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목차 1.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2.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3.한국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과제 및 방향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이전기(~19세기 말) ▷교회중심의 구제활동 (영국) ▷길드조직에 의한 구호활동 (12-15세기) ▷헨리 8세 법령 (1531년) ▷엘리자베스 구빈법 (1601년)
엘리자베스 1세(1533~1603)
전문적 사회복지 실천의 출현 (19C 말~1900년) ▷개인적 차원의 자선사업과 박애사업 시작 ▷인도주의적 사회개혁사상과 연계한 민간 사회복지의 발달
1)자선조직협회 민간 사회복지기관들의 활동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 1869년 런던, 1877년 미국 버팔로 우애방문원 활동 가치있는 빈민 VS 가치없는 빈민 19세기 말 최초로 유급종사자를 고용하기 시작 -> Social Worker 출현
2)인보관 운동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갖는 지역사회에서 빈민과 함께 생활하면서 지역사회의 환경개혁과 빈민의 도덕적 교화에 힘써야 한다는 입장 1884년 런던 : 바넷목사의 토인비홀 1889년 시카고 : 제인 아담스의 헐하우스 빈민지역의 주택개선, 공중보건, 빈민착취방지활동 + 직업훈련, 언어훈련, 자조집단 개인의 변화보다는 사회환경의 변화 강조
토인비 홀(1884)
헐하우스(1889)
▷1898년 뉴욕자선조직협회에 의한 뉴욕자선학교에 전문인력 훈련과정 개설 ● 사회복지실천의 전문화기 (1900-1920년) ▷1898년 뉴욕자선조직협회에 의한 뉴욕자선학교에 전문인력 훈련과정 개설 ▷1905년 보스턴 메사추세스 알 카봇에 의해 캐논이 보조사회사업가로 채용 ▷1907년 시카고대학 사회복지교육프로그램 개설 ▷1917년 전미 사회사업회의에서 전문성 논란 (Flexner) ▷1917년 메리 리치몬드 전문서적 발간 ‘Social Diagnosis’ ▷1920년 석사과정 도입 ▷1922년 리치몬드 ‘What is Social Case Work?’ ▷현장중심교육은 의료, 정신의료, 아동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짐
▷아동상담소가 활성화됐으나 사회복지사의 일은 가족중심개입보다는 아동의 관찰과 조사에 국한 ●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분화기 (1920-1950년) ▷프로이트 정신역동학 이론의 전파(1920년대) ▷아동상담소가 활성화됐으나 사회복지사의 일은 가족중심개입보다는 아동의 관찰과 조사에 국한 ▷1930년대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갈등(1950년대까지) ▷집단사회사업의 발달 (1930년대 이후) ▷1946년 집단사회사업협회 결성, 1945년 이후 참전용사를 대상으로 한 집단 사회사업 활동 증가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출현(1960년대) 1964년 제정된 「경제기회법(Economic Opportunity Act)」에 근거 지역사회 조직과 사회행동을 강조, 의사결정에 빈민의 참여를 강조함(Popple, 1995).
▷1960년대 이후 사회복지 개입방향이 사회변화, 사회적인 접근으로 회귀 ▷1970년대 다양한 사회복지실천모델 제시 ● 사회복지실천의 통합, 발전기 (1950년대 이후) ▷1960년대 이후 사회복지 개입방향이 사회변화, 사회적인 접근으로 회귀 ▷1970년대 다양한 사회복지실천모델 제시 ▷1979-1980 : NASW 임상사회사업의 실체를 규정 ▷1970년대 이후 전문화에 대한 강조가 약화되면서 일반주의적 실천에 관심
다양한 실천 모델의 활용, 절충주의, 사례관리의 등장 최근의 사회복지실천 변화 추세 다양한 실천 모델의 활용, 절충주의, 사례관리의 등장 :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인구집단의 확대와 탈시설화와 맞물린 지역사회보호가 강조되면서 주요 실천방법으로 정착됨 (2)건강 및 정신보건 관련 영역에서는 관리의료(managed care)가 대안으로 부상하게 됨 (3) 문화적으로 민감한 사회복지실천의 강조 :의사소통에서 클라이언트 체계의 문화적 영향 요소를 충분히 반영하는 역량을 발휘하도록 기대됨
2.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1) 사회복지실천의 형성기 1970년대까지는 외국으로부터의 원조에 근거한 고아원과 양로원과 같은 시설 중심의 응급구호사업이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주축이었고, 전문기관의 미성숙, 즉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가 전문적 사회복지실천을 실시하기에 여의치 않은 실정이었음. 초창기 사회복지 활동은 해방 이후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한 극심한 혼란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급증하였던 불우한 환경 속의 아동, 노인, 장애인, 여성 등을 위한 수용시설이 거의 전부였음.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관의 설립 및 운영을 지원하는 법적 근거가 마련 2) 사회복지실천의 정착기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관의 설립 및 운영을 지원하는 법적 근거가 마련 1989년 사회복지관 운영 · 건립 국고보조사업 지침이 마련되어 사회복지관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면서 저소득층 밀집지역에 사회복지관 설치가 본격화됨 공공 부문에서는 1987년부터 생활보호사업의 효과적, 효율적 수행을 위한 전달체계로 사회복지전문요원제도가 실시됨.
사회복지전문요원은 1999년 10월 별정직에서 일반직 사회복지직으로 전환되었으며, 공적부조 전달체계의 핵심 역할을 맡음. 3) 사회복지실천의 발전기 1990년대 중반 이후 사회복지실천은 전문성의 강화, 지방자치제에 따른 지방분권화, 재가복지서비스의 확대, 지역사회 중심의 자활사업 전개 등 질적인 변화가 이루어짐. 사회복지전문요원은 1999년 10월 별정직에서 일반직 사회복지직으로 전환되었으며, 공적부조 전달체계의 핵심 역할을 맡음.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 이후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을 중심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실천현장이 전통적인 정신과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확장되었고, 교육부 및 교육청의 시범사업 등으로 학교사회복지사가 상주하는 학교 실천현장이 크게 증가함.
2000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근거한 자활사업 영역이 사회복지실천 영역으로 추가되면서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의 자활을 위한 일자리 제공, 자활 의욕 고취 및 자활능력 배양이 사회복지사의 직무가 됨. 가족 해체의 급증에 따른 가족의 문제와 아동,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복지 욕구, 이주노동자 및 결혼이민자, 탈북자 등 소수자 집단의 복지 욕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응으로 실천현장이 다양해짐. 사회복지 교육과정의 과도한 양적 팽창 문제와 자격제도 관련 현안 해결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