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토압과 옹벽.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96 Cavity 열 해석 평가 96Cavity 에 적용된 HRS 온도 분포 상태 검토 Thermal Analysis Objective Analysis Type Temp. ( ℃)
유공압 설계 Term Project # 조 : 6 조 조 원 : 이용희 이은수 임희규.
2 호선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결과보고 승무지부 성수지회. 힘차게 전진하는 승무지부 성수지회 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 유해요인 조사내용 1. 운전실내 의자 불량개소 파악 2. 운전실내 돌출부위 파악 3. 2 호선 전 구간.
흙입자의 크기와 입도분석 흙입자의 크기 (1) 자갈과 모래를 구별하는 흙 입자의 크기  대부분의 분류법 : 2mm  통일분류법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 4.75mm (2) 점토입자의 크기  대부분의 분류법 : 0.002mm.
Download : 지 반 공 학 제 1 강 공학의 역사 및 지반공학의 소개 Download :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건축 구조의 이해.
7장 말뚝기초 (1).
재료의 기계적 성질 Metal Forming CAE Lab.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양천길 개착구에 매설된 지하지장물(상수도, 전력구 등)의
벽식 아파트 구조.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송도 Multiplex 지반 설계.
Final Examination, 2008 Fluid Mechanics Professor Joon Hyun Kim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4장 전 면 기 초.
Awning 구조해석 결과 보고서 (사) 전북대 TIC R&D사업단 선행기술팀
소재제거 공정 (Material Removal Processes)
제 4 장 응력과 변형률.
고강도 강관파일 시험시공사례 김성회
Ⅰ. LRFD 필요성?.
Download : 지 반 공 학 Download :
응력과 변형도 – 축하중.
5장 보의 사용성 한계 상태 극한 한계상태 : 하중지지 능력을 잃은 상태.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고체역학 1 기말고사 학번 : 성명 : 1. 각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상태를 구하고 점 C의 변위를 구하시오(10).
연약지반의 문제점 및 대책 토질기술사 분야 현장조사, 설계 개념 파악.
3. 재료역학 개요 3.1 응력과 변형률 (1) 하중 1) 하중의 개요 ; 모든 기계나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 즉 외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기계나 구조물의 각 부분은 이들 외력에 견디고 변형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하여야.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장비별 공통 안전수칙10계명 굴삭기 •버켓 탈락방지용 안전핀 설치 •비탈면 전도방지 위한 작업경로 확보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 관중심 접합 접속하는 관거의 내면 중심부가 일치되도록 접속 시키는 방법. 수위접합과
3-5 콘크리트 파괴역학 개 요 파괴역학 도입 이유 선형 파괴역학 비선형 파괴역학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학습 주제 p 운동 에너지란 무엇일까?(2).
3장 휨거동 3.1 개 요 3.2 휨압축에 대한 응력-변형률 관계 3.3 휨에 대한 거동 3.4 휨모멘트에 대한 선형탄성 해석
Prof. Byeong June MIN, Department of Physics, Daegu University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운동법칙과 운동량 힘(force) - 물체에 변형을 일으키거나 물체의 운동상태를 변화(크기, 방향)시키는 원인
고체역학1 기말고사1 2. 특이함수를 이용하여 그림의 보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굽힘모멘트를 구하여 작도하라[15]. A C B
1. TR&T 공 법 개요 TR&T 공법은 가. 지하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대구경 강관을 압입하고 나.강관내부를 굴착한 다음
재료의 기계적 성질 Metal Forming CAE Lab.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4장.
4.7 보 설계 보 설계과정 (a) 재료강도 결정 (b) 보 단면 산정 (c) 철근량 산정 (d) 최소 및 최대 철근비 확인
2장. 일차원에서의 운동 2.1 평균 속도 2.2 순간 속도 2.3 분석 모형: 등속 운동하는 입자 2.4 가속도
2장 변형률 변형률: 물체의 변형을 설명하고 나타내는 물리량 응력: 물체내의 내력을 설명하고 나타냄
교실용 SD-101 system (특허 ) 장선: 30x70x0.8t 지주: 주 장선 간격 : 900mm
Evacuation 진동해석 결과 보고서 (사) 전북대 TIC R&D사업단 선행기술팀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문제: 길이 1. 5m의 봉을 두 번 인장하여 길이 3. 0m로 만들려고 한다 아! 변형(deformation)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학 습 목 표 기관 본체의 구성 부품을 설명할 수 있다..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6장 압축재 C T.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대 한 방 교 한방생명자원센터 ~ 교구제작관 연결교량 조원: 이두찬 김윤규 오태경 이치영 손수진.
압출 개요 압출 작업 압출하중의 근사계산 압출 공정변수 하중 근사식 모델재료의 이용 전방압출의 해석
고체역학1 중간고사1 부정행위는 친구의 죽이기 위해서 자신의 영혼을 불태우는 행위이다! 학번 : 이름 :
건 축 구 조.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3-5 Friction Prof. Seewhy Lee.
콘크리트(산업)기사 실기 작업형 시험 대비 동영상포함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 3차원에서 입자의 운동 방정식 제일 간단한 경우는 위치만의 함수 : 시간, 위치, 위치의 시간미분 의 함수
토 질 역 학 2. 흙의 조성 및 분류 담당교수 : 이승호 교수님 담당조교 : 문효종, 안준영 조교보조 : 서우빈, 김명인.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Presentation transcript:

5장 토압과 옹벽

5.1 개 요 토압(Earth Pressure) : 지중이나 흙막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및 수직압력을 총칭 5.1 개 요 토압(Earth Pressure) : 지중이나 흙막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및 수직압력을 총칭 변위발생 상태에 따라 주동(Active), 수동(Passive), 정지(at rest) 토압으로 구분 그림 5.1 주동, 수동 및 정지상태

5.1 개 요 (5.1) 대체로 정지토압계수는 0.4~0.6 범위의 값을 보임 (5.2) 5.1 개 요 ● 정지토압계수 (5.1) 대체로 정지토압계수는 0.4~0.6 범위의 값을 보임 ● 토압계수 (5.2) 대체로 주동토압계수는 0.17~1.0, 수동토압계수는 1.0~10 범위의 값을 보임

그림 5.2 벽체의 변위와 토압계수와의 관계(NAVFAC DM7.2, 1982) 5.1 개 요 그림 5.2 벽체의 변위와 토압계수와의 관계(NAVFAC DM7.2, 1982)

5.1 개 요 표 5.1 흙의 종류와 상태에 따른 극한 회전변위(Canadian Geotechnical Society, 1992)

그림 5.3 Rankine응력상태 해석과 Coulomb의 쐐기해석

5.2.1 Rankine 토압론 (5.3) (5.4) 점착력 성분이 없는 경우 (5.5) (5.6)

5.2.1 Rankine 토압론 (5.7) (5.8) ● 경사진 지반에 대한 토압계수 (5.9) 그림 5.6 주동토압도

그림 5.7 인장균열이 발생한 경우의 토압 및 수압분포 5.2.1 Rankine 토압론 ● 점성토지반의 토압 (5.10) ● 인장균열이 발생할 경우 그림 5.7 인장균열이 발생한 경우의 토압 및 수압분포 (5.11)

5.2.2 Coulomb 토압론 그림 5.8 Coulomb의 주동토압 (5.12) (5.13)

5.2.2 Coulomb 토압론 그림 5.9 대수나선 활동면에 대한 토압계수 (Caquot와 Kerisel, 1949)

5.3 기타 토압론 5.3.1 Culmann의 토압론 그림 5.13 Culmann의 도해법

5.3.2 반복쐐기법 그림 5.14 반복 쐐기법에 의한 토압산정

5.3.3 뒤채움토에 의한 토압 그림 5.16 다짐에 의해 유발되는 토압

그림 5.18 중력식 및 역 T형 옹벽의 구조 명칭, 적정 제원 5.4 옹벽의 안정 5.4.1 개요 그림 5.17 옹벽의 종류 그림 5.18 중력식 및 역 T형 옹벽의 구조 명칭, 적정 제원

5.4 옹벽의 안정 5.4.2 옹벽에 작용하는 하중 자중 : 옹벽의 무게와 필요시 배면의 흙의 무게 고려 자중 : 옹벽의 무게와 필요시 배면의 흙의 무게 고려 γconc=25 kN/m3 (RC), γconc=23.5 kN/m3 (무근) 토압 : 벽면마찰 고려여부에 따라 Coulomb 또는 Rankine 토압 적용 수동토압의 경우 안전율 2.0 이상 적용 필요 상재하중 : 배면조건을 감안하여 적용, 최소 10 kN/m2을 고려 기타 : 지진력, 인장균열의 수압, 암반의 경우 불연속면 추가 고려 1 2 3 4

5.4 옹벽의 안정 5.4.3 옹벽의 안정성 검토 1 활동에 대한 안정 - 옹벽에 작용하는 하중의 수평성분에 대한 바닥면에서의 저항정도

5.4 옹벽의 안정 5.4.3 옹벽의 안정성 검토 전도에 대한 안정 - 옹벽에 작용하는 횡방향 하중에 대해 저판 앞굽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저항정도 2

5.4 옹벽의 안정 5.4.3 옹벽의 안정성 검토 3 지지력에 대한 안정 - 옹벽의 기초지반에 작용하는 최대압축응력( )이 허용 지지력( )을 초과하지 않도록 검토. 허용지지력은 극한 지지력의 1/3로 적용 3

5.4 옹벽의 안정 5.4.3 옹벽의 안정성 검토 전체안정 - 옹벽 구조체 전체를 포함한 토체의 파괴에 대한 비탈면 안정검토를 수행 - 일반적으로 파괴면은 원호로 가정하고, Bishop의 간편법, Janbu 간편법, Spenser 방법을 이용한 한계평형해석을 실시하여 안정해석 수행 최소안전율은 1.5이상 적용 4

5.4 옹벽의 안정 5.4.4 옹벽 설계시 기타 고려사항 1 지반조사 범위 : 하부로 1.5H, 후방으로 1.5~3.0H 기초지반에 연약토층이 분포하는 경우 : 치환, 말뚝기초 고려 뒤채움 공간이 제한된 경우 : 토압여건 변화, 암반 불연속면 고려 이음 : 시공이음, 수축이음, 팽창이음 설치 필요성 배수구멍 : 직경 5~10cm, 1.5~4.5m 간격으로 설치 전단 키 : 사질토 지반의 수동저항 증대 2 3 4 5 6

5.4.5 안전점검 역학적 거동 및 원인 하중 증가 시설물의 상태 기초지반 지내력 저하 옹벽의 지내력 저하 상태평가등급 A B 토압증대 편토압, 사면활동, 배면지반 하중증가 수압증대 지표수 유입, 배수불량, 지하수 차단, 인접시설(상하수도) 누수 기타 재하(載荷), 제하(除荷), 근접시공, 지진 기초지반 지내력 저하 침하, 활동 근접굴착시공, 지진 옹벽의 지내력 저하 구조노후화 균열, 박리, 단면변형 재료노후화 중성화, 저온, 습윤, 재료 배합불량 지진, 화재, 충돌 충격 상태평가등급 시설물의 상태 A 문제점이 없는 최상의 상태 B 결함이 경미하게 발생하였으나 기능발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일부의 보수가 필요한 상태 C 보통의 손상,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안전에는 지장이 없으며, 내구성, 기능성 저하 방지를 위한 보수가 필요한 상태 D 결함이 발생하여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며, 사용제한 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는 상태 E 심각한 결함으로 인하여 시설물의 안전에 위험이 있어 즉각 사용을 금지하고 보강 또는 개축을 하여야 하는 상태

5.5 강널말뚝 5.5.1 개요 그림 5.22 널말뚝의 종류 그림 5.23 강널말뚝 사용 물막이

그림 5.26 균질 모래질 흙의 캔틸레버 널말뚝 근입깊이와 최대모멘트 5.5.2 캔틸레버 널말뚝 벽의 설계개념 1. 모래지반 1 널말뚝의 관입깊이 산정 널말뚝의 단면계수 산정 수동토압 안전계수: 1.5~2.0 또는 근입깊이 20~40% 증가 2 3 그림 5.26 균질 모래질 흙의 캔틸레버 널말뚝 근입깊이와 최대모멘트

5.5.2 캔틸레버 널말뚝 벽의 설계개념 1. 모래지반 -토압산정 -관입길이 산정 -소요단면계수 -토압계수 (Design) 그림 5.25 모래 지반에 설치된 캔틸레버 널말뚝 (a)순압력변화도 (b)모멘트 변화도

그림 5.28 점토지반과 모래질흙 뒤채움시의 널말뚝 벽의 근입길이와 최대모멘트 5.5.2 캔틸레버 널말뚝 벽의 설계개념 2. 점토지반 ◆ 준설선 하부는 Φ=0인 상태에서 점착력만 고려 ◆ 수동토압 안전계수: 1.5~2.0 또는 근입깊이 40~60% 증가 그림 5.28 점토지반과 모래질흙 뒤채움시의 널말뚝 벽의 근입길이와 최대모멘트

5.5.2 캔틸레버 널말뚝 벽의 설계개념 2. 점토지반 -토압산정 -최대 휨모멘트 -점착력(Design) 그림 5.27 점토층에 박힌 캔틸레버 널말뚝벽

그림 5.30 고전적인 해법에 의한 토압, 휨 모멘트 및 변위도 5.5.3 앵커로 지지되는 널말뚝 벽의 설계개념 그림 5.29 자유단 지지법과 고정단 지지법의 비교 그림 5.30 고전적인 해법에 의한 토압, 휨 모멘트 및 변위도

5.5.3 앵커로 지지되는 널말뚝 벽의 설계개념 1. 모래지반(자유단 지지법) -토압산정 -앵커력 -근입깊이 그림 5.31 모래층에 설치된 앵커 널말뚝

5.5.3 앵커로 지지되는 널말뚝 벽의 설계개념 2. 점토지반(자유단 지지법) -토압산정 -앵커력 -근입깊이 그림 5.32 점토층에 설치된 앵커 널말뚝

그림 5.36 모래지반에 박힌 앵커 널말뚝 벽의 고정단 지지법 5.5.3 앵커로 지지되는 널말뚝 벽의 설계개념 3. 모래지반(고정단 지지법) 그림 5.36 모래지반에 박힌 앵커 널말뚝 벽의 고정단 지지법

5.5.4 앵커시스템의 설계개념 1. 앵커의 유형 1 앵커판(anchor plate) 또는 앵커보(deadman) 타이백 수직앵커 말뚝 경사말뚝으로 지지되는 앵커보 2 3 4

5.5.4 앵커시스템의 설계개념 2. 앵커의 설치위치 그림 5.37 널말뚝에 사용되는 앵커의 유형

그림 5.43 보강재 사이에 있는 흙의 Arching현상 5.6 보강토 옹벽 5.6.1 보강토의 기본개념 흙은 불연속 재료로 볼 수 있으며, 외력과 자중에 의해 쉽게 흩어짐 흙 속에 인장력을 가진 재료를 포설하거나 삽입, 흙의 성질을 개량 보강재와 흙의 마찰력이 인장강도로 보강재에 작용 지오그리드와 같은 형태는 마찰 이외에 가로방향 RIB에 의한 수동저항 발현 1 2 3 4 그림 5.42 보강토체에서의 보강재의 인장효과 그림 5.43 보강재 사이에 있는 흙의 Arching현상

5.6 보강토 옹벽 5.6.2 보강토옹벽의 종류 보강재 종류 전면판 종류 보강토옹벽 토목섬유 강 재 콘크리트 블록 표 5.7 보강토옹벽의 종류 보강재 종류 전면판 종류 보강토옹벽 토목섬유 콘크리트 블록 블록형 보강토 옹벽 (주로 지오그리드 보강재 사용) 콘크리트 패널 패널형 보강토 옹벽 (주로 합성섬유 띠 보강재 사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벽체 강성벽면 보강토 옹벽 (주로 지오그리드 보강재 사용) 돌망태 돌망태형보강토 옹벽 전면판 없음 포장형 보강토 옹벽 (주로 지오텍스타일 보강재 사용) 강 재 패널형 보강토옹벽 (주로 아연도강판 보갱재 사용) 앵커식 보강토옹벽 (주로 앵커 형태의 보강재 사용) 기타 강재틀 보강토옹벽 (주로 아연도강판 보강재 사용)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보강토체를 균질한 복합토체로 고려하여 파괴유형에 따라 안전성 평가 그림 5.45 보강토옹벽의 잠재적인 외적 파괴유형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외적안정을 위한 토압 그림 5.46 외적 안정해석 시 토압산정 (보강토체 상부가 수평하고 차량하중이 작용하는경우)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외적안정을 위한 토압 그림 5.47 외적 안정해석시 토압산정 (보강토체 상부에 무한사면이 있는 경우)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외적안정을 위한 토압 1 3 4 보강토체를 하나의 강성체로 가정하여 배면토압을 산정 그림 5.46은 보강토체 상부가 수평하고 차량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그림 5.47은 보강토체 상부에 무한 성토사면이 있는 경우 보강토체와 배면토체 사이의 마찰력은 무시 1 2 (5.65) 3 (5.66) 4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외적안정을 위한 토압 (5.67) 그림 5.48 외적 안정 해석시 토압산정 (보강토체 상부의 성토사 면이 중간에서 수평으로 변화하는 경우) (5.67)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외적안정을 위한 토압 5 7 성토사면의 각이 변화하는 경우 수정된 사면각, i 를 α대신 식 5.66에 대입 하여 토압계수 산정 그림 5.48에서 M이 2H보다 작을 경우는 , M이 2H보다 큰 경우는 식 5.66을 그대로 적용 전면벽의 경사도가 10보다 클 경우의 토압계수는 Coulomb 토압론에 근거 5 6 7 (5.67) 그림 5.45 보강토옹벽의 잠재적인 외적 파괴유형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외적안정을 위한 토압 (5.67) 그림 5.49 보강토체 저면에서의 수직응력 계산

◆ 외적안정을 위한 토압 (수직 지지응력 산정)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외적안정을 위한 토압 (수직 지지응력 산정) 배면토압 의 산정 모멘트 평형을 고려한 수직합력의 편심거리 , e 의 산정 보강토체 저면에 작용하는 균등한 등가 수직응력, 산정 1 (5.68) 2 (5.69) 3 그림 5.45 보강토옹벽의 잠재적인 외적 파괴유형 (5.70)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저면활동 평가 1 3 4 5 배면토압 의 산정 수평활동력 의 산정 배면토압 의 산정 수평활동력 의 산정 보강토체 저면부에서의 극한마찰계수 결정 옹벽의 단위길이당 수평저항력 의 산정 저면활동에 대한 안전율 산정. 1 (5.72) 2 (5.73) 3 4 (5.74) 그림 5.45 보강토옹벽의 잠재적인 외적 파괴유형 5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전도 평가 ▶수직합력의 편심거리 , e에 대한 식 5.75나 보강토옹벽의 앞부리를 중심으로 한 전도모멘트에 대한 안전율로서 평가 : 흙의 경우, : 암반의 경우 (5.75) (5.76)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지지력 평가 * 전반전단파괴(general shear failure) * 편심거리 e 산정 : 인 경우에는 보강재의 길이를 증가시킴 * 보강토체 저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 (5.77) * 기초지반의 극한지지력 산정 (5.78) * 허용지지력에 대한 안전율 검토 (5.79) 여기서, : 기초지반의 점착력 : 기초지반의 단위중량 , : Meyerhof의 지지력계수 * 국부전단파괴(local shear failure) 를 만족시켜야 함 (5.80)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전반활동 평가 ◆ 기초지반의 침하 평가 * 사면안정해석이론을 바탕으로 한 해석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 * 보강토옹벽을 하나의 강성체로 보아 파괴면이 보강토체를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함 ◆ 기초지반의 침하 평가 * 기초지반의 즉시침하, 압밀침하 등을 계산함으로써 산정 * 부등침하의 경우 옹벽의 길이에 대한 침하의 비율이 1%이내가 되도록 함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지진시 안정성 평가 그림 5.50 지진시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지진시 안정성 평가 1 3 4 5 최대 수평지반가속도 계수 a의 산정 최대 수평가속도 의 산정 수평관성력 의 산정 배면토체의 동적 수평토압 의 산정 그림5.50(b)의 경우의 H2 고려 1 2 (5.82) 3 (5.83) 4 (5.84) 5 그림 5.45 보강토옹벽의 잠재적인 외적 파괴유형 (5.85)

5.6 보강토 옹벽 5.6.3 보강토옹벽의 외적 안정해석 ◆ 지진시 안정성 평가 6 8 Pae값은 Mononobe-Okabe식에서 α와 H2를 고려하여 산정 PIR은 지진시 토체의 폭을 0.5H2로 고려하여 산정 지진시 보강토 옹벽의 외적안정을 위한 최소 설계 안전율 저면활동 : 1.2 전 도 : e<L/4(흙), e<L/3(암반) 지 지 력 : 2.0 전반활동 : 1.0 6 7 (5.86) (5.87) (5.88) 8 그림 5.45 보강토옹벽의 잠재적인 외적 파괴유형

5.6 보강토 옹벽 5.6.4 보강토옹벽의 내적 안정해석 ◆ 한계 활동파괴면 ▶토목섬유 같은 신장성 보강재와 강판같은 비신장성 보강재의 경우, 한계 활동 파괴면은 다음 그림과 같음 그림 5.51 내적 안정해석을 위한 한계 활동파괴면

5.6 보강토 옹벽 5.6.4 보강토옹벽의 내적 안정해석 ◆ 보강재의 파단에 대한 내적 안정평가 ▶비신장성 보강재와 신장성 보강재의 깊이에 따른 토압계수의 변화는 그림 5.52와 같음 그림 5.52 보강토체내 깊이에 따른 보강재 종류별 수평토압계수비 변화

5.6 보강토 옹벽 5.6.4 보강토옹벽의 내적 안정해석 ◆ 보강재 파단에 대한 내적 안정평가 각 보강재층의 보강재의 파단에 각 보강재층에서의 수평응력 σH 각 보강재층의 단위폭당 최대 유발 인장력 보강재의 파단에 대한 내적 안정평가

5.6 보강토 옹벽 5.6.4 보강토옹벽의 내적 안정해석 ◆ 인발파괴에 대한 내적 안정평가 (5.94) 여기서, : 보강재의 최대 유발인장력( 계산시 활하중은 무시) : 보강토체 내의 저항영역에 묻혀진 보강재의 유효 저항길이 : 흙과 보강재 사이의 점착력(세립분 함유량이 적은 사질토에서는 고려하지 않음) :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각 : 보강재에 작용하는 유효 수직응력(활하중의 영향은 무시)

5.6 보강토 옹벽 5.6.4 보강토옹벽의 내적 안정해석 ◆ 연결부 강도 평가 (5.97) 여기서, : 전면벽과 보강재의 최대 연결부 강도 : 보강재의 설계인장강도 그림 5.56 경사진 보강토옹벽에 대한 힌지높이의 결정

5.6 보강토 옹벽 5.6.4 보강토옹벽의 내적 안정해석 ◆ 지진 시 안정성 평가 1 보강토옹벽의 관성력 PI의 산정(AASHTO,1996) 각 보강재에 유발되는 정적 최대인장력 여기서, Sv는 보강재층의 수직간격이며, σH는 단위폭당 수평응력 보강토체의 관성력 PI에 의해 유발된 i번째 보강재의 동적인장력 Tmd의 산정 1 (5.98) (5.99) 2 (5.100) (5.101) 3 (5.102)

5.6 보강토 옹벽 5.6.4 보강토옹벽의 내적 안정해석 ◆ 지진 시 안정성 평가 4 보강재의 최대 유발인장력, 보강재의 파단 및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평가 보강재의 파단 : 인발파괴 : 4 (5.103) 5 (5.104) (5.105)

5.6 보강토 옹벽 5.6.5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 ◆ 보강재의 설계인장강도 평가 (5.106) (5.107) (5.107) * 토목섬유 보강재의 장기간 허용인장강도 (5.106) (5.107) * 토목섬유 보강재의 장기간 설계인장강도 (5.107) 여기서, : 토목섬유 보강재의 극한인장강도 : 토목섬유 보강재의 장기간 강도손실을 고려한 총 감소계수 : 크리프 감소계수 : 내구성 감소계수 : 시공성 감소계수 : 안전율은 1.0~1.5 범위에서 사용

5.6 보강토 옹벽 5.6.5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 ◆ 보강재의 설계인장강도 평가 (5.109) * 금속성 보강재의 장기간 허용인장강도 (5.109) 여기서, : 보강재의 유효 단면적 : 보강재의 수평간격 강재 그리드 보강재에 대해서는 계수 0.48, 강재 스트립 보강재에 대해서는 계수 0.55를 적용

5.6 보강토 옹벽 5.6.5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 ◆ 뒤채움 흙의 선정 ◆ 보강재의 수직간격 결정 ◆ 벽체 묻힘 깊이 * 보강토체의 내구성과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실트와 점토 함유량이 적은 사질토가 적합 * 입경이 큰 흙도 다짐이 곤란하고 보강재 손상을 유발하므로 적합하지 않음 ◆ 보강재의 수직간격 결정 * 일체 구조물로 거동하기 위해 수직간격 80~100cm 이내가 바람직 * 최상단 보강재의 간격은 그 아래 보강재 간격의 ½ 정도가 바람직 ◆ 벽체 묻힘 깊이 벽체 전면기반의 경사 최소 묻힘깊이 (m) 수평(옹벽) H/20 수평(교대) H/10 3H : 1V 2H : 1V H/70 3H : 2V H/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