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이 홍 자 교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개인의견 차가있을수있음 훈훈한남자 배우 TOP 5. 5 위는 박보검 웃을때보이는 치명적인 미소 꺄 ~~~ 5위5위.
Advertisements

1. 신 데렐라 2 C Ⅰ. 회사 소개 6 비용 C 10.
SINNO CARE 제 2 차 대기업취업반 운영 ( 안 ). I ndex - Program 소개 - 강사프로필 - 교육예산 ( 안 )
목 차 Ⅰ. 병원경영의 환경분석 Ⅱ. 병원경영의 전략유형 Ⅲ. 병원경영의 최신기법 Ⅳ. 대응전략 1.
CRM : 고객 관계 관리 Proces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여름방학 제대로 즐기기 HOT SUMMER 컴퓨터 특강 마 재 초 컴 퓨 터 실 T) /
賞 2012 위대한 한국인 100인 대상 대한민국 각 부문별 최고 위대한 100명! 기획안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의 의미와 추진방향
성공적인 주40시간제 정착을 위한 기업의 대응전략
문화이벤트 특강 시민축제에 대하여 애니메이션 김철환.
4장. 마케팅 정보 시스템과 마케팅 조사 마케팅정보시스템 마케팅조사.
특허청 혁신 포럼 기업형 정부운영을 위한 혁신 기반 강화 연구 사단 법인 미래정부연구원.
커뮤니케이션 스킬 UP -전화매너-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의의와 발전과정 1. 고령이나 질병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혼자 생활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 또
기획서의 조건과 역할 기획서는 아이디어가 장차 창출할 가치를 명확히 보여 주어야 한다. 기획서 채택 가치 창출 체 제 표 현
2018 중소기업 탐방 프로그램(5차) 서울권 대학 재학생 바이오〮제약산업 탐방과 직무체험 [수행계획서]
인적자원의 선발.
제2절 법인세의 계산구조와 세무조정 1. 각 사업연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계산구조 회계와 사회 결산서상 당기순이익
제6장 객실예약업무 객실예약업무의 개요 예약부서의 주요업무 예약의 접수경로 예약접수절차 마케팅활동을 위한 자료관리.
PART 01 케어복지의 이론과 기초 CHAPTER 02 케어복지의 개념과 구조.
TCM PROGRAM 개요.
조기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주) 리더십 프런티어 대표이사
중소기업 혁신사례 자동차 점화시스템의 선두기업 주식회사 세 림 테 크.
『디지털 경제시대의 경영정보시스템』 김효석 · 홍일유 공저 ⓒ 법문사, 2000
조직문화 혁신사례 P & C 컨설팅 LGENT의 비전과 전략 달성을 촉진하기 위한 P & C
TPM 과 Six Sigma 연계를 위한 활성화 방안
이 종 수 식 신( 新 .信 .神 )바람 경영 컨설팅 ( 수탁경영/관리 )
물류 센터 시스템 구축/ 혁신을 위한 로지스 파크 닷 컴 L P.Com 컨 설 팅 제 안 서 2000년 7월 30일
2015. 인문소양교육.
경영성과 극대화를 위한 TPM 활동.
목표원가 달성을 통한 기업 이익 창출 전략.
제5장 병원인적자원관리 목차 1. 인적자원관리의 개요 2. 병원직무관리 3. 병원인사고과 4. 확보관리 5. 개발관리
학/습/개/요 학/습/목/표 일정한 기간동안 조직에서 필요한 일자리를 대내외적 인력공급과 일치시키는
사 내 한 성명 NDS 업적목표관리제도(PMS)운영 매뉴얼 주식회사 엔디에스 인사교육팀.
제 7장 회귀분석 강 사 : 김 효 창.
TPM 과 6σ 의 비교 구 분 TPM 6 시그마 추진방식 사 상 활동 단위 강 점 범 위 Level up 기 법 활동단계
Department of AD & PR, Youngsan University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가톨릭 상지대 차호영
표준화 임원코칭 ③ 전략적 사고 2009年 05月 20日 先進標準化팀 SD경영연구소.
인사평가시스템의 설계 방안과 사례 성신여대 경영학과 박준성 교수.
한국어 읽기 교수법.
사회복지행정론 총정리(3).
정부 혁신 관리 매뉴얼 정부혁신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 Version 혁신관리전문위원회 적응 믿음 변화의 5단계
서술형 모범 답안.
원가관리와 원가절감 ▣ 원가절감의 개요 ▣ 코스트테이블 ▣ VE ▣ 부품 반감화 ▣ 코스트 종합 생산성 ▣ 경쟁입찰제도
제5주 욕구조사.
알기 쉬운 CS 하기 쉬운 CS (CUSTOMER SATISFACTION)
의료관리 연구방법론 강의 소개 - 지역보건 기획과 평가
사회복지조사론 총정리.
원가와 원가관리 작 성 자 관 리 지 원 팀.
TCM PROGRAM 개요.
Management Cost Calculation Program
(competency item survey)
수익 극대화를 위한 전략적 원가경영2.
(competency item survey)
2013년도 상반기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
2013년도 하반기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
현장 작업자를 위한 업종별 교안 2013-교육미디어-1451.
사회복지개론 인간의 삶과 사회복지.
Management Cost Calculation Program
상가분양 사업계획서.
천국 가는 길 천국 가는 길 ♧ 천국 가는 길 ♧ 1. 죄와 사망(지옥) 1) 사람의 3가지 공통점 - 죄인, 죽음, 심판
Case Management란 의사소통과 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제공된 의료서비스를 사정하고 계획하고 수행하고 조정하고 Monitor하며 평가하는 협력적인 과정이다. High quality, cost-effective outcomes.
E R P 정보관리사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1장 듣기 교육론 개괄.
한국전기초자의 경영혁신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8단계 3층을 완성한다 Case 1 Case 2 Case 3 Case 4
E-HR 설계 기본(안) for x x x HR 팀.
Presentation transcript: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이 홍 자 교수 지역사회 관리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이 홍 자 교수 University

지역사회 욕구 조사 (1) 지역사회의 정의 맥키버(R. M. Maclver) : 공동생활권 스트로우프(Stroup) : 자신들이 상호 관련되어 있다는 의식을 갖는 사람들에 의한 구성 모르건과 포스톤(Morgan & Poston) : 공통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함께 계획하고 실천하는 구성원들의 결합체 (2) 지역사회의 개념 1) 공간적인 단위 지리적 구분 지방적 특색 사회적 상호교류 공통된 신념, 가치, 요구 University

2) 공동적 유대관계 주류를 이루는 구성원 비주류의 구성원(minority group) 3) 공동적 가치, 관심, 목표를 공유하는 집합 사회적 상호작용 (3) 지역사회 욕구 사정 지역사회 보건복지서비스 ; 지역사회 욕구(Needs)에 기초하여 해결 지역사회 욕구를 진단 7가지 하위 범주 1) 지리적 특성 2) 인구학적 특성 3) 건강상태 4) 환경적 특성 5)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6) 오락 및 휴식 7) 지역사회 자원 University

(4) 지역사회 욕구 조사방법 직접 조사와 간접 조사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 실태 조사와 의견 조사 전수 조사와 표본 조사 (5) 지역사회 개발시 지역욕구 조사방법 ① 관찰 조사-1 의의 - 조사자의 감각작용을 통해 자료를 모으는 방법 - 과학적 관찰 조사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계획, 기록, 일반화된 명제 종류 - 참여관찰 - 준참여관찰 - 비참여관찰

(5) 지역사회 개발시 지역욕구 조사방법 ① 관찰 조사-2 장점 - 지역사회에 대한 행태양상을 기술하는 데 유리 - 많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 일반화에 용이 - 지역사회의 변화를 그때그때 기록할 수 있음 - 의식적으로 회피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지역주민에의 접근이 가능 단점 - 행위가 발생할 때까지 기다려야 함 - 관찰이 곤란하거나 외부로 표출하기 곤란한 문제에는 적용하기 어려움 - 관찰자의 주관적ㆍ선택적 관찰로 객관성을 상실할 우려 - 전부를 동시에 관찰하지 못하는 한계성 - 관찰 사실에 대한 해석에 객관성이 부족 - 특수한 상황에서 특수한 행위가 발생했을 가능성 University

(5) 지역사회 개발시 지역욕구 조사방법 ② 면접조사-1 의의 - 지역사회 조사자가 응답자인 지역사회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과정을 통하여 지역사회 욕구를 발견하는 방법 - 언어적 - 비언어적 종류 - 표준화 면접(standardized interview) - 비표준화 면접(unstandardized interview) 기술 -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 - 자신이 누구이며, 왜 이러한 조사를 행하며, 어떻게 피면접자가 선정되었으며, 이 일을 위한 피면접자의 기여도 등을 주지 - 정직, 성실, 객관적인 입장에서 면접을 실시 - 기록 : 약어나 기호를 겸용 - 녹음 University

(5) 지역사회 개발시 지역욕구 조사방법 ② 면접조사-2 장점 - 개별적 상황에 높은 신축성과 적응성 - 문맹을 포함한 모든 사람에 대해 조사가 가능 단점 -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 - 면접조사원의 편견/ 그릇된 판단 ③ 질문지 조사-1 의의 - 응답자 스스로가 자신의 의견을 기입할 수 있도록 작성된 조사도구 내용 - 지역사회 욕구의 사실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사 - 지역사회 주민 욕구의 감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사 University

(5) 지역사회 개발시 지역욕구 조사방법 ③ 질문지 조사-2 작성과정 - 첫째, 질문지 작성의 목적 및 범위 확정 - 둘째, 질문항목의 선정 - 셋째, 질문의 형태 선정 - 넷째, 질문의 어귀구성 및 순서결정 - 다섯째, 질문지 조사방법 선정에는 우송조사, 전화조사, 집합조사 - 여섯째, 시험조사(pre-test) - 일곱째, 인쇄 및 편집 장점 - 시간 노력 비용이 적게 듦 - 익명성이 보장 - 시간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확실한 응답 단점 - 응답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경우 올바른 응답을 하지 못함 - 익명성 때문에 피상적이고 성의 없는 응답 - 상세한 내용을 파악하는데는 한계 University

(6) 지역사회 욕구 유형 1) 규범욕구(normative need) 전문가들에 의해 규정된 욕구 - 강점 ; 계량화가 쉽고 구체적인 변화의 표적을 제공 - 약점 ; 기준이 사람마다 다를 수 있고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어 논란의 여지 2) 의식욕구(felt need) 개개인이 느끼고 추구하는 욕구 개개인마다 욕구가 다르기 때문에 주민 전체의 욕구로 추정하는 데는 한계 3) 표현욕구(expressed need) 수요에 의해 느껴진 욕구가 행동으로 표출된 것 주민들의 숨겨진 바람이 겉으로 드러난 것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 4) 비교욕구(comparative need) 각각 다른 집단에 존재하는 서비스의 수준상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 University

(7) 지역사회 욕구 분석 1) 알파(Alpha) 욕구분석 제약조건 없이 zero base에서 지역사회 실정의 분석 가장 기본적인 형태 지역사회의 큰 변화를 초래할 수 있지만 대신에 위험 부담이 높음 2) 베타(Beta) 욕구분석 단순히 현재의 상황과 바람직한 상황만이 차이를 분석하는 방법 3) 감마(Gamma) 욕구분석 현재 상황과 바람직한 상황에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을 때 지역사회 개발사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 University

(7) 지역사회 욕구 분석 4) 엡실론(Epsilon) 욕구분석 목표가 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총괄 평가 5) 제타(Zeta) 욕구분석 과정 평가 지역사회 개발사업 계획을 수정 방법 University

지역사회 개발 (1) 지역사회 개발의 개념 첫째, 하나의 과정(process) - 지역사회 자체가 지역사회 주민을 돕도록 도와주는 것 - 주민 자신들의 노력으로 - 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향상을 기하는 과정 둘째, 하나의 방법(method) - 지역사회 생활을 개선하고 - 지역사회 통합과 자립 지향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단 셋째, 하나의 계획(planning) - 지역사회 주민 - 당면욕구 규정 -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계획수립하고 실천하는 것 넷째, 하나의 운동(movenent) - 주민 모구의 스스로의 참여에 의한 형태와 태도를 개선해 가는 운동 University

(2) 지역사회 개발의 목표 1) 지역사회 주민의 잠재능력 향상 2) 지역사회 주민이 공통적으로 느끼고 있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 3) 지역사회 주민의 민주적 가치관을 형성 4) 지역사회를 균형적으로 발전 5) 권력 및 정부기관의 견제와 비판기능 6) 공공기관에 대한 욕구를 반영 7) 정부역할의 보조적 기능을 한다. (3) 지역사회 개발의 원리 1) 지역사회 주민 욕구 존중의 원리 주민의 기본적인 욕구를 토대 주민들의 참여 주민들의 동의 지역사회의 모든 집단들과 함께 일하도록 협조

(3) 지역사회 개발의 원리 2) 지역사회 주민 능력 활용의 원리 유능한 지도자의 발굴과 육성 주민 전체가 참여 평생교육 3) 합리적 사업 수행의 원리 지역사회 자체 자원을 바탕 장기적 안목 자발적인 민간조직의 자원 지방정부 수준에서 국가적 규모에서의 발전과 형평 University

(4) 지역사회 개발의 유형 1) 하향식 지역사회 개발 유형(Top-Down type) 국가적 필요에 따라 정부가 주도하여 개발을 수립 정부의 정책이나 시책을 그대로 반영시키는 데 중심 계획수립의 주체는 정부나 사업을 주관하는 기관이며 지역사회 주민은 이러한 계획에 따라 수동적으로 참여 2) 상향식 지역사회 개발 유형(Bottom-Up type) 주민에 의해 공통적으로 인식된 욕구나 문제 주민 스스로 해결해 나가기 위해 수립 주민의 독자적인 필요와 방향설정에 따라 계획이 수행 주민의 의사가 최대한으로 반영되고 지역사회의 지도력이 활발히 육성 3) 공동적 지역사회 개발 유형(Joint type) 주민의 의사와 욕구를 중요시하되 이를 국가적 요구와도 조화시키는 방향으로 수행 주민의 자발적 참여가 최대한으로 장려 University

(5) 지역사회 개발사업의 실천과정 1) 계획 수립의 단계 첫째, 사실의 수집과 여건의 분석 둘째, 과제의 집약과 확인 셋째, 사업 내용의 결정 넷째, 사업추진방안의 수립 2) 계획 실천의 단계 첫째, 홍보(publicity)의 단계 - 참여의식을 자극하고 고취시키는 원초단계 둘째, 대민(accessibility)의 단계 - 지역주민들이 실제적으로 개발사업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 - 지역사회 개발사업, 주민들의 자조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방법 셋째, 관여(involvement)의 단계 - 공청회 - 주민이 참여하게 되고 사업에 실제로 관여 넷째, 책임 및 권한 위임(accountability)의 단계 - 주민 스스로가 정책의 계획, 입안, 수행, 평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결정권

(5) 지역사회 개발사업의 실천과정 3) 평가의 단계 이미 설정된 목적과 목표가 얼마나 성취되었는가를 측정하는 단계 지역사회 개발사업의 효과를 파악하는 것 지역사회 개발 과정의 최종 단계 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평가에 대한 계획서를 작성함이 바람직함 University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이 홍 자 교수 지역사회 자 원 활용 및 관리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이 홍 자 교수 Daegu Haany University

지역사회 자원 관리자 건강관리사 요양관리사 방문보건 간호사 의료급여사례관리사 사회복지사 Care managers

케어니지먼트 관련 용어 Case management The Case Management Society of America: http://www.cmsa.org/ Patient care planning Patient-centered care Disease management Care management : http://www.caremanager.org/ Managed care program

사례관리에서 여전히 남는 의문!! 팀 접근 자원활용 Improved outcome 이란? 다학제적 접근 Cost-effective한 성공적인 case management program이란? 팀 접근 다학제적 접근 자원활용 사례관리

지역사회자원의 동원의 필요성 1. 대상자와 관련된 모든 사회자원을 동원해야 한다. 2. 대상자의 욕구가 다양화ㆍ고도화  사회자원의 종류를 확대하고 양적ㆍ질적인 향상을 도모 서비스 공급주체를 다원화 3. 비공식 지원체계와 공식 지원체계를 동원 4. 개인적 수준의 보호, 지역적 수준의 지원, 국가적 수준의 사회자원을 동원하여 서비스망을 형성 5. 욕구충족을 위한 환경조정에 초점  적절히 보호할 사회자원 동원 Daegu Haany University

지역사회 자원 조사 (1) 지역사회 자원체계 1) 비공식적 자원체계(informal resource system) 3) 사회적 자원체계(societal resource system) (2) 지역사회 자원 조사내용 1) 인적 자원조사 노인요양보험제도하의 전문인력 요양관리사(케어매니저) : 요양보호 욕구사정, 케어플랜 작성, 서비스 조정 등 요양보호사 : 간병ㆍ가사 및 일상생활지원서비스 노인분야간호사 : 시설간호, 방문간호, 투약ㆍ응급서비스, 요양보호지도 교육 노인병전문의,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등 간호 조무사 자원봉사자 : 말벗 및 안부 도우미, 가사도우미, 이송도우미, 집고쳐주기, 식사배달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Haany University 2) 물적 자원조사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양로원 노인공동 생활가정 노인복지 시설 노인주거 복지시설 노인의료 노인여가 재가노인 양로시설 실비양로시설 유로양로시설 실비노인복지주택 유료노인복지주택 노인요양시설 실비노인요양시설 유료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요양시설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 노인복지회관 경로당 노인교실 노인휴양원 가정봉사원 파견시설 주간 보호시설 단기 보호시설 요양원 노인요양 공동생활가정 방문목욕 방문요양 방문간호 Daegu Haany University

노인요양보험제도 의료급여사례관리사 제도 건강관리사 제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제도 3) 제도적 자원조사 노인요양보험제도 구분 세부 내용 재원조달 재원조달방식 : 사회보험방식+조세 수발비용 본인부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 본인부담 없음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이외의 의료급여 수급권자 : 20% 수발보장비용 국가부담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수발보장비용 : 50% 의료급여 수급권자 : 전액부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분담) 수급대상 65세 이상의 노인 및 노인성질환을 가진 64세 이하인 자로서 6개월 이상 타인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자 급여종류 현물급여 : 재가수발급여, 생활수발시설급여 현금급여 : 수발수당, 특례수발비, 요양병원 수발비 의료급여사례관리사 제도 건강관리사 제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제도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Haany University (3) 지역사회 자원 조사의 절차 1) 지역사회 자원 조사의 목적설정 지역사회 개발의 방향, 범위 목표 제시 2) 지역사회 자원 조사 대상자의 선정 개발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 표본조사 3) 지역사회 자원 조사도구의 선정 조사도구의 양식 지역사회 자원 조사도구의 기록양식 ① 개인별 기록양식지 ② 모든 정보 분명하게 나열 ③ 항목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 ④ 자료처리와 분석에 편리하도록 배열 ⑤ 기록지 하나에 모든 정보를 담아야 함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Haany University 4) 지역사회 자원 조사 방법의 선정 제 1차 자원조사 자료수집 제 2차 자원조사 자료수집 5) 지역사회 자원 조사 수행 예비조사(pre-survey) 활동 본조사(main-survey) 활동 6) 지역사회 자원 조사의 결과 처리 통계프로그램을 활용 Daegu Haany University

지역사회 자원활용 네트워크 Relationship 자원조사 자원목록표 작성 자원의뢰 네트워크 형성 대상자 및 가족과 의사소통 의뢰기관과 접촉 의뢰서 이용하여 의뢰 의뢰 후의 추후관리 명칭 주소 연락처, 제공하는 서비스 연락가능시간, 양식, 대상자 조건 의뢰방법, 의뢰절차

의료급여 사례관리의 예 의료급여 관리사가 직접, 간접적 서비스 제공과 서비스 관리를 하는 전문 관리형 보건과 복지 통합 서비스 제공 보건과 복지 통합 서비스 의료급여 수급권자 자가 건강관리 능력 향상 시도 및 시군구 의료급여 담당부서+지역사회 내 공공기관 + 의료기관 + 사회복지 관련기관 + 비영리 민간단체 network 구축유기적 관계 수립, 활용

의료기관/국민건강보험공단/보건소/동사무소/사회복지시설 의료급여 사례관리 체계 서비스 제공 - 보건, 복지 연계서비스 - 교육 및 상담 서비스 지역사회 자원 활용서비스 적정의료이용 유도 및 자가관리 능력 함양 서비스 계획 : 서비스내용 결정 불필요, 과다 의료기관 방문 모니터링 의료급여비 감소 의료 이용 형태 모니터링 사례관리 대상자 방문 상담 및 평가 의료기관/국민건강보험공단/보건소/동사무소/사회복지시설 시,도/시,군,구 의료급여 담당부서 - 실적보고 - 사례관리자 지도감독 의료급여 사례관리자 보건복지부 기초의료보장팀 총괄업무 삶의 질 향상 및 의료급여 재정 안정화 급여 이용정도 다른 케어제공자 및 이용가능 자원 의료적 요구/이용의료 가족원 비용과 제한 케어의 질과 표준

문제영역별 자원연계-보건의료자원 문제영역 목 표 계 획 제도안내 제도 이해 의료급여제도 교육 의료급여제도 홍보 의료이용 합리적 의료이용 의료기관 통합 유도 의료정보 제공 건강관리 건강관리능력 향상 건강관리교실 연계 증상변화 관찰 생애주기별 건강검진 합병증 관리 합병증 관리 교육 합병증 예방 위험요인 교육 합병증 증상교육 약물오남용 예방 복약지도 약물정보 제공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문제영역별 자원연계-복지자원 문제영역 목 표 계 획 심리ᆞ사회적 지지 지지체계 구축 자원연계 심리적지지 제공 가족교육 사회적 활동 격려 사회적 지지 정서적 지지 증상관리 및 질환극복 사례 소개 생활 환경 생활환경 개선 생활환경 개선 위한 자원연계

Question!! 감 사 합 니 다 Daegu Haany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