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관리학 교실 박 성 애 교 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조 박지현 이지현 김상민 문설란 박지훈 1. 상황분석 타겟설정 컨셉도출 프로모션 방안 2.
Advertisements

건강보험의 개혁방향 보건복지부 보험연금정책본부 본부장 최원영 목차 그간의 성과 주요 당면과제 정책방향 Ⅰ Ⅰ Ⅱ Ⅱ Ⅲ Ⅲ.
경기케어센터 산재의료관리원 강원케어센터 진폐장해인을 위한 전문복지시설 강원케어센터. 경기케어센터 순서 강원케어센터 강원케어센터 소개 1 시설현황 2 이용안내 3 입소절차 4 주요서비스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 데이터를 이용한 연 구 심포지엄 ◇ 일 시 : ( 금 ) 14:00~17:30 ◇ 장 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본원 지하대강당 ◇ 주 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인공지능 소개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 인공 + 지능 인공지능이란 ? 2.
Association Rule Sequential Pattern Classification Clustering Data Mining A B C D 2.
2009년도 사업시행결과 광주광역시 간호사회.
연관규칙기법과 분류모형을 결합한 상품 추천 시스템:
Uracle의 U-Health 플랫폼 구축 현황 및
요양기관 정보화 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책임자 채영문 대한의료정보학회.
시뮬레이션센터 설계 및 운영전략 일 시 : 2014년 7월 9일(수) 9:00~17:30 대 상 : 간호학과 교수 40명
Master Thesis Progress
보안등 고장관리 자동화시스템 시범운영 제안서 인천광역시 서구 민관협력개발 032) )
보건의료 인력양성의 문제점과 방안 김윤미, 전현화, 김지연, 김현정.
시작하기 전에……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상황에 대비하여 생각하고, 준비해 놓은 것이 있는가? 지금 당신은 몇 살인가?
간호정보시스템(NIS) 서동규 전정빈 이용태.
살면서 꼭 알아야 할 99가지 이야기.
; 전화 : 지적 자본과 연구기관의 성과관리 (금) 이 찬 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적자본팀
- 기초생활권 발전정책 주요시책 및 계획수립방향 -
지역사회 간호과정 실습지 : 다산보건진료소 실습기간 : 2005년 5월 16일~25일 실습담당자 : 황보 숙 소장님
제7장 노인주거생활보장.
전자의무기록(EMR) -12조- 이시우 장석용 이창훈.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의의와 발전과정 1. 고령이나 질병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혼자 생활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 또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국제간호협의회 ICN international council of nureses
전국영양조사 – CBS, ICN, MOPH, UNICEF, WFP, WHO
제1장 장애개념 및 범주.
Global Nursing 글로벌간호에 관한 관점 담당교수 : 박신애.
1.민족의 발전과 민족 문화 창달(4)주체적 문화교류의 자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광주지역본부 교육센터
치과기공소에서 알아야 할 산업안전보건법
제 1 장 소 개 시스템 분석 및 설계 허철회 2006학년도 2학기 상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Nurses and Families Mi Sook Han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
서울대학교 의학도서관.
Chap. 6 계획 : 개요와 기대되는 결과.
제왕절개 분만율의 위험도 보정 -방법과 활용을 중심으로 송정국
화재발생시 행동요령 1. 발화초기의 안전조치 2. 화재신고 3. 피난유도 및 대피요령
보완대체의료와 간호 환경과 건강.
Total Clean Room System Engineering
평가기준 개요 및 보안기능요구사항 사업부 평가사업팀 조규민.
Insight Deep MininG 건강을 위한 마이너스, 무첨가 식품 인사이트코리아/식품음료신문 공동 기획 기사
1. 개정 배경 학생의 체력 저하 및 건강 문제 해소 등 체육과 교육에 국가ㆍ사회적 요구 반영
제1부 의료사회복지실천 개관 1장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2장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직무 3장 의료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이해.
기술과 전향 -Martin heldergger
BMJ Best Practice - Your instant second opinion
삼성 인재양성 체계 및 평가시스템.
근거기반실무 이 미 진.
13. 이상징후를 찾아내는 방법(5관)의 확대 앞에 나타낸 표는 매우 간단한 것이다. 설비의 어떤 특징을 찾아 낼 것인가는 설비에 따라 서로 다르다. 같은 기계에서도, ► 동적기계 : 예를 들면 회전기계, Motor등 기계 자체가 소리나 진동을 발생하고 있는 것. ►
중세와 간호.
수정사항 → 수정 및 추가 → 삭제.
회계감사 박 한 순.
말기 환자 돌봄의 모형.
삼성 인재양성 체계 및 평가시스템.
제1장 물류관리의 이해 1. 물류관리의 개념 2. 물류관리의 정의 3. 기업에서의 로지스틱스의 역할 4. 물류의 구성과 영역
간호관리Ⅱ Chapter 8. 간호사의 법적 의무와 책임
Case Management란 의사소통과 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제공된 의료서비스를 사정하고 계획하고 수행하고 조정하고 Monitor하며 평가하는 협력적인 과정이다. High quality, cost-effective outcomes.
제2부 의료보장과 의료제도 제3장 건강보험제도 <학습목표>
제6강 임상진료지침과 진료계획표.
180도Ⅱ는 회복과 개선에 중점을 둔 SYSTEM입니다 How to Use 180도 시스템 - \768,830
컴퓨터구조 강의소개 정보통신공학과 한성대학교.
▶서류관리 프로그램 1. 로그인….2 2. 서류등록 … 서류도착 서류스티커발행
교육훈련 기획 및 운영실무 교육훈련 기획 및 운영실무 교육훈련 기획 및 운영실무.
6장 정보분류 신수정.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
1-4.
Chapter 11 장애인 문제 사회문제론 5/24.
Progress Seminar 신희안.
제 10장 . E-Healthcare & U-Healthcare를 통한 의료서비스
Presentation transcript: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관리학 교실 박 성 애 교 수 간호진단-중재-결과 분류체계의 최신 동향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관리학 교실 박 성 애 교 수

서론 1950년대이후 정규대학과정 개설 1970년대 말 간호과정 소개 1980년대초 간호진단소개, 적용 NANDA에서 제시한 간호진단의 한글어휘 목록제시 - 임상간호사회,1988 간호협회,1997

연구경향 연구대상자가 매우 다양 일반적인 견해나 결론제시 미흡 실험연구, 내용분석 연구 부족 간호중재개발이나 분류작업 부족 독자적 간호중재방법 적용연구

간호중재연구 1980 – 89 88 (47.8%) 1990 – 95 88 (47.8%) 간호중재 20여가지 발표년도 1970 – 79 8 ( 4.3% ) 1980 – 89 88 (47.8%) 1990 – 95 88 (47.8%) 간호중재 20여가지 간호중재도구 교육 (강의)이 가장 많음 논문유형 석사학위 107 (58.2%) 박사학위 37 (20.1%) 학회지 40 (21.7%) 연구대상자 대부분 만성환자 (그 외 수술환자, 산모) 종속변수 매우 다양 (서문자 등 ,1996)

1980년대 - 간호진단을 적용한 간호과정과 실무의 적용 1980년대 - 간호진단을 적용한 간호과정과 실무의 적용 간호진단분류 간호진단별 증상/징후의 규명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간호진단의 임상적용 현황 간호진단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간호진단별 증상/징후의 규명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간호진단 분류 김복순, 1986 : 김영희, 1995 : 김정엽, 1980 : 박경숙, 1988 : 배영숙, 1994 : 민순, 1995 : 원경애, 1989 : 이원희 등, 1987 : 조정호, 1994 : 차영남, 1991 간호진단별 증상/징후의 규명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김혜영, 1995 : 박경숙 등, 1991 : 박명희, 1988 : 박윤희, 1987 : 전광순, 1989 : 조애란, 1986 간호진단의 임상적용 현황 - 박신애, 1989 : 조경숙, 1989 간호진단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박영숙, 1990 : 이향련 등, 1989 : 전춘영 등, 1990

1990년대 - 간호업무전산화를 위한 표준화된 도구 개발 1990년대 - 간호업무전산화를 위한 표준화된 도구 개발 간호진단분류 간호진단별 증상/징후의 규명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간호진단의 임상적용 현황 간호진단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표준화된 간호계획서 개발 김조자 등, 1990 : 이향련 등, 1989 간호사정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 양점자, 1995 간호사정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 양점자, 1995 간호진단의 한글 어휘명명에 관한 연구 - 임상간호사회, 1988 전산화관련 연구 - 김조자 등, 1990 : 김정애, 1992 : 박현애 외, 1994 : 이은옥 등, 1996 : 이정인, 1994 NIC의 임상활용과 관련된 연구 - 염영희, 1995 : 김문숙, 1997 : 손행미, 1998

간호교육과정에서의 간호진단 기본간호학(53.3%), 성인간호학 (46.7%) 임상실습시 간호진단 적용 (80.0%) 병원에서의 간호진단 사용정도 교수들마다 이해가 다름 원인규명의 어려움 표준용어 부족 유사진단구분이 어려움 간호진단 시간배당

최근 연구동향 Use of computer technology in health care system Development of standardized languages in nursing - NANDA, 1994 OMAHA (Martin & Sheet, 1992) ICNP (ICN, 1993) HHNC (Saba, 1992) NIC (McCloskey & Bulechek, 1996) NOC (Johnson & Maas ,1997)

서울대 간호대학에서의 연구 간호진단-간호중재와 연결가능한 간호결과지표의 알고리즘 개발.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를 연결한 데이타베이스 체계를 설계하고 적용.

Methods Algorithm expected nursing outcomes nursing diagnoses and interventions To get nursing assessment and diagnosis, we use the nursing outcome indicators (NOC)

가정간호에의 적용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에서 실시하는 지역사회중심의 가정간호시범사업에서 PDA 를 이용하여 가정간호사들이 간호진단-중재-결과분류체계를 연결하여 실무에 적용하고 있다.

분류 체계를 이용한 최근 연구들(1) -간호진단 관련 분류 체계를 이용한 최근 연구들(1) -간호진단 관련 NANDA 의 간호진단만을 단독으로 가지고 수행된 연구는 1996년 이후에는 없음. 가정간호사업을 통한 간호진단분류 연구 (이소우 등,1996, 가정간호학회지)

분류 체계를 이용한 최근 연구들(2) -간호중재관련 분류 체계를 이용한 최근 연구들(2) -간호중재관련 가정간호에서 사용된 간호진단과 간호중재분류에 관한 연구(서미혜 등,1998: 김조자 등,1999) 한국에서의 NIC의 구조타당성 검증 ( 박성애,1999) NANDA 간호진단과 NIC의 연계에 관한 타당성 연구(박성애 등,2001) NIC의 한글 명명화에 대한 타당성 연구 (박현애 등, 1999) 그밖에 NIC적용하여 각 분야별 실무에 적용한 국내연구들 (10편)

분류 체계를 이용한 최근 연구들(3)- 간호결과관련 분류 체계를 이용한 최근 연구들(3)- 간호결과관련 NOC의 한글명명화에 대한 타당성 연구 ( 박현애 등,2000: 염영희,지성애 등-260개- ,2002) 간호결과분류(NOC)에 기초한 타당성 검증-학대결과, 자가간호결과- 염영희,이규은(2000), NOC의 타당성 검증:지역사회 간호결과를 중심으로 (이은주,2002)

분류 체계를 이용한 최근 연구들(4) ICNP관련 기타 전자간호기록을 위한 간호용어체계 개발 및 평가연구 (조인숙 등,2002) 간호기록분석(류동희,2002) 기타 간호진단,간호중재 및 환자 결과에 대한 분류체계의 비교분석 (박현애 등,1998)

ACENDIO 2003 발표된 연구들(1) NANDA의 Nursing Diagnosis와 관련 연구-13편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에 관한 연구-2편 NANDA의 간호진단과 NIC을 연계-1편 NIC(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관련 연구 –3편

ACENDIO 2003 발표된 연구들(2) NIC과 NOC연계한 연구-1편 ICNP에 대한 연구-6편 INMDS(International nursing minimum data set)관련연구-3편 PNDS(perioperative nursing data set)관련연구-2편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ioning)-2편

결론(1) 외국에서는 간호진단에 대한 연구가 계속 활발하게 진행중이나, 아직까지 NANDA간호진단을 한국의 간호실무에 적용 어려움 →한국형 간호진단분류체계의 개발 및 검증 필요 국내에서 각 분야별 실무의 간호중재분류체계의 적용 연구들은 활발→ 간호결과와 연계하려는 노력이 필요

결론(2) 간호결과분류체계에 대한 관심 및 연구 부족 →임상연구,간호학계에서 evidence-based knowledge의 필요성 지각 점점 실무의 간호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가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연구들이 진행 →각 실무분야 별 체계적인 데이터 베이스 개발 및 검증 필요 → 데이터 베이스의 다양한 활용 방안 모색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