Ⅶ. 신경계 외상 환자와 간호(2).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DONGBU INSURANCE 공무원단체상해보험 【 충청북도교육청 】 공무원단체상해보험 【 충청북도교육청 】
Advertisements

국민건강보험제도의 개요  사회보장제도 ? - 사회구성원에게 질병, 실업, 분만, 폐질, 노령 및 사망등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으로 부터 사회적으로 이를 보호하는 제도.  사회보장제도의 일환으로 보험가입자에게 보험료를 각출하여 보험급여를 시행해주어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DONGBU INSURANCE 2009 년 맞춤형복지 보장보험 주요내용. DONGBU INSURANCE 목 차 Ⅰ. 보험가입조건 Ⅱ. 보험상품요약 Ⅲ. FAQ Ⅳ. 컨소시엄 분담내용 Ⅴ. 보험금 청구절차 및 제출 서류.
신도초 김민희.  어렸을 때 많이 불었던 비눗방울을 다시 불 어보자 너무 빨리 사라지는 게 아쉬워서, 무 슨 방법이 있으면 오랫동안 비눗방울이 남 아있을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좋아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객혈의 원인과 치료 국립목포병원 흉부외과 김 대 연 2010 년 9 월 28 일. 국립목포병원 대기중의 공기를 호흡하여 기도를 통하여 기관지를 거쳐 폐포에 이르게 하여 모세혈관을 통하여 산소는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는 배출하는 가스교환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전산시스템 시스템 이용안내 메인 페이지 회원가입 원격시스템. 전산시스템 시스템 이용안내 회원가입 ※ 중요한 정보 : 검사진행문자, 인증키 발송 등.
헌혈 안내문.  헌혈의 필요성 ○ 헌혈은 혈액이 필요한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유일한 방법이며, 혈액 은 인공적으로 만들 수 없고 오직 ' 헌혈 ' 로만 확보가 가능합니다. - 이러한 혈액은 살아있는 세포이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할 수 없어 매일 일정량을 확보해야 합니다.
지도교사 : 김은이 선생님 연현초등학교 5 학년 조인해 연현초등학교 5 학년 최지원 우리는 항상 먹기 싫은 쓴 약을 먹을 때 달콤한 주스 나 탄산음료와 함께 마시면 쓴 약을 쉽게 먹을 수 있 을 텐데, 사람들은 감기약, 두통약, 영양제등과 같은 알약을 먹을 때 너무나.
우리의 삶과 법이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준법의 중요성을 알고, 일상생활에서 법을 지키려는 자세를 갖는다.
대장암의 검진과 예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 교육정보센터 전 이 구 목 차 대장암 이란 대장암 발생현황 발생원인 대장의 구조 대장내시경 검사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7 질의 및 응답.
빛을 가장 잘 받는 색깔은? 물메초등학교 6학년 홍민선.
제 3 호 농촌 어메니티 관광개발 정보 -농어촌체험 ∙ 휴양마을 지정제도- 농 촌 진 흥 청 농촌자원과.
병원의 CRM사례 디지털샵마스터과 이하영.
팀명 : 정효가현팀 팀원 : 김효진, 이가현, 이정민
7~9월 프로그램 광산구드림스타트 호 소식지 신체 / 건강 인지/언어 정서/행동
질병과 그에 따른 치료비 및 후유장해에 대한 부담감
산업재해보상보험 원무관리 제 5 강 (화) 강의실 9호관 506호 보건행정학과 2학년 B,C반.
2조 : 권란초 심연경 오병주 이다예 이선화 이아란 이은지 이주현 이치권 임다혜 임진혁
누가 누가 인기 많나? 막무가내 설문조사.
24장 산욕생리.
4월 임신*출산부 영양관리.
乖乖♂坐好 开始♂上课.
제6과 이전에 이런 복통이 있으셨나요? 第六课 您以前有过这样的腹痛吗?
圣诞快乐 乖乖♂坐好 开始♂上课.
곤충 이야기.
빈 그릇 희망 캠페인 그릇을 비우면 자연이 깨끗해 집니다.
학습목표   첨단 영상 진단 장치의 종류 및 기능과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비뇨계통.
구도 – 1차목적 : 주제강조 ○ 3요소 : 선 · 형태 · 명암 ○ 구도 ▶ 가로,세로 프레임 ▶ 주제의 크기
이제혁 제4장 뇌혈관 질환의 물리치료 Free Powerpoint Templates.
커뮤니케이션 스킬 UP -전화매너- ..
요양병원의 특징 요양 병원 입원대상자 입원 절차 와 준비물 재활치료의 시기 재활치료의 중요성 뇌졸증 발병후 회복기간
말초신경계 신구대학교 강민수.
근골격계 문제 II.
후 공진향 피부 비책 마스크 3종 Beauty. 컨텐츠 개발팀.
<부제>: 내 몸의 줄기 세포를 강화하여 무위자연의 방법으로 만병을 치유하는 원리.
건강사정실습 Practice of Health Assessment.
BPI (brachial plexus injury)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석, 박사과정 및 연구원 모집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1. 과학적 진단.
(신)비취가인천비방진연3종기획1 182,000 ▶ 91,000 (신)비취가인 천비방 진연수
소 방 안 전 교 육 (초등학교) 남 원 소 방 서.
소금물과 물의 부력 차이 실험 작성자 - 백민준.
빌게이츠가 야구선수라면?.
임상시험센터 전문가과정 최은진 연구코디네이터
4.19 혁명의 원인과 과정, 결과 사 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2]민주 시민이 승리하던 날들(9/14)
사과는 왜 갈변 할까? 조장: 31017유수빈 조원:31024이지은.
절대오차(ε) = | 측정값(x) - 참값 (X) |
주관절 - 근건(신전근).
시간을 거스르는 환유의 비밀 ‘환유 2014’ Beauty. 컨텐츠개발팀.
의사 양성 학교 설립 [*특성화 초등학교*].
표면장력에 대한 탐구 조원: 이정민, 장 예서, 김연우, 최현준.
경색(infarction).
온도는 반응 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과학 1 학년 1 학기
요양병원의 특징 요양 병원 요양병원의 정의 입원대상자 입원 절차 와 준비물 재활치료의 시기 재활치료의 중요성
희귀난치성 질환 등 청구방법 변경 안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경영정보부.
어떤 금속이 열전도가 빠른지 찾기 평택여자중학교 김수민.
과학 1 학년 2 학기 생명> 04.태아의 발생 과정은 어떻게 진행될까?[ 4 / 6 ] 수정과 착상 수업계획 수업활동.
<2013 과학탐구 보고서> 우유와 발효유가 일정온도에서 만나면?
4. 초전도체와 액정 초전도체 액정.
한국어 말소리의 특징 “말은 민족의 창조적 정신 활동의 생산물이다
6-2. 전해질과 비전해질 구별해 보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P 보일의 법칙 - 생각열기 – 기포가 수면으로 올라가면 크기는 어떻게 될까?
Ⅱ. 물질의 특성 물질의 끓는점.
직장의 정의 곧창자는 큰창자(대장)의 제일 끝부분부터 항문까지의 부분으로 길이는 약 20cm이다.
천연 염색 30401강설미 30402강슬기 30403김동희 30401강설미 30402강슬기 30403김동희.
농도가 달라지면 반응속도는 어떻게 변할까? 과학 1 학년 1 학기
면담대상자: 정다희 부모님 취재자: 정다희 최민희
후 스파 바디 에센스 오일 왕후의 궁중 목욕비방을 담아 비단결 바디피부를 만들리라_ 세요설부(細腰雪膚)의 조건_
Ⅳ. 기술과 발명 Ⅰ. 청소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Ⅶ. 신경계 외상 환자와 간호(2)

2. 척수손상 -편타성손상(Whiplash injuries)~완전척수절단 -운동, 감각 및 반사기능 장애, 장과 방광조절손상 1)발생빈도 국내 40-30-20, 젊은 남성多, 호발부위(C1-2, C4-6, T11-12, L4-5) 2)원인 외상(자동차, 오토바이사고, 폭행, 낙상, 운동사고 등) 3) 병태생리 p,1227 그림 12-50 (1) 초기손상 -척수압박, 척수로 가는 혈액공급의 중단, 척수 당겨짐 -단단한 경막으로 싸여진 연수 but, 관통상(총상,자상)으로 찢어지거나 절단 가능 1차손상 : 초기 기계적 파열(축삭 당겨짐,열상)/ 국소빈혈, 저산소혈증, 미세출혈, 부종 2차손상 : 초기 손상 후 점차적인 손상, 시간 경과되어 나타남 손상→저산소혈증→ 젖산대사산물, 혈관활성물질(NE, serotonin, Dopa) 증가 → 혈관경련, 저산소혈증(괴사초래) →부종 →국소 빈혈 더 심해짐

2. 척수손상 (2) 척수쇼크와 신경학적 쇼크 -척수쇼크 : 손상부위 이하의 감각소실, 반사감소, 이완성마비 7~10일, 수주~ 몇개월/ 처음 이완성 마비→3~12주 후 강직성마비, 반사도 항진 회복(바빈스키 반사, 항문반사, 구해면체 반사, 발기반사) -신경학적 쇼크 : 손상으로 혈관운동 장력 상실 저혈압, 서맥, 따뜻 건조한 사지 경추, 흉부 상부 손상 : 교감신경자극전달상실→말초혈관확장, 정맥환류, 심박출량 감소 초기 이완성 마비 → 서맥, 저혈압, 발열(교감신경계차단)

2. 척수손상 4) 척수손상의 분류 (1) 손상기전 -굴곡, 과다신전, 굴곡회전,신전회전,압박 굴곡회전:척추 안정시키는 인대구조 찢어져 가장 불안, 심한 신경학적 결손 굴곡손상: C5-6,T12-L1/ p1228 그림 12-51 척추골절,탈구, 출혈, 부종,괴사 신전손상 : 자동차사고, C4-5, T12-L1 p1228 그림 12-52 전종인대파열, 척추골절 및 아탈구, 추간판파괴 압박손상 : 다이빙, 추락사고시, 머리가 지면에 직접 닿아 p1228 그림 12-53 관통상

2. 척수손상 (3) 손상정도 (2) 손상수준 - 골격손상, 신경학적 손상 수준 감각기능(피부분절이용)과 운동기능(근육분절검사) 확인 -C4(호흡구조필요), C7(어깨, 팔꿈치, 손목사용가능)… p.1229 표12-29 (3) 손상정도 -완전손상: 척수의 완전절단, 손상 받은 부위 이하의 운동감각반사기능 완전소실 -불완전 손상 : 운동, 감각, 반사기능의 복합적 손상이나 기능 남아있음 / 특정 신경로 손상 여부 반영 전척수 증후군 : 가장 흔함. 경추 급성 굴곡 손상 전척수 동맥 차단→척수 전방 ⅔ 백질 회백질 손상 통각 온도각 상실, 촉각 진동각, 위치각 남아있음 운동장애 : 하지가 더 심함 p.1230 그림 12-54 / p.1234 그림 12-58

2. 척수손상 중심척수 증후군 : 척수관 협착증 있는 중년 or 노인, 과도신전, C5,6,7에서 호발 상지 말단부(손,손가락)의 마비, 감각장애, 방광기능장애 동반 p.1230 그림 12-55 측방척수 증후군 : 척수의 편측절단 시 손상 받은 쪽 하부의 운동부전과 촉각, 위치각, 진동각 소실, 반대쪽하부의 통각 온도각 상실 p.1230 그림 12-56 후방척수 증후군 : 척수후각 손상 or 압박으로 초래. 드뭄. 진동각 촉각, 위치감각 상실(후방기능 소실) 통각, 온도각, 운동기능(전각기능) 살아있음 종말원추와 마미총 증후군 : conus손상, 요추와 천추 손상시 발생 방광 용량이 600~1000ml.로 증가, 배뇨근 수축 일어나지 않음 p.1235 그림 12-59

2. 척수손상 5) 증상 징후 압박 고유 수용감각 상실, 장과 방광 기능 상실, 자율신경 반사 이상 ① 반사의 변화 : 반사소실(척수부종), 혈압 체온↓,반사에 대한 반응 저조, 비전형적 자극으로 내장 활동 일어남(피부 긁으면 혈관 확장, 발한,배뇨), 하복부 대퇴 자극으로 배뇨반사, 발기 지속증 ② 근육경련 : 완전 횡단 척수 병변 시 나타남. 근육경련(불수의적) 반사경련(외적 자극, 내장 자극으로 시작), 강직성 경련(감정이나 피부자극으로 시작) ③ 자율신경 과다 반사 : 교감신경에 의해 조정되는 심맥관 반응 보상 안됨. T7이상 손상 환자 85%, 척수쇼크 해결 후 나타남. sx) 척수병변 수준 이하의 자극 → 교감신경반응 나타남 교감신경반응-고혈압(300mmHg이상), pounding headache, 조홍, 코막힘, 발한, 털세움piloerection, 동공산대, 어른거리는 시력, 서맥(30-40회/분), 불안정, 오심 *** 자율신경과다 반사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 척수쇼크 해결 된 뒤 발생 방광, 장팽만, 욕창, 경련, 통증, 음경의 압박 등.. → 교감신경 반응유발 ;HT 극복하기 위한 보상 노력의 결과 : 고혈압, pounding headache, 코막힘, 발한, 동공산대, 서맥 오심, 흐린시야, 비충혈, 안절부절 못함등.. 즉, 고혈압성 자극 → 부교감 신경계자극 → 척수 손상 부위 이상에서의 혈관확장(두통, 홍조) → 서맥유발 → 원심성 자극이 손상받은 척수를 통과 할 수 없으므로 장과 말초혈관 확장 실패(극심한 고혈압 증상 유발)

2. 척수손상 6) 진단 - 척수 X선 촬영, 척추조영술, CT, MRI, 체성감각 유발전위검사(SSEP), 척추동맥혈관촬영술 등 7) 치료 (1) 응급처치 - 손상 후 첫 1시간 이내 중재 중요 -척수 고정시키고 운반 (반듯이 눕히고 목,등,척추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경추 칼라로 고정 -호흡부전 증상 관찰(촬영 중 기도 유지, 산소공급) -두개내압 상승 관찰 -골격 견인 -척수 쇼크 : 하지 상승, 하지 탄력스타킹 적용, 혈관수축제 정맥주사 -일반적인 응급 중재 :

2. 척수손상 (2) 견인 및 체위 정복술 척수와 주위조직의 상해 최소화, 조직과 뼈의 자연치유 골격견인, 일차적 치유 확인→경부칼라, halo vest, 보조기, 석고붕대 등 사용 ①경추손상 : 중립, 약간 신전자세 유지 -경추 외측회전 예방(모래주머니, 경추칼라, backboards), 몸의 정렬 유지, 통나무 구르기 -골격견인( Crutchfield tong, Vinke tong, Gardner well tongs, Halter 견인, Halo vest사용) Crutchfield tong 견인 : 경추골절, 탈구시 이용. 6-8주 정도 지속 - Drill로 두개골 뚫은 후 핀 삽입하고 견인추 연결. 핀삽입 부위의 출혈 감염 부종 뇌척수액 유출확인, 두개내압상승 증상 확인. -단점(두개골에 박은 핀 움직일 수 있음, 감염우려) → 하루 2회 드레싱, 항생제 연고

2. 척수손상 Halter 견인 : 경추부 근염, 탈구, 아탈구, 경미한 골절, 경추 추간판 탈출증, 척추융합술 시. - 누운 자세에서 견인띠를 턱에 댄 후 침상머리 쪽에 추와 끈을 연결. -간호: 연동식, 부드러운 음식 제공. 식사 시 음식, 침이 견인 띠에 묻지 않도록. 피부간호 -주의사항: 목의 양쪽에 모래주머니 대주어 고정, 견인줄 연결장치 침대나 땅에 닿지 않도록. 견인줄 의사 지시없이 제거하지 않도록 교육함 Halo vest : 경추 선열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 - 두개골을 핀으로 고정함:8-10주 착용, 핀삽입부위 관찰 - 간호:낙상주의, 감염여부 확인, 피부간호 중요, 머리부동(잘게썰은음식) Philadelphia 칼라 : 경추융합이나 고정 수술 후 융합이 굳을 때까지 - Stryker frame :체위 변경하면서 견인할 수 있는 장점 ② 흉추와 요추손상 : 흉요추 경계부(T12의 압박골절, 분쇄골절, 탈구 )손 상 흔함. -체위 : 골절 부위 밑에 베게 이용 과신전 - 수술적 감압술, 고정술 이용

2. 척수손상 (3) 내과적 관리 -신경학적 사정 -기계적 환기, 동맥혈가스분석 -혈압유지(혈관작용성제제), 척수부종감소(methylprednisolone, dexamethasone), 위장출혈감소(H2 receptor blocker), 비뇨기소독제, 항응고제, 변비완화제, 항경련제 -고칼로리 고단백 식이, 장내영양 TPN -우울, 불안, 분노, 거부 반응 사정 (4)외과적 관리 - 적용: 신경학적 결손 증가, 골격견인 효과 없는 경우, 척수 복합골절 관통상, 급성 전척수 외상 징후군 -감압적 추간판절제술, 외과적 융합술(금속판 나사 삽입 뼈이식) -수술 후 다리 신경맥관 상태확인

2. 척수손상 8) 간호과정 (1) 사정 - 주관적 자료(건강지각-건강관리-기능적 건강 양상/활동-운동/인지-지각/스트레스) - 객관적 자료 신경계 호흡기계 심맥관계 소화기계 비뇨기계 생식기계 근골격계 피부 정신 사회적 측면 관찰 혈류역학지표감시, 활력징후,수액균형, 맥박산소계측 지속적 모니터

2. 척수손상 8) 간호과정 (2)간호진단 (3)간호중재 <호흡간호> - 흉부물리치료, 산소공급, 통증관리 - C3이상 손상 시 기관내 삽관, 기관절개술, 인공환기 반드시 필요 - 복대(정맥귀환증가, 횡경막호흡용이 -분비물 배출 용이하게 도와줌 <체온유지간호> - 직장체온(손상후 72시간까지) -환자의 보온 유지 -고체온 시 저체온 담요 사용해 환경온도 조절 <운동간호> - 남아있는 능력으로 일상생활 스스로 수행하도록 격려 -무릎관절 : 앙와위에서 15도 굴절 - 잦은 체위 변경 관절운동, 발판이용 족하수 예방 - Cock-up부목, hand roll이용

2. 척수손상 -요실금간호 : 정체도뇨(방광근무력증 예방,무균술), 간헐적도뇨(유지도뇨의 감염 감소, 방광결석 감소), 크레데기법, 요합병증 예방(I/O, 금기가 아니면 수분 섭취 3000ml/day) - 배변간호 : 변비, 장팽만, 분변매복의 예방/장음사정, 관장(500ml이하), 고섬유질 섭취, 좌약사용 - 성기능유지간호 : 성심리상담, 성활동교육(비아그라, 구강피임제, 자궁내 기구설치) - 심리간호:상담, 편안한환경유지, 지지그룹, 심리치료

2. 척수손상 -가족의 효율적 대응 도모 -신체손상 예방 간호 : 꼭 끼는 옷, 잘 맞지 않는 구두 X, 발톱관리, 목욕물 확인 -영양관리 : 체중측정, 욕창 및 골다공증 위험(고단백 칼슘보충섭취), 2000-3500칼로리 섭취 -자율신경계 과다 반사를 위한 간호 : 심한 고혈압, 두통, 발한, 조홍, 코막힘, 오심, 서맥, 모발운동경련, 흐릿한 시야 사정 혈압 체크(고혈압시 항고혈압제, 침상머리 올리기), 도뇨, 피부자극 제거, -피부간호 : 체위변경, 압력감소, 피부관찰, 영양상태평가

3. 추간판탈출증 -추간판 : 추골중심 사이에 있어서 척추의 추체를 연결하는 구조 충격 흡수 퇴행성 변화로 용적과 탄력성 감소, 압박에 대한 저항력 감소 외력 → 수핵 탈출→신경근 압박→통증 P. 1241 그림 12-60 1) 원인과 위험요인 외상, 퇴행성변화(주변인대약화), 무리한 운동, Hyperflexion 유전적요인(척추전방전위증), 40-60세 남자, 호발부위 : L4-5, L5-S1(90~95%), C5-6(5-10%)

3. 추간판탈출증 2) 증상 징후 -경추 추간판 탈출증:목의 경직, 팔과 손으로 방사하는 어깨 통증, 손의 지각이상 및 감각장애 -요추 추간판 탈출증 : 둔부와 하지로 방사되는 좌골신경통, 통증(척수내 압력 증가 시 : 기침, 재채기, 배변, 구부리거나 물건 들어올릴 때, 다리 똑바로 뻗쳐 올렸을 때) 안정 시 완화, 근육경련, 심부건반사의 약화, 감각의 감퇴 3) 진단 - x선촬영, 척수촬영술, CT, MRI - 하지직거상검사 : 반듯이 누운 자세에서 다리 올리면 좌골신경 당겨져 통증이 다리로 방사, - 70 ° , 요추 간판탈출증 환자는 각도 얼마 안되어도 심한 통증 느낌

3. 추간판탈출증 4) 치료 (1) 내과적 치료 ①침상안정 :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 감소 2-4일간 단단한 침요, 다리 밑에 베개(좌골신경 이완) ②약물요법 : NSAIDs, 근육이완제, 마약성 진통제 급성 시 처음 48시간 얼음주머니 → 근력강화 운동(에어로빅, 보행, 정지형 자전거타기, 가벼운 조깅) ③자세 : 반좌위 ④견인장치 : 경추칼라, Halter 견인(경추 분리증가, 신경근 압력감소) 침대상부상승, 골반견인(요추디스크) ⑤물리치료&보조기 : 심부 초음파, 온열- 습열 치료/콜셋 보조기 이용 ⑥환자교육 : 척수손상 예방 의한 자세 교육 p.1243 그림12-61

3. 추간판탈출증 (2) 외과적 치료 ① 화학적 수핵용해술 : 단백분해효소(Chymopapain) 추간판내로 주사→돌출된 추간판 제거 섬유륜 파괴되지 않은 환자에게 효과적 합병증) 약제 과민반응, 하반신마비, 추간판염 ② 경피적 레이저 추간판감압술; Percutaneous laser disk decompression ;PPDD : 추간판 탈출부분을 신경근에서 제거해 통증 완화시킴 국소 마취 하에 형광투시경이용 30분 정도 소요, 통증 없음, 처치 후 24시간 안정 후 퇴원

3. 추간판탈출증 ③ 추간 절제술; diskectomy 탈출된 추간판 조직을 제거 , 현미경 수술기구 이용 수술부위 외상 적음. 피부 통합성 보존됨 ④ 척추궁 절제술 ; laminectomy 척추궁 제거후 척수 노출시켜 탈출된 수핵 제거함 ⑤ 척추융합술 ; spinal fusion 추골 사이에 뼈를 이식→두 추골 융합,부동 경골, 비골, 장골능선에서 떼어낸 뼈 이용 5개 이상 융합 시 척추 운동 상실 될 수 있으므로 하지 않음

3. 추간판탈출증 5) 간호과정 (1) 간호진단 p.1243 (2) 간호중재 - 통증간호 : 안정. 침상머리 20°상승 다리 약간 굴곡(등근육 완화), 온습포 적용(근육혈류증가), 진통제, 근육이완제, 코티코스테로이드(염증반응치료) - 심리간호 : 두려움 걱정 표현하도록 함. 수술관련 정보제공, - 정보제공 : 통나무 굴리기법, 수술부위 손상예방, 금연 교육

4. 말초신경의 손상 1) 수근터널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CTS -팔목 위치한 정중신경의 압박 -엄지, 검지와 중지, 약지의 요골 신경측의 감각과 운동 변화일으킴 (1) 원인 - 손목의 지속적 굴절, 손목의 반복적 움직임, 연속적인 팔목 움직임 요구되는 직업(주부, 정육사, 치과의사, 재봉사.. 등) (2) 증상과 징후 - 엄지, 검지, 중지와 약지의 절반에 감각이상(둔화, 통증, 얼얼하거나 저림) - ape hand, 무지구근 위축(thenar atrophy)

4. 말초신경의 손상 (3) 진단 - 직업업무, 병력 조사 - Tinel 징후, Phalen징후 사정 tinel 징후 : 손목 가볍게 쳤을 때 손과 손가락의 저린 감각 phalen징후 : 손목 20-30초 강하게 굴절 →무감각과 타진통 일어나는지 사정 -손목압박검사: 굴근건막 위 손으로 30초 눌러 압박 →감각이상 시 (+) -근전도 검사 (4) 치료 ①내과적관리 : 중립체위로 부목 대어주고 안정, 스테로이드, 비타민 B6 ②외과적관리 : 증상 심하고 근위축, 손의 감각 상실시 수술 시도

4. 말초신경의 손상 (5) 간호 (6) 예방 -수술 후 시간마다 손가락 색깔, 모세혈관 충만, 온도 측정 -부동유지 : 두꺼운 드레싱, 손목부목이용 -가정간호 교육 종창, 수술한 손목 올려두기, 손가락 운동, 감염징후, 진통제 사용 등을 교육한다. (6) 예방 - 컴퓨터 자판 칠때 손목에 각 생기지 않도록 한다 - 자판의 높이와 의자 높이 잘 맞추기 - 손목과 손가락 운동하는 습관 - 마우스 과도한 사용 주의 - 손빨래, 아기 안기, 무거운 물건 들기 주의

4. 말초신경의 손상 2) 척골신경손상 -척골신경 운동지배영역: 손가락 내외전, 손목척골신전 감각지배영역 : 제4,5손가락 앞 뒤 지배 (1) 원인 - 주관절의 골절과 탈구 - 팔꿈치 압박이나 외상 (2) 증상 징후 - 손목의 굴곡 내전, 제4,5손가락 굴곡의 무력, 손가락의 내외전 마비, 엄지 내전마비 -갈퀴손 claw hand (3) 진단 - 갈퀴손, 후로맨트 징후(froment sign) (4) 치료 -척골신경 절단 시 봉합술, 압박 시 척골신경 이식 - 물리치료(수술 후 재활)

4. 말초신경의 손상 3) 좌골신경 손상 - 총비골신경(common peroneal n.)과 경골신경(tibial n.)로 형성 -총비골신경에 외상 多 (1)원인 고관절탈구, 골절, 하지견인, 종양, 총상, 주사손상 등 (2) 증상 징후 -슬굴근 마비(hamstring paralysis) -발처짐(food drop), 발목반사소실 -좌골신경통;sciatica : 좌골신경과 가지 따라서 심한 통증 나타나는 것. 추간판파열 , 요천부의 골관절염에 의해 나타남. 좌골신경 신전 시 통증. (3) 진단 -영향받은 쪽 하지의 직거상 검사 (다리 올리는데 제한) -대퇴 복부로 굴절 시 (완전신전 불가능) (4)치료 - 원인이 되는 병리상태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