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0장 유전상담과 산전진단 설현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임상병리학 기초실험 김마리교수님 임상병리학과 김명정 박수영 김량옥.
Advertisements

생식을 통한 유전자 전달 1-5 반 이창민 ppt 제작 및 자료첨부, 발표 1-5 반 이석원 ppt 제작 및 프린트작성, 발표 1-5 반 나승균 ppt 제작 및 형성평가, 발표.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e-MedEdu 희발 월경 환자의 임신 - 교육용 콘텐츠 -. 개발 과목 개요 콘텐트 명 희발 월경 환자의 임신 개 발 자성 명박 준 철소 속 계명의대 산부인과학교실 설 계 자성 명류 남 희, 천 경 희, 박 혜 진소 속 계명의대 진단검사의학교실.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유 한 욱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의학유전학클리닉 & 검사실 ( ) 유전상담 (Genetic Counselling) 과 유전병의 진단 치료.
초음파 통계 OBGYhyster o Dop 정밀정밀 양수양수 3DBPP 합계 ~ ~
1.
태아의 형태는 처음 3개월 동안에 형성된다 사람의 발생기간은 수정 후 38주로 9개월 정도
Single gene disorders 유 한 욱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의학유전학클리닉 & 검사실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2007년도 사업결과보고회 일시 : 2007년 1월 28일 (월) 14: :00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요세관 질환 (Tubular disorder)
Case Review Name : 유 O 미 Age : 32 Parity : G(3) P(2) Att.: 우리 OBGY Fami. Hx : 시부 & 부 -> DM Px.Hx : (-) Why : Triple test(Edward syn) 초음파상 omphalocele,
혈우병 발표자 : 조은아.
B형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결혼 이민자 여성의 임신, 출산 지원과 건강보호를 위한 정책 과제
IDA에서의 변형 적혈구증과 적혈구 지표와의 상관성
α-Glucosidase Inhibitor
시신경 검사시 녹내장과 감별해야할 시신경 질환들
신경관 결손증의 수술적 치료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나영신.
혈우병 및 기타 소아 혈액 응고장애.
제 14장 산전태아안녕검사 설현주.
당뇨의 진단과 MONITORING 특수화학부 신찬숙.
참고자료 불임이란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1년간 하여도 임신이 되지 않을 때 불임이라고 정의합니다. 통계적으로 특별한 피임없이 3개월 안에 57%, 6개월 안에 72%만이 임신되며 각 배란 주기당 임신기회는 약 25%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인공중절수술의 경험이 있어 불안하거나.
진단유전학분과 결과보고 (2000) 1997년 진단유전검사 설문조사 및 염색체검사 정도관리 1998년 분자유전학검사 정도관리
제 5장 태아의 생리 설현주.
TDM Tumor Markers 진단검사의학 5판 46장 치료적 약물농도 모니터링 48장 종양표지자 진단검사의학과 강소영.
제 17장 분만진통 중 태아안녕평가 설현주.
제 4장 태반호르몬 설현주.
퇴행성 신경질환.
Placenta and Fetal membrane
선천이상과 원인.
CHROMOSOMES 생물학개론 12주차 강의
ASK Meeting 세포유전학 증례보고 2001년 4월 23일 강동성심병원 임상병리과.
유산.
9장. 비뇨생식기계 가천의대 산부인과 김 광준.
제11장. 염색체와 인류 유전학 염색체와 유전 – 성결정, 핵형분석, 교차 인류유전의 패턴 – 사람의 유전 질환들
산전 태아건강 평가법.
제 6 장 순환장애 1. 체액의 순환장애 1) 부종 2) 탈수증 2. 혈액의 순환장애 1) 국소적 순환장애
08. 선천성 및 유소아 질환 1. 선천성 유전질환 1) 유전학적으로 본 병인의 분류
의학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킨스 i-사업본부 윤정아입니다.
How to establish a fetal cardiology service and regional meeting
8장.선천성 심장병 가천의대 산부인과 김 광준.
발생 : 수정란으로부터 개체가 생겨나는 과정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Bioinformatics for Genomic Medicine Do Kyoon Kim
혈액4 빈혈의 특수혈액검사 진단검사의학과 이 우인.
LMO 등급 분류 - 1) 미생물 또는 유래 유전물질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VII. 유전 염색체와 유전자 사람의 유전 형질 돌연변이.
전기진단검사 I.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결핵 진단을 위한 COBAS AmplicorTM 검사의 유용성
인지장애 1 1.
비침습성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하는 환자에게서 호기 기도 양압 올리는 경우 공기 삼킴증 (Aerophagia) 에 의한 횡격막 기능 부전위험성 있다.
Loading 생명의 시작.
묘성증후군 백화순.
6. 안면장애   1) 개념 :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의 변형 또는 기형과 면상반흔, 색소침착, 모발결손, 조직의 비후나 함몰 등으로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 2) 원인 : 화상. 사고. 화학약품. 질환. 산업재해. 선천성기형등. 3) 특징 : 대표적인.
I. Wellness : Life-Styles for Healthy Living
2010년 1분기 정리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연구팀 (mtDNA research lab) (금)
08. 선천성 및 유소아 질환 1. 선천성 유전질환 1) 유전학적으로 본 병인의 분류
제 6장 세포주기 세포분열과 세포예정사 사이의 균형 세포 주기 세포주기의 조절 세포예정사 암 – 세포주기의 이상.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약인성 간염 진단 DB 구축 정용진.
Chapter 3 태내기.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태아기의 성장발달 이 꽃 메.
Presentation transcript:

제 10장 유전상담과 산전진단 설현주

신생아의 1-3%는 선천적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출생 습관성 유산, 태아 기형의 원인으로 여러 유전자변이가 알려져 있음. 유전자 진단 결과는 윤리적, 법적, 사회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유전상담이 중요.

유전 질환의 종류와 출생 결함 *원인에 따른 분류 염색체 이상 (예, 다운증후군) 단일유전자질환 (예, 혈우병, 근이영양증) 다유전자성(polygenic)/다인자성(multifactorial)질환: 대부분의 선천성 기형이 속함 (예, 수두증, 무뇌증, 이분척추, 입술갈림증, 심장결함, 유문협착, 제대탈출 등) 결함유발물질에 의한 질환

유전 질환의 종류와 출생 결함 *출생 결함의 기전에 따른 분류 기형(malformation): 비정상적인 유전자에 의한 결함 변형(deformation): 정상 유전자이나 자궁의 환경에 의한 물리적 힘으로 비정상적으로 발달 (예, 양수과소증) 파열(disruption): 정상 유전자이나 특정 손상에 의한 변형 (예, 양막 파열에 의한 하지 결함)

유전 질환의 종류와 출생 결함 *복합적인 구조적 결함이나 발달 이상의 분류 증후군 (syndrome): 같은 원인에 의한 여러 결함의 집합 (예, 다운증후군) 서열 (sequence): 순서적 결함 (예, 양수과소증에 의한 변형) 연관 (association): 원인이 같지는 않으나 특정한 결함이 동시에 자주 보이는 것

단일유전자질환 (single gene disorders, Mendelian disorders) 보통염색체 우성유전 (autosomal dominant) Achondroplasia Acute intermittent porphyria Adult polycystic kidney disease Antithrombin III deficiency BRCA1 and BRCA2 breast cancer Ehlers-Danlos syndrome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Hereditary spherocytosis Huntington disease Hypertroph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Long QT syndrome Marfan syndrome Myotonic dystrophy Neurofibromatosis type 1 and 2 Tuberous sclerosisvon Willebrand disease 보통염색체 열성유전 (autosomal recessive) α1-Antitrypsin deficiency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Cystic fibrosis Gaucher disease Hemochromatosis Homocystinuria Phenylketonuria Sickle cell anemia Tay-Sachs disease Thalassemia syndromes Wilson disease

Androgen insensitivity syndrome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X-linked Androgen insensitivity syndrome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Color blindness Fabry disease Fragile X syndrome Glucose-6-phosphate deficiency Hemophilia A and B Hypophosphatemic rickets Muscular dystrophy—Duchenne and Becker Ocular albinism type 1 and 2

염색체 검사법 세포분열중기(metaphase)의 세포 혈액이나 양수세포는 일정기간 배양이 필요 검사법 띠염색(banding) 형광제자리부합법(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Southern blott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비교유전체부합법(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염색체의 수적 이상 홀배수체(aneuploidy) 세염색체(trisomy), 홑염색체(monosomy), 홑배수체(haploidy), 다배수체(polyploidy) 세염색체 감수분열시 비분리(nondisjunction)에 의해 발생. 모체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 대부분 홀배수체 임신은 조기에 유산되고 일부 세염색체만이 임상에서 발견 13, 18, 21 세염색체 증후군

염색체의 수적 이상 홑염색체 터너증후군 모체의 나이와의 연관성은 밝혀진 바 없다. 배수성이상 대부분 초기에 유산 홀배수체와 부계의 나이와는 연관성이 없다.

21세염색체 증후군(trisomy 21 syndrome)

21세염색체 증후군(trisomy 21 syndrome) 다운증후군 빈도: 1/700-1,000신생아 비분리현상에 의한 재발 위험율, 1% 모체의 연령과 연관

18세염색체 증후군(trisomy 18 syndrome) 에드워드 증후군 빈도: 1/6,000-8,000신생아 대부분 유산 또는 태아사망 13세염색체 증후군(trisomy 13 syndrome) 파타우 증후군 빈도: 1/20,000신생아

47,XXY 47,XXX 클라인펠터 증후군 빈도: 1/600남자 큰키, 정상 지능, 일부 발달장애 불임 빈도: 1/1,000여자 정상 외모, 큰키 정상 생식력, 지능은 클라인펠터증후군과 유사

47,XYY 45,X 빈도: 1/1,000남자 큰키, 정상 생식력, 다소 낮은 지능 생존가능한 유일한 홑염색체 빈도: 1/5,000신생아 작은 키, 심장결함, 정상 지능 범위 90%에서 난소 부전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 1. 염색체 전위 (chromosomal translocations) 상호전위 (reciprocal translocations) 로버슨형전위 (Robertsonian translocation) 2. 염색체 역전 (chromosomal inversions) 3. 염색체 결손 (chromosomal deletions) 4. 고리염색체 (ring chromosome) 5. 염색체 섞임증 (chromosomal mosaicism)

비멘델 유전 1. 삼핵산반복질환 (trinucleotide repeat disorder) 유약X증후군 (fragile X syndrome) 근육긴장퇴행위축 (myotonic dystrophy) 헌팅턴병 (Huntington disease) 2. 각인 (imprinting) 3. 단부모이체증 (uniparental disomy) 4. 사립체유전 (mitochondrial inheritance)

다인자성 혹은 다유전자성 결함 심장결함 (cardiac defects) 신경관결손 (neural tube defects): 신경관 결손의 가족력 특정 환경 인자에의 노출: 당뇨병 (고혈당), 고체온, 약물 신경관 결손을 동반한 유전 증후군의 병력 고위험의 민족 또는 지역

유전상담과 산전진단 유전적 또는 선천적 질환의 고위험군을 위한 산전진단 위험 요소가 없는 일반 임신부를 위한 산전진단

염색체 이상 임신의 고위험군 Singleton pregnancy and maternal age older than 35 at deliverya Dizygotic twin pregnancy and maternal age older than 31 at delivery Previous autosomal trisomy birth Previous 47,XXX or 47,XXY birth Patient or partner is carrier of chromosome translocation Patient or partner is carrier of chromosomal inversion History of triploidy Some cases of repetitive early pregnancy losses Patient or partner has aneuploidy Major fetal structural defect by sonography aAll women, regardless of age, should have the option of invasive testing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일반 임신부의 유전 선별검사 다운증후군의 선별검사 임신 제1삼분기의 다운증후군 선별검사 임신 제2삼분기의 다중 표지자 선별검사 임신 제2삼분기의 초음파선별검사 신경관결손 (neural tube defects) 모체혈청에서의 α-태아단백 선별검사 초음파검사

신경관결손 Neural tube defects (NTDs)

주수에 따른 alpha-fetoprotein (AFP)의 농도

신경관결손의 선별검사 (AFP) higher levels of AFP in maternal serum and amnionic fluid

신경관결손의 선별검사

Amniocentesis to determine the amnionic fluid AFP level an assay for acetylcholinesterase if positive, diagnostic of a NTD

Some Conditions Associated with Abnormal Maternal Serum Alpha-Fetoprotein Concentrations Elevated Levels   Underestimated gestational age   Multifetal gestation   Fetal death   Neural-tube defects   Gastroschisis   Omphalocele   Low maternal weight   Pilonidal cysts   Esophageal or intestinal obstruction   Liver necrosis   Cystic hygroma   Sacrococcygeal teratoma   Urinary obstruction   Renal anomalies—polycystic kidneys, renal agenesis   Congenital nephrosis   Osteogenesis imperfecta   Congenital skin defects   Cloacal exstrophy   Chorioangioma of placenta   Placental abruption   Oligohydramnios   Preeclampsia   Low birthweight   Maternal hepatoma or teratoma

aAdjustments in formula used to calculate risk. Some Conditions Associated with Abnormal Maternal Serum Alpha-Fetoprotein Concentrations Low Levels   Obesitya   Diabetesa   Chromosomal trisomies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Fetal death   Overestimated gestational age aAdjustments in formula used to calculate risk.

다운증후군 Down syndrome and other aneuploidies

다운증후군 선별검사

임신 제1삼분기의 다운증후군 선별검사 Nuchal translucency (NT, 태아목덜미투명대)≥3.5 mm Maternal serum marker (PAPP-A, hCG)

Singleton Gestation—Maternal Age-Related Risk for Down Syndrome and Any Aneuploidy at Midtrimester and at Term   Down Syndrome Any Aneuploidy Maternal Age Midtrimester Term 35 1/250 1/384 1/132 1/204 36 1/192 1/303 1/105 1/167 37 1/149 1/227 1/83 1/130 38 1/115 1/175 1/65 1/103 39 1/89 1/137 1/53 1/81 40 1/69 1/106 1/40 1/63 41 1/31 1/50 42 1/41 1/64 1/25 1/39 43 1/19 1/30 44 1/38 1/15 1/24 45 1/12

침습적 산전 진단 임신중기 양수천자 (second-trimester amniocentesis) 용모막융모생검 (chorionic villus sampling, CVS) 경피제대혈채취 (cordocentesis, percutaneous umbilical cord blood sampling, PUBS) 태아조직 생검 (fetal tissue biopsy) 착상 전 유전진단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모체순환내의 태아세포 (fetal cells in the maternal circulation)

양수천자 임신 15-20주 사이 합병증: 일시적인 질출혈, 양막파수, 융모양막염, 태아 손상 태아손실, 0.5%

융모막융모생검 임신 10-13주 임신초기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 합병증: 질출혈, 생식기감염,

경피제대혈채취 (탯줄천자) 염색체 검사, 대사와 혈액학적 연구, 산염기 분석, 바이러스 배양, PCR 등 합병증은 양수천자와 동일 태아사망률,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