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CTIONAL METHOD AND TECHNOLOGY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제 6 장 청소년과 사 이버 문화와 인터 넷중독. 1. 사이버 문화의 정의 사이버문화란 ? “ 기계화의 최신 국면으로서 정보화가 낳은 문화적 산물이며, 기계문화의 변형이다. 이 문화는 컴퓨터라는 정보처리기계의 허용과 관련하여 나 타나는 포괄적인 변화를 함축 첫째, 사이버문화는.
Advertisements

매쓰홀릭 – 설명회. 매쓰홀릭 설립 배경 : 강사 지향, 관리 지향, DB & History 에 기반한 교육실현 온라인 및 e-book 교육의 실현을 목표 연혁 2008 년 5 월 매쓰홀릭 고등부 사업 출범 DB 구축 및 시스템 기획 2009 년 5 월 매쓰홀릭 온라인.
©2004 by South-Western/Thomson Learning 1 베이커리소비자 개인소비가치에 따른 유기농제품의 소비태도가 구매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 윤 희이 윤 희 지도교수 : 진양호 교수님.
알바 TALK 임금 근로계약 성희롱 산업재해 알법한 이야기 법률 상담 노동법 근로기준법 카톡 어플 플러스 친구 Transformative learning Café.naver.com/ albaetewha 재미있게 배우는 고용노동부 안심 알바 실시간 상담 청소년 고용 최저임금.
Method 지구를 사랑하는 아주 착한 프로모션 제안. 지구를 사랑하는 아주 착한 방법 메소드가 제시하는 Love & Care Project Concept Animal / 애완동물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높지 않은 Method 입장에선 소비자들의 주목을 쉽게 끌 수 있는.
BondWeb Weekly 시장분석팀 이정준 ( ☏ ) - 금주 초반에는 월말 주요변수 ( 경제지표, 국채발행계획 등 ) 확인을 앞둔 관망세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이며, 주중반 5 월 국채발행계획 불확실성 제거와 우호적인 수급.
교수님 영상 제 2 장 관세법 일반 제 1 절 통칙 제 2 절 법 해석의 원칙 등 제 3 절 기한과 기간 제 4 절 서류의 송달 등 제 5 절 관세의 부과 및 징수 제 6 절 납세의무의 소멸 등.
음란물에 대하여. 인터넷 음란물의 의미 돈벌이를 위해 단지 성적 욕망을 불러 일으키기 위한 음란한 인터넷 상의 사 진, 동영상, 만화 등을 말한다.
제 2 장 원격교육의 역사적 발전 원격교육의 기술 및 이념의 변천 국내 원격교육의 역사적 발전 Educational Technology 방송통신대학교 출석강의 김윤정 김윤정
- Academy 문의 – 현대경제연구원 교육사업본부 박성우 연구원 홈페이지 :
기업교육의 이해 학습목표 1. 기업에 대한 이해 2. 기업교육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한 이해 3. 기업교육의 체계, 운영방법 및 교육부서의 역할 이해 4. 기업교육의 실제 사례 1. 기업에 대한 이해 2. 기업교육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한 이해 3.
아이핑 소개 (탁구대회) 아이핑 담당 신동일 네이버(다음)에서 아이핑검색 아이핑 소개 (탁구대회) 담당 신동일 아이핑.
전자출판 개요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5월 교육 일정표 교육 일정 일 월 화 수 목 금 토 교육 준비 및 기획
환 영 신입생 도서관 이용 교육 동강대학교 도서관.
ECatalog Studio v2.5.3 e-book 제작 Manual.
일 시 : (목) 장 소 : 1층 도서관 대 상 : 3학년 4반 (36명) 지도교사 : 박 병 진
연무대기계공업고등학교 좋은 수업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수석교사 조경희.
[새문안교회 정보화 사역 계획(안)] 2007년도 영상선교부
국가기술 자격증 사이버강좌 운영 제안 ㈜유엠투엠.
전자영상심판시스템 도입 브리핑 및 시연
1. PC 에서 회원가입 1. 회원가입 버튼 클릭 클릭.
시작하기 전에……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상황에 대비하여 생각하고, 준비해 놓은 것이 있는가? 지금 당신은 몇 살인가?
『Blended Learning』의 실시 방안
But, 성공하려면 과정이 필요합니다. 목표달성을 위해 정해진 기간이 필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가요~?
TOTAL BI SOLUTION 낚시카페 솔루션 1차
EBSCOhost eBooks 다운로드/ 대출 (Android)
2004년 7월 27일 이 재 경 숙명여자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부
연성체제이론 (Soft Systems Theory)
Chapter 8. 소프트웨어 e-learning Computers.
Flash를 이용한 E-Book 학번 : 이름 : 궁창완 지도교수 : 이광세.
사이버연수원 구축소개서 법인 고객팀 서울시 구로구 구로3동 에이스트윈 7차-701호
사무실 찾기 PROJECT… 사무실 찾기 사이트 및 효과 보고서 온라인 광고
Ebrary eBook 모바일 이용안내.
초등학생이 pc방을 가도 되는가? 등마 초등학교 5학년 4반 김근아.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컴퓨터 보조 수업; CAI)
제 1 장 소 개 시스템 분석 및 설계 허철회 2006학년도 2학기 상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보상사업 제안서 반룡일반산업단지 사업시행자 성창아이엔디㈜ 대표 정연교님 귀하 주 식 회 사 한 국 보 상 원.
<티슈 케이스 활용하여 깔끔함 더하기_ 우드사각 티슈케이스>
▶ 원격교육활용론 제4부 원격교육의 실습 및 운영 해외 원격교육 사례분석 평생교육사 교육과정 1.
1. 하나투어 프로모션 페이지 수정사항 정리 – 리오타노 이태리 세미극세사 차렵이불_그레이
중앙대 원격교육원 범용공인인증서 홈페이지 등록 방법 .
교육 공학의 사용 현황 전산게임학과 2학년 강민석 김세종 이난정
재순환 공정을 이용한 이차전지 양극재용 나노 이산화망간(CMD) 제조방법
■ 화성공장 산학인턴 버스 노선 확인 안내 문의 전화 : 안내페이지 접속 1
정품 라이센스.
중국경제의 이해 Ch06 중국의 도시개혁과 기업.
창의적 산출물 대회 이태훈, 최재혁, 이준협, 이지훈.
북큐브 전자책도서관 PC 및 모바일 이용안내 ㈜북큐브네트웍스.
제2장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과정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2.1 미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Chapter 2. 컴퓨터의 발달 e-learning Computers.
◈ 본 PPT자료는 날짜와 원장님의 원명, 성함으로 바꿔서 사용하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기독교 문화를 통한 ‘쉼’있는 토요일 청소년 conference Season.3
1. 제목: 청력소실 어르신을 위한 셔틀버스 맞춤형 안전 시스템 Ver 2.0
1.세무회계사무소에서 수임처로부터 통장내용(엑셀)을 등으로 받아 Super Book에 반영하는 방법
웹 기반 영상 재구성 저작 도구 방송미디어연구소 미디어연구본부 스마트미디어연구그룹 김선중PL )
포이에마장애인보호작업장 시설소개서.
전문교과 이론과 실습의 연계통합 수업 방법 강사 우 연 재.
교육훈련 기획 및 운영실무 교육훈련 기획 및 운영실무 교육훈련 기획 및 운영실무.
100세 시대, 스마트 헬스케어와 미래직업 (3) 고령화 사회에 필요한 웨어러블.
북한학 과목소개 최 장 옥 교 수 연평도 앞 월래도 시찰.
박 현 미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창업포스터 만들며 포토샵과 친해지기 박 현 미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Gagne의 9가지 수업 사태.
1. 하나투어 프로모션 페이지 수정사항 정리 – 인따르시아 여행용 파우치 5p (핑크)
1. 하나투어 프로모션 페이지 수정사항 정리 – [트래블이지] 비비드접이식가방 NO.1278
코딩교육, 어떻게 해야 할까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 김가연 안선영.
CSI 진화연산 2008년도 제 1학기.
4M: Man, Machine, Material, and Method 그림 14.1 그림 14.4
◈ 본 PPT자료는 날짜와 원장님의 원명, 성함으로 바꿔서 사용하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본 PPT자료는 날짜와 원장님의 원명, 성함으로 바꿔서 사용하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Presentation transcript:

INSTRUCTIONAL METHOD AND TECHNOLOGY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INSTRUCTIONAL METHOD AND TECHNOLOGY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1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개념 1. 교육방법이란?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는 데 요구되는 모든 수단적· 방법적 조건들의 통칭 광의적 의미 : “교육의 타당한 목적이 어떤 것인가?”를 탐구하는 행위를 제외한 다른 영역 (황정규·이돈희·김신일, 1999) 협의적 의미 : “학습목표에 맞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김신자·이인숙·양영선, 1999)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1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개념 교육방법 1. 교육방법이란? 광의적 의미: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는 데 요구되는 모든 수단적· 방법적 조건들의 통칭 = “교육의 타당한 목적이 어떤 것인가?”를 탐구하는 행위를 제외한 다른 영역 교육의 타당한 목적이 어떤 것인가? 교육방법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1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개념 1. 교육방법이란? 협의적 의미 “가르치는 방식” “수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효과적 효율적 수업방식” “학습목표에 맞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1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개념 2. 교육공학이란? 역사 : 소피스트와 코메니우스를 연원으로 하며, 근 대적 의미의 교육공학은 20세기 초부터였다. 매체,체제이론, 커뮤니케이션 이론, 소프트웨 어 개발이론, 인지과학 등에 영향 받음. 교육공학? 교수공학? : 구분의 큰 의미가 없음. ◆ 교수공학선호 : ‘교수’가 테크놀로지 기능 설명에 적합. ‘교육’은 학교교육에만 한 정된 인상 줌. ◆ 교육공학선호 : ‘교육’이 ‘교수’를 포함. 어느 환경 에도 적용 가능한 포괄적 용어.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1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개념 2. 교육공학이란? 공학 : 번역된 ‘테크놀로지’로 교육 공학자들은 Galbraith(1967)가 제안한 ‘현실적 과제에 과학 적이며 조직적인 지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라는 정의를 받아들이고 있음. 개념 : “교육공학이란 적절한 교육적 과정 및 자원을 창출, 활용,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개선하는 연구와 윤리적 실천.” 미국교육공학회(AECT)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2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구성 1. 교육방법의 구성 Joyce, Weil & Calhoun(2000)은 교수방법을 사회형, 정보처리형, 개인형, 행동체제형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 사회형 : 여러 명이 모여 학습공동체를 건설하고 집단 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학 습 파트너, 집단 조사, 역할극, 법률조사 등 이 있다.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2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구성 1. 교육방법의 구성 정보처리형 : 데이터를 수집·조직하고, 문제를 파악·해결 책을 제시하며, 이를 전달하기 위해 개념과 언어를 개발하는 등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인간의 원초적 욕구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강조. 귀납적 사고, 개념 획득, 과학적 탐구, 탐구 훈련, 암기법, 창조 공학, 선행 조직자, 지력 개발 등의 방법이 있다. 개인형 : 학습자가 자기 자신을 보다 잘 이해하고 자신의 미래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져, 보다 질 높은 삶을 살도록 하는데 목적을 둠. 비지시적 교수, 자아존중 감 향상 등의 방법이 있다.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2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구성 1. 교육방법의 구성 행동체제형 : 사회학습이론 또는 행동수정, 행동치료, 자 동 제어학으로 알려진 이 모델군은 학습자가 자신 의 학습수행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 행동 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는 입장. 완전학습, 프로그 램학습, 직접교수, 시뮬레이션, 사회학습 등이 있다. 다른 분류법 :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분류로 강의형, 토의형, 실험형, 독립형, 개인교수형으로 나누기도 함 (나일주·정인성, 1999)

2. 교육공학의 영역 이론과 실제 설 계 개 발 평 가 관 리 활 용 교수체제설계 메시지 디자인 교수전략 학습자 특성 설 계 교수체제설계 메시지 디자인 교수전략 학습자 특성 개 발 인쇄 테크놀로지 시청각 테크놀로지 컴퓨터 테크놀로지통합 테크놀로지 평 가 문제분석 준거지향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관 리 프로젝트관리 자원관리 전달체제관리 정보관리 활 용 매체활용 혁신의 보급 실행과 제도화 정책과 규제 이론과 실제

2. 교육공학의 영역 설 계 교수체제설계 메시지 디자인 교수전략 학습자 특성 평 가 문제분석 준거지향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개 발 인쇄 테크놀로지 시청각 테크놀로지 컴퓨터 테크놀로지통합 테크놀로지 설계란 학습에 관한 조건들을 구체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교수심리학을 그 모체로 하고 있으며, 체제이론의 도입 이후 여러 요소들이 긴밀히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거시적인 입장에 체계적으로 바라보게 되었고 교육공학을 학문으로 정착시킨 원동 력이 되었다. 이론과 실제 체제 개념 : ①입력과 출력 ② 구성요소들의 상호연관 ③ 공통의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④ 목표달성정도를 파악하여 작업을 수정하게 하는 송환과정 가지고 있는 것 -교육분야에서 체제의 개념은 1960년대부터 도입 체제적 접근은 교육공학의 실질적인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  연구 단위가 개별적인 자료 아닌 완전한 교수체제  교사의 교수를 보조하는 개별 요소들이 아니라 교수체제를 구성 하는 요소로서 의미  교육목표의 중요성 관 리 프로젝트관리 자원관리 전달체제관리 정보관리 활 용 매체활용 혁신의 보급 실행과 제도화 정책과 규제

2. 교육공학의 영역 설 계 교수체제설계 메시지 디자인 교수전략 학습자 특성 개발이란 설계에서 구체화된 내용을 물리적으로 완성하는 것을 말한다. 개발 의 원류는 시청각 매체의 제작이라 할 수 있으며, 영화제작은 시청각 운동을 촉발시키고 현대적 의미의 교육공학을 정착시킨 시발로 볼 수 있다. 개발은 단 순 매체제작 이외에 다음의 사항을 포함 해야 한다. ◆ 내용이 중심이 되는 메시지를 담고 있어야 한다. ◆ 이론에 기반한 교수전략이 포함되어 야 한다.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교수자료 등 테크놀로지의 물리적 실재가 있어야 한다. 평 가 문제분석 준거지향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개 발 인쇄 테크놀로지 시청각 테크놀로지 컴퓨터 테크놀로지통합 테크놀로지 이론과 실제 관 리 프로젝트관리 자원관리 전달체제관리 정보관리 활 용 매체활용 혁신의 보급 실행과 제도화 정책과 규제

2. 교육공학의 영역 설 계 교수체제설계 메시지 디자인 교수전략 학습자 특성 평 가 문제분석 준거지향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개 발 인쇄 테크놀로지 시청각 테크놀로지 컴퓨터 테크놀로지통합 테크놀로지 활용은 학습을 위해 과정과 자원을 사용하는 행위이다. 활용은 곧 학습자와 학습자료 및 활동들을 연결시키고, 학습자를 이에 맞게 준비시키며, 수업활동 중의 학습자를 이끌며, 결과에 대해 평가하 며, 조직 내에서 이런 행위가 지속 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일을 포함한다. 이론과 실제 관 리 프로젝트관리 자원관리 전달체제관리 정보관리 활 용 매체활용 혁신의 보급 실행과 제도화 정책과 규제

2. 교육공학의 영역 설 계 교수체제설계 메시지 디자인 교수전략 학습자 특성 평 가 문제분석 준거지향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개 발 인쇄 테크놀로지 시청각 테크놀로지 컴퓨터 테크놀로지통합 테크놀로지 관리란 계획, 조직, 조정, 감독 등을 통해 교육공학을 통제하는 것 말한다. 교수조직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인적·물적 자원과 이에 따르는 설계와 개발의 노력이 달라진다. 관리는 성공적인 교수처치 를 위해 거시적인 측면의 변화가 요청된다. 이론과 실제 관 리 프로젝트관리 자원관리 전달체제관리 정보관리 활 용 매체활용 혁신의 보급 실행과 제도화 정책과 규제

2. 교육공학의 영역 설 계 교수체제설계 메시지 디자인 교수전략 학습자 특성 평가는 교수와 학습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평가 영역은 교육연구방법의 발달과 함께 성장하였다. 하지만, 평가와 전통적인 연구와 다른 점은 전통적인 교육연구가 지식의 확대에 그 목표가 있다면 평가연구는 프로젝트, 프로그램, 제품의 개선, 확장, 중단에 따른 의사결정 을 하기 위한 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 가 문제분석 준거지향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개 발 인쇄 테크놀로지 시청각 테크놀로지 컴퓨터 테크놀로지통합 테크놀로지 이론과 실제 관 리 프로젝트관리 자원관리 전달체제관리 정보관리 활 용 매체활용 혁신의 보급 실행과 제도화 정책과 규제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2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구성 3.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관계 변영계 등의 정의 : “교사 및 기타 교수자들이 학습을 발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개발·적용·관리· 평가를 하기 위한 지식과 실행력이다.” 국내에서는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을 구별하는 경우도 있고, 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외국의 경우 수업전략이나 교수방법을 교수설계와 개발의 하위 범주로 인식해 이를 굳이 정의하지 않는다.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3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최근 동향 1. 이러닝(E-learning)의 발달 이러닝은 ‘교실 내외에서 이루어지는 인터넷 등 첨단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학습’이라 할 수 있다. ◆ 이러닝의 특징들 - 연결성 - 학습자 중심 - 탈경계 - 공동체 - 탐 구 - 공유된 지식 - 다감각 경험 - 현실 유사성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3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최근 동향 2. 전자책(E-book)과 디지털교과서 전자책은 ‘전통적인 종이 책을 대체하거나 보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디지털·광학적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달하려는 모든 것’으로 정의된다. 디지털 교과서란 “학교와 가정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기존의 교과서, 참고서, 문제집, 용어사전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이를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통합 제공하며,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과 학습자이 특성과 능력 수준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된 학생용의 주된 교재임(교과부, 2007).

2-1. 전자책(E-book) 하드웨어 EasyM where Softbook Reader Rocket ebook

2-2. 디지털교과서

2-2. 디지털교과서 Tablet PC http://www.edunet4u.net/teacher6/bestmov/bestmovDigitalDetail.jsp?org_cd=A000800002&data_no=1810316934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3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최근 동향 3. 구성주의 학습방법 미국 국회의 백서에서 현실문제 해결능력이 떨어지는 인력을 양산 한다고 비판 받는 현 교육제도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제7차 교육과정에서 중시되는 ‘문제해결 능력’,’논리적·비판적 ·청의적 사고력 함양’,’다양한 일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폭 넓은 학습경험’ 등(교육부. 1997)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였다고 볼 수 있다.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제3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최근 동향 3. 유비쿼터스 러닝 Ubiquitous: “도처에 산재해 있는” 학습자가 언제 어디에서나 어떤 내용이건, 어떤 단말기로도 학습할 수 있는 지능화된 학습환경을 의미. 학습정보가 학습자를 찾아 다닌다는 점에서 차이 획일적이거나 강제적이지 않으며 학생은 각자의 욕구에 따라서 학습한다.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3. 탐구문제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정의를 내려보고 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해 보자. “테크놀로지”의 의미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설명해 보자. “soft technology” “process technology”가 어떤 의미인지 말해보자. 교육공학의 다섯 영역이 무엇인지 각각 설명해 보고, 각 영역에 대해 알기 쉬운 예를 하나 들어보자. 최근 교육공학의 동향에 대해 설명해보자.

탐 구 문 제 (1/4) 탐 구 문 제 교육공학의 영역 중 학습자의 개별 특성을 고려한 수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특성을 연구하는 영역은? (2004초등 기출) ① 설계 ② 개발 ③ 활용 ④ 관리 정답 :

탐 구 문 제 (2/4) 탐 구 문 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 학습체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7 중등기출) ① 블렌디드 학습(Blended learning) ② 온라인 프로젝트 학습(online-project learning) ③ 비디오 회의 활용 학습(video conference learning) ④ 온라인 시뮬레이션 학습(online-simulated learning) 학생들은 학급 홈페이지에 교사가 게시한 학습내용을 수업시간 전에 스스로 학습하였다. 교실 수업시간에는 교사의 안내에 따라 그 학습내용을 토대로 토론을 진행하였다. 수업이 끝난 후에는 교사가 제시한 토의 주제에 대하여 홈페이지 게시판에 의견을 제시하였다. 정답 :

탐 구 문 제 (3/4) 탐 구 문 제 3.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 evaluation)에 관한 진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006 중등 기출문제) ① 규준이란 교과에서 설정한 학습목표이다. ② 학생 상호간의 점수 경쟁을 조장할 수 있다. ③ 개인의 집단 내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 파악이 용이하다. ④ ‘수•우•미•양•가’의 평어를 부여할 때는 미리 정해놓은 각 등급의 배당비율을 따른다. 정답 :

탐 구 문 제 (4/4) 탐 구 문 제 교육공학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체제접근(systems approach)에 대한 설명 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03 초등 기출) ① 기술적 성격보다는 처방적 성격을 강조한다. ② 교수-학습 활동의 전체적인 관점을 강조한다. ③ 교수-학습 과정에서 내용보다 매체를 강조한다. ④ 구성요소들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정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