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U case study 08802018 배혜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Chief Complaint RUQ pain onset > remote: 3 개월 전 recent: 내원당일 오전 8 시 Present Illness M/ 68, 특이병력 없던 자 3 개원 전부터 intermittent RUQ pain 시작되어 2 주 전부터 local.
6 장 클라이언트의 모델. 기능회복 모델 포괄적인 평가 - 병력 - 문제점과 관련된 영역의 조사 - 구체적 평가 자료수집 후 평가 - 현재 상태의 정도 - 손상된 정도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손상 / 기능제한 / 장애의 근거한 진단 - 기능적 장애의 정도 - 만성 / 급성.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GI conferenc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정지민, 정혜경, 강민정, 김성은, 김태헌, 심기남, 정성애, 유권, 문일환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장현주, 최민호, 은창수, 계세협, 이 진
81병동 Case Study 이수미.
Case Study 102 병동 성인간호학 실습 양남영 교수님 이상희.
성인간호학 (ICU) CASE STUDY 목 차 서 론 1) 사례연구의 목적 및 문헌고찰 본 론 1) 간호사정 2) 환자사정
Case Study – 102병동 김초아 성인간호학 실습 - 양남영 교수님.
[ C O P D ].
‘중환자실 CASE’ 유지영.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증 례 59세 남자환자 비소세포 폐암으로 좌측 폐 전 절제술 (Left pneumonectomy) 받고, 경과 관찰 중 호흡곤란 및 발열 발생하여 중환자실 입원함.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102w case study 배혜인.
퇴행성 신경질환.
사례 연구 81병동 – 소화기내과 과 목 명 성인간호학Ⅳ 학 과 간호학과 담당교수님 양남영 교수님 학 번
제 1 장 호흡기 장애.
SICU 사례연구 -최OO – 진단명 : Hemoperitoneum 박민수.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Tube Feeding NG tube/PEG,PEJ/OE tube
Case presentation R1 박정훈.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증례 집담회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내과 조규현.
성인 간호학 (내과계 병동) case study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환자의 사례연구 102병동 CASE STUDY
구강악안면외과 환자와 치과위생사.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CASE study - ICU 방예경.
102병동 CASE STUDY   학과 : 간호학과 학번 : 학년 : 3학년 이름 : 이민성.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ICU Case Study -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우은경.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ICU case study -AMI 박효은.
CASE STUDY: PNEUMONIA.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토혈과 흑혈변을 주소로 내원한 신증후성 출혈열 환자 1예
CCU Case 환자 보고서 서효혜.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Pulmonary function I 이현숙교수님 김천동 PFT II.
PULMONARY FUNCTION2 한방의료공학과 김희주.
노인의 설사.
비침습성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하는 환자에게서 호기 기도 양압 올리는 경우 공기 삼킴증 (Aerophagia) 에 의한 횡격막 기능 부전위험성 있다.
면역 장애 1 1.
Video Fluoro Scopy Study
약물조사 항암제 - 관해 유도 치료 - 유지요법 - 항생제 - 항진균제 - 진토제.
3조 : 손우리, 송문주, 신예림 안윤하, 양미진, 양진영 원데레사, 윤소연, 이경화, 이미선
복잡성 염색체 이상을 보인 아세포발증의 만성골수성백혈병 에서 STI571(Gleevec) 치료에 따른 혈액학적 검사소견   김영철, 전현배, 이영경, 박지영, 이경화, 조현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배경 Table 1. CBC profile of case.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월례집담회 영남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용길.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장 이상심리는 어떤 학문인가? 이상심리.
스트레스와 건강.
이화의대 소화기내과 김성은·심기남·염혜정·조유경·이종수·이창배·정성애
2010년 609병동 QI 환자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낙상 예방활동.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Fentanyl 사용시 보이는 이상 호흡 양상 (abnormal respiratory pattern)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이화의대 내과학교실, 의과학 연구소 조유경, 심기남, 이종수, 염혜정, 김성은, 정성애, 유권
홍채 부위별 기능과 영역 동공 직경 10-12mm 폭 4-5mm 두께 mm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esentation transcript:

ICU case study 08802018 배혜인

문헌고찰 2. 질환의 정의 - 폐를 손상시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호흡이 힘들어지는 질환들의 그룹을 일컫음 1. 질환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2. 질환의 정의 - 폐를 손상시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호흡이 힘들어지는 질환들의 그룹을 일컫음 - COPD의 가장 흔한 두 가지 형태는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임

3. 이론적 고찰 ① 원인 ② 증상 - 정확한 원인 알 수 없음 - 흡연, 만성기관지염, 폐 감염, 공기공해, 진폐증과 그 외 직업 - 과민성 인자, 유전인자, 노화, 혈관변화 등이 원인이거나 악화시키는 요인 ② 증상 - COPD의 조기 증상은 서서히 발생하며 천천히 진행됨 - 호흡곤란, 간헐적 기침, 활동 후 피로 (흔히 있는 3대 증상) - 호흡특징: 힘들여 호기를 하여 심한 경우, 공기를 허겁지겁 마시는 것처럼 보임 - 천명음(wheezing) - 체중감소, 전신쇠약, 비정상 혈액 가스치

③ 진단검사 ④ 치료 - 폐기능 검사, 혈액검사, 흉부 X선 촬영, 심전도(EKG), 가래검사, 운동부하검사 환경변화: 외부 공기오염, 독성물질에 노출을 피함 약물: 기관지확장제, 부신피질 H., 항생제, prednisone 운동 프로그램: 호흡기 재활 프로그램 등 영양: 균형잡힌 식사, 물 충분히 섭취 보조적 산소요법: 운동 능력↑, 심부전 완화, 정신 상태 호전 폐용적 감소술 폐 이식/ 심장이식

⑤ 간호 기도 청결을 위한 간호: 금기가 아닌 이상 적어도 하루에 8~10잔 수분섭취, 효과적 기침법 교육, 기침 전, 후 호흡음 확인, 자세 배액과 진동요법 같은 폐 물리요법 실시 호흡양상 조절 간호: 호흡수, 깊이, 호흡양상 자주 관찰, 반좌위, 산소투여 등 영양 증진 간호: 식사 전 또는 필요시마다 구강간호 실시, 소량씩 자주, 열량 높은 유동식 섭취, 음식섭취량, 체중변화 관찰 등 가스교환증진간호: 기도 청결하게 유지, 기관지확장제 투여 등 그 외, 감염예방 간호, 활동 내구성 증진 간호, 불안 감소 간호, 수면증진 간호, 성기능 증진 간호

간호사정 Ⅰ. 환자사정 일반적 배경(general background) 환자명: 남OO 입원일: 2010. 4. 29 진단명: COPD, pneumonia 연령/성별: 84세/F 종교: 기독교 학력: 초졸

2. 건강력(health history) 가계도 가족관계 모름, 가족력 모름 → 환자의 의사소통 장애로 인해 정보제공을 손녀가 하였는데, 모른다고 함 2) 과거력(past history) -과거질환: ① 고혈압 (약 20년 전 발병) → (+) ② 당뇨 (약 20년 전 발병) → (-) ③ 결핵 → (-) 완치 ④ 녹내장 (약 15년 전 발병) ⑤ CHF - Gastric ulcer로 입원경험 있음(04년)

3) 현병력(present health state) ① 발병당시 – 입원 전 CHF, HTN, COPD로 medication 중이며, 요양병원에서 medical treatment 중이셨음. 4월 22일 요양병원에서 타인과 부딪혀 뒤로 넘어진 후 발생한 hip pain으로 이후 condition 저하되었음. 내원 5일 전부터 mentailty 지속적으로 저하되어 내원 2~3일 전 부터는 말도 거의 하지 않음. Poor oral intake, general weakness 보임. Decreased mentality로 큰 병원 권유 → 논산 백제 병원 방문 → brain CT상 특이소견 보이지 않아 본원 ER로 옴.

② 입원 – 간호사정 당시 4월 28일 MICU로 입원 COPD: 내원 당시 saturation 84%였으나, ventilator 사용 및 O₂ supply로 95%로 호전 initial에 비해 wheezing 현저히 호전됨 Pneumonia: CXR상 cardiac border, diaphragm, blurring. cough/sputum (+/+) : 평소에도 있었다고 함 fever (-), leukocytosis(-) Pul. Congestion과 관련된 CHF: cardiomegaly, 약 5일간 poor intake, CVP:4 Decreased mentality: 내원 당시에 비해 eye opening되고 소리내는 등 호전 4) 주증상(chief complains) Vomiting General weakness

3.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키: 160cm / 체중: 40kg 활력징후: 110/59 – 17 – 80 – 37 소화기계: 치아상태; 틀니(위, 아래) 오심; (-) 구토; (+) 통증; (-) 설사; (+) 비위관 영양; (+) 배변습관; 불규칙적 장음; dec. 완화제 사용; (+) ↘시멘트같이 딱딱히 굳은 대변을 빼냄 심혈관계: 이상 없음 비뇨기계: 도뇨관 삽입, 1일 소변량; 7-8회/1일 (양: 50-250cc) 근골격계: 보행X (sedation 상태) 신경계: 의식; O 언어능력; X 운동; X 감각; O 마비; X 반사; O 피부계: 피부색 pale하고, L-tube feeding 중이라 구강으로 섭취 X, special mouse care 통해서 구강점막 양호하게 유지 중

4. 영양 5. 개인위생(ADL 평가) 6.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7. 정서적 상태 - 1일 식사량: 900cal(2배 농축) 식이형태: SLD 알러지 음식 없음 5. 개인위생(ADL 평가) - 의식은 있으나 자가활동이 되지 않아 개인 위생이 이루어지지 않음 6.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 의사소통 장애 7. 정서적 상태 - 입원과, 질병과 관련된 정서적 반응 알 수 없음 - 지지체계: 손녀

8. 활동 및 수면 9. 건강관리 10. 성적 및 영적 욕구 - 운동 할 수 없으며, 수면양상은 정상 음주(-), 흡연(-) - 입원 전 요양병원에서 관리 음주(-), 흡연(-) 10. 성적 및 영적 욕구 - 의사소통 장애로 측정불가

Ⅱ. 진단적 검사 ① 일반혈액검사 (5/10) 검사항목 정상범위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WBC 4,000-9,000/mm³ 13,900↑ 폐렴으로, 미생물의 감염 때문에 증가 Hb 12-16g/dl 9.6 ↓ 빈혈로 인한 감소 Hct 38-47 (%) 30.1↓ PLT 150,000~450,000/mm³ 213,000 정상 ESR 0-20(mm/hr) 46↑ 감염 때문에 증가 CRP 0.8 (mg/dl)이하 7.1↑

② 일반화학검사 (5/10) 검사항목 정상범위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BUN 7-18(Hmg/dl) 60.2↑ CHF로 인한 신기능저하로 증가 Creatine 0.7-1.5(Hmg/dl) 1.73↑ T. Protein 6.5-8.2(Lg/dl) 5.59↓ 신기능저하로 단백뇨 생겨 감소 Alb 3.3-5.3(Lg/dl) 2.61↓

③ 혈액가스검사:ABGA (5/10) 검사항목 정상범위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pH 7.35-7.45 7.465 정상 PCO₂ 35-45 29.9↓ COPD로 인한 감소 PO₂ 80-100 71.6↓ HCO₃ 22-26 21.7 BE/BD -1-+1 -0.5 Saturation 95이상 95.4

Chest PA (4월 28일) 2. Brain CT (5월 10일) ④ 촬영검사 Cardio thoracic ratio, C-T ratio가 0.5 이상인 상태로 보여져 cardiomegaly(심장비대) 알 수 있었다. 2. Brain CT (5월 10일) 별 다른 이상 없었음.

Ⅲ. 투여되는 약물 약물명 투여용량 투여경로 투여목적 관찰해야 할 부작용 Doxofylline 400mg po 호흡곤란 증상완화 구토, 두통, 빈맥, 단백뇨 furosemide 40mg CHF 치료 및 예방 혈소판, 백혈구 감소증, 저 K, Na 혈증 Bambuterol 10mg 폐질환 치료 두통, 불안 Bromhexine 4mg IV 기관지 확장하여 객담배출 구토, 식욕부진, 소양증 Furosemide 20mg CHF치료 및 예방

약물명 투여용량 투여경로 투여목적 관찰해야 할 부작용 Acetylcysteine 800mg nebul 객담 배출하기 위함 구토, 식욕부진, 기관지 경련 Lactulose 30cc po 막힌 대변을 배출하기 위함 복부팽만, 트림, 경련성 복부불편감 spironolactone 25mg CHF치료 구토, 설사, 근 경련 ranitidine 50mg IV 위궤양 치료 백혈구/혈소판 감소, 변비, 설사, 위장장애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5월 10일) - 근거자료 ① 주관적 자료: 숨을 헐떡거리면서 쉬시고, 힘겨워 보임 ② 객관적 자료: PCO₂, PO₂ 감소, 기침 시 가래가 많음 wheezing(천명음) 나타냄

2.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 (5월 11일) - 근거자료 ① 주관적 자료: 등 부위와 기저귀를 착용한 부위가 불그레함 움직이지 못하고 계속 누워있어, 피부탄력도가 떨어져 보임 ② 객관적 자료: 욕창위험요인 사정도구(braden scale) 검사결과 감각인지3 (약간 제한), 습기3 (약간 젖음), 활동1 (침상에 국한), 기동성2 (매우 제한), 영양3 (양호), 마찰과 쏠림2 (잠재적 문제) → 총점 14점으로 욕창관리가 필요하다.

3. 부동과 관련된 목욕 자가간호 결핍 옷 입기 자가간호 결핍 음식섭취 자가간호 결핍 용변 자가간호 결핍 (5월 11일) 용변 자가간호 결핍 (5월 11일) - 근거자료 ① 주관적 자료: 침상에만 계시며, 혼자서는 움직이지 못하심 ② 객관적 자료: limb movement 결과가 다음과 같으므로 움직임X → 자가간호 결핍 +1 +1 +1 +1 Rt. Lt.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