.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한국전쟁의 시대적 상황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6․25 전쟁으로 인해 우리 민족간에 이념이 대립되는 비극적인 상황이 드러남. ‘장마’의 사회적 상황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무속신앙(샤머니즘 사상)이 바탕이 됨: 무속은 한국의 전래 신앙임. ‘장마’의 문화적 상황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글의 구성 (줄거리) 구성 핵심내용 발단 할머니의 아들은 인민군, 외할머니의 아들은 국군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함 전개 외할머니의 아들인 외삼촌이 전사한 후, 두 할머니의 갈등이 드러남 위기 빨치산에 대한 외할머니의 저주로 할머니와 외할머니의 갈등이 고조됨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글의 구성 (본문) 구성 핵심내용 위기 삼촌의 생환을 기다리며 준비에 여념이 없음 절정 외할머니의 극진한 대접으로 구렁이가 원한을 풀고 감 결말 할머니와 외할머니가 화해하고 장마가 끝남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소설 갈등 양상 남 구렁이의 출현 (갈등 해소의 실마리, 삼촌의 죽음과 환생) 두 할머니의 화해 갈등의 해소 민족내의 갈등 소설 갈등 양상 남 → 외삼촌 (국군, 전사통보 받음) 외 할머니 구렁이의 출현 (갈등 해소의 실마리, 삼촌의 죽음과 환생) 외할머니의 배웅 두 할머니의 화해 갈등의 해소 민족내의 갈등 (민족분단 ․ 이념) 해결 가능성 ↕ 북 삼촌 (빨치산, 생환을 기다림) 할머니의 졸도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소재의 상징적인 의미 죽은 삼촌의 현신 전쟁으로 희생당한 우리 민족 사건의 전환으로 구렁이 갈등해소의 실마리가 됨 배경사상 무속신앙 (샤머니즘,토속신앙)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1. 모성애의 상징 2. 가족 간(민족 간)의 따뜻한 애정으로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음 ‘할머니 머리카락’의 의미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이중시점의 특징 – 어린 ‘나’의 시점 어른들의 갈등을 순수한 어린이의 눈으로 관찰 사건의 비극적 면모를 객관화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념 문제를 균형 있게 다룸) 용서와 화해를 통한 비극의 극복이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이중시점의 특징 – 어른 ‘나’의 시점 독자의 이해를 돕고, 관찰자 시점의 한계 를 보완하고 있다. 과거 회상을 통해 이념 대립이 가져 온 비극 을 강조하고 있다.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할머니의 삶 아들이 빨치산으로 생존을 알 수 없다. 가족들과 외할머니에게 불만이 강하다. 가족들에게는 불만을 직접 표출, 외할머니에게 간접 표출 무당을 믿고 아들을 기다림. 구렁이를 죽은 아들의 현신으로 받아 들임. - 무속신앙 (토속신앙, 샤머니즘)이 강함.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외할머니의 삶 아들이 국군 소위로 전사함. 빨치산인 아들을 둔 할머니와 갈등이 드러남. 구렁이를 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삼촌, 외삼촌) 의 현신으로 간주함 - 무속신앙 (토속신앙, 샤머니즘)이 강함.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두 할머니의 공통점 민족적 비극의 희생자 (자식을 잃음) 강한 모성애를 지닌 것이 싸움의 계기로 작용 했으나 화해의 실마리가 되는 역할도 함. - 무속신앙 (토속신앙, 샤머니즘)이 강함.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동네 사람들의 반응 방관자적 입장 – 겉으로 표현하지는 않지만 놀라움과 호기심으로 지켜봄. 우호적 입장(구장 어른, 진구네 식구들) - 삼촌의 생환을 믿지는 않지만 위로해 주고 걱정함.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마’의 해석상의 두 흐름 파악 ∙ 두 할머니의 갈등 ∙ 삼촌을 맞이하기 위한 가족들의 준비와 노력 ∙ 구렁이(삼촌의 현신) 가족사의 문제 제목 민족사의 문제 ∙ 두 할머니의 갈등 ∙ 삼촌을 맞이하기 위한 가족들의 준비와 노력 ∙ 구렁이(삼촌의 현신) . 외할머니의 배웅 . 두 할머니의 화해 <가족의 문제해결> ․제목이며 주된 배경 ․한 가족에게 닥친 불행이며, 남,북 이념 대립에 의한 민족사의 비극 <확대 해석> ∙ 남북의 갈등 ∙ 민족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 ∙구렁이(상처를 지닌 민족) ∙ 외할머니 (민족의 치유 노력) ∙두 할머니의 화해 <분열된 민족 내부의 화해>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 마’와 주제의 연관성 제목★ 장 마 제목이며 주된 배경 한 가족에게 닥친 불행 (이념의 대립이 몰고 온 오랜 갈등) 남북한의 이념 대립으로 인한 민족사의 비극을 상징함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 마’ 주제 전쟁의 와중에서 빚어진 한 가족의 비극과 그 극복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전쟁이 인간의 삶에 미친 영향 6•25 전쟁 우리 민족 분단의 현실 이념의 대립이 가져 온 가족간의 불행 이념적 갈등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핵 심 정 리 갈래 성격 현대 소설, 전후 소설★, 중편 소설 사실적, 상징적, 토속적, 샤머니즘적(민간신앙) 작가 윤흥길 제재 한국 전쟁이 한 가족에게 준 상처 배경 시대적 배경 6․25 전쟁 공간적 배경 농촌 사회적 배경 전쟁으로 인한 이념의 대립에서 오는 가족간의 갈등 시점 ★★ · 1인칭 관찰자 시점 (어린 ‘나’와 어른 ‘나’의 이중적 시각)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형성 평가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1. 이 글에서 구렁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어느 것인가? ① 갈등 해소의 계기 ② 전쟁의 끝남 암시 ③ 삼촌의 죽음 암시 ④ 토속적인 분위기 형성 ⑤ 소경 점쟁이의 효험 입증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2. ‘정말 지루한 장마였다’의 효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건의 극적 반전이 이루어질 것임을 암시한다. 2. 다음 글의 구성 단계상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① 사건의 극적 반전이 이루어질 것임을 암시한다. ② 작품 속 시간이 등장인물들에게 실제시간보다 길고 지긋 지긋하게 느껴졌음을 암시한다. ③ 작품의 제목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구절로, 작품 속 사건 이 장마 기간에 진행되었음을 암시한다. ④ ‘장마’는 기후와 관련된 단순한 배경을 넘어서 한 가족이 겪어야 했던 고통과 비극을 암시한다. ⑤ 한 문장을 작품 전체의 마지막 결말로 삼음으로써, 작품 전체의 내용과 주제를 함축적으로 암시한다.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② 토속 신앙의 힘으로 현실의 아픔을 극복하고 있다. ③ 부조리한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항하고 있다. 3. 이 글의 두 할머니를 통해서 엿볼 수 있는, 6․25 전쟁 당시 우리 민족의 현실 대응 자세로 가장 알맞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모든 것을 운명으로 여기며 체념하고 있다. ② 토속 신앙의 힘으로 현실의 아픔을 극복하고 있다. ③ 부조리한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항하고 있다. ④ 현실에 분노하지만 힘이 없어 안타까워하고 있다. ⑤ 구조적인 문제점보다는 가족이나 자신의 문제에만 급급해하고 있다.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4. <수능 기출문제>「장마」의 갈등 구조를 다음 표와 같이 도식화하였을 때, ㈎에 해당하는 장면은 어느 것인가? 할머니의 졸도 외삼촌 전사소식 → 외할머니의 저주 할머니와 외할머니의 갈등 구렁이의 출현 ↗ ↘ 두 할머니의화해 외할머니의 구렁이 배웅 ㈎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4. <수능 기출문제>「장마」의 갈등 구조를 다음 표와 같이 도식화하였을 때, ㈎에 해당하는 장면은 어느 것인가? ① 할머니가 삼촌을 기다렸다. ② 할머니가 의식을 회복하였다. ③ 고모가 할머니에게 경과를 이야기하였다. ④ 외할머니가 큰방으로 건너왔다. ⑤ 할머니가 돌아가셨다. 2017-03-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