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Delta Modulation) 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Microwa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oluntions Design of High & Band Pass Filter Gold. D. 건.
Advertisement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42 강 신호 변환 방식 5 과목 데이터통신 강사 이 민 욱. 42 강 신호 변환 방식  신호 변환 방식 1. 데이터와 신호 변환기 (1) 신호 변환기 ① Modem : 디지털 데이터 (Data) 를 아날로그 신호 (Signal) 로 변환시키는 장비로 PSTN( 공중.
1 Microelectronics  CH1 Why Microelectronics?  CH2 Basic Physics of Semiconductors  CH3 Diode Circuits  CH4 Physics of Bipolar Transistors  CH5 Bipolar.
1 尹 盛 哲 PCM 1. General : Analog 신호를 다음의 3 단계로 Digital 신호로 펄스부호변조 (Pulse Code Modulation) 하는 과정 1) 표본화 (Sampling) 2) 양자화 (Quantizing) 3) 부호화 (Coding ) 2.
1/29 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수 없는 다양한 기호와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 보자. 또한 블록으로 영역을 설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살펴본 후 블록 으로 설정된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거나, 잘라내고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알아보자. 02_ 문서의 입력과 편집.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9장 컴퓨터 기반 데이터 수집의 기초.
제8장 이산 푸리에 변환.
                                  8장 A/D 변환기 A/D Converter? A/D Converter 원리 Bit 수와 최대범위 및 해상도와의 관계.
신호조절*(Signal Conditioning)
                                  7장 D/A 변환기 D/A Converter? D/A Converter 원리 Bit 수와 최대범위 및 해상도와의 관계.
<소스코딩(Source Coding)> 제5장 상관관계와 자료압축
DSB-SC using Lab-Volt 3조 개미핥기 박창원 유현우.
통신시스템 공학 < 강의 자료 > 제 4 장 : AM (DSB-SC,DSB-LC)
MEDICAL INSTRUMENTATION I Bio-potential Amplifiers
수치해석 6장 예제문제 환경공학과 천대길.
멀티미디어 처리 10.2 디지털 사운드 포맷.
10장 랜덤 디지털 신호처리 1.
디지털통신 시스템 설계 디지털 변복조 시스템.
Multiplexer 설계.
Electronic Engineering 2
DSB-SC using MATLAB 3조 개미핥기 박창원 유현우.
실험 3 - 비선형 연산 증폭기 회로와 능동 필터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 기 영.
오브젝트 조합 회로 IT CookBook, VHDL을 이용한 디지털 회로 입문.
RS 및 D 플립플롭 RS Flip Flop 래치는 어떤 입력 레벨에 의해서 제어되는 데 플립플롭은 클록 입력이라고
5 장 부호화(Encoding) 5.1 디지털-대-디지털 5.2 아날로그-대-디지털 5.3 디지털-대-아날로그
디지털영상처리 및 실습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디지털통신 시스템 설계 동기 2진 전송기술.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컴퓨터 응용과 3학년 1반 조장 김영조 조원 구본건 , 임선택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방법) 이름 : 김대진 학번 :
PCM(Pulse Code Modulation)
오브젝트 변조와 복조 (Modulation and Demodulation) RF및 초고주파공학 9장.
AM, FM.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PC오실로스코프 & 주파수발생장치 캡스톤 22조 차재호 박진우.
차세대통신시스템 2. 신호와 시스템 (2) March 14 – 15, 2011 Yongwon Lee
osp.chungbuk.ac.kr/2012년 강의자료
Chapter 6 디지털 오디오의 기초 6.1 사운드의 디지털화 6.2 미디 :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프로그래밍 개요
디지털회로설계 (15주차) 17. 시프트 레지스터와 카운터 18. 멀티바이브레이터 * RAM & ROM.
제 4 장의 구성 4.1 신호의 rms 값 4.2 신호의 데시벨 크기 4.3 잡음의 영향 4.4 전달함수
제 7 장의 구성 7.1 디지털 통신시스템의 구성 7.2 표본화(sampling) 7.3 펄스 변조
적응신호처리의 원리와 응용분야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조 남 익
TFT-LCD 구조 동작원리 응용분야.
                                  11장 컴퓨터 기반 데이터 수집.
4 장 신호(Signals) 4.1 아날로그와 디지털(Analog and Digital)
2장. 직접 연결에 의한 컴퓨터 통신.
3 장 주파수 영역 해석: 이산 Fourier 급수 및 Fourier 변환.
Chapter 3 Frequency Domain Analysis
아날로그-디지털 부호화(1/7)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아날로그-디지털 부호화 과정.
Ch.6 주파수 응답과 시스템개념 김하린 오희재 이연재
과제 1 4bit x 4 SRAM이 있다 아래 (1), (2) 두 입력에 대한 출력값 [3:0] Dout을 나타내시오 (1)
차세대통신시스템 3. 진폭 변조 (2) April 11 – 12, 2011 Yongwon Lee
실험 10 OP Amp 연산회로.
디버깅 관련 옵션 실습해보기 발표 : 2008년 5월 19일 2분반 정 훈 승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1 컴퓨터의 데이터 표현 진법에 대한 이해 n 진수 표현 방식 : n개의 문자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 그림 4-1.
제 5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피드백 제어 시스템 과도 성능 (Transient Performance)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4주차.
디지털통신 및 실습 기저대역신호의 전송.
1 장 서론 목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제디아가 만들고 세계가 듣는다. 기능 특성 JEQ-231A
물리 계층 디지털 전송(코딩).
수치해석 ch3 환경공학과 김지숙.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A/D 변환 시 고려하여 할 샘플링 주파수 D/A 변환기
문제의 답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Presentation transcript:

DM(Delta Modulation) 과 디지털통신 시스템 설계 DM(Delta Modulation) 과 ADM(Adaptive DM)

2. 아래의 그림은 DPCM 부호기와 복호기 구조입니다. . (1), (2), (3)에 들어갈 내용은 무엇입니까? DM과 ADM 지난시간회상 학습에 앞서 1.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가 아날로그 형태일 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자 하는 PCM 시스템은 아래의 3가지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1), (2), (3)에 들어갈 과정은 무엇입니까? (3) (1) (2) 아날로그신호 x(t) x(kTs) xq(kTs) PAM신호 양자화된 신호 출력 비트 정답 : (1) 표본화 (2) 양자화 (3) 부호화 2. 아래의 그림은 DPCM 부호기와 복호기 구조입니다. . (1), (2), (3)에 들어갈 내용은 무엇입니까? 정답 : (1) 양자화기 (2) 예측기 (3) 예측기

DM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두 가지 왜곡의 원인을 이해한다. DM 시스템에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소를 이해한다. DM과 ADM 학습목표 학습에 앞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신호처리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원천부호화(Source Coding)의 과정으로 전 회차에서는 PCM 과정 및 DPCM 시스템의 원리에 대하여 학습하였다. 본 회차에서는 DPCM을 간단한 형태로 변형시킨 DM 시스템과 DM 시스템에서 신호의 변화에 따라 스텝크기를 변화시키는 ADM 시스템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DM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시뮬링크 블록을 구성한 후, 신호를 분석하고 고찰한다. DM 시스템 ADM(Adaptive DM) 시스템 학습목표 DM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이해한다. DM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두 가지 왜곡의 원인을 이해한다. DM 시스템에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소를 이해한다. DM 시스템의 한계 및 ADM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이해한다. 스텝크기를 조정하는 자이안트 알고리듬의 동작을 이해한다.

1. DM 시스템은 DPCM 시스템을 단순화 시킨 시스템이다. DM과 ADM 사전테스트 1. DM 시스템은 DPCM 시스템을 단순화 시킨 시스템이다. 정답 : O DM 시스템은 DPCM을 간단한 형태로 변형시킨 방식으로 1 비트 DPCM으로 간주된다.

Lesson1. DM 시스템 1. DM의 등장 배경 2. DM 부호기 3. DM 복호기 4. DM 부호화 및 복호화 예 DM과 ADM DM 시스템 Lesson1. DM 시스템 1. DM의 등장 배경 2. DM 부호기 3. DM 복호기 4. DM 부호화 및 복호화 예 5. DM에서 발생하는 두가지 형태의 왜곡 6. DM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두가지 요소

DM 시스템의 장점 : PCM 혹은 DPCM과 비교하여 부호기 및 복호기의 하드웨어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 DM과 ADM Lesson1. DM 시스템 1. DM의 등장 배경 아날로그 신호를 나이퀴스트율보다 매우 크게 오버샘플링하면 표본간에 상관성이 매우 커짐 인접 표본 간 상관성이 커지면 이전 표본 값 하나만 사용하여 예측을 하여도 예측오차가 작아지고, 이 예측오차를 2레벨 양자화를 사용하여 1 비트로 부호화가 가능 DM은 1 비트 DPCM 시스템 : DM은 DPCM을 간단한 형태로 변형시킨 방식으로 1 비트 DPCM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입력신호와 예측된 신호의 차를 2-레벨로 양자화하여 전송 DM 시스템의 장점 : PCM 혹은 DPCM과 비교하여 부호기 및 복호기의 하드웨어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 DM(Delta Modulation)

양자화기는 +D와 -D의 2레벨로 양자화, 즉 en > 0 이면 +D가 출력되고 en < 0 이면 -D가 출력 DM과 ADM Lesson1. DM 시스템 2. DM 부호기 DM 부호기의 구조 - DM에서 예측기는 1차 선형 예측으로 지연소자를 사용하여 간단히 한 표본을 지연 : - 양자화기에 입력되는 예측오차는 양자화기는 +D와 -D의 2레벨로 양자화, 즉 en > 0 이면 +D가 출력되고 en < 0 이면 -D가 출력

초기 값을 으로 하면 예측기는 양자화기의 출력 +D와 -D을 입력으로 하는 누적기(Accumulator)로 동작 DM과 ADM Lesson1. DM 시스템 2. DM 부호기 2레벨 양자화기의 출력 +D와 -D는 부호화기에서 1과 0으로 부호화되어 전송 : 표본마다 1비트의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표본화율과 출력데이터 전송율은 동일 예측기의 동작 : 예측기의 입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값을 으로 하면 예측기는 양자화기의 출력 +D와 -D을 입력으로 하는 누적기(Accumulator)로 동작

- 은 표본 값을 양자화한 것에 해당하므로 저역통과여파기를 통과시켜 아날로그 신호를 복원 DM과 ADM Lesson1. DM 시스템 3. DM 복호기 DM 복호기의 구조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1은 +D로 0은 -D로 변환시켜 을 생성 송신단의 부호기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예측기인 한 표본을 지연한 1차 선형 예측기를 사용하여 채널을 통해 전송되어온 에 예측기 출력 이 더해져 가 복원 - 초기 값을 으로 하면 예측기는 수신신호 +D와 -D을 입력으로 하는 누적기(Accumulator)로 동작 - 은 표본 값을 양자화한 것에 해당하므로 저역통과여파기를 통과시켜 아날로그 신호를 복원

DM과 ADM Lesson1. DM 시스템 4. DM 부호화 및 복호화 예

DM과 ADM Lesson1. DM 시스템 4. DM 부호화 및 복호화 예 선형 계단 함수로 근사화

신호의 경사(slope), 즉 변화율은 큰데 스텝 크기 D 가 너무작아 신호를 즉시 따라가지 못해 발생하는 왜곡 DM과 ADM Lesson1. DM 시스템 5. DM에서 발생하는 두가지 형태의 왜곡 표본화 율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발생 할 수 있는 두 가지 형태의 왜곡(distortion) 1) 구배 과부하 왜곡(slope overload distortion) : 신호의 경사(slope), 즉 변화율은 큰데 스텝 크기 D 가 너무작아 신호를 즉시 따라가지 못해 발생하는 왜곡 2) 그래뉼러 왜곡(granular distortion) : 신호의 변화는 완만한데 스텝 크기 D가 너무 커서 발생하는 왜곡 이러한 왜곡을 줄이기 위해 스텝 크기 D 값을 선정함에 있어 두 가지 왜곡은 서로 상충되는 특징 구배과부하 왜곡을 줄이기 위해 스텝 크기 D를 증가시키면 신호의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잘 따라가지만 신호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에는 그래뉼러왜곡이 커져 양자화 오차가 커짐

신호의 변화가 큰 경우 빨리 잘 따라가나 신호의 변화가 적은 경우 그래뉼러왜곡이 증가 DM과 ADM Lesson1. DM 시스템 6. DM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두가지 요소 1) 표본화 율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스텝 크기 D에 성능 좌우 2) 스텝 크기 D 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표본화 율에 성능 좌우 신호의 변화가 큰 경우 빨리 잘 따라가나 신호의 변화가 적은 경우 그래뉼러왜곡이 증가 신호의 변화가 큰 경우에도 빨리 잘 따라가고 신호의 변화가 적은 경우에도 그래뉼러왜곡이 적음. 그러나 표본화율을 크게 하였으므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전송대역폭이 증가

음성신호를 초당 12k 샘플로 표본화하여 DM을 한 경우 출력 비트율은 ( (1) ) bps이다. DM과 ADM 돌발퀴즈 돌발퀴즈 DM은 DPCM을 간단한 형태로 변형시킨 방식으로 ( (1) ) 비트 DPCM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입력신호와 예측된 신호의 차를 ( (2) ) 레벨로 양자화하여 전송한다. 음성신호를 초당 12k 샘플로 표본화하여 DM을 한 경우 출력 비트율은 (  (1)   ) bps이다. DM 시스템은 원 신호를 ( (1) )로 근사화한다. 정답 : 1) (1) 1 (2) 2 2) (1) 12k 3) (1) 선형계단함수

Lesson2. ADM (Adaptive Delta Modulation) DM과 ADM ADM Lesson2. ADM (Adaptive Delta Modulation) DM의 문제점 및 ADM의 등장 스텝크기를 조정하는 방법 자이언트 알고리듬이 적용된 ADM 부호기 자이언트 알고리듬이 적용된 ADM 복호기

ADM(Adaptive Delta Modulation) DM과 ADM Lesson2. ADM 1. DM의 문제점 및 ADM의 등장 DM 의 문제점 - 스텝크기 D 를 너무 작게 하면 신호의 변화가 큰 경우 구배과부하 왜곡이 발생하고, 반대로 스텝 크기 D 를 너무 크게 하면 신호의 변화 적은 경우 그래뉼러왜곡이 발생 - 표본화율을 변화시키지 않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ADM(Adaptive Delta Modulation) ADM - 원 신호 x(t)의 변화 특성에 따라 스텝 크기 D 를 조정 - 신호 경사가 크면 스텝크기 D 를 크게 하고 완만한 경사 부분에 대해서는 스텝크기 D 를 작게 조정

DM과 ADM Lesson2. ADM 2. 스텝크기를 조정하는 방법 신호경사를 추정하는 방법 - 2레벨 양자화기의 출력 을 이용하여 경사를 추정 - 값의 부호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면 그 부분은 신호 경사가 완만함을 나타내고 반대로 값의 부호가 연속적으로 동일하면 신호의 경사가 큰 것으로 추정 스텝크기 D 를 조정하는 방법 (자이안트(Jayant) 알고리듬) - 값의 부호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면 그 부분은 신호 파형이 완만함을 나타내므로 값을 작게하고 반대로 값의 부호가 연속적으로 동일하면 신호의 경사가 큰 것으로 보아 값을 크게 조정 - 자이안트 알고리듬 - sgn(x)함수는 다음과 같은 부호함수로 정의되며 K는 1보다 큰 상수 - K가 2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와 의부호가 동일한 경우 경사가 큰 것으로 추정되어 스텝크기 D는 이전 스텝크기의 두배로 증가된다. 그러나 와 의 부호가 다른 경우 경사는 완만한 것으로 추정되고 스텝크기 D는 이전스텝크기의 반으로 줄게 된다.

DM과 ADM Lesson2. ADM 3. 자이언트 알고리듬이 적용된 ADM 부호기 자이언트 알고리듬이 구현된 부분

DM과 ADM Lesson2. ADM 4. 자이언트 알고리듬이 적용된 ADM 복호기 자이언트 알고리듬이 구현된 부분

2) 신호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DM과 ADM 돌발퀴즈 돌발퀴즈 ADM 시스템은 원 신호 x(t)의 변화 특성에 따라 스텝 크기 D 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신호 경사가 크면 스텝크기 D 를 ( (1) )하고 경사가 완만한 부분에 대해서는 스텝크기 D 를 ( (2) ) 조정한다. 2) 신호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양자화기 입력 (2) 양자화기 출력 (3) 예측기 입력 (4) 예측기 출력 정답 : 1) (1) 크게 (2) 작게 2) (2)

DM에서는 표본마다 1비트의 데이터로 부호화되므로 표본화율과 전송율은 동일하게 된다. DM과 ADM 학습정리 학습정리 아날로그 신호를 나이퀴스트율보다 매우 크게 오버샘플링하면 인접 표본 간 상관성이 커 이전 표본 값 하나만 사용하여 예측하고 예측오차를 2레벨 양자화를 사용하여 1 비트로 부호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것이 1 비트 DPCM이라고 불리는 DM 이다. DM에서는 표본마다 1비트의 데이터로 부호화되므로 표본화율과 전송율은 동일하게 된다. DM 시스템은 원 신호를 선형 계단함수로 근사화하므로 표본화 율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DM 시스템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형태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신호의 경사(slope), 즉 변화율은 큰데 스텝 크기 D 가 너무 작아 신호를 즉시 따라가지 못해 발생하는 왜곡으로 구배 과부하 왜곡이라 부른다 . 두 번째는  신호의 변화는 완만한데 스텝 크기 D 가 너무 커서 발생하는 왜곡으로 그래뉼러 왜곡이라고 부른다. DM 시스템의 성능은  스텝 크기 D 와 표본화 율에 따라 성능이 좌우된다. ADM 시스템은 원 신호 x(t)의 변화 특성에 따라 스텝 크기 D 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신호 경사가 크면 스텝크기 D 를 크게 하고 완만한 경사 부분에 대해서는 스텝크기 D 를 작게 조정한다. 자이안트 알고리듬은 양자화기 출력 값의 부호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면 그 부분은 신호 파형이 완만함을 나타내므로 스텝크기 D 값을 작게 하고 반대로 양자화기 출력 값의 부호가 연속적으로 동일하면 신호의 경사가 큰 것으로 보아 스텝크기 D 값을 크게 조정하는데 다음의 식에 따라 스텝크기 D 가 조정된다.

DM과 ADM 실습하기 실습하기 학습목표 :   주어진 아날로그 신호를 나이퀴스트 율 이상으로 표본화 한 후 표본 값들 간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1비트로 양자화하는 델타변조(DM) 부호기와 복호기 시뮬링크 블록을 구성한 후 신호를 분석하고 고찰한다. 실습과제 :    실습 #5-1 : DM 부호기와 복호기 시뮬링크 블록 구성  실습 #5-2 : 시간 영역에서 신호 관찰  실습 #5-3 : 표본화율과 스텝크기 D 의 변화에 따른 양자화잡음 전력 측정

④ 아날로그 필터 : Low Pass Filter(LPF) DM과 ADM 실습하기 실습하기 주어진 조건 :   ① 아날로그 신호 :  ② 표본화 시간 :  가변 ( = 1/100, 1/200, 1/300, 1/400, 1/500)  ③ 스텝크기 : 가변 (D= 0.1, 0.2, 0.3, 0.4, 0.5)  ④ 아날로그 필터 : Low Pass Filter(LPF)     - Butterworth Type LPF, - Filter order=8,     - Pass band edge frequency : f=10 23

DM과 ADM 적용하기 구성된 시뮬링크 블록도 시간영역 입출력 파형 24

아래의 신호 x(t)를 나이퀴스트율의 4배로 DM을 하는경우 출력 비트 율을 구하시오. DM과 ADM 학습평가 아래의 신호 x(t)를 나이퀴스트율의 4배로 DM을 하는경우 출력 비트 율을 구하시오. [풀이] 이 신호의 최대주파수는 100Hz이므로 이 최대주파수의 두 배에 해당되는 것이 나이퀴스트 율이 된다. 즉 [samples/sec] 표본화율을 나이퀴스트율의 4배로 하였다고 하였으니 표본화율은 다음과 같다. [samples/sec] DM은 표본당 1비트로 부호화 되므로 출력비트율은 표본화율과 동일하게 된다. 출력비트율 = 800 [bits/sec]

DM(Delta Modulation) 과 ADM(Adaptive DM) DM과 ADM 학습마무리 이번 회차에서는 DM(Delta Modulation) 과 ADM(Adaptive DM) DM 시스템 ADM(Adaptive DM) 시스템 다음 회차에서는 기저대역신호의 전송 2진 전송부호 다진 전송부호와 전력스펙트럼밀도 관련사이트 및 참고문헌 시뮬링크를 이용한 디지털통신시스템설계, 김한종, 미래컴출판사 아날로그와 디지탈통신, 진년강, 청문각출판사 디지털통신(기초와응용), 이문호, 영일출판사 아날로그 및 디지털 통신이론, 김명진, 생능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