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의 심각성과 한국의 금연운동정책
여기 오신 이유는? 여 기 오 신 이 유 는 ?
미래를 위한 아름다운 선택인 금연을 돕는 사람
WHO 발표 보건문제의 순위 조류독감 HIV/AIDS Tobacco 암,퇴행성 질환 환경보건 가장중요한 보건문제 (20개 이상 국가 설문) 조류독감 HIV/AIDS 환경보건 암,퇴행성 질환 Tobacco
WHO발표 보건문제의 순위 Tobacco 방치된 보건문제 (20개 이상 국가 설문) HIV/AIDS 환경보건 암,퇴행성 질환 방치된 보건문제 (20개 이상 국가 설문) Tobacco HIV/AIDS 환경보건 암,퇴행성 질환 가난
한국금연운동협의회 성인 여자의 흡연율(1996-2008)
한국금연운동협의회 성인 남자의 흡연율(1996-2008)
담배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흡연과 피해가 나타나는 기간 약 25~30년 우리 몸의 여유를 파괴하는 데까지의 기간 우리 몸의 자연치유 능력과의 싸움 - DNA의 손상을 보수 또는 수선하는 능력 독성물질의 축적 작용 - DNA의 60% 손상 암 발생
25년
담배의 실체 담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죠. 15 15
담배란 무엇인가? 담배는 니코틴이라고 하는 중독성 물질(마약)을 연기 상태로 폐를 통해 전달하는 기구 담배연기 속에 독성, 발암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담배연기는 발암물질과 독성 물질의 칵테일이다
인류의 가장 큰 건강위험요인 -1 담배연기 속에는 독성물질 4800여종 발암물질 60여종 향정신성 의약품 Nicotine WHO : 인류의 가장 큰 건강위험 요인 *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적으로 생산판매가 용인되고 있다.
인류의 가장 큰 건강 위험요인-2 - 전세계적으로 매년 550만 명이 사망(2006) 2020년에는 1천만 명으로 증가 * 현재는 선진국 사람들이 주로 후에는 개발도상 국가 사람들이 주로 - 우리나라에서 매년 5만2천명이 사망(2006) 20년 후 8만 명 이상 사망 예상
인류의 가장 큰 건강 위험요인-3 * 담배 한 개비 당 수명 10분 단축 (2005) - 폐암 : 암 사망률 1위 1만 3천명 사망 (2005) - 심장질환, 호흡기 질환, 노화, 고혈압 등 - 사망률 : 흡연자 2.5배 높아 - 치명율 : 50% - 수명 7~22년(평균 12년) 단축 * 담배 한 개비 당 수명 10분 단축
한국인 암 사망률(남자) 1983-2003 (1990년도 인구 교정) 위암 간암 폐암 전립선 대장 췌장
한국인 암 사망률(여자) 1983-2003 (1990년도 인구로 교정) 위암 간암 폐암 대장 유방 자궁
미국의 폐암 사망률(1930~2000)
간접흡연 피해의 심각성 가정에서 하루 1회 이상 간접흡연을 경험 직장에서의 경험 : 52.3% 청소년 31.2%, 성인 45.1% 직장에서의 경험 : 52.3% (단위 : 명) 구 분 현재 흡연자 현재 비흡연자 계 간접흡연에 대한 인지도 전혀 피해 받지 않음 18(11.5%) 37(10.8%) 55(11.0%) 조금 피해 받음 91(58.0%) 175(51.0%) 266(53.2%) 아주 많이 피해 받음 48(30.6%) 131(38.2%) 179(35.8%) 157(100%) 343(100%) 500(100%)
태아의 간접흡연
한국금연운동협의회 기형아 출산 가능 미숙아 출산가능 유아 돌연사 증후군 어린이 호흡기 질환 지능발달 지장
태어나서 매일 앓아 누워있으니…. 왜 공부도 못하지… 태어난 후에도 병치례를 많이 한다. 엄마가 산소대신 연탄가스를 마셨으므로 아이의 아이큐도 나빠진다. 26
담배회사의 전략 담배의 중독성 담배에 대한 인식의 오류 아낌없이 주는 담배 인심 구입이 용이함 담배 값이 싸다 금연이 어려운 이유? 담배의 중독성 담배에 대한 인식의 오류 아낌없이 주는 담배 인심 담배회사의 전략 구입이 용이함 담배 값이 싸다 말리는 사람이 없다
사람들은 담배를 계속 피운다
니코틴(NICOTINE)-1 이 세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품 매일 20회씩 투여해야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 - 우리나라에서만 무려 800만 명이 평균 매일 20회씩 투여해야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 - 세계적으로 13억 명이 흡연
니코틴에 대해 - 2 20년 전 까지 니코틴은 중독성이 없다고 생각 해왔다. 니코틴은 도취가 없다. 행동 장애가 없다. 환각이나 쾌감이 없지만 강한 중독만 존재한다.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다.
니코틴의 상대적 의존성(dependency) 100 니코틴 99 Methamphetamine(히로뽕) 81 알코올 80 헤로인 72 코카인 68 카페인 21 마리화나
혁신적인 판촉활동
금연운동의 정책 및 방향
금연정책의 추진 경과 년도 정책 추진 내용 1986 ○ 담뱃갑 경고문구표기 및 담배광고 제한(담배사업법) 1995 ○ 국민건강증진법 제정으로 금연구역 지정 등 본격적인 금연정책 시작 2001 ○ 한국담배인삼공사(현재 KT&G) 민영화 2003 ○ 담배성분 중 타르와 니코틴 성분 공개 ○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서명(7.21) 2004 ○ 금연구역 대폭 확대 2005 ○ 담배자동판매기에 성인인증장치 부착 ○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비준(5.16) 2007 ○ 발암성 물질 경고문구 표시(’09.4 시행)
WHO의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비가격 정책(제7조) - 담배연기에의 노출로부터 보호(제8조) 수요감소 전략 가격 및 세금 정책(제6조) 비가격 정책(제7조) - 담배연기에의 노출로부터 보호(제8조) - 담배제품의 성분에 관한 규제(제9조) - 담배제품의 공개에 관한 규제(제10조) - 담배제품의 포장 및 라벨(제11조) - 교육, 의사소통, 훈련, 일반인의 인식(제12조) - 담배광고, 판촉 및 후원(제13조) - 담배중독 및 금연에 관한 수요 감소 조치(제14조) 공급감소 전략 - 담배제품의 불법거래 금지(제15조) - 미성년자의 담배판매 및 구매 금지(제16조) - 경제적 대체활동을 위한 지원(제17조)
WHO의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조항 이행 기한 주요내용 제11조 담배제품의 포장 및 라벨 3년 이내 (’08.8) 3년 이내 (’08.8) ․경고문구 크기는 원칙적 담뱃값의 50% 이상 요구, 주요표시면은 반드시 30% 이상 - 경고그림도 가능토록 권장 ․건강상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구 금지 - 라이트, 마일드, 저타르 등 금지 제13조 담배제품의 광고, 판촉 및 후원 5년 이내 (’10.8) ․허위․오도․기만적이거나 잘못된 인상을 조장할 수 있는 방법의 제품 홍보 금지 ․담배광고ㆍ판촉ㆍ후원에 경고 또는 전달문구 포함 ․구매를 촉진할 수 있는 유인책 사용 제한
향후 정책 방향 비가격 정책의 대폭 강화 금연지원정책의 활성화 흡연경고그림의 도입 PC방, 공원, 병원 등 공중이용시설의 전면금연구역화 지자체의 금연조례 제정 활성화 국가금연사업 Brand Identity(BI) 개발 금연지원정책의 활성화 보건소, 민간단체 금연클리닉을 통한 흡연자에 대한 전폭적인 금연 지원
보건복지가족부 2020 플랜 2020년까지 남성성인흡연율을 20%로. 공중이용시설전체 금연구역 소매점에서의 담배진열을 단계적으로 금지 성인이라도 주민등록증을 제시해야만 담배구입 가능 담배제조, 유통 회사의 스포츠, 문화행사 후원 제한 담배갑에 저타르,마일드 등의 표현 금지
강 의 요 약 열 구 지 름 망 매 경 다 지 아 금연이라는 열매를 맺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열 매 41 41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