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에너지와 원자력 1. 원자력 에너지 사용현황 2. 원자력과 화학에너지 크기 3. 핵확산과 원자력 발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원소 별이 진화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I-2. 우주의 진화.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국제관계의 이해 (8) 대체 에너지와 원자력 건양대학교 김 병 구.
[21]. [22] [23] 원전사고 : 체르노빌 그리고 … 12 [24] 1. 후쿠시마 원전사고 참고자료 : Zeitschriften Spiegel (Germany) [25]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NUSAFE’05 1 원자력발전의 환경변화와 향후 전망 기초전력연구원 원전성능관리연구센터 소장 황 일 순 원자력안전 Symposium COEX Convention Center, Seoul, Korea
주기율표 제 8장제 8장 Copyright ©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ermission required for reproduction or display.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방사선과 생활 제주대학교 물리학과 김용주. 원자핵과 방사선 물질 - 분자 원자 - 원자핵 핵의 구조 몇 가지 핵의 구조.
N.G.O (Nuclear GNFL Organization) 경남외국어고등학교. Table of Contents 활동계획 활동방법 1) 경제부서 2) 과학부서 3) 국제관계부서 참고사이트.
윤예린 박주현 최응환. Ⅰ. 서론 1. 환경오염원 : 인간 2. 세슘 등 방사능 오염 Ⅱ. 본론 1. 원자력의 정의 2. 원자력 발전소의 장단점 3. 방사능 폐기물로 인한 오염 4. 원전 사고로 인한 오염 Ⅲ. 결론.
보이지도 않는 핵, 힘은 왜 그렇게 셀까 ? 옥천초등학교 6 학년 문지헌 1. 탐구동기 요즘 북한에서의 핵 문제에 대해 여러가지 논란이 많은데, 그 이야기를 듣고 핵에 대해서 궁금해져서 이번기회에 핵과 핵의 힘에 대하여 공부하고 탐구해 보고 싶었다. 보이지도 않는 핵,
[20] Nuclear Fission Process. [21]Energyin Nuclear Fission.
6조6조 박주환 박지은 서유 진 손인호 손호준 신 상철. 목 차 1. 방사능이란 ? 3. 방사능 영향 5. 방사능 피해 사례 6. 방사능 해결 방안 2. 방사능 오염 4. 방사능 유출원인.
정보전달 김정은, 고예은, 김혜진, 조은주. 후쿠시마원전사고 2011 년 3 월 11 일 일본 도호쿠 지방 앞바다의 대지진과 지진해일 ( 쓰나미 ) 로 인하여 후쿠시마 제 1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 발전소가 침수되어 전원 및 냉각 시스템이 파손되면서 핵연료 용융과.
지구온난화, 에너지위기와 대안 - 부안 등용리 에너지자립 마을만들기 지구온난화, 에너지위기와 대안 - 부안 등용리 에너지자립 마을만들기 부안시민발전소.
기술가정 1 학년 1. 에너지와 수송기술 (2) 동력 발생과 이용 2/14 에너지 변환 장치 (2) 원자로.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에 불이 나면서 방사능 유출사고가 일어났다..
일본 방사능 日本の放射能 윤대연.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출결석 확인기준 1. 3주째부터 확인 2. 3주째(3월 26일)부터 전산시스템 활용
방사선 진단기기 박윤수, 심민경.
국제관계의 이해(9) 우리나라의 원자력 건양대학교 김 병 구.
ACAD BASIC CURRICULUM NUCLEAR SCIENCE Chapter 1 - Components, Structure, and Identification of the Atom.
원자력(Nuclear Power)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제 3장 핵분열에너지 정성필, 정여진.
북한 핵프로그램 (Pu 및 HEU)의 핵공학적 이해
Ch.4. 결정화학 원자의 구조 핵 (nucleus): 중성자 (neutron) + 양성자 (proton)  원자의 질량을 결정 전자 (electrons): 원자 궤도(atomic orbital)를 차지, 양자화 (quantumized)  원자의 크기를 결정 원자 궤도?
Ch.4. 화석 연료와 환경 문제 화석 연료(Fossil Fuel)? 환경 문제 석유 천연가스 석탄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21장. 핵 화학 울산대학교 화학과 정 한 모.
5-3. 화석 연료의 이용 세계 에너지 소비량
핵(Nucleus)의 변환과 에너지 핵의 구조와 표시 핵자(nucleus) = 양성자(proton) + 중성자(neutron)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연속적 띠(continuous band)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In-situ Reaction Raman 의 소개 및 응용
방사능에 의한 식품오염.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방사능과 피폭선량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제 11 조 권혜진 정상미.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Ch.5. 동위원소 지구화학 정의 동위원소 Isotopes: 동중성자원소 Isotones: 동중원소 Isobars: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바이오 에너지 이용기술 오정아.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가압경수로 계통.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핵(Nucleus)의 변환과 에너지 핵의 구조와 표시 핵자(nucleus) = 양성자(proton) + 중성자(neutron)
중국 미세먼지   환경공학과  심동진.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국제관계론(6,7,8)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 건양대학교 김 병 구.
프로젝트 6. 핵 붕괴 윤석수.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6-3. 지질시대의 구분.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 가?.
위험도 인식 Munch - The scream.
Energy Band (고체속의 전자구조)에 대해서 쉬운 얘기를 한 후에 Bloch state 로 다시 돌아 가겠습니다.
Ⅸ 발전과 신재생 에너지 발전과 전력 수송 미래를 위한 에너지 지구의 에너지 원천, 태양 에너지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2. 방사성 물질은 어떻게 이용될까? 방사성 물질 원자력 발전.
과학 탐구 토론 대회 3학년 11반 송정아, 이보라, 임미선.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Presentation transcript:

제7장 에너지와 원자력 1. 원자력 에너지 사용현황 2. 원자력과 화학에너지 크기 3. 핵확산과 원자력 발전 4. 재처리와 핵사찰 5. 열화우라늄 탄이란?

Nuclear Power plant in the Russia

1. Sea Brook Case 2. 핵분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 : 화학E와 비교 3. 원자로에서 에너지 얻기 4. 원자로 사고, Melt-down 5. 원자로는 얼마나 안전한가? 6. 핵연료와 핵무기 7. 방사능이란? 8. 방사능 재해 9. 핵 폐기물 처리 10. 원자력과 삶: 위험과 혜택 11. 원자력의 미래

세계 원자력 발전소 분포

세계 원자력 발전 비중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 현황 가동 중 : 16기건설 중 : 4기

한국의 에너지원별 사용추세

우리 나라 에너지부문의 국제 위상 - 에너지소비규모 (1998년) : 세계 10위 (167 백만TOE, 2.0% 차지) - 석유소비규모 (1998년) : 세계 6위 (2,020 천배럴/일, 2.8% 차지) - 석유정제능력 (1998년) : 세계 6위 (2,315 천배럴/일, 2.9% 차지) - 전력소비규모 (1996년) : 세계 12위 (215 TWh, 1.7% 차지)

1. Sea Brook Case: New Hampshire위치 - 1972 계획 (2기) : 79년 1기, 81년 2기 가동목표 - 추정예산 : 9.7억$ - 74 시민반대 법원제소 (메사츄셋주민 투표) - 76 착공 - 77 대규모 시위: 1400명 연행 - 84 제2기 건설취소 - 86 완공 - 89 시험가동 (목표보다 10년후 절반달성) 건설비 64.5억$ (12배 지출) - 주민(특히 Ma주민 활용) : Good or Bad???

Force = Q1xQ2/r x r E = mc2 7-2. 핵분열 에너지: Why so Big? 원자핵 크기: 원자의 1/10,000 핵E크기 : U235 1 Kg : C ~106 Kg Force = Q1xQ2/r x r E = mc2

Nuclear means the reaction occurs in the Nucleus of the Atom

핵반응과 화학반응 1. 핵반응 (핵자 재배치) 불안정한 핵 ---> 안정한 핵 중간크기핵 (Fe)이 가장 안정 불안정한 핵 ---> 안정한 핵 중간크기핵 (Fe)이 가장 안정 - 큰 핵 ---> 중간크기 핵으로 핵분열 U-235 ---> Ba-141 + Kr-92 - 작은 핵 ---> 중간크기 핵으로 핵융합 H-2 + H-2 ---> He (점화온도: 108 C) 2. 화학반응 (전자 재배치) C + O2 ---> CO2 (점화온도: 103 C)

E=mc2 1 amu = 4.2 x 10-17 kwh = 931 MEV The energy evolved from grams of nuclear fuel is equivalent to that evolved from tons of chemical fuels

핵반응 (분열): 큰 핵 : 스스로 붕괴 (Pb가 가장 큰 안정원소) 예) U-238 --> --> --> --> --> Pb U-235 --> --> --> --> --> Pb Th-232 --> --> --> --> --> Pb 큰반감기 : <수초 ~ 수 억년 유도분열 (연쇄반응) U-235 + 중성자 --> 붕괴물질 + 중성자 유도분열이 가능한 핵 : U-235 (0.7%자연비) Pu-239

가공 핵연료 100% U (oxides) U-235 4% 사용핵연료 저장(단기)

U농축: 1. 다른 물질로부터 정련 2. U-235 농축(핵분열물질) 3ppm

거대한 U 농축공장 : 기체확산법 원심 분리법에 의한 U농축

열화우라늄탄: 무거운 폭탄(탱크, 방카, 동굴파괴) 폐 U 활용(U-238) 원소의 비중

7.4 핵 발전 사고 (체르노빌 원전사고 원인?) _ 발전소 소장 핵 물질 양 = 핵 폭탄 냉각시스템 역할 _ No chain Rxn : 핵폭발 위험은 없음: 핵 폭발이 아님 _ Melt-down문제 냉각시스템 고장 시 과열로 1000C이상 냉각시스템 역할 그림 7-7 : 사고직후 체르노빌 발전소 사진

7.5 핵발전소가 핵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가? No! Why? 핵 연료: 3-5% U-235 Controlled fission 7.5 핵발전소가 핵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가? No! Why? 핵 연료: 3-5% U-235 Controlled fission 핵 폭탄: >90% U-235 Chain reaction U-235 농축법: 1. 기체 확산법 2. 원심 분리법 Difficult and Costly!!!

7.6 핵연료의 핵무기 전환? Pu : 플루토늄 (Pu239) - Pu239도 유도핵분열 (Nagasaki bomb) U238 + Neutron ---> Pu239 원자로 내에서 일어남. Pu는 U과 다른 원소이므로 화학적으로 쉽게 분리가능 즉 사용핵연료로부터 쉽게 추출가능 북한 핵사찰 사유 : 연료봉 밀봉

7.7 방사능이란? -Ray : He원자핵 -Ray : 전자 -Ray : 전자파

Properties of Radiation: Will not penetrate paper, can not do damage unless digested Can not penetrate 1/4 inch of wood, can cause some skin cancer etc. Will penetrate several feet of concrete of several inches of lead Think of superman’s x-ray vision

7-8 방사능의 위해성 Madam Curie : 백혈병으로 사망 방사능 과다노출 방사선 E : Mega eV X-선 E : Kilo eV 자 외 선 : 10 eV 세포를 무차별 파괴함 특히 분열이 활발한 세포: 암의 방사선 치료요법

배경 방사능의 발생원 Natural : 82% Man-made : 18% . 4/5가 자연방사능 . 3/4가 의료치료 자연방사능 예: - C14 자연방사성 원소 인체: 3x 1026 C로 구성 3x 1014 개 C14 - 한숨 : 3.5x 106 개 C14 흡입 . 4/5가 자연방사능 . 3/4가 의료치료 . 핵 발전관련 0.1%

7.9 핵 폐기물은 얼마나 오랫동안 남아 있는가? 핵의 소멸(붕괴)속도: 고유함수(가속 불가) 반감기:1/2로 줄어드는 시간 U238 : 45억년, Th234 : 24일, Po214 : 0.00016초: 다양 Pu239 : 24,400년: 같은 원소도 서로 다름 Pu231 : 8.5 분 *다른 주요 방사성원소 I131 : 8일 갑상선 암 유발. (체르노빌 후 요드 비타민 매진 ) Sr90 : 29년 뼈에 농축 (골수암) C14 : 5730년 : 대기권에서 계속 생성 유물의 년대측정에 이용

Pu-239

7.10 핵 폐기물의 처분? 고 준위 폐기물(사용 후 핵연료): Very Hot??? In Temp and Activity 7.10 핵 폐기물의 처분? 고 준위 폐기물(사용 후 핵연료): Very Hot??? In Temp and Activity 발생량(US): 30,000 ton 52,000 ton by 2005 현재 물속에 넣어 보관 중 (why?) 폐기방법: 1. 재처리 (분리 회수) 2. 영구매립(보관) 현재 어느 나라도 못 실시 미국: 네바다 사막에 설비 중 (3. 개발도상국에 수출?) 장애물 : NIMBY (님비) 현상 Technology: 불확실

7.13 원자력의 손익계산? 이익과 손해 Risk and benefit analysis : not simple 7.13 원자력의 손익계산? 이익과 손해 Risk and benefit analysis : not simple -위험노출 : 자의적 결정 : bungee jump 타의적 결정 : side smoking -일상생활 : 결정 -인간의 이중 반응: 1. 무시경향 (불속의 생명체 방관 ) 2. 절대 안돼 (NIMBY)

*1982, US burns 616 million tons of coal 801 t U, 1971 t Th 배출 핵 발전과 석탄발전 비교 탄광사망자: 100,000명(US) :현재까지 위험비교: 석탄 핵 작업자 2.7 0.3 ~ 0.6 일반인 1.2 ~ 50 0.03 돌발사고 0.5 0.04 1000만KW발전소 1 년간 운영시 사망자수 *석탄발전이 더 방사능물질을 많이 배출! *1982, US burns 616 million tons of coal 801 t U, 1971 t Th 배출 *다른 요인: 정서적 요소 (Mystery, 오해, 버섯구름 체르노빌, Three Mile Island 사고로 촉발

7.14 핵 (분열) 발전의 미래 Do we have a choice? - 1991, US 핵 발전 건설 추진 제안 (Bush): 지구온난화 대처 방안으로 - 핵 전문가: 21세기 에너지 위기 발생 예견 Major Blackout 발생 - 정치적으로 추진이 현재로선 어려움: 대중이 받아 들이지 않는 현재로선. 선택의 여지는 있는가? 핵 발전 : 지구온난화, 산성비(대기오염) 대안? 핵발전소 1기: U-235 2t을 1.5년 사용 석탄발전 : 매일 10,000t 석탄 소모 SOx 300 t, NOx 100t 배출

-핵에너지 개발 : 1960초 - 1979까지 활발 -1980년대부터 쇠퇴 원인: 1. 에너지 수요정체(석유파동으로) 2. 핵 안전사고(체르노빌, Three Mile Island)

핵 에너지의 장래? 대중(People)과 정치에 달려 있음 또 다른 장애물: 폐기물 처리? 아직까지 미해결 선결요소: 과학기술 진보와 대중의 신뢰회복 핵 에너지의 장래? 대중(People)과 정치에 달려 있음 “Reason, not emotionalism, must govern our action!” Assay: 핵 에너지 확대에 대하여 찬.반 입장을 밝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