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신.재생) 에너지 사업 전망과 과제』 3조 - 김혜림, 김혜정, 남은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준공 솔라플러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박순용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산남리 89-8 ( ) 솔라플러스 태양광발전소 소개서.
Advertisements

우리테크 녹색경영을 달성하기 위한 녹색경영 방침 □ 우리테크는 파워 드레인트탭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로써 오랜경험과 축적된 노하우를 통해 독 자적인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또한 우리테크는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항상 연구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제 10 차 회의. 농업의 국가 경제적 비중이 저하되고, 농가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 행 농업 생산성이 낮고, 농산물 무역수지 적자도 지속적으로 확대.
( 사 ) 경남 유아이티 협회 회의서류 ( ) 2009 년 제 1 차 이 사 회.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 ( 수출 ) 을 위한 지원제도 및 마케팅 전략.
대기전력 및 효과분석 2010 년 2 월 11 일 주 ) 중원파워컨트롤스. 대기전력 진단 P/G 품 명대기전력 (W) 수 량사용시간대기시간총대기전력 T V P D P L C D C R T 기 타기 타 모 니 터모 니 터 L C D 컴 퓨 터컴 퓨 터 프 린 트프 린 트.
주택용 전기요금제 개선을 위한 국민운동 제안서 주택용 전기요금제 개선 일반용 산업용의 형평성있는 요금 구조 일반용과 산업용은 구분해야 ( 주택용은 공공재 ) ▣ 제안목적 및 배경.
북한의 과학기술 동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 종 선. 목 차목 차 북한의 과학기술의 역사적 고찰 건설토대기 (47 년 -60 년 ) 공업화 완성기 (61 년 -70 년 ) 자립성, 주체성 강화기 (71 년 -86 년 ) 무역침체, 고난기 (87 년 -98 년 ) 최근 북한의.
농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 세계와 경쟁하는 강한 농식품 산업 전략 -
에너지 저장 기술 진공탱크를 거꾸로 하여 가열한 에너지를 가장 오래도록 저장 할수 있는 방식이며
1-1. 직무발명제도의 원리 종업원 사용자 특허출원 발명 및 발명자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종업원 명의 특허출원 ?
지구온난화 성서중 1학년 3반 30번 조정회 , 26번 이지혜.
녹색성장 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 - 저탄소 경제사회구조, 녹색산업강국 실현
2009년 녹색기술 연구개발 시행계획(안) 제3차 녹색성장위원회
목 차 Mega Trend 분석 국내풍력발전 사업 및 기술 현황 국내 풍력발전시스템 개발의 전략적 방향.
국내 전력 생산 4,032억 kWh 1,429억 kWh 전체발전량 (’07) 원자력발전량 (’07)
남동발전 R&D Roadmap (2/2) 제 어 R &
천연가스(LNG) 보급촉진 제도 JULY 7, 2005 한국가스공사 영 업 처.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효율관리실.
수립 배경 및 의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기술의 역할 녹색기술 · 산업 현황 및 경쟁력 분석
태양광발전설비시스템의 계획과 운영
구역전기사업의 개요 및 전망 전기위원회 총괄정책팀 사무관 홍수경
암 보다 더 무서운 당뇨 2010년 [아시아경제 강경훈 기자 ].
Ⅳ.3 3대 효율 프로그램과 리베이트 관계  신제품 개발 고효율 인증제도 효율등급 표시제도 (최저효율제도) 장려금지원제도
2003년도 에너지이용합리화 시책 에너지관리공단.
사회의학연구소 의사 타무라 아키히코(田村昭彦)
저탄소 녹색성장 국민포럼 신재생에너지 2010 시장전망 및 향후 과제 신재생에너지 분과.
단원: 1우리 생활과 전기.전자(107p) 학습 목표 *전기.전자의 뜻과 전기생산 및 이용 과정을 알 수 있다
대 체 에 너 지 (풍 력 발 전) 해양자원공학.
NGO 입장에서 바라본 지속가능한 중장기 에너지 전략
기타 신재생에너지설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소 병 문.
화장실 미 설치 사진A (182시간) 절감 사례 오산 시청 6월04일 설치 6월23일 확인 주말 제외 (5일)
(수) 실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당 및 예비후보자를 위한 선거사무안내.
옥상용 풍력 발전시스템을 이용한 발전사업 제안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전망과 국가정책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소 장 김 형 진
솔루션 절감율 산출 방법.
전기에너지의 이용 전기에너지 : 전기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장점 – 수송이 빠르다.
발전용 연료전지 PCS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전기공학과 이병준.
공공기관 LED조명 교체(백열등,할로겐)시 효과분석
마이크로그리드 전원장치 - 연료전지 경북대학교 김 흥 근.
새로운 물질, 나만의 스마트폰 디자인하기.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의 이해 ( 친 환 경 주 택 ) (주)선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강아지풍선 채색체험,야광 판매 제안서 본사:인천 부평구 원적로269번길10 Tel:(032)
서울시의 산학연 협력 지원계획 서 울 특 별 시.
전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2)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5. 전기 전기의 장점 단원 열기 (1)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이용 : (2)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이용 :
안심투자 7호 대출상품 안내서
Ⅲ.생활권 형성 기능 1. 자원.
HVDC에 의한 남북 전력계통 연계 고려대학교 장 길 수.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 및 신성장동력산업 육성을 위한
Ⅲ 농과원 스마트온실.
고유가 시대 난방비 극복을 위한 원적외선 복사열 전기 바닥난방 제안서
원전 안전과 전력수급의 대책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
생태면적율 ○ 정 의 - 공간계획 대상면적 중 자연의 순환기능을 가진 토양의 면적비율
태양광 발전소 사업계획서
저탄소 녹색성장.
연 료 전 지 전 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소 병 문.
A TYPE. 조사표 작성 요령 및 코드표 1. 조사표 작성 지침 2 2.에너지원 코드표 11 3.에너지원별 기준단가 13.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시안) 지식경제부 / 전력거래소
개선방안 점검내용 ① 1 에너지효율 1등급 및 친환경 인증 의무화 강화 에너지효율 1등급 적용대상 확대 및 1등급 기준 상향
건축물 에너지절감 혁신 방안 안녕하십니까 ? 전자정부특별위원회 송희준 위원장입니다.
6-2. 전해질과 비전해질 구별해 보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이런 직업도 있어요^^ 감성인식기술전문가 Q :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가요?
신재생발전의 현재와 미래 소 병 문.
전라북도 신재생에너지산업 클러스터 발전방안
(4)잎의 구조와 기능 학습목표 잎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수 있다. 기공의 구조와 증산의 조절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Ⅰ. 전기와 자기 전력.
사회과학부 이현기 대체에너지-핵융합발전.
교 육 순 서 화재예방과 진화요령 긴급상황 시 대처요령 소방시설 사용 화재진화 및 피난 기타 당부 및 질문.
Presentation transcript:

『그린 (신.재생) 에너지 사업 전망과 과제』 3조 - 김혜림, 김혜정, 남은미

목 차 1 2 3 4 5 6 7 그린(신.재생)에너지 정의 그린(신.재생)에너지 특성 그린(신.재생)에너지 중요성 그린(신.재생)에너지 관련 해외사례 4 그린(신.재생)에너지 전망 5 그린(신.재생)에너지 정의 1 그린(신.재생)에너지 발전전략 6 그린(신.재생)에너지 과제 7

그린(신.재생)에너지 정의 신.재생 에너지란?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에너지로서, 녹색 에너지, 청정 에너지라고도 하며, 기존 화석연료나 원자력을 대체한다는 측면에서 대체 에너지라고도 불린다.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화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재생 에너지 -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 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8개 분야) 신 에너지 -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3개 분야)

그린(신.재생)에너지 특성 구 분 특 징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 체계를 위한 미래 에너지 공공 미래 에너지 구 분 특 징 공공 미래 에너지 시장창출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인 개발 보급 정책 필요 환경 친화형 청정에너지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CO2 발생이 거의 없음 비 고갈성 에너지 태양광, 풍력 등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 구성 기술 에너지 연구개발에 의해 에너지 자원 확보 가능

그린(신.재생)에너지 중요성 신.재생에너지는 과다한 초기투자의 장애요인에도 불구하고 화석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문제에 대한 핵심 해결방안이라는 점에서 선진 각 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과감한 연구개발과 보급정책 등을 추진해오고 있다. ● 최근 유가의 불안정, 기후변화협약의 규제 대응 등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에너지 공급방식 다양화 필요 ● 기존에너지원 대비 가격경쟁력 확보시 신.재생에너지산업은 IT(정보기술), BT(바이오기술), NT(환경기술) 산업과 더불어 미래산업, 차세대산업으로 급신장 예상 ● 우리 나라는 2011년 총 에너지의 5%를 신.재생에너지로 보급한다는 장기적인 목표하에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사업 등에 대한 지원 강화 20세기 21세기 [ 21세기 에너지이용기술의 환경변화 ]

그린(신.재생)에너지 관련 해외 사례 주요국의 정책 동향 주요국의 정책 동향 일본 – 저탄소 사회 달성을 위한 녹색기술 개발에 주력 EU – 강력한 규제 등을 통한 녹색시장 창출과 시장 주도권 장악 미국 – 차세대 녹색 기술 개발에 주력 중국 – 자국시장 조성을 통해 글로벌기업 육성 선진기업 동향 도요타 – 그린에너지 사업을 자동차 부문에 적용 Gazprom – 탄소 배출권을 수출상품화 Vestas – 위기를 기회로 활용해 업종전환에 성공

그린(신.재생)에너지 전망 1 성장 동력화 9대 분야 선정 및 중점 육성 시장성, 기술성, 시급성 등을 고려하여 성장동력화가 필요한 9대 분야를 선정하여 중점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시장이 급성장하고 국내 연관산업이 발달한 태양광, 풍력 등 4개 분야를 우선 성장동력화하고, 세계시장의 잠재력이 커서 기술적 우위 확보가 시급한 수소연료전지, 청정연료 등 5개 분야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제1그룹, 조기 성장동력화> 세계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거나, 국내 연관 산업기반을 바탕으로 육성 가능한 분야→산업화 집중 지원 태양광, 풍력, LED, 전력IT <제2그룹, 차세대 성장동력화> 세계 시장 잠재력이 크기 때문에 기술적 우위 확보가 시급한 분야→R&D및 실증 집중 투자 수소연료전지, GTL/CTL(가스/석탄액화), IGCC(석탄가스화 복합발전) CCS(CO2 포집, 저장)에너지 저장

그린(신.재생)에너지 전망 2 시장 지향형 기술 개발로 글로벌 기술력 확보 시장규모와 성장잠재력이 큰 9대 분야에 대해 민·관 공동으로 향후 5년간 총 3조원(정부 1조 7,000만원, 민간 1조 3,000만원)을 투자하여 오는 2012년까지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할 것이다.

그린(신.재생)에너지 전망 분야별로 기술 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그린 에너지 기술개발 중장기 전략 로드맵’을 2009년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이 로드맵에서 태양광은 2020년에 화석연료 수준의 경제성을 확보하고, 수소연료전지는 2015년에 kW급 가정용 전지 양산 기술을 개발하는 등 분야별로 설정된 목표를 달성해 나갈 계획이다. 구분 기술개발 목표 및 주요 핵심기술(예시) 태양광 화석연료 수준의 경제성 확보(2020년 150원/kWh) 고효율 차세대 박막 태양정지 ac 유기 태양전지 상용화 기술 풍력 중대형 풍력발전기 독자 개발, (육상) 고효율 블레이드 소재 및 주축 베어링 국산화 (해상)2MW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기술 수소연료전지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기술 조기 확보 (가정용) 1kW급 핵심부품소재 국산화 및 양산기술(단가2015년 500만원) (발전용)2세대(MCFC) 사용화, 3세대(SOFC) 원천기술 IGCC IGCC 상용화 기술력 확보 300MW급 설계기술 자립 후 600MW급 상용화 에너지 저장 MW급 저장 시스템 기술 자립 고정용 리튬이온전지, 분산전원용 대형 시스템 등 LED 100lm/W급 이상 비질화물계 고효율 LED 원천기술 확보 LED 칩 물성 설계, 내부 양자효율향상, 신형광체 등 전력IT 10대 핵심기술 조기 확보 및 차세대 전력 시스템 개발 IT 기방 대용량 전력 수송 제어 시스템, 스마트 미터링

그린(신.재생)에너지 전망 3 시장 창출을 통한 산업화 추진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수요 창출을 통해 민간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발전 분야에서는 현행 자발적 신.재생에너지 투자제도(PRA)를 총 발전량 중 일정 비율(2012년 3%, 2020년 10%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의무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RPS(Renewable Portrolio Standards)로 전환하고, 연료 분야에서는 현행 임의적 바이오 디젤 혼합제도를 원료 수급 상황을 고려해 의무화(2012년 3%, 2020년 7%)하도록 추진할 것이다. 또한 행복도시, 혁신도시 등 신도시 건설이나 건물 건설·신축시 신.재생 에너지 사용 설계를 반영할 것이다. 공공건물은 현행 총 건축비의 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투자하도록 한 것을 총 에너지 부하량의 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사용·설계토록 의무화(2012년)하고, 민간건물은 신.재생 에너지 인증제를 도입하여 건물 건축 또는 주택 단지 개발 시 총 에너지 부하량의 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사용 시 인증 및 보조비율 우대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하게 된다.

그린(신.재생)에너지 전망 아울러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 개발을 적극 추진할 것이다. 태양광은 오는 2012년까지 발전용량을 400mw로, 풍력은 약 1GW로 확대해 나가며, 태양광은 기술혁신 및 양산체제 구축을 통해 단가를 인하하고 풍력은 해상 풍력을 적극 개발하여 입지 한계를 극복해 나갈 것이다. 또한 삼면이 바다이고 조수간만의 차가 큰 우리나라에 풍부한 조력, 조류 등 해양에너지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조력은 2009년까지 세계 최대(254MW) 의 시화호 발전소를 준공하고 가로림만 발전소(520MW)를 조기 착공할 계획 이며, 조력발전의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해 주변지역의 주민에 대한 적정한 지원 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위치 시화호 가로림만 천수 인천만 강화 새만금 용량(MW) 254 520 720 1,140 810 400

그린(신.재생)에너지 전망 4 인프라 구축을 통한 성장동력화 지원 경제단체와 지식경제부는 공동으로 ‘그린 에너지 산업 추진 위원회’를 구성하여 민관 파트너쉽을 강화하는 한편, 범 정부 차원의 ‘그린에너지 정책 협의회’를 운영하고 주요 사안은 국가 에너지 위원회에 보고해 나갈 계획이다. 투자재원 확충을 위해 2009년 정책자금과 연계한 은행권의 협조융자 제도를 도입하고, 그린에너지 투자 펀드를 조성해 유망 중소기업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2012년까지 석·박사급의 그린 에너지 전문 인력 1만 5,000명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전문학과 개설 및 대학원 실험실 지원, 산학연 공동 R&D 등을 확대하고, 아울러 신.재생 에너지 보급에 장애가 되는 규제는 규제개혁위원회를 통해 해결해 나갈 것이다.

그린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 전략 그린 에너지 산업 발전 전략은 그린 에너지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으로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조기에 해소하고, R&D부터 수출산업까지 전주기적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글로벌 그린 에너지 강국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유망 분야를 전략적으로 선정하고 시장 지향형 기술을 개발하며, 시장 창출을 지원하고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그린(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략 그린에너지 산업 시장 점유율 및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 오는 2012년 이후에는 그린 에너지 산업의 성장동력이 가시화 되고, 신.재생 에너지 보급도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린 에너지 산업의 생산 규모는 2012년 170억 달러, 2030년 3,000억 달러, 고용 규모는 2012년 10만 5,000명, 2030년에는 154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그린에너지 발전 전략과 기대효과 그린에너지 산업 성장 규모 2030년 9대 중점 기술적 성장 규모 2007 2012 2030 생 산 18 170 3,000억달러 수 출 11 130 2,100억달러 고 용 0.9 10.5 154만명 2030년 9대 중점 기술적 성장 규모 생산 (억 달러) 수출 (억 달러) 고용 (만영) 시잠 점유율 (%) 합계 3,000 2,100 154 13 태양광 794 568 35.3 15 풍력 290 261 12.8 수소연료전지 239 215 23.2 청정연료 99 30 4.9 5 IGCC 201 60 10.1 10 CCS 361 252 18.0 에너지 저장 126 88 6.3 20 LED 623 436 31.1 전력 IT 167 12.0

그린(신.재생)에너지 산업 과제 세계경제의 중요 변수로 부각된 고유가 문제가 개도국 중심의 수요증가세 지속, 공급측면의 한계 등으로 인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에 따라, 에너지 자립을 위한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세계 태양광·풍력 시장은 연평균 20~30%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을 정도로 차세대 유망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보급비율이 매년 증가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2.24%에 불과하여 선진국들에 비해 저조한 실정이다 특히, 폐기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76.1%),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자연재생 에너지의 비중이 낮은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은 확고한 지원과 일관성이 중요 그린(신.재생)에너지 산업 과제 1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은 확고한 지원과 일관성이 중요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초기시장 활성화에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인 전형적 정부지원 의존형 미래기술 산업으로서, 일정수준의 시장만 형성되면 기술진보 및 규모의 경제로의 발전이 가능하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많이 의존하는 태양광 발전 사업자들이 기존의 투자계획을 잠정적으로 보류하는 상황에 있기도 하다. 기존 제도 하에서도 매년 4%씩 차액 지원금을 인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최고 30%까지 인하하도록 되어 있는 축소 방침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린(신.재생)에너지 산업 과제 2 풍력발전시설 중 일부가 자연공원에 걸쳐있는 경우 자연공원 해제와 신.재생에너지 시설 설치 관련 규제 완화 필요 풍력발전시설 중 일부가 자연공원에 걸쳐있는 경우 자연공원 해제와 관련해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사전 환경성 검토를 완료하고 사업허가를 받았던 사업이 자연공원 해제권한을 가진 지자체와 환경부의 반대로 인해 지연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시설 설치의 경우 자연공원 해제를 인정할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하거나 실질적으로 자연공원으로서의 의미가 없을 정도로 방치되어 있고, 전체 면적 중 자연공원이 차지하는 면적이 극히 미미한 경우 허가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린(신.재생)에너지 산업 과제 3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업체들은 대부분 중소업체들이고, 이로 인해 기술개발 및 선점을 위한 기업과 정부의 노력 시급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업체들은 대부분 중소업체들이고, 이로 인해 기술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최근 들어 일부 대기업들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진출하고 있는데, 부품 국산화나 기술개발 선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정책은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개발된 기술들을 활용하여 보급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함으로써 에너지 자급과 성장산업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