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terns of memory impairment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경과학 - 기초 인지과학 입문. I. 신경과학의 기초 1. 신경과학 – 신경계의 구조 및 기능을 이해 – 신경 해부학 신경 생리학 신경 약리학 신경 분자 생물학 행동학  현재 인지 신경과학 부문이 커지는 경향.
Advertisements

기억 – 인지심리학 인지과학 입문. I. 기억 체계 1. 기억 체계가 해야 하는 일 (1) 경험 등록, 그것의 기억 여부 판단 (2) 경험의 표상을 저장 (3) 기억의 유지 (4) 요구될 때에는 빨리 / 효과적으로 인출 (5) 인출된 기억이 사고에 기여하는.
6 장 클라이언트의 모델. 기능회복 모델 포괄적인 평가 - 병력 - 문제점과 관련된 영역의 조사 - 구체적 평가 자료수집 후 평가 - 현재 상태의 정도 - 손상된 정도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손상 / 기능제한 / 장애의 근거한 진단 - 기능적 장애의 정도 - 만성 / 급성.
행정소송 실무교육 공익법무관 문 유 식 인사 공익법무관 소개 서울고검 소개.
조선왕조의 유교정치.
생리심리학 발표: "잠자는 뇌를 깨워라" 사회복지학과 김마리아.
1.
응급실에서 접하는 의학적 영상 Chest Radiograph (Plain) Brain CT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영상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신경센터 기억장애 및 뇌노화클리닉 이정석
갑자기 발생한 기억력 장애와 이름대기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3례
Basal Ganglia 기저핵 Happy Always !!!.
생활습관과 뇌•심혈관계 질환 한 국 산 업 안 전 공 단.
치매환자 관리 서부요양보호사 교육원 박 동 희.
기억.
Prayer Attendance Homework.
퇴행성 신경질환.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of Memory
                                                                                                       대뇌(cerebrum) 간뇌(diencephalon) 소뇌(cerebellum) 뇌간(brain stem)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 교실
관찰가능한 변화 & 구인(constructs)
20--학년도 심리학의 이해.
기억 II – 신경과학적 기초 인지과학 입문.
언어와 기억 담당교수: 남 윤 주.
잠재력의 발견
Current clinical practice for cholecystectomy after ERCP
활성화 및 신경화학적 두뇌 기능 영상 PET 연구
기억 II – 신경과학적 기초 인지과학 입문.
인간행동과 심리학 15. 뇌과학의 응용.
형태재인 이론을 통한 디자인 변화 방향 연구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산업디자인 전공 이영재.
서울 아동발달임상연구소 소장 윤 현 숙 Ph.D 자폐성 아동의 인지특성 및 지도 서울 아동발달임상연구소 소장 윤 현 숙 Ph.D
기억/학습팀: 기억 및 학습의 신경인지기전 모델링
정신병리학 정신과적 면담 정신장애의 진단 및 분류
해리장애와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 바이오공학과 박계령 석민주.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어르신들의 건강 국립서울병원 임선진.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 옥 정 달.
뇌 혈류 진단기(T.C.D)란? TCD(TransCranial Doppler)는 초음파Probe를 이용하여 내두개골 동맥(Intracranial arteries)과 외두개골(Extracranial).말초동맥(Peripheral)의 혈류 순환관계를 측정하는 비 침입 혈관(Non-Invasive.
활성화 및 신경화학적 두뇌 기능 영상 PET 연구
도덕, 윤리 권효은 남형욱 이병재 이정은.
마음과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김청택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인지과학 협동과정
Disease Review - Nausea & Vomiting -
전기진단검사 I.
간병관리사교육 노인성 치매(dementia) 이안샘간호학원.
계약서 관련 실무 계약 위반과 판례 김래균.
인지주의 학습이론.
Major Brain Regions and Their Major Interconnections
대뇌변연계 백북스천문우주뇌과학모임 2010년 10월 24일 김 현 미.
7주차 소비자 반응 모형5 : 기억.
순서와 목표 I. 신체형 장애의 3가지 유형의 개념 이해.
생활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Video Fluoro Scopy Study
뇌신경정보학연구사업 기억 및 학습 2002년 11월 15일 전남대학교 박태진.
5장. 디지털 인간 2012년 1학기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Biointelligence Labora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Molecular Mechanism in the Brain : A Computational Perspective
제 6 강 기억.
중간고사 문제.
그 미소가 아이가 사랑을 배우는 힘이 되게 하소서!
Chapter 10. 인지주의 학습이론.
정동철 신경정신과 의원 海岩뇌과학硏究所 Copyright©2004 뇌과학.com. All rights reserved.
학습전략의 이해 학습전략의 이해 김 기 원 PhD Original Kim.
인간생명과 질병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김 성 훈.
성경퀴즈 여호수아1장 3장 복습게임.
의사소통장애개론_ 신경해부(및 생리)_첫번째 (2018년 2학기)
인지발달과 운동수행 II 강의 6.
노인정신 의학 강의 국립부곡병원 노인정신의학 전공 정신과 조 웅.
Pre- and post-transplant Anti-alcoholic management
Presentation transcript:

Patterns of memory impairment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인지과학 협동과정 이경민

기억 장애의 양상 Selective memory impairment: 기억기능에 대한 행동신경학적 이해의 증진 Syndromes of memory impairment: 특정 질환의 병태생리에 의해 자주 관찰되는 기억장애의 유형

여러 가지 기억 체계 감각기억 Sensory memory 단기 (작업) 기억 Short-term (working) memory 장기 기억 Long-term memory

장기 기억의 구분 서술기억 (외현기억) 일화기억 의미기억 비서술기억 (내재기억) 절차기억 점화효과

작업기억 장애 흔히 말하는 기억상실증의 반대 양상 장기기억은 보존되고, 잠시동안 정보를 파지하는데 장애가 있음. 기억장애를 보이는 정보의 내용이 매우 국한적일 수 있음. 음성언어기억 : 음운정보, 어휘의미정보 시공간정보 색상정보

단기 및 장기기억의 연관성 직렬모형: “단기기억에 저장된 후에 장기기억으로 저장된다”, 증거: 선택적 단기기억장애의 경우 특정한 정보내용에 대한 기억장애가 관련되어 있다. 병렬모형: “독립적 체계로 존재한다”, 증거: 선택적인 단기기억 장애와 장기기억장애의 이중분리(double dissociation

의미기억장애 의미치매 (semantic dementia) ? Selective hippocampal damage 장기적 의미정보의 선택적 소실 좌우측 측두엽 피질 생물-무생물체의 구별 저장고의 손상 vs. 저장고의 접근의 장애 e.g., 측두엽 피질 환자에서 암묵기억에도 장애 -> 저장고의 손상을 시사

서술기억장애 재인과 자유회상: dissociation within temporal lobe ? Papez circuit lesion -> 자유회상에 더 심한 장애 “lateral limbic circuit” lesion -> 재인 혹은 연상기억에 더 심한 장애 순행성 기억장애와 역행성 기억장애 매우 선택적 역행성 기억장애 with left anterolateral temporal lesion

Two pathways related to memory Papez circuit: cingulate gyrus/retrosplenial cortex --- cingulate bundle --- subiculum / entorhinal cortex --- hippocampus --- fornix --- septal area/mamillary body --- mamillothalamic tract --- anterior n. of the thalamus --- cingulate gyrus The lateral limbic circuit: anterior temporal cortex --- amygdala --- dorsomedial n. of the thalamus--- posterior orbitofrontal cortex

기억 현상의 인지심리학적 분석 Remembering and knowing Recollection and familiarity Controlled process and automatic process Explicit and implicit memory Episodic and semantic memory

Episodic memory retrieval REMO(retrieval mode) vs. ecphory

Episodic memory retrieval Activation of sensory cortex by recall

기억기능과 전두엽의 역할 Metamemory Prospective memory Source memory Temporal order memory

기억기능에 대한 측두-변연계 손상과 전두엽 손상의 영향 기억 등록의 의도적 노력이 필요한 경우, 전두엽 손상에 의해 더 영향을 받는다. 자유 회상 보다 예시에 의한 재인이 쉬운데, 동시에 착오양성 반응의 증가가 동반된다. <- 기억 인출에 대한 감시 기능 저하.

점화효과장애 이전에 경험한 내용에 대한 의식적 인식은 없이 과제 수행에 영향을 주어 유창성이 증가되는 현상 장기기억 소실 후에도 유지가능 감각적 점화효과 vs. 의미적 점화효과 AD의 경우 감각적 점화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보존됨 후두엽 손상 환자에서 감각적 점화효과만 감소를 보일 수 있었다.

절차기억장애 Mirror drawing, mirror reading Parkinson disease, Huntington disease, cerebellar atrophies … Cf) Cerebellum in cognition

기억 장애 질환들 (1) Benign senescent forgetfulness More impaired memory than peer elderly No other cognitive impairment DDx: early stages of Alzheimer’s disease cf) Age-associated memory impairment > 50 yrs. old < (memory score - 1.0 x standard deviation) of young adults

기억 장애 질환들 (2) Degenerative dementias Wernicke-Korsakoff syndrome Alzheimer’s d., Pick’s d., focal atrophy synds. AD: early memory impairment, severe loss of semantic memory Wernicke-Korsakoff syndrome Time-dependent retrograde amnesia Impaired time judgment, source memory, meta-memory.

기억 장애 질환들 (3) Vascular diseases Strokes in the territories of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and thalamic perforating aa. Anoxic insult to CA1 neurons of the hippocampus Rupture or surgical complication of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 Herpes simplex or limbic encephalitis Head trauma: retrieval dysfunction Transient global amnesia Depression and electro-convulsive therapy

기억장애의 체계적 이해 Pathological Changes in the brain Component Processes of Memory Memory disorder Memory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