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 저항기(Resistance)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흐름을 곤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실험 14 MOSFET 특성 실험 전자공학과 고급전자회로실험 실험 14. MOSFET 특성 실험.
Advertisements

디 지 털 공 학디 지 털 공 학 한국폴리텍 V 대학.
반도체 전자 부품 유통사.
Chapter 9 전력 증폭기.
100MHz PLL Frequency Synthesizer
3장. 디지털 회로 Lecture #3.
제 2 장 물리량 센서.
실험#2-A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 실험 1.실험목적 2. 서론 다이오드의 특성에 대해 조사한다.
Switched – Mode Power Supply
3장 광센서 GVM/GNEX 소개 GVM/GNEX 소개 GVM/GNEX 소개.
42.11 트랜지스터 (Transistor) 트랜지스터 :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는 3개의 단자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 FET(Field- Effect- Transistor) : S 단자(소스, source)와 D단자(드레인.
무정전전원장치 제작사양서 KPS600Series UPS 1Φ 5KVA KPS-605U ``
기초전기 천안 정비연수원 - 전기:영국의 물리학자 :톰슨”발견 - 전기의 어원(elektrom→그리스어)
Multilayer Chip Varistor ( MLV )
Thevenin’s Theorem 단위 DC 회로 V0 Rout (Output 저항) Vout (Output 신호,
제 3 장 부품의 특성 1. 저항기 (Resistance) 1) 저항의 사용용도 2) 저항의 정격전력
Biomedical Instrumentation 6주차
Chapter 10 Differential Amplifiers
10장 주변장치 (PIO) Slide 1 (of 28).
금속탐지기 4조 기초 전자 회로 실험 프로젝트 중간 보고서 김병로 박신욱
SPICE 소개 및 사용법 정보통신공학과 이종복 교수.
Chapter 6. BJT의 특성 및 바이어스 회로
1장. 컴퓨터의 기초 Lecture #1.
CHAPTER 1 Semiconductor Diode
                                  2장 Gate IC 종류 및 동작특성 부울대수식.
Chapter 4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PART 3 반도체.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Chapter 6 BJT 증폭기.
전자회로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rory
4 기본 논리게이트 IT CookBook, 디지털 논리회로.
COMPUTER ARCHITECTIRE
전자회로실험 1조 유승욱 이명민 TEAM ARCHITECTURE.
Term Project 중간보고서 중간보고서
11. 전자기파 변하는 전기장은 자기장을, 그리고 변하는 자기장은 전기장을 유도한다. 이 관계는 진공상태에서도 성립한다. 또한 이들은 전자기파의 형태로서 극한의 속도로 공간을 가로지를 수 있다. 이들 전자기파는 우리 주위에 존재하면서 통신기술과 열복사 등의 기초가 된다.
시퀀스 제어 실험 개폐기, 릴레이, 기타 HIR LAB.
IT CookBook, 아날로그 CMOS 집적회로 설계 1장 “Razabi”2009
신장규*, 윤의식**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KAIST 전자전산학과
MONOLITHIC FABRICATION PROCESSES
Introduction 물질의 전기저항 종류 전기 전도도의 온도 의존성으로 부터 명확히 구분됨
Ch. 1 반도체 이론.
HSPICE 실습.
▶Mask 제작 기준의 모든 기준은 2015년 4월 1일 기준 -현재 반납 진행된 부분은 현행 무상 공급 진행
To-do list 강의 목차 강의할 내용 이론/실습 시간 1. 센서 개요 센서란 무엇인가? 이론 60분
제 9 장 반도체(Semiconductors)
전기안전공학 및 실험 4주차 한경대학교 안전공학과.
컴퓨터 구조 2장. 논리회로의 활용.
14.1 다이오드 14.2 트랜지스터 14.3 특수반도체 소자 집적, 정류, 증폭 회로 14.7 펄스발진 회로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ory
Ch.5 트랜지스터 바이어스 회로.
                                  1장. 디지털 회로의 개요 디지털 회로란? 디지털 IC의 개요.
무정전전원장치 제작사양서 KPS600Series UPS 1Φ 5KVA KPS-605U ``
축전기 Capacitors.
디지털공학 및 실험 디지털 공학: 부울대수를 기반으로 하는 논리적인 회로의 입출력에 대하여 공부하고 이를 응용한 기능을 설계하는 과목. 부울대수: 참, 거짓 두 종류의 입력(출력)데이터와 AND, OR, NOT 등의 연산자사이의 관계를 정의해 놓은 학문분야. 값의 명칭:
Prof. Seewhy Lee Presents
전기안전공학 및 실험 4주차 한경대학교 안전공학과.
전자물리실험 07-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이용한 광신호 감지 - DSU 메카트로닉스 융합공학부 - PULSE 4
Ergonomic Multifunctional Celling
단원 2. 자동화와 로봇 (188p) 01. 전기. 전자란 무엇인가. 학습목표 1
IGBT APPLICATION NOTE IGBT Application Engineering
Chapter 08. 플립플롭.
콘덴서 / 저항기 / 전자부품 및 생산라인에 「최적」의 제품이 신바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래치(latch) 일반적으로 플립플롭과는 별개의 부류로 분류되는 쌍안정 형태의 저장소자이다.
Chapter 04. 논리게이트.
9장 동기 순서 논리회로 경남정보대_논리회로_김 미 진.
회로이론 Capacitors.
Chapter 09. 동기 순서논리회로.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 영종하늘도시 개발사업
반도체란.
6조 4석리플렉스 AM 라디오설계 최종 결과 발표 조원 이병진(발표) 김정섭
Presentation transcript:

저항 저항기(Resistance)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흐름을 곤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회로상에서의 기호는 를 사용하며 단위는 ohm(Ω:옴)이 사용된다 고정저항기와 가변저항기로 나누어지며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탄소계와 금속계로 분류된다

고정 저항(탄소피막) 탄소 피막 저항 가장 일반적이고 저가격의 저항기 저항값의 오차는 ±5%의 저항기가 가장 많다 정격전력으로는 1/8, 1/4, 1/2 등이 많다 탄소피막 저항기는 잡음이 심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 회로에는 금속계의 저항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경험적으로는 아날로그 회로의 미소한 신호를 증폭하는 곳에는 가급적 금속계 저항기를 사용하고 일반 디지털 회로에서는 저렴한 탄소계 저항기를 사용해도 무방

고정 저항(탄소피막2) 저항 어레이라 부르는 것으로, 여러 개의 같은 값을 가진 일체형 저항기로 각 저항기의 한쪽이 내부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도 있다 여러 개의 발광 다이오드 전류를 제어하는 경우 등, 실장 공간이 적게 해결되어 편리하다 사진의 저항기는 8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단지 저항값만(470Ω이라는 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9개의 리드(다리)가 있으며 저항값의 인쇄면에서 보았을 때, 맨 좌측의 리드가 공통(common) 리드이다. 4S470Ω이라는 식으로 머리에 4S를 붙여 표시하고 있는 저항 어레이도 있다. 이 타입은 리드가 8개로 독립된 저항기가 4개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저항기의 정격전력은 대략 1/8W 정도이다 사이즈는 9개의 리드가 있는 타입의 경우, 폭 23mm, 높이 5mm(검은 부분), 두께 1.8mm이며, 8개의 리드가 있는 타입은 폭 20mm, 높이 5mm, 두께 1.8mm 정도

고정 저항(금속피막) 오차가 적은 높은 정밀도의 저항값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오차는 ±0.05% 정도의 것도 있지만, 일반적인 전자회로에서는 그다지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저항기는 사용되지 않으며, 고정밀도라고 해도 ±1% 정도의 저항기로 충분하다 가격면에서 비싸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금속피막 저항기의 저항체 재료는 Ni-Cr(nichrome) 등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다 금속피막 저항기의 용도는 브리지 회로, 필터와 같이 저항 값의 오차가 회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 그리고 아날로그의 잡음이 마음에 걸리는 회로 등에 사용한다

가변 저항 가변저항기는 일반적으로 볼륨(variable ohm)이라 부르는 경우도 많다. 라디오의 음량조정과 같이 용이하게 저항값을 바꿀 수 있는 것과, 전자회로에서 부품의 오차에 의한 동작 상태를 조정(adjust: ADJ)해야 하는 경우 등에 사용하는, 통상 저항 값을 바꾸지 않는 반고정 저항기가 있다. 통상적인 가변저항기, 반고정 저항기는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300도 정도이지만, 저항 값을 세밀하게 조정하기 위해 기어(gear)를 조합하여 다회전(10∼25회 정도)시킬 수 있는 퍼텐쇼미터(potentiometer)라는 것도 있다. 사진의 우측에 있는 것은 음량조정과 같이, 저항값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가변저항기이다. 중앙에 있는 4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는데, 프린트 기판 등에 실장하는 반고정 가변저항기이다. 좌측에 있는 2개는 퍼텐쇼미터(potentiometer)라 부르는 것으로, 좌측에 있는 나사를 돌려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퍼텐쇼미터의 형태는 이 사진과 같은 것 이외에, 맨 우측의 형태에 가까운 것도 있다. 용도에 따라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수광 소자(Cds) 빛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하는 부품으로 카드뮴을 사용한 것이며 빛이 닿으면 저항값이 작아진다 수광감도, 크기, 저항값 등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사진과 같은 것은 원통형의 직경이 8mm, 높이가 4mm의 크기로, 빛이 닿지 않을 때에는 2MΩ 정도, 빛이 닿으면 200Ω 정도로 저항값이 변화한다. 빛이 닿는 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한다. 이 Cds 소자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의 점등 확인 장치에도 사용되고 있다.

권선저항기는 금속의 미세한 선을 재료로 사용한 것으로, 선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정밀한 저항값을 얻을 수 있다. 기타 저항 권선저항기는 금속의 미세한 선을 재료로 사용한 것으로, 선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정밀한 저항값을 얻을 수 있다. 굵은 선재를 사용할 수 있어, 대전력용의 저항기를 만들 수 있다 실제로는 정밀한 저항값을 얻는 것보다 대전력용 저항기의 용도가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 결점으로는 선을 절연체에 코일 형태로 감아 붙이기 때문에, 주파수가 높은 회로에는 사용할 수 없고 다량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저항기는 열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열은 발생한다) 방열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진은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저항기를 법랑으로 덮은 할로우(hollow) 저항기와, 세라믹 케이스에 삽입하여 특수한 시멘트로 굳힌 시멘트 저항기 등이 있다. 1∼2W부터 수십 W의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좌측의 사진은 할로우 저항기인데, 상측이 10W의 것으로, 굵기 13mm, 길이 45mm, 하측이 50W의 것으로, 굵기 29mm, 길이 75mm이다. 상측은 부착 고리를 붙인 상태이다. 절연하기 위해 애자로 된 구조로 되어 있다.우측의 사진은 시멘트 저항기이며, 5W용으로, 폭 22mm, 길이 9mm, 높이 9mm이다.

저항 값 읽기

 비교적 큰 저항기에는 저항 값이 직접 씌어진 경우가 많지만 작은 것에서는 써넣기가 곤란하므로 약자 숫자(이후 약숫자)가 Color Code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이다. 저항 값이 직접 쓰여진 경우에도, 소수점이 지워지는 사고를 고려하여 「4.7KΩ±5%」을 「4K7J라고 쓰는 경우가 있다. 끝의 J는 ±5%는 나타내는 오차code이다. 같은 모양으로 「2.2Ω±10%」를 「2R2K」로 나타내는 것이 있다. R은 소수점(둥근점=Round)의 약자로 최후의 「K」는 보조단위에는 없는 오차code이다.   약숫자 표시의 경우, 예를 들면「472J (컬러코드:황색,자색,적색,금색)」라는 약숫자는 처음 47은 유효숫자 세 번째의 2는 유효숫자에 곱하는 10의 제곱수(뒤에 붙인 0의수), 마지막의 문자 J가 오차Code이다. 따라서 47×102=4,700Ω=4.7KΩ, 오차±5%이 된다.   고정도의 저항에서는 유효숫자가 3행이기 때문에 4숫자가 씌어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4701F」는 유효숫자 470에 0을 1개 붙여서 4,700Ω=4.7KΩ으로 오차는 F Class=±1%이다. 약숫자 표시의 경우 숫자 아래에 Under Line을 치는 것이 보통이지만 때때로 그렇지 않은 품종도 있어 Tester의 도움이 필요하다

콘덴서(Condenser) 콘덴서란 전기를 축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전기를 축적하는 기능 이외에 직류전류를 차단하고 교류전류를 통과시키려는 목적에도 사용된다 회로도의 기호는 으로 표시한다 기본적으로는 2장의 전극판을 대향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전해 콘덴서 전해콘덴서 또는 케미콘(chemical condenser)이라고도 부른다 이 콘덴서는 유전체로 얇은 산화막을 사용하고, 전극으로는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다 유전체를 매우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콘덴서의 체적에 비해 큰 용량을 얻을 수 있다 특징은 극성(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정해져 있다)이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콘덴서 자체에 마이너스측 리드를 표시하는 마크가 붙어 있다. 또, 가할 수 있는 전압, 용량(전기를 축적할 수 있는 양)도 표시되어 있다 극성을 잘못 접속하거나, 전압이 너무 높으면 콘덴서가 파열(펑하는 소리가 나며, 매우 위험)되고 만다. 절대?실수해서는 안된다(통상, 회로도에도 + 극성을 표시한다). 이 콘덴서는 1μF부터 수천μF, 수만μF라는 식으로 비교적 큰 용량이 얻어지며, 주로 전원의 평활회로, 저주파 바이패스(저주파 성분을 어스 등에 패스시켜 회로 동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등에 사용된다. 단, 코일 성분이 많아 고주파에는 적합하지 않다(이것을 주파수 특성이 나쁘다고 말한다).

사용상 주의점 전해콘덴서에는 좌측사진과 같이 마이너스측 전극을 표시하는 마크가 있다 실장할 때는 틀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탄탈 전해콘덴서(탄탈 콘덴서) 전극에 탄탈륨이라는 재료를 사용하고 있는 전해콘덴서이며 알루미늄 전해콘덴서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큰 용량을 얻을 수 있다 온도 특성(온도의 변화에 따라 용량이 변화한다 용량이 변화하지 않을수록 특성이 좋다고 말한다)주파수 특성 모두 전해콘덴서 보다 우수하다. 알루미늄 전해콘덴서는 크라프트(kraft)지 등에 전해액이 스며 들게 한 것을 금속 알루미늄으로 삽입하여 감아 붙인 구조로 되어 있지만, 탄탈 전해콘덴서의 경우는 tantalum powder를 소결하여 굳혔을 때에 나오는 빈틈을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두루마리 구조가 아니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성이 우수하다(이것은 어디까지나 알루미늄 전해콘덴서와 비교했을 때의 이야기) 이 콘덴서도 극성이 있으며, 통상, 콘덴서 자체에 +의 기호로 전극을 표시하고 있다. 탄탈 콘덴서도 절대로 극성을 잘못 접속해서는 안된다. 온도에 의한 용량변화가 엄격한 회로, 어느 정도 주파수가 높은 회로 등에 사용한다. 알루미늄 전해콘덴서에서 발생하는 spike 형상의 전류가 나오지 않으므로 신호 파형을 중요시하는 아날로그 신호계에는 탄탈 콘덴서를 사용하는 것이 상식적이다 스파이크와 같은 불요 파형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해콘덴서로도 충분하다.

세라믹 콘덴서 전극간의 유전체로 티탄산 바륨(Titanium-Barium)과 같은 유전율이 큰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인덕턴스(코일의 성질)가 적어 고주파 특성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고주파의 바이패스(고주파 성분 또는 잡음을 어스로 통과시킨다)에 흔히 사용된. 모양은 원반형으로 되어 있으며, 용량은 비교적 작다 사진의 좌측에 있는 것은 용량이 100pF의 콘덴서로, 원반의 직경이 3mm 정도이다. 우측에 있는 콘덴서는 103이라고 인쇄되어 있는데, 이것은 10×103pF이므로 0.01μF가 된다 원반의 직경은 약 6mm였다. 전해콘덴서나 탄탈 콘덴서와 같이 전극의 극성은 없다 사진보다 더 큰 외형의 세라믹 콘덴서도 있다. 세라믹은 강유전체의 물질로 아날로그 신호계 회로에 사용하면 신호에 일그러짐이 나오므로 이와 같은 회로에는 사용할 수 없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전극간의 유전체로 고유전율계 세라믹을 다층 구조로 사용하고 있으며, 온도 특성, 주파수 특성이 양호하고, 게다가 소형이라는 큰 특징이 있다. 디지털 회로에서 취급하는 구형파(펄스파) 신호는 비교적 높은 주파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콘덴서는 주파수 특성이 양호하고, 소형이라는 점 때문에 바이패스용으로 흔히 사용된다. 온도 특성도 양호하므로 온도변화를 꺼려하는 회로에도 사용된다. 사진의 좌측에 있는 것은 용량이 104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10×104pF=0.1μF의 용량이며, 폭 4mm, 높이 3mm, 두께 2mm의 콘덴서이다. 사진 우측에 있는 것은 용량이 103(10×103 pF=0.01μF)의 콘덴서로, 둥근 부분의 직경이 2mm, 높이가 4mm였다. 고밀도 실장을 하는 데에는 우측에 있는 형상의 콘덴서가 좋은 경우도 있다. 전극의 극성은 없다.

스티롤 콘덴서 전극간의 유전체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 콘덴서는 필름을 감은 구조이므로 인덕턴스(코일) 성분이 크다. 따라서 고주파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수백 kHz 이하의 필터 회로나 타이밍 회로 등에 흔히 사용된다. 사진에 나타낸 스티롤 콘덴서는 전극에 동박을 사용하고 있어, 적색을 띠고 있지만, 전극으로 알루미늄박을 사용하는 것도 있으므로 은색을 띠고 있는 것도 있다. 동박을 사용한 쪽이 약간 비싸고, 주파수 특성이 좋은 듯 하며, 엄격한 용도가 아니면 적색이든 은색이든 별로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사진에서 좌측에 있는 콘덴서는 100pF로 굵기 5mm, 높이 10mm이다. 가운데 있는 콘덴서는 1000pF로 굵기 5.7mm, 높이 10mm이다. 우측에 있는 콘덴서는 10000pF로 굵기 10mm, 높이 24mm이다. 전극의 극성은 없다.

슈커 케패시터 슈퍼 케패시터(Super Capacity)라고 한다 용량은 0.47F(470,000μF)로 초대용량 콘덴서이다. 이와 같은 대용량의 콘덴서를 전원회로 등에 사용할 때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콘덴서가 텅비어 있을 때에는(전기가 축적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전류가 계속 유입하므로 정류기 등이 과전류로 인해 파괴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인 전원회로의 평활 콘덴서는 1,000μF 정도이므로, 콘덴서는 순간적으로 충전되지만, 이러한 콘덴서를 사용하면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회로가 쇼트되어 있는 것과 같다. 보호회로를 설치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용량이 크기 때문에 단시간의 백업(배터리 정도의 장시간은 아니지만) 등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대용량인데 비해 비교적 형태가 작으며, 직경이 21mm, 높이 11mm이다. 전극에 극성이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콘덴서 마일러(Mylar) 콘덴서라고도 하며, 얇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필름을 양측에서 금속으로 삽입하여, 원통형으로 감은 것이다. 저가격으로 사용하기 쉽지만, 높은 정밀도는 기대할 수 없다. 오차는 대략 ±5%에서 ±10% 정도이다. 사진의 좌측부터 용량: 0.001μF(.001K로 표시) 폭:5mm, 높이:10mm, 두께:2mm 용량: 0.1μF(104K로 표시) 폭:10mm, 높이:11mm, 두께:5mm 용량: 0.22μF(0.22K로 표시)폭:13mm, 높이:18mm, 두께:7mm 메이커에 따라 용량을 표시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폴리프로필렌 콘덴서 폴리에스테르 콘덴서 보다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한다. 유전체 재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을 사용하며, 100kHz 이하의 주파수에서 사용하면 거의 용량의 변화가 없다고 한다. 사진에 나타낸 것은 오차가 ±1%의 것이다 극성은 없다

마이카 콘덴서 유전체로 운모(mica)를 사용한 콘덴서이다. 운모는 온도계수가 작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주파수 특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고주파에서의 공진회로나 필터회로 등에 사용된다. 또한, 절연내압도 우수하므로 고압회로에도 사용된다.이전에는 진공관식 무선송신기 등에는 흔히 사용되었다. 결점으로는 용량이 그다지 크지 않고, 비싸다. 좌측의 사진은 diped mica condenser이라 부르는 것으로 내압이 500V이다. 용량은 좌측부터 47pF(470J로 표시) 폭:7mm, 높이:5mm, 두께:4mm 220pF(221J로 표시) 폭:10mm, 높이:6mm, 두께:4mm 1000pF(102J로 표시) 폭:14mm, 높이:9mm, 두께:4mm 전극의 극성은 없다.

시멘스 MKT 콘덴서 시멘스 MKT 적층 콘덴서라고도 하며, 전극으로 증착 금속피막을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콘덴서로, 전극이 얇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사진의 좌측부터 용량: 0.001μF(1n으로 표시) 내압: 250V 폭:8mm, 높이:6mm, 두께:2mm 용량: 0.22μF(μ22로 표시) 내압:100V 폭:8mm, 높이:6mm, 두께:3mm 용량: 2.2μF(2μ2로 표시) 내압: 100V 폭:15mm, 높이:10mm, 두께:8mm 이 콘덴서는 리드가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번 떨어져 버리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버릴 수 밖에 없다. 전극의 극성은 없다.

가변용량 콘덴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콘덴서이며, 주로 주파수 조정 등에 사용한다. 좌측의 사진에 나타낸 것은 트리머(trimmer)라 부르는 가변용량 콘덴서이며, 유전체로 세라믹(자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 외에도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유전체로 사용한 것도 있다. 부착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전극 극성은 없지만 용량을 조절하는 나사 부분이 어느 한 쪽의 리드선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의 한 쪽이 어스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조절 나사가 연결되어 있는 리드선을 어스측으로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조절할 때의 드라이버의 용량이 영향을 주므로 잘 조절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조절을 할 때에는 전용의 조절용 드라이버((나사를 돌리기 위한 절연체 드라이버로, 아크릴과 같은 절연물로 되어 있다)가 있으므로 그것을 사용하는 편이 무난하다. 조절 나사가 어느 쪽 리드선에 연결되어 있는지는 살펴 보면 알 수 있지만, 그래도 모를 때는 테스터 등으로 확인한다. 사진에서 좌측의 트리머는 용량: 20pF(3pF∼27pF 실측) 굵기: 6mm, 높이: 4.8mm 그 외에, 청색:7pF(2∼9), 백색:10pF(3∼15), 녹색:30pF(5∼35), 갈색:60pF(8∼72)가 있다. 우측의 트리머는용량: 30pF(5pF∼40pF 실측) 폭(길이): 6.8mm, 폭(짧은 쪽): 4.9mm, 높이: 5mm

가변 콘덴서 배리콘이라 부르는 가변용량 콘덴서로 라디오의 튜너 등에 사용된다. 좌측의 배리콘은 공기를 유전체로 하고 있으며, 3개의 독립된 콘덴서를 조합하고 있다(3련 배리콘이라고 부른다). 용량은 각각 2pF∼18pF까지 변화했다. 조정축을 돌리면 3개의 콘덴서의 용량이 동시에 변화한다. 크기는 폭, 높이 모두 17mm, 깊이 29mm(조정봉은 제외) 사진에 나타낸 것은 소형 배리콘들로 사진의 우측에 것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유전체로 한 것으로, 2개의 독립된 콘덴서를 조합하고 있다(2련 폴리배리콘이라고 한다). 용량은 한 쪽이 12pF∼150pF, 다른 한쪽이 11pF∼70pF까지 변화했다. 크기는 폭, 높이 모두 20mm, 깊이 11mm(조정봉은 제외) 사진에 나타낸 것은 각 콘덴서에 다시 소형의 트리머가 내장되어 있으며, 15pF 정도의 미세조정을 할 수 있다

콘덴서(전해콘덴서) 식별법

마일러 및 세라믹 콘덴서 식별 유효숫자의 제 1숫자와 제2 숫자는 그대로 읽고 제 3숫자는 곱수를 나타낸다. 제 3숫자 다음의 문자는 오차를 표시하며 1H는 사용 정격전압을 표시한다 안전 유의사항 1. 저항의 허용 오차 색 위치를 먼저 확인한다. 2. 저항의 소비 전력 정격을 확인한다. 3. 콘덴서의 전압을 확인한다.

콘덴서 용도

콘덴서 사용 목적 1. 전원의 불안정함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전원부에 높은 용량의 콘덴서가 쓰임 2.직류는 차단하고 교류만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직렬구조로 콘덴서 사용 3.IC마다 안정된 동작을 위하여 콘덴서가 IC전원 입력부에 근처에 설치 4.신호의 온 오프를 완만하게 하기 위하여 저항과 함께 시간지연회로로 사용

콘덴서 사용시 신호의 변조

F (Farad) 콘덴서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양, 즉 정전용량의 단위. 기호로는 F로 쓰며 1패럿은 콘덴서에 걸리는 전압이 1볼트/초로 변할 때 1암페어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패럿은 너무 큰 단위이므로 실제로는 100만분의 1패럿인 마이크로패럿(μF)을 많이 쓴다 I = Q/t Q : 전하량 --- 전자 1개의 전하량은 1.6 × 10-19 1 C(coulomb) --- 전자 6.25 × 1018가 모인 전하량

미분회로

적분회로

i :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전류(A) V : 공급 전압(V) R : 저항 값(Ω) C : 콘덴서(㎌) t : 충전개시 후 경과시간 RC : 시정수 Vc : 콘덴서 충전전압 iR : 저항 양단의 전압

유도식

RC 회로의 시정수 값 결정 회색부분의 공간에 결정된 값을 입력하면 나머지 값들이 자동으로 계산된다(단, MS Excel이 있어야 한다)

코일 코일이란 동선과 같은 선재(線材)를 나선 모양으로 감은 것이다. 회로기호는 으로 표시한다. 회로기호는 으로 표시한다. 코일의 성질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헨리(Henry:H)가 사용된다. 선재를 감으면 감을수록 코일의 성질이 강해지며 헨리의 값도 커진다. 코일은 내부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공심으로 하는 것보다 철심에 감거나 코어라 부르는 철분말을 응고시킨 것에 감는 편이 보다 큰 헨리 값이 얻어진다. 코일에 교류전류가 흐른 경우, 코일에 발생하는 자속이 변화한다. 그 코일에 다른 코일을 가까이 했을 경우, 상호유도작용(Mutual Induction)에 의해, 접근시킨 코일에 교류전압이 발생한다. 이 상호유도작용의 정도를 상호 인덕턴스(단위는 헨리:H)로 표시한다. 코일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도 자신이 발생하는 자속의 변화가 자신에게 영향을 준다. 이것을 자기유도작용이라고 하며, 그 정도를 자기 인덕턴스(Self Inductance)로 나타낸다. 헨리의 정의는 어떤 코일에 매초 1A의 비율(1A/s)로 전류가 변화할 때, 다른 쪽의 코일에 1V의 기전력을 유도하는 두 코일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1헨리(H)로 한다고 되어 있다. 자기 인덕턴스의 경우는 전류의 변화율이 1A/s일 때 1V의 기전력을 발생하는 경우의 자기 인덕턴스를 1H로 한다고 되어 있다.

코일의 성질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 전류가 흐를려고 하면 코일은 전류를 흘리지 않으려고 하며, 전류가 감소하면 계속 흘릴려고 하는 성질이다. 이것을 "렌츠의 법칙"이라 부르는데,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는 항상 유도작용을 일으키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이?

상호유도작용이 있다 두 코일을 가까이 하면 한쪽 코일의 전력을 다른 쪽 코일에 전달할 수 있다(트랜스) 전력을 공급하는 쪽의 코일(입력)을 1차측, 전력을 꺼내는 쪽(출력)을 2차측이라고 하며 1차측 권수와 2차측 권수의 비율에 따라 2차측의 전압이 변화한다 전원트랜스 등은 2차측에서 권선의 도중에 선을 내어(tap이라고 한다) 복수의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 많다.

전자석의 성질이 있다 전류가 흐르면 철이나 니켈을 흡착하는 성질이다. 이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계전기(릴레이)가 있다. 전류가 흐를 때에 철판을 끌어당겨 철판에 부착된 스위치를 닫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차임벨도 전자석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공진하는 성질이 있다 코일과 콘덴서를 조합하면 어떤 주파수의 교류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쉽게 흐르기도 한다 공진하는 성질이 있다 코일과 콘덴서를 조합하면 어떤 주파수의 교류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쉽게 흐르기도 한다. 라디오의 방송국을 선택하는 튜너는 이 성질을 이용하여 특정한 주파수만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코일의 모양 맨 좌측에 있는 것은 소북 모양의 코어에 가느다란 동선을 감은 것으로, 100μH의 것이다. 고주파의 공진, 고주파의 저지 등에 사용한다. 샘플로 구입한 것의 크기는 직경이 약 4mm, 높이가 약 7mm였다. 저항기와 마찬가지로 컬러코드로 값을 표시하고 있는 것도 있다. 좌측에서 두 번째의 것은 봉 모양의 코어에 가는 동선을 감은 것으로, 용도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다. 우측에 있는 2개는 고주파용의 트랜스이다. 트랜지스터 라디오 등의 발진용, 중간주파수(455KHz)의 동조 등에 사용된다. 고주파이므로 다른 회로로부터 자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주변 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금속 케이스(차폐상자 또는 실드케이스라고 한다)에 수납되어 있다. 이 케이스는 반드시 어스에 연결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동조용, 발진용이므로 인덕턴스값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변 인덕턴스 코일 중심의 코어부는 나사 모양으로 되어 있어, 드라이버 등으로 돌리면 코어가 코일에 들어가거나, 나오기도 한다. 코어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코일의 인덕턴스값이 변화한다. FM 라디오의 튜너부 등은 87.5MHz∼108MHz 부근의 고주파를 취급하기 때문에 코어에 감으면 인덕턴스값이 너무 커지므로 공심 코일이 사용된다. 이 경우의 조정은 코일의 권선 간격을 변화시켜 조절한다. FM 라디오 등을 분해하여 보면 코일이 모두 한결같이 일률적으로 되어 있지 않고, 코일의 간격이나 리드의 형태가 제각기 멋대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깨끗하고 보기 좋게 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이것은 일부러 구부리거나 코일 간격을 바꾸어 인덕턴스값을 조절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이오드 다이오드란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리는 반도체 부품이다. 트랜지스터도 반도체이지만, 다이오드는 특히 이와 같은 한쪽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반도체의 재료는 실리콘(규소)이 많지만, 그 외에 게르마늄, 셀렌 등이 있다. 다이오드의 용도는 전원장치에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바꾸는 정류기로서의 용도, 라디오의 고주파에서 신호를 꺼내는 검파용, 전류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칭 용도 등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회로기호는 가 사용된다. 다이오드란 말은 2개의 전극을 의미하는 2(di)라는 단어와 전극(electrode : ode)이라는 단어의 복합어이며 전원을 인가할 경우 한쪽 방향으로는 도체와 같이 동작하고 전원을 반대 방향으로인가 할 경우에는 절연체와 같이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말한다. 최초의 다이오드는 자유전자를 방출하는 음극(cathode)이라 불리는 가열된 필라멘트와 음극에서 방출된 자유전자를 모으는 양극(anode)으로 이루어진 진공관(vacuum tube)이었으며, 오늘날의 다이오드는 자유전자를 공급하는 n형 물질과 자유전자를 모으는 p 형 물질의 접합으로 만들어진 반도?디바이스이다. 상온에서 p 형 반도체란 4가인 진성 반도체에 불순물을 첨가시키는 도우핑(doping)과정을 거쳐 다수 반송자로서 정공(hole)을 생성하고 또한 열 에너지에 의해 소수의 자유전자를 갖는 반도체이며 반대로 n 형 반도체란 도우핑 과정을 거쳐 다수 반송자로서 자유전자를 생성構?소수 반송자로서 정공을 갖는 반도체이다. 다이오드란 결정의 1/2은 n 형 반도체로 나머지 1/2은 p 형 반도체로 접합한 하나의 디바이스이며 이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게 되는 디바이스이다. 다음 그림은 다이오드의 기호를 보인 것이며 p 형 측을 양극(anode), n형측은 음극(cathode)이라 부른다.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일 경우 많은 전자의 흐름이 음극과 양극 사이에 존재한다.

다이오드의 이해

다이오드의 성격

다이오드 형명 다이오드의 명칭에 관하여는 EIAJ 등록에 의하서 부여하는 EIAJ형명이 있고, JEDEC에서 사용하는 명칭, 유럽에서 사용하는 명칭이 있다. 또한 메이커에 따라 독특한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EIAJ 명칭 1S 로 시작한다. 처음에는 1S 다음에 등록번호만 주어사용하였으나, 등록부품의 수가 너무 많아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품명을 할당하고 있다. 1SE xxx - 터널다이오드 1SG xxx - 건 다이오드 1SS xxx - 일반다이오드, 검파용, 스위칭칭, 펄스발생용, 스냅오프다이오드 1ST xxx - 1SV xxx - 가변용량다이오드, PIN 다이오드, 스냅오프다이오드 1SR xxx - 정류용 다이오드 1SZ xxx - 정전압 다이오드 JEDEC 명칭 - 1N 으로 시작하면, 미국의 JEDEC에서 부여한 명칭이다. 유럽형 명칭 - 0Axx, BOXxxx 등으로 사용되면 메이커별 명칭 - 독작적인 명칭을 부여한다.

제너다이오드와 테스트

포토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LED) 주로 적색, 녹색이 많지만, 청색을 발광하는 LED도 있다. 발광 다이오드의 극성의 확인 방법은 신품의 경우에는 리드선이 긴 쪽이 애노드, 짧은 쪽이 캐소드이다.

포토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는 광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센서의 일종이며 그 구성은 반도체의 P-N 정크션(접합부)에 광검출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과 물질 사이에는 물리적 상호 작용이 있으며 물질이 광자(광에너지)를 흡수하고 그 결과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을 광전 효과라 부른다 광전 효과의 결과 반도체의 접합부에 전압이 나타나는 현상을 광기전력 효과라 부른다 광기전력 효과는 이 밖에 금속 전극과 반도체 사이, 전극과 전해질 사이에서도 볼 수 있다 빛을 받으면 역방향으로 통전이 된다

■ 바리캡 다이오드 (Variable-capacitance diode) 가변용량 다이오드로 varactor 라고도 불립니다 ■ 바리캡  다이오드 (Variable-capacitance diode) 가변용량 다이오드로 varactor 라고도 불립니다. 다이오드 접합부의 capacity가 역전압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텔레비젼 튜너, 무선기 등 고주파 변조나 주파수 변환, 동조, 믹서 등에 이용됩니다. ■쇼트키 다이오드 (Schottky barrier diode) N형태 반도체에 직접 쇼트키 게이트 전극을 붙여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면에서 역방향 전압을 저지하는 기능(쇼트 키 베리어)을 이용하는 다이오드입니다. 고주파용과 일반 정류용이 있으며 고주파용은 UHF대와 마이크로파대의 검파나 믹서용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일반 정류용 쇼트키 다이오드는 일반 정류 다이오드에 비해 순방향 전압이 작고 역방향 내압을 너무 크고 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 100∼200V정도) 저전압 대전류의 전원 정류용으로 이용됩니다. 또한 고속특성을 이용하여 고주파 정류회로나 스위칭 전원용으로 이용됩니다. ■ Switching diode PN 접합의 정류효과(순방향 및 역방향 바이어스시 저항의 현저한 차이)를 이용하여 회로의 스위칭을 주로 하는 다이오드입니다. 일반적으로 Switching diode라고 하면 쇼트키 베리어 다이오드나 밴드 Switching diode도 포함되게 됩니다. ■ 정류 다이오드 (Rectifier diodes) 일반적으로 평균 전류 1 A이상의 것을 가리키며 전원의 정류회로에 이용합니다. 소전력용으로 부터 대전력용까지 많은 종류가 있으며 패키지도 풍부합니다. 가장 많이 생산 되는 것은 소전력용의 1 A 클래스로 정류 다이오드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밴드 스윗칭 다이오드 (Band switching diodes) 일반 소신호 다이오드의 고주파용으로서 개발된 것입니다. 고주파 튜너의 주파수 선택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고주파 저항이 작아야 하며 단자간 capacity값도 가능한 한 낮게 한 다이오드입니다.

트랜지스터(Transistor) 2SA××× PNP 타입의 고주파용 2SB××× PNP 타입의 저주파용 2SC××× NPN 타입의 고주파용 2SD××× NPN 타입의 저주파용

전기적 특성 VCEO:베이스(B)를 오픈했을 때에 컬렉터(C)와 이미터(E)에 걸리는 최대전압.(단순히 VCE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IC:최대 컬렉터(C) 전류 PC:주위온도(Ta)=25℃에서 연속해서 소비시킬 수 있는 최대 컬렉터(C) 손실(방열기 없음) hFE:이미터(E) 접지에서의 직류에 대한 전류증폭률(IC÷IB) fT:주파수를 높여가면 증폭 능력이 저하하는데, 베이스 전류(IB)와 컬렉터 전류(IC)가 같아지는 주파수[직류증폭을 할 수 없게 되는 주파수(트랜지션 주파수)]

표시법 반도체 소자의 형명 표시법 ① 숫자 S ② 문자 ③ 숫자④ 문자 ①의 숫자 : 반도체의 접합면수 (0 : 광트랜지스터, 광다이오드, 1 : 각종 다이오드, 정류기, 2 : 트랜지스터,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 사이리스터, 단접합 트랜지스터, 3 :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로 게이트가 2개 나온 것). S는 반도체(Semiconductor)의 머리 문자. ②의 문자 : A,B,C,D 등 9개의 문자 (A : pnp형의 고주파용, B : pnp형의 저주파형, C : npn형의 고주파형, D : npn형의 저주파용, F : pnpn사이리스터, G : npnp 사이리스터, H : 단접합 트랜지스터, J : p채널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 K : n채널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 ③의 숫자 : 등록 순서에 따른 번호. 11부터 시작. ④의 문자 : 보통은 붙지 않으나, 특히 개량품이 생길 경우에 A, B, …, J까지의 알파벳 문자를 붙여 개량 부품임을 나타냄. 예) 2SC316A → npn형의 개량형 고주파용 트랜지스터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 평평한 면을 바라 보았을 때 리드 구분 2SC1815의 경우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 평평한 면을 바라 보았을 때 오른쪽 리드가 베이스 중앙의 리드가 컬렉터 왼쪽의 리드가 이미터 2SD880의 경우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 면을 바라 보았을 때 오른쪽 리드가 이미터 중앙의 리드가 컬렉터 왼쪽의 리드가 베이스

트랜지스터의 극성 판별 ① 베이스(B) 전극을 찾는다. 가) 회로시험기를 측정범위 R로 설정하고 리드봉 두 개를 TR의 3 다리에 번갈아 대어 본다 나) 어느 한 다리를 공통으로 하여 회로시험기가 적은 저항 값을 나타낼 때(바늘이 0Ω쪽으로 움직임) 그 다리가 공통단자 즉, 베이스(B)가 된다. 이때 빨간 리드봉이 공통단자 즉, 베이스(B)에 연결되어 있다면, 이 TR는 PNP형 그렇지 않고 검은 리드봉이 공통단자 즉, 베이스(B)에 연결되어 있다면, 이 TR는 NPN형 ② 컬렉터(C) 전극을 찾는다 가) 회로 시험기의 측정범위를 R×10000으로 설정하고, TR의 나머지 두 단자를 회로시험기의 리드봉에 교대로 대어 본다 나) 이 때 회로시험기가 적은 저항값을 나타낼 때(바늘이 0Ω쪽으로 움직임) NPN TR이면 빨간 리드봉이 연결되어 있는 단자가 컬렉터(C)이고 PNP TR이면 검은 리드봉이 연결되어 있는 단자가 컬렉터(C)이다 ③ 위의 측정에서 남은 전극이 이미터이다.

FET

종류

동작

TR과 FET의 동작상 차이점

정전류 회로

정전압회로 이 회로에는 몇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우선 zener diode는 아주큰 전위차를 가지는 디바이스로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큰 노이즈를 발생 시킵니다. 일정한 전압이라 하더라도 노이즈가 기생하고 있어 정전압 회로로서는 적당치 않으며 노이즈를 잡기 위해서 콘덴서를 붙입니다. 이 콘덴서는 적층 세라믹 0.1 uF정도면 되며 여유가 있으면 수백∼수킬로 오옴의 저항과 수μF의 탄탈 콘덴서로 lowpass filter를 붙이는 것도 좋습니다.

제너전압을 사용해 대전류 전원을 사용하고 싶을때 이 회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 0 제너전압을 사용해 대전류 전원을 사용하고 싶을때 이 회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 0.65 V를 고려해 제너의 전압은 필요한 전압보다 0.65 V 높게 설정해 둔다. 다만 트랜지스터의 VBE는-2mV/℃의 온도계수가 있으므로 정밀한 용도에서는 온도변화의 영향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

베이스에는 저항이 필요하다 베이스의 저항을 빠뜨리면 최악의 경우 트랜지스터가 과열되어 타 버릴 수 있다. 왜냐하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는 어떠한 경우든 0.65 V이상으로 할 수 없다. (수천 A의 전류를 흘리면 수V가 될 수 있지만···) 0.65V 이상 될 수 없는 곳에 그 이상의 전압을 가하면 어디선가 전압차를 소비해야 하며 소비된 전력만큼 열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베이스에 직렬저항이 필요하며 저항의 값은 적당히 결정해도 좋다. 베이스 전류를 너무 많이 흘리면 트랜지스터가 타 버리고 너무 적으면 콜렉터 전류도 적어 지므로 수백Ω에서 수10kΩ이 적당한 범위다 스윗치가 아니고 디지탈 회로의 출력을 트랜지스터에 연결할 때도 베이스에 직렬저항을 넣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지 않으면 트랜지스터와 디지탈 IC의 출력 중 약한쪽이 고장날 것이다.

트랜지스터의 입력에 오픈콜렉터 출력이나 트라이스테이트 출력, 또는 스윗치 등을 연결할 경우 그 신호가 오픈 될 가능성이 있다 트랜지스터의 입력에 오픈콜렉터 출력이나 트라이스테이트 출력, 또는 스윗치 등을 연결할 경우 그 신호가 오픈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베이스·이미터간의 저항이 없으면 베이스 단자가 불안정하게 되며 그 때문에 콜렉터 전류도 불안정하게 흐릅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를 확실히 OFF로 하기 위해서 베이스·이미터간에 저항이 필요합니다. 그 값이 너무 낮으면 쓸모없는 전력 소모가 발생하며 너무 높으면 효과가 줄어들어 노이즈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10kΩ전후의 저항을 사용하면 적당하다.  디지탈 IC의 사용하지 않는 입력 단자를 pull-up 하는 것 처럼 트랜지스터의 입력 단자도 오픈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TR 사용 예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이미터간 포화 전압 Vce(sat)가 0.2 V인 경우

높은 전압의 on/off PNP 트랜지스터를 동작 시키려면 베이스 전압은 이미터 전압보다 약 0.65V 낮아야만 한다. 12V 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베이스 전압은 11 V 근처가 되며 이것을 저항을 통해 디지탈 회로에 연결하면 IC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번 NPN 트랜지스터를 통해서 디지털 회로에 연결하는 버릇을 갖는 것이좋으며 이 때도 베이스 저항의 사용한다

고속 스위칭 회로 앞에서 설명한 회로와 같지만 앞의 회로는 수 10 kHz정도로 그이상의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없으며 트랜지스터를 OFF 하려고 해도 일정시간 동안 전류가 계속 흐르게 된다. 그 이유는 베이스에 과잉 캐리어가 쌓여 있기 때문이지만 빠르게 움직이는 자동차를 갑자기 멈출 수 없는 것과 비슷한 이유라고 생각하면 된다. 베이스에 흘리는 전류를 멈추어도 베이스에 캐리어가 쌓여 있으므로 전류가 갑자기는 멈추지 않게 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베이스에 쌓인 캐리어를 고속으로 제거하고 과잉 캐리어 쌓이지 못하도록 해야하는데 베이스에 쌓인 캐리어를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서 베이스에 직렬로 콘덴서를 삽입한다. 콘덴서는 급격한 전압변화가 있을 때 전류가 흐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가 OFF 하는 순간에 베이스에 역전류를 가하여 쌓여있는 캐리어를 제거하게 되어 고속 ON/OFF가 가능하게 된다. 이 콘덴서의 값은 수백 pF 대에서 증감 하면 좋을 것이다.

코일 부하 사용시

전류 미러 회로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전류 미러 회로입니다. 좌측 트랜지스터에 흐른 전류와 같은 전류가 우측 트랜지스터에도 흐릅니다. 콜렉터 단자를 통해서 전류를 검출하고 출력 합니다. 전류 검출 회로로 사용되는 것 외에도 차동 증폭기와 함께 사용해 연산효증폭기의 성능을 올리는데 사용됩니다. 마치 거울에 비춘 것처럼 왼쪽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류를 흘리므로 Current Mirror 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TR1에 흐르는 전류는 0.6 / R1 [A]를 넘을 수 없기 때문에 전류 제한 회로라 한다 전류제한 회로 TR2의 작동 : I  × R1  > 0.6 [V] TR1에 흐르는 전류는 0.6 / R1 [A]를 넘을 수 없기 때문에 전류 제한 회로라 한다

응용편 원터치 스위치 회로를 엔진키 on/off와 연동하여 작동하게 만드시오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트랜지스터, 저항, 콘덴서류를 고밀도로 집적하여 패키지화한 것이다. 트랜지스터나, 저항기, 개별 부품을 단지 아주 소형화했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반도체, 저항체를 사용하지만 그 구조는 부품 그 자체의 것과는 같지 않으며, 실리콘의 기판에 인쇄 기술을 구사하여 트랜지스터 기능이나 저항, 콘덴서 기능을 형성한 아주 고밀도화시킨 것 좌측 위에 있는 것은 SN7400이라는 IC로 2입력의 NAND 회로가 4개 내장되어 있다 핀(pin) 수는 14핀으로 한쪽에 7핀씩 나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IC를 DIP(Dual In Line Package)이라 부른다(DIL이라고도 한다). 이에 대해 핀이 일렬로만 되어 있는 것을 SIP(Single In Line Package)라 부른다

IC 종류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논리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논리군 성능향상을 위해 다이오드를 트랜지스터로 바꿈 ECL(Emitter-Coupled Logic) 수퍼 컴퓨터나 신호 처리기 같은 고속 회로에 사용 MOS(Metal-Oxide Semiconductor) 부품의 밀도가 높은 집적 회로에 사용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전력 소비가 적어 경제적이다

대표적인 IC사례 SN74 시리즈의 IC에는 74 다음에 LS라든가 HC라는 문자가 들어있는 것이 있다 LS(Lowpower Shotkey)는 저소비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HC는 COMS로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더욱 저소비전력이다 참고로, SN7400과 비교해 보면 각각의 소비전력은 아래와 같다(어느 것이나 소비전류가 많은 LOW 출력시이다) SN7400 22mA SN74LS00 4.4mA SN74HC00 0.02mA

SN74LS86AJ ① SN : 제조회사에서 정해 놓은 문자 ② 74 : 동작 온도 범위 54 : -55℃ ∼ +125℃   54 : -55℃ ∼ +125℃ 74 : 0℃ ∼ + 70℃ 2 : 0℃ ∼ + 75℃ 3 : -55℃ ∼ +125℃ ③ LS : TTL의 분류 S : 쇼트키(schottky) TTL H : 고속 TTL L : 저전력 TTL LS : 저전력 쇼트키 TTL ④ 86 : * 제조회사에서 회로의 기능을 표시하는 것 * IC 종류별로 붙이는 연속 번호 ⑤ A : 특성을 개선(Advanced) 했을때 붙이는 알파벳 ⑥ J : 패키지(package)의 형태 J : 세라믹 DIP(dual in line package) N : 플라스틱 DIP T : 금속 평면형 패키지 W : 세라믹 평면형 패키지

용어 Bipolar Transistor는 콜렉터(Collector), 베이스(Base), 에미터(Emitter)로 구성되어 있는데 Vc는 콜레터 전압을 의미하고 c를 하나 더 붙여서 콜렉터 전원전압을 의미하게 됩니다. 그리고 FET(MOSFET,JFET,....)은 Drain, Gate, Source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Vdd는 Drain 전원전압을 의미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전원전압이 5V이므로 Vcc표시가 되어 있으면 5V를 연결하라는 의미이고, FET는 일반적으로 3~12V(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음)까지 넓은 전원접압 Range를 사용하므로 회로에 맞는 전원 전압을 연결해야 한다. 그런것 처럼 Vee는 Emitter전원전압을 의미하고, Vss는 Source 전원 전압을 의미한다. Vee나 Vss는 에미터나 소스를 그라운드 포인트에 연결하지 않고 -전원에 연결할 경우 즉, 양전원을 사용할 경우 에미터나 소스의 전위레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입력전압의 최대값은 +35V이다(메이커에 따라 다소 다를지도 모르지만) 전압 레귤레이터 출력은 +5V의 전압에서 전류는 100mA를 얻을 수 있다 입력전압의 최대값은 +35V이다(메이커에 따라 다소 다를지도 모르지만) 사진의 우측에 있는 IC는 7805라는 것으로, 출력은 +5V의 전압에서 전류는 500mA∼1A를 얻을 수 있다(방열기의 부착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입력전압의 최대값은 +35V 정도이다 출력전압의 종류는 5V, 6V, 7V, 8V, 9V, 10V, 12V, 15V, 18V, 20V, 24V 등이 있다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 평평한 면을 바로 보았을 때, 리드의 구분 78L05의 경우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 평평한 면을 바로 보았을 때, 오른쪽 리드가 입력 중앙의 리드가 어스(접지) 왼족의 리드가 출력 7805의 경우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 면을 바라 보았을 때, 오른쪽 리드가 출력 왼쪽의 리드가 입력

기본 논리 소자 AND 소자

OR 소자

NOT 소자

NAND 소자

NOR 소자

미사용 입력 단자 처리법 TTL에서는 그다지 주의하지 않아도 되지 CMOS 에서는 꼭 미사용게이트 회로의 입력단자의 처리를 해 주어야 한다 미사용 게이트 회로의 입력단자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다른 게이트 회로의 동작이 이상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 한다 처리법: AND나 NAND 게이트에서는 VDD(+전원), OR나 NOR 게이트에서는 VSS(GRD)에 연결한다. 미사용 출력단자는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74LS07 & 74LS17

74LS04, 74LS05, 74LS06, 74LS16

74LS08 & 74LS09

74LS00, 74LS03, 74LS37

74LS32

74LS02, 74LS28, 74LS33

CMOS IC Buffer / Converter : 4010B, 4050B Inverter : 4009B, 4049B, 4069B AND : 4081B NAND : 4011B OR : 4071B NOR :4001B

NE555

커패시터 C의 초기 전압 0V (=‘L’) 4번핀 ‘L’ 일 때 : 2번 핀에 관계없이 3번핀은 ‘L’ ‘H’ 일 때 : 타이머로 동작 전원 Vcc 공급 저항 Ra, Rb에 전류 흘러 C충전, 충전시간 동안 출력 ‘H’ 충전시간(Th =0.69C (Ra + Rb) = 0.1 [sec] C 충전 후 2,6 번이 문턱치 전압 2/3 Vcc(3.33V) 이상일 때 Rb, C에 의해 7번으로 방전시간 동안 출력 ‘L’ 방전시간(Tl = 0.69 RbC = 0.03 (sec) 한 주기는 T = Th + Tl =0.13 (sec)

싸이렌 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