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AN 경제통합의 확대와 한국의 대응방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한 -EU FTA 송주영 임경혜. 3. 한 -EU FTA 에 대한 시사점 · 협상전략 2. 한 ·EU 교역 및 투자 현황 1. 한 -EU FTA 추진경과 4. 경제적 기대효과 · 향후전망 한 -EU FTA.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1 아태지역의 경제통합 동향과 한국의 대응 이현훈 강원대학교 국제무역학과.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업경제 1 학년 2 학기 지역별 경제통합체 Ⅴ. 국제 경영과 국제경제 >3. 국제 경제 환경 >14/19.
2. 민주주의의 시련과 경제 개발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과정과 그 성과는 ? Ⅹ. 대한민국의 발전.
동남아 지역연구 방법론 - 베트남 사례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아시아팀 팀장 손승호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위안화의 국제화가 한국에 미칠 영향에 대한 연구 김대현 김태형 김한진 박지현 양정훈.
싱가포르 무역관 싱가포르 공동물류센터 사업 설명회. 싱가포르 무역관 2/13 목 차목 차 싱가포르 공동물류센터 입지 장점 싱가포르 물류허브 활용 사례 공동물류센터 지원내용 싱가포르 공동물류센터 참가방법.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WTO & Doha Development Agenda 민경태 민경태.
환 태평양경제동 반 자 협 정(TPP) Trans-Pacific Partnership 박 소 영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설치하기.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홍역 발생 현황 (1.1~5.18일 기준)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국내 발생상황 확진환자 현황(5.18 기준) 마지막 환자 이후 최장 잠복기(3주) 미경과 지역 구 분구 분 계 해외유입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중국경제의 성장둔화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조원 금융보험학사 학위논문 김효정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한국의 FTA 추진 정책 안세진 산업통상자원부 FTA협상총괄과장.
외환제도의 역사 과거에 국가간 무역거래와 금융거래의 형태는? 금본위제도(1821~1914) 금환본위제도( 중간기 )
아모레퍼시픽과 IT기술 아모레퍼시픽에서 쓰이는 IT기술.
접수번호 : 스마트콘텐츠 중화권 전략 비즈니스 지원사업 참가 업체 사업계획서 - 프로젝트명(앱) : 업 체 명 :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무역관리사 과정 한국무역협회 자격증 Global Trade Professional
The Introduction for - 3rd Asia Pacific Advanced Fluid Therapy Conference with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March 2011 B. Braun Korea Pharma.
동아시아 금융협력 : 현황과 추진방안 2012, 08 윤 덕 룡.
4. 금융의 국제화 가.국제화와 세계경제 (1)국제화와 세계경제의 변화
과거와 현재의 한미 동맹과 미래전 홍우현 김홍빈 강승민 이장희 임현철
한국의 통상정책과 한·중 FTA 김영무 외교통상부 FTA 정책국 심의관.
한.아세안 FTA 협정의 기대효과 와 의의 무역학과 최영도 이상철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9강. 말레이시아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동아시아의 이해 제14강. 동아시아 공동체를 향하여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Southeast Asian Nations
호텔업의 경영형태 단독경영호텔(independent hotel) 체인 경영호텔(chain hotel)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АБИИ (Азиатский банк инфраструктурных инвестиций)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한중 한일 FTA에 대한 협상전략 민감 산업 분야 분석.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13강. 브루나이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UNISDR ONEA-GETI 안내.
무역 실무론 2012년 전반학기.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취업형 GTE 아카데미 프로그램 소개.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제안 요약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 기간 수행 전략 ㈜인성교육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엔프라넷.
자유무역협정(FTA) 추진과 석유화학산업의 대응방향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동아시아의 이해 제8강.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도움이 되었다 61.2 % 별도움이 되지 않었다 38.8% 한미 FTA 가 미국 수출에 한미 FTA 이행의 어려움 1 2 3
지역경제통합.
제4편 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교류 제11장 북한의 경제체제와 발전.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Presentation transcript:

ASEAN 경제통합의 확대와 한국의 대응방향 권 율 ykwon@kiep.go.kr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주요내용 ASEAN 경제통합의 추진현황 AFTA 플러스 정책과 평가 동아시아 역내협력의 추진현황 ASEAN+3 협력체제의 성과 2003-12-18 주요내용 ASEAN 경제통합의 추진현황 AFTA 플러스 정책과 평가 동아시아 역내협력의 추진현황 ASEAN+3 협력체제의 성과 주변경쟁국의 대응전략 한국의 정책방향과 중점과제 한-ASEAN FTA 추진전략 2004-2-19 KIEP

2004-2-19 KIEP

동남아 경제의 위상 신흥시장으로 고도성장 기록 활발한 경제통합 : ASAEN 10 달성 인구 5.3억명, GDP 5,611억 달러(2001) ASEAN 자유무역지대 결성 이질적 문화 : 이슬람, 불교문화권 경제적 격차 1997년 7월 동남아 금융위기 2004-2-19 KIEP

ASEAN의 성립과 발전 ASA 결성(61.7) : 말연, 태국, 필리핀 ASEAN 결성(67.8) : 5국 외무장관 회담 비정치분야 중심의 협력기(67-71) 정치분야, 기능확대기(71-75) 정치,경제공동체 기반구축(75-91) 지역공동체로 발전기(92년이후) ARF(94.7) : 아태지역 17개국, EU, 북한 2004-2-19 KIEP

ASEAN의 특징 아시아적 권위주의 : 장기집권, 개발체제 지역정세의 안정화 : ARF 주도 지역안보, 경제협력에서의 주도적 역할 8%이상의 고도성장 : 외자주도형 성장 대외개방정책 추진 : 수출공업화 성장잠재력 풍부 회원국간 경제통합 추진 2004-2-19 KIEP

AFTA 출범의 배경 태국 아난 수상 제안 (91.6) : 공동실효특혜관세CEPT(Common Effective Preferential Tariff) AFTA 설립합의(92.1, 제4차 아세안 정상회의) AFTA Council 설립(92.9), CEPT 추진(1993) CEPT 내용 : 역내관세 0-5%이내로 인하 Local Content 40% 이상 관세철폐 : 기존 6개국 2010년, CLMV 2015년 AFTA Plus : 지적소유권, MRA, 관세협정 2004-2-19 KIEP

AFTA plus 추진현황 포괄적 자유화 산업협력(AICO, 1996) 투자자유화(AIA, 1998) * CEPT 추진, 2010/2015년 산업협력(AICO, 1996) * 현지자본 출자율 30%, 98건 승인(약 12억 달러) 투자자유화(AIA, 1998) * 직접투자에 대한 내국민 대우 서비스자유화(AFAS, 1995) * 7개분야 : 항공, 경영,금융서비스, 해운, 통신, 관광, 건설 등 2004-2-19 KIEP

AFTA에 대한 평가 남남협력에 기초한 수평적 통합 정태적 효과 적고, 외자유치 및 규모의 경제 효과 기대 * leading country 부재 * 역내 저개발국에 대한 배려: AISP 정태적 효과 적고, 외자유치 및 규모의 경제 효과 기대 * 무역창출 및 이전효과 낮고, 역외 의존도 높음. * 역내무역의존도 22.6%(2002), 73억 달러 주변 경제권과의 협력체제 강화(FTA hub) * ASEAN+3, 인도, CER 등 2004-2-19 KIEP

FTA 체결현황 184건중 WTO 출범이후 104건 2004-2-19 KIEP

아시아 역내 FTA 추진현황 싱가폴-뉴질랜드 2000년 11월 CER 체결 싱가폴-일본 2002년 1월 EPA 체결 싱가폴-EFTA 2002년 6월 한국-칠레 2002년 10월 합의 국회계류중 중국-ASEAN 2002년 11월 합의 선자유화조치 2004년 인도-ASEAN 일본-ASEAN 2003년 공동연구 말연, 필리핀, 태국 싱가포르-호주 2003년 2월 합의 FTA 발효 싱가포르-미국 2003년 5월 합의 한-싱, 한-일 2003년 10월 공동연구 완료, 협상중 한국-ASEAN 2004년 3월 공동연구 개시 2004-2-19 KIEP

ASEAN+3 협력체제 추진배경 동아시아의 경제적 위상 증대 동아시아 경제협력 구도의 변화 금융위기 이후 상호의존성 인식 확대 * EAEC에 대한 미국의 견제 * ASEAN의 정치, 경제적 위상 증대 * ASEM/EU결속에 상응하는 협의체구성 금융위기 이후 상호의존성 인식 확대 * APEC의 대응 미흡 * 역내 안정을 위한 정책공조 2004-2-19 KIEP

동아시아의 경제적 위상 1) 역동적인 성장지대 * 세계 GDP와 교역의 20% 차지 2) 역내경제의 상호의존성 * 투자비중 : 9%(87-92), 19%(95-96), 6%(2000) 2) 역내경제의 상호의존성 * 순차적 경제발전, 수평적 분업 확대 3) 기능적 통합 => 제도적 통합 * 경제위기에 공동대처, 정책공조 * ASEAN+3 협력채널 구축 2004-2-19 KIEP

역내 경제교류 현황 ASEAN+3 경제비중(2002) ASEAN+3 역내교역비중 ASEAN+3 NAFTA EU 인구 32.2% 6.8% 6.4% GDP 18.7% 29.6% 34.5% 교역 19.6% 20.5% 35.6% ASEAN+3 역내교역비중 25.6%(85), 34.2%(95), 2.4%(01) ASEAN+3 대미교역비중 30.8%(85), 22.2%(95), 24.0%(01) 2004-2-19 KIEP

ASEAN +한·중 · 일 투자유치 실적 2004-2-19 KIEP

동아시아 역내협력구도의 변화 2004-2-19 KIEP

ASEAN+3 정상회의 1차(97/12, 쿠알라룸푸르) 2차(98/12, 하노이) * 경제위기 공동대처방안 논의 * 아세안 30주년 기념 초청 2차(98/12, 하노이) * 경제위기 공동대처방안 논의 * EAVG/재무차관회의 3차(99/11, 마닐라) - 동아시아 협력에 관한 공동성명 채택 - 정례화/동북아 정상회의 개최 2004-2-19 KIEP

ASEAN+3 정상회의 4차(00/12, 싱가포르) 5차(01/11, 브루나이) 6차(02/11, 프놈펜) * 동아시아 미래, 동아시아 협력강화 논의 5차(01/11, 브루나이) * 동아시아 연구구룹(EASG) 구성 6차(02/11, 프놈펜) - 동아시아 정상회의, 동아시아 포럼 -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 창설 제의 2004-2-19 KIEP

7차 ASEAN+3 정상회의(2003. 10) ASEAN+1 포괄적 협력협정 체결 - 중국, 일본, 인도 동남아 우호협력조약 가입 : 중국, 인도 ASEAN 협력선언 : 발리협약 ll 체결 한국 : ASEAN+1 경제장관 회담 신설 - 2004년(8차)에서 공동선언 채택 제안 - 개발협력단 500명 파견 - 한-아세안 FTA 타당성 조사 추진 2004-2-19 KIEP

ASEAN+3 각료회의 외무장관회담(정치, 안보협력) 경제장관회담(경제, 통상협력) 재무장관회담(통화, 금융협력)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회의 * 중국측 제안, 1차 하노이(99. 3) 동아시아 비젼그룹(EAVG), 연구그룹(EASG) 농림장관회의(2001), 노동장관회의(2001) 환경장관회의(2002), 보건장관회담(2003) 2004-2-19 KIEP

ASEAN+3 재무장관회담 99년 3월(하노이) 재무차관회의 1차 회의(99/4, 마닐라, 32차 ADB 총회) - 국제금융체제 개편, 단기자본 규제 2차 회의(2000/5, 치앙마이) - 단기자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역내 중앙은행간 통화스왑협정 6차 회의(2003/8, 마닐라) : - 아시아채권시장 육성방안 등 금융협력 논의 2004-2-19 KIEP

역내국의 주요입장 일본 : 자국의 경제적 실익 확보 중국 : 동아시아의 주도적 지위 확보 ASEAN : 역내외 협상력 강화 * Supporting Industry/생산거점의 안정화 * AMF, 엔의 국제화/블럭화 중국 : 동아시아의 주도적 지위 확보 * 중화경제권의 기반 강화, 인접국과 FTA 추진 ASEAN : 역내외 협상력 강화 * 남남협력의 구조적 취약성 보완 * 동북아의 경제적 지원 확보 * ASEAN+1 차원의 협력채널 구축 2004-2-19 KIEP

중국의 전략 남방정책을 통한 영향력 증진: 남사군도문제 금융위기를 전후로 ASEAN과의 협력관계 유지 2003-12-18 중국의 전략 남방정책을 통한 영향력 증진: 남사군도문제 금융위기를 전후로 ASEAN과의 협력관계 유지 * 화교경제권을 의식한 유화정책 * 경제위기 극복에 역내 공조:위안화 안정 중-ASEAN 자유무역지대 창설 합의 * 2000년 제의, 2002년 프놈펜에서 합의 * 10년내, Early Harvest Package(2004, 농산물) 대중화경제권 구상 동남아 우호협력조약(TAC) 가입(2003년) 2004-2-19 KIEP

Early Harvest Package CLMV 국가들의 중-아세안 FTA 참여 유인 농수산물에 대한 선자유화 조치 추진 2003-12-18 Early Harvest Package CLMV 국가들의 중-아세안 FTA 참여 유인 농수산물에 대한 선자유화 조치 추진 * HS 2 단위 01-08류, 중국은 모든 품목자유화 * 중국과 일부 아세안 국가간 양자간 자유화 추진 중국과 기존 아세안 회원국은 2004-2006 자유화 * 아세안 후발참여국은 2006-2010 자유화 * 베트남은 2004년부터 2010년내 자유화 제외품목 : 베트남(15개), 캄보디아(30개) 추가품목 : 인도네시아(14개), 태국(2개) 2004-2-19 KIEP

일본의 전략 안행적 산업발전 모델 : 중층적 분업관계 신미야자와 구상(1998) : 엔의 국제화 2003-12-18 일본의 전략 안행적 산업발전 모델 : 중층적 분업관계 * 생산비용 절감(생산의 집적과 집중) * 중국과 동남아 진출에 있어서 균형 유지 * 일본형 시스템과 생산네트워크 구축 ※山澤(1984) : wild geese flying pattern * 도입→수입대체→수출신장→성숙→역수입 * 일본→NIEs→ASEAN→중국, 베트남 신미야자와 구상(1998) : 엔의 국제화 중국견제 위해 지역주의에 적극적인 대응 * 일-싱 경제제휴협정(EPA, 2002), 한-일 FTA * ASEAN과 포괄적 협력협정 체결(발리, 2003. 10) *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와 EPA 협상 추진 2004-2-19 KIEP

일본의 동아시아 진출 2004-2-19 KIEP

일본경제의 이중구조 2004-2-19 KIEP

ASEAN+3 협력체제의 주요성과 역내협력의 제도적 기반 구축 * 정상회의, 각료회의 정례화 * 주요 실천방안 체계적으로 논의 정책 및 이해관계 조율 * 역내 이슈의 협의 창구 실질적인 경제통합 모색 * 지역주의에 탄력적으로 대응 * 국제적 협상력 제고 2004-2-19 KIEP

동아시아 역내 FTA의 경제적 효과(1) 지역 한국 0.13 -0.03 -0.04 ASEAN 0.41 0.23 0.43 0.91 -0.09 -0.15 1.72 1.99 2.98 GDP 수출 주: 일반균형연산모형(CGE) 추정치 2004-2-19 KIEP

ASEAN+3 경제통합효과 GDP 수출 중국 0.36 7.17 일본 0.10 3.03 한국 1.01 3.32 ASEAN 0.73 3.87 주: 일반균형연산모형(CGE) 추정치 2004-2-19 KIEP

ASEAN+3 체제의 기대효과 ASEAN과의 관계증진 * 무역흑자, 투자대상지로서 생산거점 확보 * 경제위기 극복에 역내 공조 2003-12-18 ASEAN+3 체제의 기대효과 ASEAN과의 관계증진 * 무역흑자, 투자대상지로서 생산거점 확보 * 경제위기 극복에 역내 공조 ASEAN 매개로 일, 중의 패권추구 배제 * 역내 협의체에서 주도적 역할 확보 지역주의에 적극적으로 대응 국제사회에서 위상과 역할 제고 2004-2-19 KIEP

우리의 대응전략 ASEAN을 매개로 역내 지위 확보 역내 경제통합의 단계적 추진 상호보완적 경협기반 확대에 주력 * 자조노력 지원 : CLMV 지원강화 역내 경제통합의 단계적 추진 * 한-ASEAN FTA 타당성 조사 추진 * 한-일, 한-싱가포르 FTA 협상 추진 상호보완적 경협기반 확대에 주력 * 한-ASEAN 경제장관 회담 개최 중간자적 역할: 동아시아 공동체 실현 주도 * EASG 장단기사업 (26개) 지속적 추진 2004-2-19 KIEP

동남아시장에서 한, 중, 일 수출 2004-2-19 KIEP

동남아시장에서 한, 중, 일수입 2004-2-19 KIEP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아시아 역내 FTA의 의미 : * 글로벌 경쟁하에서 최적생산 및 시장확대를 위한 전략적 대응 단일의 비즈니스 환경을 형성 * 무역자유화, 무역장벽제거, 서비스 무역, 지적재산권 보호 * 물류, 정보·통신 등 경영인프라 정비 거점간 분업체제 구축 * 기업자체의 전략적 대응 필요 2004-2-19 KIEP

한-ASEAN FTA 공동연구 일정 제1차 자카르타(2004. 3.8-3.9) * 선자유화 조치, 원산지 규정, 정부조달 논의 제2차 서울(4.16-4.18) * 제3차 싱가포르(5월말), 제4차 서울(6월말) SEOM+1 결과보고(7월말), AEM+1(9월말) * 국내 공청회 개최(7-8월, 외교부 주최) ASEAN+1 정상회의 : 공동연구보고서 제출 * 라오스(비엔티엔, 11월) 2004-2-19 KIEP

한-ASEAN FTA 추진전략 선자유화 조치와 농업 개방에 유연하게 대응 * CLMV 국가들에 대한 배려(ODA, GSP 확대) 관세율에 따른 차등감축 방식 * 개별품목별 접근이 아닌 broad band 방식 FTA 추진분야 및 추진시기 검토 * 투자, 서비스, 농림수산업 등 * 2010/2015 국내산업에 미치는 효과 및 타당성 검토 2004-2-19 KI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