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표본추출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1) 전수조사: 모집단 전체를 모두 조사. 예) 인구센서스, 농산물 수확조사 2) 표본조사: 표본의 특성을 기반으로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해내는 조사 (시간, 비용, 인력절약/ 정확한 자료 확보 / 전수조사가 불가능한 경우 )
2. 표본추출방법의 비교 # 확률표본 # 비확률표본 무작위 표본추출 인위적인 표본추출 2. 표본추출방법의 비교 # 확률표본 # 비확률표본 무작위 표본추출 인위적인 표본추출 표본오차의 추정가능 표본오차의 추정 불가능 표본분석결과의 일반화 가능 표본분석결과의 일반화에 제약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 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
3. 확률표본추출방법 1) 단순 무작위 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 3. 확률표본추출방법 1) 단순 무작위 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 : 모든 표집 단위가 똑같이 뽑힐 수 있는 조건 하에서 그 표집단위들을 독립적이고 직접적으로 뽑아서 표본을 얻는 방법(난수표, 제비뽑기, 컴퓨터를 이용한 난수의 추출방법) ① 모집단 및 표집틀을 작성 → ② 각 구성요소에 고유번호를 부여 → ③ 표본의 크기 결정 → ④ 무작위로 표본수 만큼 표본추출단위 선정
-.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 모집단이 확실하지 않을 때는 그 모든 사례에 번호를 붙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 층화표본추출방법 등에 비해 표본의 크기가 같을 때 표집오차가 크다. -. 실제로는 잘 이용되지 않는다.
2) 체계적 표본추출(Systematic Sampling) :체계적 표본추출방법은 위의 단순무작위추출방법에서 추첨 과정을 생략한 것으로, 단순무작위표본추출보다 상대적으로 더 단순하고 간편, 결과도 더 정확하다. ① 전집의 전체 사례에 번호를 붙여놓고 일정한 표집간격에 따라 선택 → ② 표집의 크기를 결정하면, 이것으로 전집의 전체 사례수 N을 나누어서 표집간격 K를 계산한 다음, 1부터 K사이에서 무선적으로 하나의 번호 r을 뽑아서 이를 기점으로 하여 r째, r+k째, r+2k째 등의 순으로 r+(n-1)k째 사례까지 사례를 뽑아서 표집
-. 체계적 표본추출방법의 선행조건은 배열이 이미 무작위(Random)적이며, 시작번호도 무작위(Random)적이어야 한다. -. 실제 단순무작위추출방법보다 널리 이용되며, 표본추출작업에 걸리는 시간과 노력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 모집단 자체가 이미 일정한 주기성을 가질 경우에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부적합하다.
3) 층화표본추출(Stratified Sampling) :모집단을 동질적인 하위집단으로 층화하고, 이러한 하위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확률표집 중에서 가장 엄밀하고 정확한 방법 -. 각 유층별로 정보수집이 가능하다. -. 모집단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경우 각 유층의 구성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4) 군집표본추출(Cluster Sampling) :군집표본추출방법은 전체 모집단의 목록 작성이 불가능하고, 추출된 표본이 지리적으로 너무 분산되는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 이 방법은 모집단을 군집이라고 부르는 많은 수의 집단으로 분류, 그 집락들 가운데서 표집의 대상이 될 집락을 먼저 뽑아낸 다음, 뽑힌 집락에서만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조사과정 간편, 조사원들의 활동 감독 편리 -. 비용이 절감 -. 다른 확률표본추방법에 비해 표집오차가 크다
4. 비확률표본추출방법 1) 편의 추출(Convenience Sampling)/우연적 표집(Haphazard sampling) 4. 비확률표본추출방법 1) 편의 추출(Convenience Sampling)/우연적 표집(Haphazard sampling) : 연구자가 본인의 주위에서 손쉽게 선정이 가능한 대상을 임의로 표집하는 방법으로, 연구자의 편의에 의해 또는 표집상황에 우연히 일치하여 선택되기 때문에 편의 또는 우연표집이라고 한다. -. 일반화 제약 -. 사례연구나 모집단의 특성상 확률표집이 어려운 대상을 선택할 때 많이 활용
2) 유의추출/ 의도적 추출 (Purposive Sampling) : 연구자가 본인의 연구의도에 적합하거나 어떤 가설의 검증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집단을 모집단에서 추출하는 방법, 연구자 자신의 판단에 입각하여 모집단을 가장 잘 대표하거나 전형적이라고 생각되는 연구대상들을 선정하여 표본으로 삼는 방법 -. 표본을 선정함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이 중요 -. 모집단을 대표성 있게 반영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연구목적을 보다 명확하게 달성할 수 있는 표본이 선정되므로 유용한 측면이 많다.
3) 할당 표본추출(Quota Sampling) : 연구자가 임의로 만든 할당 표집틀을 이용하여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연령, 성, 교육수준, 지리적 조건, 직업, 종교 등과 같은 일정수의 범주를 결정한 다음, 각 범주를 대표하는 표본의 수, 즉 할당량을 결정하여 할당표를 작성한다. 그리고는 각 범주마다 할당된 범주의 표본을 추출 -. 이 방법은 층화표본추출과 유사하나, 실제 표본추출과정에서 조사원의 주관적 편견이나 현지 사정 등이 개입할 여지가 있어 대표성만을 놓고 본다면 층화표본추출방법보다 문제점이 많다. -. 그러나 조사의 편의나 현실적인 이유로 실제로는 상당히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5) 눈굴리기식 표본추출(Snowball Sampling) : 이 방법은 연구자가 소수의 대상자를 표집하여 조사한 후, 그들로부터 또 다른 표집 대상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조사해 가는 방식으로, 마치 눈덩이를 굴리듯이 표본을 누적해가는 방법 -. 이 방법은 모집단을 정확하게 알 수 없거나 연구대상자에 대한 사전정보가 별로 없을 경우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