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닝 생리학
최대산소섭취량 = 최대심박수 × 최대 1회 박출량 × 최대 동정맥산소차 지구력 운동과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산소섭취량의 50~85%의 운동강도와 주당 3회의 빈도로, 1회 운동시 30~60분 동안 활동으로 대근육군이 포함되는 운동 지구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최대산소섭취량을 약 15% 증가시키지만 낮은 최대산소섭취량을 가진 환자나 비운동자에게는 높은 비율로 향상 젊은 좌업 생활자가 트레이닝을 실시하면 최대산소섭취량이 향상되는데 증가원인의 50%는 1회 박출량의 증가, 나머지50%는 동정맥 산소차의 증가로 일어나며 최대심박수는 변하지 않음. 최대산소섭취량 : 심박출량과 동정맥 산소차 산소섭취량은 조직의 혈류생성과 산소추출 능력과 관련 최대산소섭취량 = 최대심박수 × 최대 1회 박출량 × 최대 동정맥산소차
최대산소섭취량의 계산 최대 심박출량과 동정맥산소차의 곱 VO2max= HRmax X Svmax X (a-vO2)max
1회 박출량과 VO2max 의 증가 SVmax 증가 - 이완기말 혈액량의 증가 : Preload(EDV) • ↑ 혈장량 • ↑ 정맥혈 회귀 • ↑ 심실용적 - 수축기말 혈액량의 감소 : Afterload(TPR) • ↓동맥혈 수축 • ↑최대 근육혈량 –평균동맥압의 무변화 - ↑수축력
1회 박출량 증가 요인
동정맥산소차와 VO2max 의 증가 혈액으로부터 산소를 추출하는 근육의 능력향상 - ↑근육 혈류량 - ↑모세혈관 밀도 - ↑미토콘드리아 수 동정맥산소차의 증가는 VO2max 의 증가의 50% 관여
VO2max 의 증가 요인
트레이닝 중지와 VO2max 트레이닝 중지로 인한 최대산소섭취량의 감소 -↓SV max -↓최대 동정맥산소차 트레이닝효과의 반대
운동수행시 지구력 트레이닝효과 지구성 트레이닝에 따른 운동수행의 향상 근육의 구조적, 생화학적 변화 - ↑미토콘드리아의 수 • ↑효소활동 -↑모세혈관 밀도
지구성 트레이닝의 구조적, 생화학적 적응 ↑ 미토콘드리아의 수 ↑ 산화효소 - 크렙스 사이클(시트레이트 합성) - 지방산(β-산화) 사이클 - 전자전달계 ↑NADH shuttling system LDH 형태의 변화 적응된 상태는 훈련중지와 더불어 신속히 상쇄 근육의 탄수화물과 지방에 대한 근섬유의 산화 능력 증가 근육으로 유리지방산의 동원능력 증가 세포질로부터 미토콘드리아로 유리지방산의 운반능력 증가 acetyl-CoA를 분해하는데 필요한 ß-산화 효수의 증가
훈련/비훈련 미토콘드리아 수의 변화
운동강도와 지속시간이 미토콘드리아 효소에 미치는 영향 Citrate Synthase(CS)-미토콘드리아 산화 능력의 지표 중강도 운동 트레이닝 • 높은 산화능력 섬유에서의 CS증가 (Type Ⅰ Ⅱa) 고강도 운동 트레이닝 • 낮은 산화능력 섬유에서의 CS 증가 (Type Ⅱx)
운동시간과 강도에 따른 CS활동의 변화
생화학적 적응과 산소결핍 트레이닝의 효과로 산소결핍 완화 낮은 [ADP]에서 같은 산소섭취량 에너지 요구량은 운동시작 시점에서 산화적 ATP생성과 일치 따라서 Lactic acid 형성을 줄이고, PC 고갈을 줄이는 결과 지구력 훈련은 운동시작시 발생하는 산소결핍을 감소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