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Advertisements

최근 겨울이 추운 이유 : 지구온난화의 비선형성 국종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llaborators : 장연수, 정지훈, 김백민.
PROPOSAL 의정부시의회 HD 중계시스템. 1. 영상시스템 계획 2. 영상시스템 구축방안 고화질 영상 시연이 가능하다 어떠한 행사시 에도 방송 중계 시스템을 사용 할수 있다. 미래지향적인 Digital Technology 추세에 부응하고 실시간.
지구 EARTH 박세진 임수빈 오 주영 박서현 이가현 김 혜린 지구의 최초 의 생명체 - 오주 영.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뇌 심혈관 질환과 건강관리 대한산업보건협회 강 현 지.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1) 세계의 자연과 문화.
물리 현상으로 본 지구 - 지구물리학 년 2학기 일반지구과학및실험 II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훈열 교수
북극과 남극의 SSM/I Sea Ice Concentration과 Kompsat-1 EOC 영상의 비교
Terra MODIS를 이용한 Landsat 해수면 온도 보정
산림지리정보시스템과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원도 상록수림의 영급과 식생지수 비교
부산대학교 복합원격탐사 실험실 저고도 원격탐사를 이용한 해양 환경 관측
Chapter 7 Transmission Media.
PET-CT 검사 환자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연구
Learning Classifier using DNA Bagging
Hyperion 3조 조철희 전경미 김현준 이은선.
북극과 남극의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수동 마이크로파 해빙 면적비 분석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훈열 참고: PG Steamer User’s Guid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디지털영상처리 및 실습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센서 9. Force Sensor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원격탐사연구실 한향선, 이훈열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방법) 이름 : 김대진 학번 :
JERS-1 8조 : 노정환, 유수정, 육근민, 한만호.
대기굴절률을 이용한 Arc-SAR 시스템의 위상보정
보조저장장치 구조(Secondary Storage Structure)
물리 현상으로 본 지구 - 지구물리학 - 교재 관련부분: 2장, 9장, 11장, 16장, 17장, 21장 등.
18F-FDG 생산 효율 증가 및 안정화 30 th May 2009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이지웅,장화연,신상민,김명준
이재희*, 김광은*, 조성준*, 성낙훈*, 이훈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실 **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미 항공우주국(NASA)이 22일(현지시간) ‘지구의 날’을 맞아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DXA를 이용한 요추 팬텀 측정 시 연부조직의 두께와 골밀도 간의 상관도 분석 및 평가
전파의 주파수대역 분포도 3KHz 3000GHz 108GHz 1010GHz 1012GHz 가청파 광 파 X 선 감마선 우주선
우리나라 관할해역의 해상 중력 (자력) 이상도
극지해양학 발표논문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s role in the Antarctic ice system: An overview 이 종석.
기상 레이더 정보를 이용한 획기적인 LID시설 제어 방법 GIST대학 물리학부 정희원 GIST대학 기초교육학부 박연준, 기태윤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알고리즘 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
원격지구물리 프로젝트 발표 대기구성성분의 관측 (10조) 지 훈 홍전의 이수연
수력에너지.
4.7 보 설계 보 설계과정 (a) 재료강도 결정 (b) 보 단면 산정 (c) 철근량 산정 (d) 최소 및 최대 철근비 확인
3-5. 태양계와 행성(2).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미디어 트랜스코딩 부하분산 정책
Cause and Evidence Group 10.
극지 해양학 안녕하십니까 인류발생적 영향에 의한 100년동안의 북극 표면온도 변화에 대해 발표를 맡게 된 11학번 안소현 이라고 합니다 안소현.
서론 연구지역 및 연구자료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토의 결론 정착빙과 유빙 분류 정착빙 면적 추출 정착빙 검출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Remote Sensing-SAR image
지영훈1), 한향선1),2), 이훈열1) 1)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2)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시계열적 Landsat 영상에 의한 호수의 표면수온과 계절적 수직 온도구배 현상 분석
SSM/I 및 SSMIS 해빙 면적비 자료를 이용한
의학전문대학원 신경생물학교실 원무호.
12. Height Measurement (DEM Generation)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QUICKBIRD 5조 이용수 박종현 이철희 김준경.
상관계수.
원격지구물리 프로젝트발표(10조) -Envisat-
Ice Flow of the Antarctic Ice Sheet
GB-SAR의 간섭기법을 이용한 산란체 변위 및 고도 측정
지구과학교육  VI. 지 구  일기와 기후 끝.
심혈관 중재술의 원격제어를 위한 카테터 및 3차원 매핑 기술 Tech Biz Material 기술소개자료
지질해양학 과제 최성진 이창진 박영재 이은선.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Kompsat-2 이연철, 김은실, 정수정, 심소영.
Cruise control system - 9/3~4일 강의내용 아무개 아무개 아무개 아무개.
Presentation transcript: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한향선, 이훈열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imakdong@kangwon.ac.kr

주요 연구 내용 2005년 9-11월 남극 해빙의 Kompsat-1 EOC 영상 촬영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주요 연구 내용 2005년 9-11월 남극 해빙의 Kompsat-1 EOC 영상 촬영 감독분류 방법을 이용한 EOC 해빙 면적비 (Sea Ice Concentration) 산출 EOC와 SSM/I, AMSR-E 해빙 면적비의 비교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가 반영하는 해빙 유형 확인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 차이의 원인 분석

Introduction - 극지 연구의 중요성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Introduction - 극지 연구의 중요성 극지 환경은 전지구적 환경변화에 민감 극빙의 증가 및 감소는 지구온난화 진행의 지표로 작용 현재 전세계적인 기상이변의 발생과 더불어 극지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WMO 2007년 TOPIC - “극지방 기상” 지역적, 환경적 특성상 인공위성 원격탐사가 효과적 1970년대부터 수동 마이크로파 (Passive Microwave) 센서를 이용한 극빙 관찰 시작

Introduction - 극빙 원격탐사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SSM/I, AMSR-E) SAR 영상 및 중저해상도 광학영상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Introduction - 극빙 원격탐사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SSM/I, AMSR-E) 극지 표면의 전체적이고 연속적인 데이터 제공 취약한 공간 해상도 (수십 km) 해빙 면적비의 검증 및 보정 필요 SAR 영상 및 중저해상도 광학영상 SAR: New ice와 Young ice의 구별 모호 Landsat: 극지방 촬영계획 제한 MODIS, AVHRR: 저해상도 Kompsat-1 EOC 6.6m 고해상도 Panchromatic 영상 활용성 증대 특수한 촬영 목적에 따른 위성 운용 원활 우리나라 인공위성 2005년 SSM/I와 비교연구 수행 (2006년 춘계원격탐사학회 발표)

해빙 면적비 (Sea Ice Concentration)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해빙 면적비 (Sea Ice Concentration) Sea Ice Concentration 일정 면적 내에서 해빙이 분포하는 면적의 비율 두께 및 표면 성질 포함 Sea Ice Ocean or Land 전체 면적: 100km2 Sea Ice 면적: 30km2 Ocean 또는 Land 면적: 70km2 Sea Ice Concentration: 30% Threshold: 15%

Ice Types Multi-year ice: 여름에 녹지 않은 해빙 (3m 이상)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Ice Types 연령, 형태, 두께에 따라 분류 (WMO, 1970) Multi-year ice: 여름에 녹지 않은 해빙 (3m 이상) First-year ice: 겨울에 얼었으나 여름에 녹는 해빙 (30cm-2m) Young ice: White nilas, Grey-white ice 등 (10-30cm) New ice: Nilas, Grease ice, Pancake ice 등 (10cm 이하) 남극의 경우 Ice type A: Multi-year ice와 유사 Ice type B: First-year ice와 유사

Kompsat-1 EOC 영상 2005년 9-11월 남극대륙 가장자리 해빙 촬영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Kompsat-1 EOC 영상 2005년 9-11월 남극대륙 가장자리 해빙 촬영 해빙이 절정을 이루었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봄철에 해당 총 11개 궤도 676 영상 획득 4개 궤도 68개 영상 사용 A: 9월 25일, 11월 4일 B: 10월 5일, 10월 8일 MODIS 영상을 이용하여 기하보정 A B C 남극 (2005. 10. 05) 7900kmⅹ8300km

Kompsat-1 EOC 영상 2005년 10월 5일 EOC 해빙 면적비: 99% SSM/I 해빙 면적비: 98%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Kompsat-1 EOC 영상 2005년 10월 5일 EOC 해빙 면적비: 99% SSM/I 해빙 면적비: 98% AMSR-E 해빙 면적비: 100% 대부분의 해빙 표면에 눈이 쌓인 것이 관찰 폭이 좁은 crack과 lead 관찰 Crack과 lead 사이에 얇은 해빙 존재 17.4kmⅹ18.7km

EOC 해빙 면적비 산출 감독분류 방법을 이용한 해빙 유형 분류 W D G O W: White ice G: Grey ice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EOC 해빙 면적비 산출 W D G O 감독분류 방법을 이용한 해빙 유형 분류 W: White ice G: Grey ice D: Dark-grey ice O: Ocean (Open water) W ≈ Ice Type A and B G ≈ Young ice D ≈ New ice 2.2 kmⅹ2.2 km

Passive Microwave Sensors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Passive Microwave Sensors SSM/I (Special Sensor Microwave/Imager) 1987 to present 4개 주파수(19.35, 22.235, 37.0, 85.0GHz) 7개 채널(19.35H/V, 22.235V, 37.0H/V, 85.0H/V) AMSR-E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Earth Observing System) 2002 to present 6개 주파수(6.9, 10.7, 18.7, 23.8, 36.5, 89.0GHz) 12개 채널(6.9H/V, 10.7H/V, 18.7H/V, 23.8H/V, 36.5H/V, 89.0H/V) 해빙의 복사세기를 측정하여 해빙 면적비 계산 SSM/I: NASA Team Algorithm (NT) AMSR-E: NASA Team2 Algorithm (NT2)

SSM/I NASA Team Algorithm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SSM/I NASA Team Algorithm (http://nsidc.org/data/docs/daac/nasateam/index.html) 19.35H/V, 37.0V 채널 이용 PR (Polarization Ratio)과 GR (Spectral Gradient Ratio) 계산을 통해 해빙 면적비 산출 표면 유형의 분류 북극: Multi-year ice, First-year ice, Open water 남극: Ice type A, Ice type B, Open water 장점 및 단점 PR, GR을 사용하여 해빙 표면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 Ice type A와 B (M과 F) 이외의 해빙 유형 구분 불가능 계절적이고 지역적인 해빙 방사율 변화에 따른 오차 Ice edge에서의 오차 발생

AMSR-E NASA Team2 Algorithm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AMSR-E NASA Team2 Algorithm (Markus and Cavalieri, 2000) 18.7H/V, 36.5V, 89.0H/V 채널 사용 PRR (Rotated PR), GR, △GR을 계산하여 해빙 면적비 산출 표면 유형의 분류 북극: Multi-year ice, First-year ice, Ice type C, Open water 남극: Ice type A, Ice type B, Ice type C, Open water 89.0H 채널을 통해 18.7H 채널의 민감도 문제 해결 △GR을 통해 표면 영향이 심하여 (물이 고이거나 불균질한 상태) 면적비가 과소측정 되었던 해빙 유형 고려 → Ice type C

Passive Microwave cubic pixel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 산출 SSM/I NT 해빙 면적비 (25km)와 AMSR-E NT2 해빙 면적비 (12.5km) EOC 영상의 촬영일자 및 위치에 해당하는 해빙 면적비 추출 EOC 영상 촬영 날짜 및 전후 날짜의 cubic pixel에 대한 해빙 면적비 추출 및 표준편차 산출 해빙의 시공간적 불안정성의 지표 시간 공간 Passive Microwave cubic pixel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EOC와 SSM/I NT 해빙 면적비 비교 Black data points: 수동 마이크로파 cubic pixel의 표준편차≤2.5% White data points: 수동 마이크로파 cubic pixel의 표준편차≥2.5% NASA Team Algorithm으로 계산된 SSM/I 해빙 면적비는 White ice와 Grey ice를 반영하며, Dark-grey ice는 포함하지 않음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EOC와 AMSR-E NT2 해빙 면적비 비교 Black data points: 수동 마이크로파 cubic pixel의 표준편차≤2.5% White data points: 수동 마이크로파 cubic pixel의 표준편차≥2.5% NASA Team2 Algorithm으로 계산된 AMSR-E 해빙 면적비는 White ice와 Grey ice, Dark-grey ice를 모두 반영

AMSR-E와 SSM/I 해빙 면적비의 차이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AMSR-E와 SSM/I 해빙 면적비의 차이 AMSR-E NT2 해빙 면적비가 SSM/I NT 해빙 면적비보다 대체로 높음 서로 다른 해빙 면적비 알고리즘 사용에 기인 AMSR-E NT2는 Ice type C를 추가로 고려 (AMSR-E – SSM/I) 해빙 면적비와 EOC G, G+D, D 면적비 비교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Dark-grey ice의 영향 Dark-grey ice의 면적비가 증가할수록 AMSR-E와 SSM/I 해빙 면적비 차이가 증가 대부분의 EOC 영상에서 Dark-grey ice의 면적비가 클수록 AMSR-E와 SSM/I 해빙 면적비의 차이가 커짐을 확인

Dark-grey ice의 영향 W: 51.8%, G: 29.0%, D: 13.0% Total: 93.8%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Dark-grey ice의 영향 W: 51.8%, G: 29.0%, D: 13.0% Total: 93.8% AMSR-E: 89%, SSM/I: 80% AMSR-E – SSM/I: 9% W: 97.4%, G: 1.0%, D: 0.5% Total: 98.9% AMSR-E: 98%, SSM/I: 96% AMSR-E – SSM/I: 2%

Dark-grey ice와 Ice type C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Dark-grey ice와 Ice type C Ice type C 균질하지 않고 복잡한 산란 특성을 가지는 표면 실제보다 면적비가 작게 계산 얇은 해빙과 유사한 특성 Dark-grey ice 얇은 두께를 가질 것으로 추정 수분과 얼음 결정이 혼합된 표면 Dark-grey ice ≈ Ice type C

Conclusion 남극의 봄철 EOC 해빙 면적비를 SSM/I NT, AMSR-E NT2 해빙 면적비와 각각 비교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Conclusion 남극의 봄철 EOC 해빙 면적비를 SSM/I NT, AMSR-E NT2 해빙 면적비와 각각 비교 SSM/I NT 해빙 면적비는 White ice와 Grey ice만을 반영하며, AMSR-E NT2 해빙 면적비는 Dark-grey ice도 반영 Dark-grey ice가 많이 존재할수록 AMSR-E와 SSM/I 해빙 면적비의 차이가 증가 Dark-grey ice와 Ice type C가 서로 유사함을 추정 현장자료의 부재로 인해 정확한 해빙 유형의 분류가 어려웠으나 고해상도의 EOC 영상으로부터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의 서로 다른 특성 평가 향후 보다 정밀한 수동 마이크로파 해빙 면적비의 분석 및 보정을 위해 다양한 계절 및 지역에 대한 현장관측과 고해상도 광학영상 및 SAR 영상의 촬영 요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