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ke 물리치료학과 201010208 서지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어지럼증 이란 ? 어지럼증의 원인은 ? 노인에서 어지럼증이 많은 이유는 ? 어지럼증은 어떻게 진료를 받는가 ? 어지럼증의 치료는 ?
Advertisements

틱장애 (TIC DISORDER) 권영신 전선옥. 목차 정의 원인 증상 경과 진단 검사 치료방법.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뇌졸중예방 및 치료 신세계병원 김병기신경과과장.
뇌혈관 질환 노인의 이해 및 치료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임상전문간호사. 유 성 희.
Ⅰ. 체육의 과학적 원리 송 대 일 동 신 고 등 학 교.
성적장애의 진단분류 및 기준 Classification and Ctiteria
요세관 질환 (Tubular disorder)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뇌졸중 안창평,현주환,이승엽.
생리심리학 발표: "잠자는 뇌를 깨워라" 사회복지학과 김마리아.
혈우병 발표자 : 조은아.
Cerebrovascular Diseases (뇌졸중)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EDH vs. SDH.
낙 상 지 표 정 의 서 지 표 명 낙상 후 손상발생률 지표정의 낙상발생 건수 중 손상이 있는 건의 비율 분자정의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뇌졸중 대상자 관리.
- 심부 정맥 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 -
퇴행성 신경질환.
러스크 수지병원 오수아 채세영.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Kyung Dong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im Chan Mun
과목 : 재활의학 담당교수 : 박주형교수님 학번 : 이름 : 최재완 제출일자 :
좌측마비와 우측마비의 특징 담당교수님 : 박주형교수님 안진성
피부의 구조 및 기능 피부는 표층으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 피부부속기로는 털, 기름샘, 땀샘 등이 있다. 발생학적으로 피부는 외배엽과 중간엽에서 유래한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이고, 표층으로부터.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두통의 방사선학적 접근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 영 칠.
ER(응급실) CASE STUDY 서효혜.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수술 전/후 사진. 수술 전/후 사진 관절경 수술 적용 질환 7. 수술 후 처치 및 재활 치료 1) 수술 시 발생한 창상 부위(약 1cm 정도)는 감염의 예방을 위해 약 5~7일 정도 소독하며, 수술 후 다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이 가슴보다 약간 위쪽에.
근관치료학 개요.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질병분류(KCD) 사용지침 전신을 침해하는 질환군 (2개 항으로 분류) 전신병적 질환군 (2개 항으로 분류)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척수 매독 ( Tabes Dorsalis) 이 종 필.
ECG (ElectroCardioGram)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심장질환 심방세동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심장판막 질환 심장질환 뇌졸중 자체 ⇒ 허혈성심근경색증 등의 심장병의 중요한 위험인자 상당수의 뇌졸중 환자 ⇒ 뇌졸중 발병후 심장병 으로 사망 심장병이 있는 경우는 뇌졸중의 예방에 관심을 두자!!! 뇌졸중이 있는 경우는.
전기진단검사 I.
운동처방론 우송대학교 스포츠건강재활학부 김 명 화.
(생각열기) 혈액의 순환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웃음의 힘 POWERPOINT 광고홍보학과 강지수.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병리학의 영역 박 주 완.
Video Fluoro Scopy Study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중 증 환 자 보 고 서 2007년 1월 11일.
장창숙 순환장애.
Automatic nerve system
15. 지 혈 * 지혈이란? -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을 막는 것 인위적인 지혈(동맥, 큰 혈관)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전문운동처방연구소 웰 – 빙 Special Exercise Prescription Research Institute 봉 순 녕
동물의 수정과 발생(2) 닭이 먼저? 달걀이 먼저? 수정란의 초기 발생 개구리의 발생 과정 닭의 발생 과정.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안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Stroke 물리치료학과 201010208 서지우

차례 2. Stroke의 증상 3. Stroke의 원인 및 병태생리 4. Stroke의 진단 및 평가

1. 정의 뇌졸중(Stroke)은 뇌 속의 신경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손상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신체장애를 초래하는 뇌혈관성 질환이다. 뇌졸중은 순환계통의 혈관이 원인이 되어 24시간 또는 그 이상 지속되거나 사망을 초래하고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국소 또는 전반적인 뇌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징후라고 정의한다.

간단하게 보자면,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 (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뇌출혈 (출혈성 뇌졸중)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주로 뇌경색이 70~80%, 뇌출혈이 20~30% 발생하며 범위가 넓다.

뇌경색 뇌출혈

2. 증상 1) 앞대뇌동맥 손상 : 다리운동영역 손상으로 다리마비를 초래하고, 반대측 팔의 부전마비를 보인다. 언행 반복증과 기억상실증이 나타난다. 2) 중간대뇌동맥 손상 : 반대측 마비와 감정장애를 보이며 체성 운동영역의 손상을 의미한다. 브로카 영역(Broca`s area)의 손상으로 운동성 실어증이 발생한다. 3) 뒤대뇌동맥 손상 : 말초영역의 손상은 동측성 반맹증과 양측의 동측성 반맹증, 기억상실과 국소방향감각상실이 나타난다.

4) 속목동맥 손상 : 중간뇌, 앞뇌, 뒤뇌 영역의 폐쇄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징후가 나타난다 4) 속목동맥 손상 : 중간뇌, 앞뇌, 뒤뇌 영역의 폐쇄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징후가 나타난다. 5) 바닥동맥 손상 : 위 소뇌동맥 손상으로 인한 조화운동 못함증, 현기증, 구역질, 구토 등이 나타나고, 앞아래 소뇌동맥 손상으로 반대쪽에 통각과 온도 감각 저하가 초래된다. 6) 척추동맥 손상 : 촉각 및 고유수용성 감각 소실, 팔다리의 반불완전마비, 무감각, 조화운동못함증, 혀의마비 등이 초래된다.

3. 원인 및 병태생리 1) 뇌경색 (허혈성 뇌졸중)의 원인 :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동맥경화증이 발생하여 뇌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2) 일반적인 뇌졸중의 원인 : 뇌출혈, 혈전증, 색전증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등의 외상성 손상, 매독 및 뇌염에 의한 감염, 백혈병 및 고혈압, 스트레스에 의한 기타 질환 등이 있다.

(1) 혈전 thrombosis : 혈액의 구성성분에 의해 응고되어 만들어진 고형물 덩어리를 혈 전이라고 한다. (2) 색전 embolism : 이물질에 의해 작은 혈관이 막힌 것으로써 원인 물질로는 혈전이 가장 많다. (3) 경색 infarction : 혈관이 혈전과 같이 어떤 원인에 의해 폐쇄되어 혈액 순환 장애가 발생하여 조직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을 경색이라고 한다.

(4) 출혈 cerebral hemorrhage : 뇌혈관의 속막 밖으로 터져 혈액이 유출되는 것이다. (5) 종양 tumor (6) 외상 trauma : 외상에 기인한 혈관 손상을 의미한다. (7) 감염 infection (8) 기타 : 백혈병, 고혈압, 동맥경화, 스트레스 등이 있다.

3) 병태생리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 피딱지(blood clot)와 플로그(plugs)로 인해 막혀서 발생한다. - 뇌혈전증 cerebral thrombosis : 뇌 또는 목 혈관 내에 핏덩어리에 의해 통로가 막히면서 신경 기능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 뇌색전증 cerebral embolism ; 핏덩어리와 같은 이물질이 혈관을 따라 순환하다가 목 동맥에 폐색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 열공성 lacunar stroke : 작은 구멍이 생긴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대뇌바닥핵 및 대뇌겉질 그리고 사이뇌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 - 뇌협착증 cerebral stenosis : 뇌로 가는 동맥이 좁아진 상태.

(2)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eic stroke : 뇌혈관 파열이 원인이 되어 뇌혈관 부위에 출혈이 생긴 것으로써 거미막하출혈과 뇌내출혈로 구분한다. - 뇌내 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 ICH : 뇌 안의 혈관이 파열된 것을 말하며 악화될 경우 수술이 요구된다. - 거미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 SAH : 뇌동정맥 기형(AVM), 출혈성 소인 또는 원인 미상으로 발생한다. - 뇌수종 hydrocephalus

(3) 일과성 뇌허혈 발작 transient ischemic attack ; TIA : 뇌졸중의 바로 전 단계이며, 뇌로 가는 작은 뇌혈관의 혈액이 일시적으로 폐쇄 증상을 보이는 것이다. 현기증, 팔 다리의 운동 및 감각 장애, 시야장애, 보행이나 기립장애등이 갑자기 발생한다. 그러나 혈액이 다시 순환하면서 24시간 이내에 증상이 완전히 회복된다.

4. 진단 및 평가 1) 반구의 영역별 기능 (1) 오른쪽 반구의 조절 : 신체 지배, 공간 및 거리, 크기, 속도, 위치에 대한 분석, 단기 기억을 담당한다. (2) 왼쪽 반구의 조절 (3) 소뇌 조절 : 대체로 큰 움직임에 의한 장애가 나타난다. (4) 뇌줄기 조절 : 생명활동 보조 역할을 담당한다.

2) 뇌졸중의 진단 및 평가 (1) 해부학적 진단 - 팔다리 운동마비와 공동편위가 나타날 경우, 대뇌반구의 병변이 나타난다 2) 뇌졸중의 진단 및 평가 (1) 해부학적 진단 - 팔다리 운동마비와 공동편위가 나타날 경우, 대뇌반구의 병변이 나타난다. - 해리감각 장애가 있을 때, 뇌줄기의 병변일 가능성이 높다. - 몸 위치감각, 촉감의 소실이 통감 및 온도감에 비해 심할 경우 대뇌반구의 병변을 의심한다. - 어지러움(vertigo), 겹보임(diplopia), 조화운동못함증(ataxia), 귀먹음(deafness)의 증상은 항상 뇌줄기의 병변을 나타낸다.

3) 위험 요인 및 인자 (1) 예방 불가능인자 4가지 위험요인 - 나이 - 성별 - 인종 - 가족력 (2) 예방가능인자 - 흡연 - 알코올 - 고지질혈증

4) 증상 및 징후 :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들은 전조증상을 경험하거나 또는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기에 의학적인 주의를 빠르게 처리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뇌졸중의 징후는 뇌의 한쪽이 손상을 받아 신체 반대쪽 팔,다리의 침범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뇌 손상의 심각성 여부에 따라 뇌졸중의 증상과 경고징후(warning signs)가 각각 차이가 난다. 뇌졸중의 전조 증상 : 일시적 뇌졸증(TIAs)이 나타나며, 뇌졸중 유발 이전에 나타나는 주요 증상이다. (2) 모야모야병 Moyamoya disease : 주로 소아에게 발병하는 뇌혈관 질환이다.

뇌졸중의 전조 증상(warning symptom) - 갑자기 얼굴 표정을 지을 수 없고 약해진다

5. 치료 및 중재 1) 의학적 치료 2) 뇌졸중의 치료 및 재활 - 재활은 발병 후 즉시 시작해야만 한다. - 가족은 재활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지지 기반일 수 있다. - 뇌졸중 재활은 전문가들이 모인 팀 재활이다. - 뇌졸중 생존자의 10%는 완전히 회복되고, 25%는 최소 손상을 갖게 되며, 40%는 중등도에서 심한 손상을 경험하게 된다. 15%는 발병 후 짧은 기간 내에 사망하고, 14%는 일년 이내에 2차 뇌졸중(second attack)이 발생한다.

- 뇌졸중 재활의 목표는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수준으로 회복시키 는 것이다. -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뇌졸중 재활의 목표는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수준으로 회복시키 는 것이다. -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재활 시기는 빨리 시작하는 것이 우선적이다.

3) 신경계 물리치료 (1) 신경 발달 치료 (보바스, bobath approach) : 개념은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근육 긴장도와 자세 및 동작, 기능장애를 평가하며, 평가를 통해 그에 맞는 치료를 하여 기능 회복을 촉진시킨다. 치료 원리에서는 조절점이 중요하다. (2) 고유 수용성 신경 촉진법 PNF : 치료목적은 신체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치료는 치료사와 환자의 의지에 달려있다. 치료할 때는 입체적으로 접근하고, 룸브리컬(Lumbrical grip)으로 잡는다.

(3) 브룬스트룸 Brunnstrom (4) 루드 Rood 접근법 (5) 보이타 Vojta

4) 작업치료 occupational therapy, OT 5) 언어치료 speech therapy, ST 6) 정신 심리치료 psychological therapies 7) 원예치료 horticultural therapy 8) 미술치료 art therapy 9) 뇌졸중 예방 prevention of stroke

6. 합병증 : 신경학적인 증상, 감염성, 운동성, 이차적인 혈전 및 색전이 있으며, 팔다리와 관절의 통증, 심혈관계 변화,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 비뇨기계 요로감염 등이 있다. 흡인성 허파염 aspiration pneumonia : 폐렴은 흡인성 허파염이 가장 흔하고, 삼킴곤란과 동반되어 발생한다. 2) 요로감염 및 소변보기 곤란 urinary tract infection or dysuria : 배뇨곤란이 발생하여 방광이 급격히 팽창되고, 소변보기를 어렵게 하며, 배뇨근육의 손상이 함께 일어난다.

3) 깊은 정맥 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에서 특히 발생확률이 높으며, 움직이지 못하는 아래쪽 다리의 마비로 인한 발생이 50%정도 된다. 일반적으로 뇌졸중 발병 후 일주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증상으로는 통증, 발적, 종창 등의 임상 증상이 나타난다. 4) 욕창 decubitus ulcar : 부동자세로 침상에 장기간 있는 SCI, 사지마비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하며, 뼈가 돌출되어 있는 부위에 많이 발생하고, 뇌졸중 환자의 약 9%에서 발생한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