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Csc ( Atypical CSC) AP.박영훈 / Ap.김규섭/ R2 유애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바다에 사는 생물들 Lives in Sea 만든 이 : 2 학년 5 반 4 조 김현수, 김희중, 남용준, 민병찬.
Advertisements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e-MedEdu 희발 월경 환자의 임신 - 교육용 콘텐츠 -. 개발 과목 개요 콘텐트 명 희발 월경 환자의 임신 개 발 자성 명박 준 철소 속 계명의대 산부인과학교실 설 계 자성 명류 남 희, 천 경 희, 박 혜 진소 속 계명의대 진단검사의학교실.
Stanford-Berkeley 친선 체육대회안 Aug 20 th, 2005 Stanford Campus.
초음파 통계 OBGYhyster o Dop 정밀정밀 양수양수 3DBPP 합계 ~ ~
KCD 질병코드 코딩지침서(안) 주요 내용 소개
소아에서의 디스크형 리튬 배터리에 의한 식도 손상의 심각성
순환기학 4주 Learning Issue 손의영.
우울증 스트레스 불면증.
KCP 790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 전공의 오은지. Patient history M/64 특이병력 없음 어지러움을 주소로 내원 영상 소견 – 뇌 MRI, 흉부 CT 상에서 다발성 뇌 경색 및 폐 색전증 소견 보였으 며, 경부 CT 상 다발성의 좌측 level.
MGR review 류마티스 내과 R4 최인아. [ 목차 ] Overlap syndrome (vs UCTD, MCTD) Polymyositis(PM) PM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
Case Review Name : 유 O 미 Age : 32 Parity : G(3) P(2) Att.: 우리 OBGY Fami. Hx : 시부 & 부 -> DM Px.Hx : (-) Why : Triple test(Edward syn) 초음파상 omphalocele,
Adipocytokine in IBD 경 희 의 대 황보 영. Obesity  우리나라 비만률 BMI > 25kg/m 2 02 년 : 24.1% 05 년 : 31.8% ( 보건 복지부 통계 ) 비만률순위 : 29 위 (2005 OECD)
Background  In the Helsinki policemen Study Hyperinsulinemia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all-cause and CV mortality independent of other risk factors.
<<Glaucoma Conference>> Laser Surgery for Glaucoma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ase Chorioretinal lesion in Immunocompromised Patient
Review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Syncope in the Elderly 응급의학과 R1 전종한
Laser surgery for glaucoma
Persistent Hyperplastic Primary Vitreous
망막 컨퍼런스 AP. 박영훈/R3 정병주.
Interesting Case of Acute Abdomen
Case conference Lupus choroidopathy Ap. 김규섭 / R3 정현진.
KCP 783 이대목동병원 박희정.
Optic neuropathy 사시컨퍼런스 AP. 신선영/ R2 이국
Imaging Modalities in Wounds and Superficial Skin Infections
원광대학병원 소화기내과 김태현, 오성렬, 김동, 김송이
IOL Master Pf. 김만수/St. 변용수/R3 김재윤.
2010 서울성모병원 안과 개원의 컨퍼런스 소아 백내장 환자를 보았을 때 서울성모병원 안과 박 신 혜.
One-Year Outcome of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of Pinguecula
Everolimus-Eluting Bioresorbable Scaffold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ASD & VSD.
MGR review Asymptomatic MR : Risk Stratification and Optimization of the Timing of Surgery MR에서 젤 중요한건 MR complex 관찰하여 무엇이 문제인가 두번째는 역류량을 평가하여.
망막 conference St.김웅재/R 2 원재연.
Optic neuritis R2 김은영/Ap.박신혜
시신경 검사시 녹내장과 감별해야할 시신경 질환들
녹내장 Conference R4 염혜리/ Pf.박찬기.
AP.박영훈/R2 이민아 망막 컨퍼런스.
Defects of the Lamina Cribrosa in Eyes with Localized Retinal Nerve Fiber Layer Loss Ophthalmology 2013 Oct 18. pii: S (13) 서울성모병원 Pf.안명덕.
Multidisciplinary Bowel conference
KCP 807 대한세포병리학회 2014 봄 학술대회 슬라이드 세미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전공의 4년차 조의주.
KCP 801 (Pericardial effusion)
. Chronic renal failure Hanjong Park, PhD, RN
Comparison of Time Domain and Fourier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Determination of Corneal Thickness Jin Pyo Hong,MD1, Jae Lim Chung,MD1, Jung.
English Communication 2
사망의 과정과 심폐소생술 생존 호흡부전 무수축 순환 회복 심실세동 기도폐쇄 뇌사 심폐소생술 심정지 대량실혈 뇌손상 사망 쇼크.
전국영양조사 – CBS, ICN, MOPH, UNICEF, WFP, WHO
Progress Seminar 권순빈.
외국인과 대화를~~ 대학에서 교환학생을~~
신제품 출시 - EliA PR3S.
2011 신입전공의 오리엔테이션 망막 검사 여의도성모병원 류현욱.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원경준, 김영대, 박찬국, 김만우
성형성 기초(I).
염증 Inflammation Chapter 4.
장소 : 인하대학교병원 날짜 : 2010년 6월 15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병센터 안형수 고봉민 홍수진
“그린 힐링 오피스”.
Developmental Screening
어르신들의 건강 국립서울병원 임선진.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 옥 정 달.
Disease Review - Nausea & Vomiting -
김채리, 이상민, 이현주, 오상영 이상민, 도경현, 김미영, 서준범, 송재우, 송군식
제 세 동.
Plasma Exchange of patients with ABO incompatible kidney transplantation -ABO 부적합 신장이식에서의 수술전 혈장교환술 시행 경험- 이번 시간에는 본원 이식외과에서 2010년부터 ABO 부적합 신이식을 시행하면서,
2010년 1분기 정리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연구팀 (mtDNA research lab) (금)
히스토그램 그리고 이진화 This course is a basic introduction to parts of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This version of the course covers topics in 'early' or 'low'
세브란스 병원 응급의학과 응급의학과 4년차 오제혁.
Step-up Approach for Infected Necrotizing Pancreatitis
대한흉부영상의학회 월례집담회 증례발표 January 2019 분당서울대병원 신 윤 주.
스커트 원형 제도.
Case of Epithelial Ingrowth After Cataract Surgery Treated with Argon Laser and Monitored by Fourier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in Pyo Hong,MD1,
Presentation transcript:

Review Csc ( Atypical CSC) AP.박영훈 / Ap.김규섭/ R2 유애리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CSC) - Detachement of macula resulted from a leak at the level of RPE - Involving both Choroid & Retina - Accumulation of transparent fluid at the posterior pole of the fundus

Pathogenesis A. Choroidal hyperpermeability with congestion of the choriocapillaris along exudation of protein and fluid B. RPE pump decompensation(choroid 에서 retina 방향으로) occurs over time with the formation of a PED C. 결국, RPE defect가 생기고, subretina space 에 누출이 생긴다. D. 이것은 neurosensory retina elevation을 만들고 neurosensory retinal detachment 를 일으킨다.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CSC) 1.Typical(classic) CSC: more common type young patients acute localized detachment of the retina mild to moderate loss of visual acuity one or a few focal leaks (FAG) 2. Chronic CSC: diffuse retinal pigment epitheliopathy -> shallow subretinal fluid 로 인한 widespread RPE alteration chronic corticosteroid usage 3. Bullous CSC : bullous retinal detachment at inf. after organ transplantation using corticosteroids Asian descent Atypical CSC Chronic -망막 색소 상피의 광범위한 변성을 동반한 형태 -ERD 가 여러군데에 만성, 재발성으로 생기는 경우 -pph->central fovea -> severe VA ↓ -bilateral 2) 수포 망막 박리를 동반한 형태 -CSC 중에서 여러 개의 장액 망막 박리가 융합되면서 급성으로 bullous RD -체위의 변화에 따른 망막 하액의 변위 -bilateral >unilateral -FAG: multiple PED & leaking & 위치변화

Demographics & Sx - predominantly male between 30-50 man vs women 8 or 9 : 1 - 생각보다 고령과 여성환자에서 흔히 발생함 (> 50 yrs old (50%) male vs female 2.6 to 1) Risk factor 1.Type A personality 2.Increased cortisol level -Cushing’s disease -organ transplantation and corticosteroid usage -pregnancy 3. 백인, 라틴계, 동양인 >> 흑인 4.Catecholamines

Symptoms first notice → minor blurring of vision (VA ranges from 20/20 to 20/200.) followed → metamorphopsia ( irregularities in the shape of retinal plane ) micropsia dyschromatopsia central scotoma loss of contrast sensitivity increasing hyperopia ( Ant. displacement of retinal plane) Dichromatopsia. :색맹 Hypermetropization :??

Examination/Clinical Findings Fundus BSCS :

FAG 1. typical angiographic findings - presence of one or several hyperfluorescent leaks in the level of the RPE 2. “smoke stack”: most common 3. “ Ink-blot” : less common 4. leakage point 1) 1-mm-wide ring-like zon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fovea 2) superonasal> inferonasal> superotemporal> inferotemporal 3) In some cases, leaking point cannot befound 5. Chronic CSC: atrophic RPE tract (mottled hyperfluorescence) Smoke-stack : early phase, small hyperF spot, dye가 RPE 빠져나옴. late venous phase, F이 subretinal space지나서 vertically ascend Ink-blot : early phase , small hyperF spot -> 점점 centrifugally하게 커짐. 리킹 포이트 (-) – 황반부 바깥쪽에 떨어져 누출점이 있는경우 누출 부위는 치유되고 장액성 박리가 흡수 도중에 있는경우 Idiopathic uvear dffusion syndrome

FAG

FAG 21초 사진으로 초기부터 여러군데의 과형광과 광범위한 망막 색소 상피 손상으로 인한 window defect 소견 관찰됩니다. 시간 지나면서 RPE defect 로 인한 과형광과 장액성 망막 박리로 인해 형광색소 차오르는것 확인할수 있습니다.

OCT RPE -OCT : serous PED under the neurosensory elevation -PED : Round or ovoid , size < ¼ DD , yellowish color 화살표 :PED OCT 상 serous PED

ICG Hyperpermeability of the choroid (best seen in the mid-phase) ICG -early phase : dilated choroidal vessels at post.pole -mid phase : multiple hyperF areas d/t choroidal hyperpermeability Hyperpermeability of the choroid (best seen in the mid-phase)

Differential diagnosis 1.female>male 2.Bilateral ERD 3.dizziness, 뇌막자극증상, 이명,탈모,백반 4.Graculoatous uveitis->AC cell(++) 5. Tx: steroid

Differential diagnosis Idiopathic uveal effusion synd. -normal, healthy individuals in middle age(male>>female) -Sx : loss of vision with a bullous exudative RD -IOP normal , AC cell (-~ rare) - 발생기전 -annular peripheral choroidal detachment -B scan

Differential diagnosis Idiopathic uveal effusion - cong. Anormaly of scleral & vortex v. ->inter.venous flow obs. Tx: Spontaneous reattachment may require weeks to months Buckle, evisceration !!! 혈관 밖으로 배출된 농도 진한 혈장단백은 공막을 통하여 확산되어 안구밖으로 배출되기도 하고, 공막 후부의 도출정맥을 통애 배출되기도 하는데, 공막이 두꺼워지고, vortex vein 이 제기능을 못하기 때문에, suprachoroid 에 혈장단백이 모여지게 되고, 이러면서 혈관을 더 압박하기떄문에 더 악화된다고 합니다.

Treatment Photocoagulation 대개 수개월내 자연호전 Only 5% : severe, permanent visual loss Photocoagulation 1) shorten the course of the disease 2) accelerating the resorption of the fluid 3) has no effect on final visual acuity 4) 3개월간 관찰  macular detachment가 지속되면 > 500µm from the center of the fovea : photocoagulation < 500µm from the center of the fovea : 6개월간 관찰 5) permanent visual loss from an untreated macular detachment in the fellow eye ICG angiographic-guided photodynamic therapy(PDT) - rationale : reduction of blood flow in hyperpermeable choriocapill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