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특징 전 생애를 parasitism 자웅동체(hermaphroditism)-- 마디마다 독립된 생식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소화기내과 이 정 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월례집담회 증례. Chief complaint Lower abdominal pain and bloody stool for 2 days 32/M 김 O 섭 Present illness 30/M.
Advertisements

비즈니스 심리학 - 오럴다이아레아의 추억 자가진단 코너 - 수면 부족 자가진단 행복 샘물 - 사람이 죽을 때 하는 - 수면에 도움이 되는 식품 CONTENTS 세 가지 후회.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우린 서로 이렇게 달라 08 남자의 성 생명 탄생의 신비. 학습 목표 남자의 생식 기관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 다. 임신이 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No.1 No.2.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Herpes Virus 문성태 & 유용희 & 한 솔. 헤르페스 바이러스 (=HSV, herpes simplex virus) 분류학적 명칭 : Herpesviridae(Family Herpes virus) 감염률 : 전 세계 성인 60~95% 감염경로 : 접촉에 의한 감염.
4. 우리들의 영양문제  기술ㆍ가정 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 1. 청소년의 영양 > 4. 우리들의 영양문제.
Clostridium difficile 정량 배양과 반정량 배양의 비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박상준.
인체기생충학 (2 강 ) 1 - 기생충학 총론편 기생충의 진화적 특성 기생충의 진화  자유생활종이 먹이선택과 외적을 피해 우연히 슥주 체내에 들어갔다가 그 환경에 적응하여 기생생활을 하게 되었을 것이다.  성공적인 기생생활 - 숙주에게 치명적이지 않은.
1. 전염병의 역 사 2. 현대의 새로운 감염병 3. 면역의 기능 4. 면역과 영양.
소아에서의 디스크형 리튬 배터리에 의한 식도 손상의 심각성
알에서나비까지의과정!.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Cetirizine 2014/05/30 Son Han Pyo.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RFA)
Interesting Case of Acute Abdomen
EISD in Early Esophageal Cancer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박현주, 유성수, 권계숙, 김형길, 신용운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장현주, 최민호, 은창수, 계세협, 이 진
Ⅴ. 건설 기술과 환경.
제5강 마우스 제8장 기생충성 질병 서울대 박재학.
흡충류(Trematooda)  .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1. 원충의 분류 ☞ 교재 참고 2. 원충의 형태와 생리 1) 인체의 장관내에 기생하는 원충
피부의 구조 및 기능 피부는 표층으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 피부부속기로는 털, 기름샘, 땀샘 등이 있다. 발생학적으로 피부는 외배엽과 중간엽에서 유래한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이고, 표층으로부터.
알류미늄 폼 (AL-FORM) 詞平公派(사평공파) 27世孫 (세손) 靜愼齋公派(정신재공파) 35代孫 (대손)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증례 집담회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내과 조규현.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위암과 감별하기 어려웠던 위 아니사키스증 1예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장소 : 인하대학교병원 날짜 : 2010년 6월 15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병센터 안형수 고봉민 홍수진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제 6 장 홍조류(홍조식물문) 진정홍조아강(Florideophycidae) 198
근관치료학 개요.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인체기생충학 (14강) - 기생충검사법 -.
Renal cell carcinoma.
여성생식기계 및 유방.
발의 12경맥과 경혈.
알을 낳는 동물 악어 악어알.
무척추 동물학 2016년 봄학기 안순모.
노년이 되어서도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
Loading 생명의 시작.
한우농장 개량방법 농협중앙회 축산지원부.
약물조사 항암제 - 관해 유도 치료 - 유지요법 - 항생제 - 항진균제 - 진토제.
태양의 크기 지구, 달, 태양 누가 가장 클까? 태양의 크기 측정 지구, 달, 태양의 크기 비교.
TOXOPLASMA 항체 검사 면역혈청학계 박지연.
기생충학 (1강) - 기생충학 총론편-.
조직병리학 문항 이론 35 문항 실기 17 문항 병리학 6 문항 조직학 조직검사학 14 문항 진단세포학 9 문항 2 문항
건강이란 무엇인가 ? 세계보건기구의 정의 : 건강이란 …. 마음이 건강하며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면으로 완전히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폴리에틸렌 다목적바지제안서 ( 주 ) 씨 앰 디.
우리는 누구인가?.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센터 코칭 결과 소 속 제천센터 코칭대상 엔지니어, 상담사 코칭일시
이화의대 내과학교실, 의과학 연구소 조유경, 심기남, 이종수, 염혜정, 김성은, 정성애, 유권
주유취급소 마) 설치위치 고정주유설비 : 도로경계선 - 4m 부지경계선,담,건축물 벽 - 2m(개구부 없는 벽1m)
몸도 마음도 청 춘 윤 금 노 인 요 양 원.
p 감수 분열로 자손 남기기 학습 주제 [개구리 동영상] [매미 동영상]
고등학교 공통과학 수업을 위한 자료입니다.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는 큰 화면을 이용하세요!!!
소화와 순환 소화와 흡수 에베베조 : 정다이, 양삼규, 이은애, 최예리나.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Progress Seminar 신희안.
실험동물기초 실습 서정대 애완동물과 황보람.
동물의 수정과 발생(2) 닭이 먼저? 달걀이 먼저? 수정란의 초기 발생 개구리의 발생 과정 닭의 발생 과정.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 교육용.
Presentation transcript:

1. 특징 전 생애를 parasitism 자웅동체(hermaphroditism)-- 마디마다 독립된 생식기 Digestive system이 無(배설기는 有) 편평하고 마디-- 두부, 경부, 편절로 구성 2. 생활사 중간숙주(有). 유충기에 증식(X) 1) Cyclophyllidea(원엽목) * 특징: 충란-- operculum(x). 육구유충(o) Egg→ hexacunth→ inter. host→ 낭충(cysticercus, cysticercoid, hydatid cyst) → final host(adult worm) 2) Pseudophyllidea(의엽목) * 특징: 충란-- operculum(o). coracidium(o) Egg→ coracidium→ 1st inter. host→ procercoid→ 2nd inter. Host → plerocercoid(sparganum)→ final host(human, adult worm)

3. 구조와 형태 1) Scolex: Sucker(4개. 숙주에 부착) Bothrium(흡구, 2개 3. 구조와 형태 1) Scolex: Sucker(4개. 숙주에 부착) Bothrium(흡구, 2개. 숙주에 부착) Rostellum(액취) Hooklet(구) 2) Neck: cervix 부분. 발아조직(편절생성) 3) Proglottide(Segment): immature pro. mature pro. gravid pro. 각각 독립된 기능 4) 표피: 각피--각피하층, 근(외윤주, 내종주) 5) Excretory system: 염상세포(flame cell), 모세관, 집합관 6) Reproductive system: 자웅동체(편절마다 생식기) male-- 고환→ 수정관→ 저정낭 female-- 난소→ 수란관→ 수정낭→ 난황선→ 자궁 7) Physiological 혐기성 호흡(anaerobic respiration) 체표면을 통해 영양분 흡수(사람보다 250배 강하다) 충체의 90%가 수분

4. Classification 1) intestine-- Taenia saginata, Taenia solium, Diphyllobothlium latum, Hymenolepsis nana, Hymenolepsis diminata 2) 개의 소장-- Echinococcus granulosus  

무구조충(민촌충. Taenia saginata. Beef tape worm) 1. Distribution: cosmopolitan, cattle의 생식처 ROK-- 37.5%(한우) cysticercum보유 1971(1.9%), 1994(0.06%) 2. Life cycle: Normal habitate: 소장 Stool(segmenet)→ 파열→ Egg→ Inter host(cattle, 장에서 부화) → Oncosphere(육구유충)→ 장벽→ 혈류, 림프→ 근육, 조직→ 2개월 후 cysticercus bovis(inf. form)→ final host(human)→ SI(점막, 성충) 3. Morphology: 1) Egg: round, 황갈색, 3쌍의 갈고리(육구유충) 2) Cysticercus bovis: 소에 기생하는 낭미충, 난원형, 두절-- 소구(無)

3) 성충: 자웅동체 length-- 4-12m, broad-- 5-10mm proglottid-- 1,000-2,000개, 운동성(有-- 기어나와 변중에 배출) 수태편절 1개에 10만개의 충란 두절-- 4각형, sucker(4개). hooklet(無), rostellum(無) 자궁측지 수-- 15-30개 4. Pathology and symptom 소장-- 소화 기능장애, 영양분 착취, 장점막-- 기계적 장애 설사, 복통, 구토, 체중감소, 빈혈 5. Diagnosis: Stool examination(충란, 편절확인--자궁측지수) 6. Treatment: Bithionol, Atabrine, Praziquantel 7. Prevention: 소고기 생식 금지 분변관리 철저

유구조충(갈고리촌충. Taenia solium. Pork tape worm) 1. Distribution: cosmopolitan, mexico, latin america 등의 돼지고기 생식처 (회교도 無, 힌두교 有– 슬라브 민족) ROK-- 8.5%(1963. 제주도) 2. Life cycle: Normal habitate: 소장 Stool(segmenet)→ 파열→ Egg→ Inter host(pig, 장에서 부화)→ 육구유충 → 장벽→ 혈류, 림프→ 근육, 조직→ 8-10주 후 cysticercus cellulosae(inf. form)→ final host(human)→ SI(점막, 성충) 3. Morphology: 1) Egg: round, 황갈색, 3쌍의 갈고리(육구유충) 2) Cysticercus cellulosae: 난원형, 유백색, 두절-- 흡반, 소구

3) 성충: 자웅동체 length-- 2-8m, broad-- 5-10mm proglottid-- 700-1,000개, 운동성(無) 수태편절 1개에 3-5만개의 충란 두절-- 4각형, sucker(4개). hooklet, rostellum 자궁측지 수-- 7-10개 4. Pathology and symptom abdominal discomfort, diarrhea vomitting, hunger pain, anemia 5. Diagnosis: stool examination(충란, 편절) Biopsy(낭미충) X-ray, 피내반응, 보체결합반응 6. Treatment: Bithionol, Praziquantel 7. Prevention: 돼지고기 생식 금지, 분변관리 철저 인분으로 돼지 사육 금지

** Cysticercosis-- 낭미충이 인체의 장관 외에 기생하는 것 대부분 cysticercus cellulosae에 의한다 Egg→ human→ 소장(육구유충)→ 장벽→ 혈류, 림프→ 조직(낭미충으로 발육) * 인체감염 경로: ① heteroinfection: A→ B 로(다른 곳에서) 감염 ② external autoinfection: 자기손에서 자기입으로 ③ internal autoinfection: 편절이 구토로 위에 왔다가 소화되면서 육구유충 으로 장에 침입 ** Cysticercus cellulosae hominis(인유구 낭미충)-- 사람이 충란을 섭취하고 부화해서 낭미충이 된 것 Egg→ human→ 소장(육구유충)→ 장벽→ 혈류→ liver→ lung→ lung vein → body circulation→ 전신에 분포(뇌, 안구, 설근, 횡격막, 척수, 심근) 증상: 뇌-- epilepsy, paresis, 두통, 현기증, 구토 안구– 시력상실 근육-- 세포침윤, 섬유조직 증가 진단-- 생검 및 X-ray

광절열두조충(긴촌충. Diphyllobothrium latum, broad fish tape worm) 1. Distribution: cosmopolitan, 호수에 서식하는 담수어 생식지 ROK-- 34건 종숙주-- 사람, 개, 고양이, 여우 2. Life cycle: Normal habitate: 소장 상부 Egg→ fresh water(hatchout)→ coracidium(육구유충)→ 1st inter. Host (Cyclops sp. 물벼룩)→ procercoid→ 2nd inter.(연어, 송어, 농어) → plerocercoid(sparganum. inf. form)→ final host(human)→ SI * 감염 후 1개월 성충 수명: 10-20년 EPD: 1,000,000개 3. Morphology: 1) Egg: opeculum(前)-- cestoda 중 유일, 소돌기(後), 황갈색 1개의 난세포 다수의 난황세포

2) 성충: length-- 3-10m, broad-- 10-22mm proglottid-- 3,000-4,000개 수태편절 1개에 3-5만개의 충란 두절-- 곤봉상, bothlium(복측 양쪽 2개)-- 숙주에 부착 4. Pathology and symptom mass of the worm-- abdominal pain, diarrhea, vomiting toxin of the worm-- anemia(조혈기능 저하), urticaria nutrient 흡수-- loss of vit.(B12)-- pernicious anemia 영양실조, 공복통 5. Diagnosis: stool examination(충란)-- 편절이 항문으로 나오지 않음 6. Treatment: Bithionol, Atabrine 7. Prevention: 민물고기 생식 금지, 중간숙주 관리, 생수금지, 인분 오물처리 철저

만손열두조충(Spirometra erinacei) ** Sparganosis(고충증)-- 만손열두조충의 근역 속인 Spirometra(열두조충과) 의 유충(plerocercoid= sparganu)이 인체의 장외에 기생하는 것 * 분류: Spirometra erinacei S. mansoni S. mansonoides 만손열두조충(Spirometra erinacei) Final host-- 개, 고양이, 여우, 호랑이, 표범 1. Life cycle: Egg→ fresh water(hatchout)→ coracidium(육구유충)→ 1st inter. host (Cyclops sp. 물벼룩)→ procercoid(inf. form)→ 2nd inter.(양서류, 조류, 파충류)→ sparganum(plerocercoid, inf. form)┌→ final host(성충) └→ human→ 장→ 장벽→ 조직 (sparganum 상태로 조직으로 이행 기생-- 이행숙주라 함) 2. Morphology-- non segment, 주름이 있다 (그림)

* 감염경로-- ① procercoid가 있는 물벼룩 섭취(음료수) ② plerocercoid가 있는 뱀, 개구리 생식 ③ 〃 〃 를 종기에 붙힐 경우(찜질) ④ 음식물이 sparganum에 오염된 경우 3. Pathology & symptom 피하조직에 무통성 종양 형성 4. Diagnosis 생검(encyst 부위를 채취하여 개에 먹여 성충으로 성숙 후 종 감별) 5. Treatment 생검으로 충체제거

왜소조충(Hymenolepis nana. dwarf tape worm) 1. Distribution: cosmopolitan, north america, indo(온후한 지역) ROK-- 1981(0.4%), 1992(0.01%) 쥐에 기생 2. Life cycle: Normal habitate: 소장 ① Oral inf: Egg(stool)→ oral infection→ 소장(hatchout, 육구유충)→ 장융모에 서 성장→ cysticercoid(inf. form)→ 장섬모→ 장강내→ 장벽(성충) ② Auto inf: Egg→ 숙주 장내에서 부화(육구유충)→ 장섬모→ cysticercoid → 장강내 이동→ 성충 * 인체내에서 번식으로 증식이 가능

3. Morphology: 1) Egg: 레몬형, 피막내 육구유충, 3쌍의 갈고리, polar filament(극사) 2) 성충: length-- 10-20mm(인체에 기생하는 조충 중 가장 작다) proglottid-- 200개 수태편절 1개에 80-180개의 충란 두절-- sucker(4개). rostellum(4개) 4. Pathology and symptom abdominal pain, diarrhea, ulcer hemorrhage, pice, anemia, 5. Diagnosis: stool examination(충란) 6. Treatment: hexylresorcinol, Atabrine 7. Prevention: 중간숙주 관리, 생수금지, 인분 오물처리 철저

쥐조충( Hymenolepis diminuta. rat tape worm) 1. Distribution: cosmopolitan, 집쥐의 소장 ROK-- 일부(소아) 2. Life cycle: Normal habitate: 소장 상부 Egg→ inter. host(벼룩, 딱정벌레, 바퀴)→ cysticercoid→ final host(rat, human)→ intestine villi→ SI(성충, 2-3주) 3. Morphology: 1) Egg: 원형, 황갈색, 극사(無), 3쌍의 갈고리, 육구유충 2) 성충: length-- 20-60cm, broad-- 3.5-4.0mm proglottid-- 600-1,300개 수태편절은 자궁이 전부를 차지 두절-- 곤봉상, sucker(4개), 갈고리(無)

4. Pathology and symptom 미약, abdominal pain, pice 5. Diagnosis: stool examination(충란) 6. Treatment: 7. Prevention: 중간숙주 관리 인분 오물처리 철저

단방조충(Echinococcus granulosus. hydatid worm) 1 단방조충(Echinococcus granulosus. hydatid worm) 1. Distribution: cosmopolitan, 목축업 번성지역 ROK-- 제주도 산 소 25-80%에서 포충발견(인체 감염은 無) 종숙주-- 개, 고양이, 여우, 늑대. 2. Life cycle: Normal habitate: 종숙주 소장 Egg→ inter. host(사람, 양, 소, 말, 돼지)→ SI(hatchout)→ 장벽→ 소정맥 또는 임파류 → 전신(liver, lung, brain, muscle, kidney)→ hyatid cyst→ final host → 성충(7주 후)

3. Morphology: 1) Egg: 다른 조충과 비슷 2) hyatid cyst: 벽은 2층, 포충액 (그림) 3) 성충: length-- 3-6mm proglottid-- 3-4개(immature, mature, gravid 각 1개씩) 수태편절 1개에 3-5만개의 충란 두절-- sucker(4개), rostellum, 갈고리 4. Pathology and symptom 조직에 기계적 장애, shock, 발열, 두드러기 5. Diagnosis: X-ray, 피내반응 6. Treatment: 외과적 절제

개조충(Dipylidium caninum) 1. 분포: cosmopolitan 2. Life cycle Normal habitate-- 소장 종숙주-- 개, 고양이, 사람(소아) Egg→ inter. host(개, 고양이, 벼룩)→ cysticercoid(inf.,form)→ final host(dog, human)→ 장융모→ SI(성충, 2-3주) 3. Morphology 1) 성충-- length-- 15-50cm scolex-- sucker(4개), rostellum, 갈고리 2) proglottid-- 충란(5-20개)이 자궁에 가득 3) Egg-- 25-40㎛, 육구유충 4. Pathology & symptom 소화장애, 신경증상, 두드러기, 발열, 경련

5. Transmission * 분포-- ROK-- 일부(소아, 집쥐) * 감염경로-- 감염된 개나 고양이의 벼룩 6. Diagnosis stool examination(충란) 7. Treatment &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