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공부법 핀란드 평생교육 1.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제 7 장 노인가족과 가족복지 당신은 노인에 대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 당신이 가깝게 생각하는 노인은 누구인가 ? 그 이유는 무엇인가 ? 그리고 그 노인이 당신의 삶에서 차지하는 의미나 당신의 삶에 끼친 영향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 당신은.
Advertisements

고령화 사회와건강관리 전국 시 · 군 · 구 3 곳 중 1 곳, 노인 비중 20% 넘는 초고령화 사회 한국이 전세계에서 가장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 로 진입. 65 세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7% 를 초과해 ‘ 고령화 사회로 진입 년 노인 인구를 535 만.
현 대 전 쟁현 대 전 쟁현 대 전 쟁현 대 전 쟁. 현대전쟁의 특징 (1) 1. 전쟁수단으로서 동원될 수 있는 무기체계 일부가 전쟁의 본질을 변화시킴 ○ 과거 : 정치, 이념, 종교차원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쟁 ☞ 다양한 무기체계 동원 ○ 현대 : 대량살상무기.
“ 당신은 어떤 노년을 꿈꾸십니 까 ” 노후를 보장하는 기초연금 알아보기 복지여성보건국 ( 노인장애인복지과 )
인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권 여 행 국제앰네스티 인권교육 패키지. 어떻게 할까요? ① 4-6 명이 게임에 참여합니다. ② 액션키트에 있는 주사위와 자신의 말을 준비합니다. ③ 가위바위보로 게임 순서와 말을 정하세요. ④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숫자만큼 자신의 말을 이용해.
한국교육 일제고사, 자사고, 입학사정관 … 그리고 교육감 선거. MB 교육철학과 정책 교육은 경쟁인가 협력인가 - 미국식 모델과 핀란드 모델 핀란드 모델 -3 주체 전부 경쟁 -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도 주요변인 학교만족 두 배, 사교육비 절반.
자유학기제 도입과 청소년단체의 발전 방향 김기헌 기획조정본부장. 1. 시작하며 청소년 수련활동 문화활동 교류활동 정책총괄 기능 강 화 청소년 지도자 처우개선 자유학기제 한국판 transition year 빠름 vs. 느림 4 대악 학교폭력 / 성폭력 예방 vs. 처벌.
우리나라 전체 식량자급도 2007 년 6 월 20 일 동아일보 2007 년 7 월 11 일 중앙일보.
한국행정사 과제 한국 과거 현대정부에 대해 조사하기. 순서 1. 문민정부 ( 김영삼 ) 2. 국민정부 ( 김대중 ) 3. 참여정부 ( 노무현 )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홍수인. 목 차목 차 유고내전 보스니아 내전 보스니아 평화전략.
국제사회의 이란제재 동향. UN, 안보리결의 1929호 EU, 일본, 캐나다 등 독자적 이란제제 미국, 행정명령 13590호 미국, 포괄적이란제재법 한국, 안보리결의 이행 관련 정부 발표 ‘10.6.9‘10.7.1‘10.7~9 ‘ ‘ 주요경과.
1 에너지관리공단 재 테 크 서춘수 조흥은행 팀장 2 자산 3 분법 유가증권부동산 예금 주식 : 채권비율 = 50 : 50 전통적인 자산포트폴리오.
사회학과 김은희. 1. 저출산의 원인 2. 저출산 대책의 현황과 문제점 3. 저출산 제고 대책 5. 저출산 시대의 대처방안 4. 외국의 사례.
여성정책의 개입과 견제, 어떻게 할 것인가. 1. 여성 관련 정치 ․ 사회 이슈 1) 국내 첫 여성 대통령 탄생 2) 19 대 국회 여성 의원 47 명 당선 3) 흉폭한 성범죄 공포 4) 한국 성평등지수 49.5 점 ‘ 낙제점 ’ 5) 워킹맘들 여전히 “ 고통스럽다.
4 월 노동자 건강권 쟁취의 달 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위원 회 4 월은 산재사망 노동자를 추모하는 봄 4 월은 노동자 건강권 쟁취 투쟁 하는 봄.
대 단원 : I. 가정생활의 설계 중 단원 : 2. 나의 생활 설계 소 단원 : (3) 나의 결혼 설계.
공공의료 한국의료의 ‘미운 오리새끼’ (목) 김 용 익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극복을 위한 기업의 역할 (여성 고용에 대한 기업의 사례) 아시아나항공 주식회사.
교통안전홥확보정책 전병용.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2) 육지가 넓고 인구가 많은 북반구.
2016년 7월1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232.12원/l (7월3일~7월9일) α
2013년 6월 1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696.35원/l (6월2일~6월8일) α
밥상의 희로애락 제 5 강 욕망의 밥상 - 탐식 GOOD JOB 식사하셨나요?.
1. 6·25전쟁 바로 알기 6·25전쟁이란 ? 광복 이후 38선을 경계로 남과 북에 서로 다른 정부 수립 이후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제정 - 지속가능발전 제도분야 성과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1. 아동 권리 및 아동 학대의 이해.
경안 초등학교 부설 영재학급 강지민,김민서,표지민,전혜정
질병과 그에 따른 치료비 및 후유장해에 대한 부담감
트랜스내셔널리즘시대 시민지(知)를 생각한다
일자리 창출과 노동시장 개혁: Job Sharing을 넘어서 Black Swan/ 인식의 범위 밖에 있음
시작하기 전에……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상황에 대비하여 생각하고, 준비해 놓은 것이 있는가? 지금 당신은 몇 살인가?
1 2 3.
체벌은 바람직한 훈육방법일까요? 체벌에 대한 동향(국내/국제) 훈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성·청소년·가족 정책 추진방향
아동복지정책.
2011년 9월 전국적 정전상태가 발생했다! 공장이 멈췄고 신호등이 꺼졌고 엘리베이터에 사람이 갇혔고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고
사회의학연구소 의사 타무라 아키히코(田村昭彦)
장자의 핵심사상 중국인의 사상과 지혜 제9주.
공공의료 한국의료의 ‘미운 오리새끼’ 김 용 익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E-평가문제은행은 자료가 준비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제3주차 강의안 새로운 국제무역질서 경동대학교 사회복지경영학부 이광근.
강의 자료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이해 일시 :
강의 자료 교원평가의 이론과 실제.
만 원 100 % 근로자 월평균 가구 소득 (2인 이상 가구) 자영업자 월평균 가구 소득
『서울시민 복지기준』설정 청책워크숍 서울시민복지기준설정 추진위원회.
4. 나라 사랑의 길 골든벨 퀴즈.
핀란드의 교육은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나? 경영학부 4학년 김범선.
자유주의 여성운동 사회주의 여성운동 급진적 페미니즘 한국의 여성운동 한국 여성노동
50 % 남성 여성 천체 남성 흡연율.
경기도 소방학교 공직윤리 교육 내부공익신고 활성화를 중심으로 강사 : 이 지 문 국민권익위원회 반부패청렴교육강사
PART 한국에서 추락하는 7가지.
최근 사회복지정책/법 동향이해 및 실천방안 모색
CHAPTER 06 청소년의 행동문화 : 폭력(따돌림), 위험행동, 참여.
일어나 새벽을 깨우리라 지금 우리는 마음을 합하여 진정으로 찬양 할 때니 un.
– 핀란드와 스웨덴의 학교 탐방을 중심으로 – 북유럽 선진형 교육정책 탐방 중등 분과 보고 – 핀란드와 스웨덴의 학교 탐방을 중심으로 –
한 국 교 육 과 정 평 가 원 과학과교육과정연구개발팀 발표 : 김 주 훈
상담 자료.
화학물질관리법 하위법령 개정(안) 설명 대구지방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부패행위 신고와 보호 보상제도 이 지 문 공익제보자와함께하는모임 부대표.
부패행위 신고와 보호 보상제도 이 지 문 공익제보자와함께하는모임 부대표.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런 직업도 있어요^^ 감성인식기술전문가 Q :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가요?
13. 국제 사회와 국제 정치 01. 국제 사회의 특성과 행위 주체 02. 국제 사회의 공존을 위한 노력
두마리 토끼를 잡아라! 「노키아」 김지환 수석연구원 삼성 지구환경연구소.
5.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01.지구적 차원의 환경 문제 02.국경을 넘는 환경 문제 03. 일상생활과 환경 문제
3강. 아르메니아.
2019. 학생인문독서연구회 READ TOGETHER 책모임 안내 모임 구성 및 신청서 작성 후 제출!!! * 제출일
Chapter 1 인간행동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국가(북한/남한)기도 5월_5주( ).
Presentation transcript:

핀란드 공부법 핀란드 평생교육 1

차 례 핀란드는 어떤 나라? 학원과 입시 없는 학생들의 천국 핀란드 사람들은 왜 영어를 잘할까? 프리젠테이션으로 ‘나’를 표현하라 유급해도 괜찮아, 모르는 것은 알 때까지 배운다 미래를 꿈꾸는 시간을 허락하는 나라 앞에서 끄는 한국 교육, 뒤에서 미는 핀란드 교육

NOKIA

Suomi_호수의 나라라는 뜻으로 핀란드의 다른 이름

Aurora

Lapland

Sauna - 핀란드어로 '목욕', '목욕탕' 전국에 1.6 백만개의 사우나가 있음 (인구 3명당 1개) 핀란드인들의 생활의 필수 요소이며, 휴식과 사교에 긴요함

Santa Claus Village 북극권에 위치한 로밴니에미 마을은 산타클로스가 살고 있는 마을로서, 전세계 아동들이 “수신:산타클로스”로 하여 편지를 보내면 답장도 보내주는 곳임

미녀들의 수다 따루 살미넨 Taru Salminen

핀란드 Republic of Finland. 수도_Helsinki. 핀인_92% / 스웨덴계_7%. 정치체제_공화제 핀란드 Republic of Finland *수도_Helsinki *핀인_92% / 스웨덴계_7% *정치체제_공화제 *국가원수_대통령 *의회형태_단원제 *UN가입_1995 *종교_신교(루터파) *자원_목재, 구리 *통화_마르카 *삼림_전국토의 70%

2장 학원과 입시 없는 학생들의 천국 - 모든 것이 공짜 수업 들으면 되지, 학원을 왜 다녀? . 중학교까지 의무교육 2장 학원과 입시 없는 학생들의 천국 - 모든 것이 공짜 . 중학교까지 의무교육 . 대학은 모두 국립, 대학교. 대학원까지 모두 공짜 수업 들으면 되지, 학원을 왜 다녀? . 입시가 없고, 입시를 위한 학원도 없다. . 예습과 복습을 도와주는 보습학원이나 가정교사가 없다. . 수업 태도가 진지하고, 수업중에는 졸지 않는다. . “기본적으로 그들에게는 학교란 ‘배우는 곳’이라는 인식이 확실히 자리잡고 있다. 때문에 일부러 학원까지 가서 배우고 싶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2장 학원과 입시 없는 학생들의 천국 - citizen이 아니라 person - 1995년 헌법 개정의 영향 2장 학원과 입시 없는 학생들의 천국 - citizen이 아니라 person . EU에 가입한 1995년 헌법개정 . 기본적인 인권을 ‘핀란드의 시민권을 갖고 있는 사람’만이 아니라 핀란드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에게 보장 . 성별, 나이, 출신, 언어, 종교, 신념, 사상, 건강, 장애에 의한 차별을 금지 . 경제 능력에 구속받지 않고 기초교육과 그 이상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 - 1995년 헌법 개정의 영향 . 이민자와 그 아이들에게도 똑같은 기초교육 공급 . 사회계층간의 교육격차를 막아 경제적 격차 최소화 . ‘개인’에 초점을 맞춰 교육 수준이 전체적으로 향상 . 결과적으로, 평등한 교육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전체적인 교육 수준의 향상을 꾀하고 소국의 핸디캡을 극복해 나감

2장 학원과 입시 없는 학생들의 천국 - 등수가 아닌, 학점을 받는다 - 쉬는 시간에는 무조건 쉬어라 2장 학원과 입시 없는 학생들의 천국 - 등수가 아닌, 학점을 받는다 . 일 년간 들을 수업을 선택하는 것으로 학기를 시작 . 취득한 학점에 따라 졸업시험 응시여부가 결정 . 학교에 따라 취득 학점이 다름 (헤르토니에미 고등학교의 경우 _ 5학기제, 72학점, 학생마다 등교시간과 하교시간이 다름, 고3의 경우 일주일에 두 번 등교) - 쉬는 시간에는 무조건 쉬어라 . 교과교실제_과목마다 교실을 이동 . 쉬는 시간(10분)에는 교실이 잠겨있고, 교사도 교실에 없다 . 쉬는 시간은 원칙적으로 모두 교실 이외의 장소에서 보냄

2장 학원과 입시 없는 학생들의 천국 - 공부하지 않고 ‘읽다’ - 지식보다는 생각 2장 학원과 입시 없는 학생들의 천국 - 공부하지 않고 ‘읽다’ . 핀란드는 시험 전에 ‘공부한다’고 하지 않고 ‘읽는다’고 함 . 핀란드의 시험은 대부분이 에세이(작문) 형식임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기가 일반적인 시험형식) . 시험이 에세이 위주로 치러지기 때문에 시험 전에 글을 쓸 수 있도록 머릿속에 지식을 채워넣어야 함. 그래서 ‘읽는다’고 함 - 지식보다는 생각 . 핀란드의 시험은 지식보다 자신의 의견을 얼마나 잘 표현했느냐에 중점을 둠 . 핀란드의 학교는 책이나 자료에서 얻은 지식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는 훈련을 하는 곳 . 시험에 시간제한이 없음

3장 핀란드 사람들은 왜 영어를 잘할까? - 더빙 없이 미국 영화를 보다 3장 핀란드 사람들은 왜 영어를 잘할까? - 더빙 없이 미국 영화를 보다 . 거의 매일 황금시간대에 유럽이나 미국(대다수)의 영화를 방영 . 영화는 모두 자막 처리 . 어려서부터 외국 영화나 에니메이션을 모두 영어로 듣는다. . 영화를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해서 볼 때도 영어 그대로 듣는다. . 인터넷 온라인게임도 전부 영어로

3장 핀란드 사람들은 왜 영어를 잘할까? - 근본적으로 다른 영어 수업 . 영어 교육은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시작 3장 핀란드 사람들은 왜 영어를 잘할까? - 근본적으로 다른 영어 수업 . 영어 교육은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시작 . 교사는 영어만으로 수업을 진행(학생이 핀란드어로 질문해도) . 수업시간에 영화나 드라마, 뉴스 등을 자주 감상 . 영어테이프를 들려주고, 들은 내용을 떠오르는 대로 적기 . 회화시간에 연극하기_수업때 배운 구어를 이용하여 촌극하기 . 영어로 에세이 쓰기(숙제는 물론 시험도) - 쉬운 단어로 말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히 전달하는 훈련

3장 핀란드 사람들은 왜 영어를 잘할까? - 영어는 소국이 살아남기 위한 수단 3장 핀란드 사람들은 왜 영어를 잘할까? - 영어는 소국이 살아남기 위한 수단 . 영어를 포함, 다른 언어를 배우는 것이 ‘살아남기 위해 중요하다’는 인식이 강함 . 외국어 습득의 목적 : ‘학생들이 다른 언어에 익숙해지게 하는 것과 더불어 다른 문화의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함이다.”_핀란드 학습지도 방침서 . 초등 외국의 교육은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학습의 시작이다.”

5장 프리젠테이션으로 ‘나’를 표현하라 - 말하는 능력에 중점을 두다 . 수업시간에 프리젠테이션을 자주 시킨다 5장 프리젠테이션으로 ‘나’를 표현하라 - 말하는 능력에 중점을 두다 . 수업시간에 프리젠테이션을 자주 시킨다 .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학생이 직접 수업, 다른 학생들과 함께 공부한다. 즉 학생이 교사가 되는 시간 .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도록 스피치 프리젠테이션에 중점을 둠

6장 유급해도 괜찮아, 모르는 것은 알 때까지 배운다. - 유급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 핀란드는 5학기제 수업 . 성적은 1에서 10까지 10단계로 절대평가 . 3이하는 표시 않고, 4개 두 개 이상이면 유급 (중 학교 8과목) - 모르는 채 지나가는 것이 더 부끄럽다 . 모르는 것을 확실히 배우지 않는 것이 더 부끄럽다는 인식 . 학교는 ‘교육을 받는 곳’ .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찾기 위해 교육을 받는다.”

6장 유급해도 괜찮아, 모르는 것은 알 때까지 배운다. - 꼴찌를 만들지 않는 유급 시스템 . 유급은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 . ‘study’나 ‘Learn’이 아니라 ‘Read’ . “유급했어요. 읽지 않으니까 당연해요.” . 소국이 믿을 수 있는 건 교육뿐이라는 생각 . 국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국민 전체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 _ 유급 제도는 핀란드식 사고 방식 중 하나 . ‘유급을 시켜서라도 떨어져나가는 학생이 없도록 한다’

8장 미래를 꿈꾸는 시간을 허락하는 나라 진로는 스스로 결정한다 휴식하는 해, 바리부오시 진로가 달라도 친구 . ‘휴식하는 해’ 또는 ‘유예기간’ . 고교 졸업 후 쉬거나 여행, 군대를 가거나(남자), 일을 하면서 ‘하고 싶은 일’을 찾는 시간을 갖는 것이 일반적임 . 핀란드에서는 아르바이트라는 말이 없고, 모두 ‘일’이라 부름 . ‘유급을 시켜서라도 떨어져나가는 학생이 없도록 한다’ 진로가 달라도 친구 . 전혀 다른 일을 하면서도 변함없는 친구관계를 유지

8장 미래를 꿈꾸는 시간을 허락하는 나라 핀란드 교육에는 시간제한이 없다 . 직업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대학교육과정 . 인턴십으로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은 필수적임 . 대학간 서열이 없는 핀란드에서는 실무 경험이 취업에 중요 . 대학 이상 졸업자의 취업률은 거의 100% . 고등교육은 실무를 통해 지식을 쌓아나가는 장의 기능 담당 .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은 당연하고 중요하게 인식 . 직원 채용시 나이보다는 경력을 중시하는 사회 풍조

8장 미래를 꿈꾸는 시간을 허락하는 나라 직업 체험이 직업으로 연결되는 시스템 . 교육의 목적은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일을 찾는 과정” . ‘직업교육’이 의무교육 단계부터 교육과정에 포함 . 중학교 때 실제로 직업 체험을 해보게 함 . ‘일한다’는 것이 어떤 건지 확실히 인식하는 계기 . 고교 졸업후 일단 일을 하면서 그후의 진로를 생각 . 대학 재학 중에도 인턴십으로 일하며 실무 경험 . ‘좋아하는 일’을 찾을 때까지 연령 제한을 두지 않는 풍조 . 출구(취직)에 도달하는 데 시간제한이 없는 사회 인식

체계적인 성인교육 시스템 구축 체계적인 성인교육 시스템 구축 . 1899년 최초 성인교육기관 설립(일반, 사회, 직업교육 등) 정당 및 노동조합 산하 교육위원회에서 강의 및 세미나 개최, 특히 노동조합들은 수많은 스터디 센터를 설립, 운영 130여개 음악학교, 12개의 체육학교, 방송통신학교 있음 . 교육부와 노동부 관할 직업교육센터(job center) 운영-교육훈련, 여행경비, 숙식 등의 무료제공 및 일일수당 지급(매 50만명) . 1980-90년대 이후 직업환경과 노동시장이 급격한 변화 – 성인교육과정이 활성화, 평생교육의 중요성 강조, 현재 1,000여개의 성인교육관련 기관이 활동

핀란드와 한국의 학교교육 _송경원_08/04/04_오마이뉴스 핀란드와 한국의 학교교육 _송경원_08/04/04_오마이뉴스

핀란드의 교육경쟁력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2006 보고서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2006 보고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