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3C 평형 상태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Advertisement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Ⅰ. 우주의 기원과 진화 3. 원자의 형성 원자의 구성 - 원자핵 (+) 와 전자 (-) - 전기적 중성 - 원소의 종류마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개수가 다름.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시약 및 Buffer 의 농도 계산법과 Pipette 의 사용법 기초생명과학 및 실험 2 주차.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과공석강의 미세조직 변화 상온에서는 과공석강의 미세조직은 퍼얼라이트 조직이 초석 세멘타이트에 의해 둘러 쌓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초석 세멘타이트는 아공석강에서의 초석 페라이트와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결정립계를 따라 핵생성 되었으므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12강. 용액과 농도.
문 제 1. 시험편에 압축하중을 가하여 생기는 오목자국의 지름을 측정하여 경도를 알아내는 시험은?
제 10장 2원 합금 상태도의 해설.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2015 학습성과발표회 포스터 ISA법을 이용한 MCFC 성능측정 지도교수 : 이충곤 교수님 이기정 화학공학과
산화막 (Oxide, SiO2)란?.
(생각열기)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와 모즐리의 주기율표 에서 원소를 나열하는 기준은? ( )
앙금 생성 반응식(1) 누가 앙금을 만들었는지 쉽게 알려 줘! 앙금 생성 반응식.
외국인 사진.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SDS-PAGE analysis.
기 술 자 료 집 ㈜ 두 성 테 크 차아염소산나트륨 ( NaOCl ).
기계재료 2012년 김동곤 교수.
투명 비누 만들기.
열처리 기초 학습내용 학습목표 ▐ 이번 차시의 주요 학습내용과 학습목표입니다. 1. Fe-Fe3C 평형 상태도
종류와 크기가 다른 고체입자의 겉보기밀도 측정
12장 화학반응의 반응열의 종류 화학 년 1학기.
Binary Liquid- Vapor Phase diagram
제 10장 2원 합금 상태도의 해설.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TiO2이용 친환경 소변기 3조 조동현 김동수 김낙천
(Phase Transformation)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내열금속재료 항공기 내열 재료 H조 전성표.
Fe-Fe3C 상태도.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Chapter03 캔버스(1) HTML5 Programming.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Terminology 평형상태도 : 합금이나 화합물의 물질계가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에 있을 때 이의 조성, 온도, 압력과 존재하는 상의 관계를 나타낸 것 상(相, phase) : 계 안에서 다른 부분과 명확한 경계로 구분되고 그 내부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균일하게 되어있는.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물질의 자성 자성 – 물질이 자석에 반응하는 성질 자성의 원인 1. 운동하는 전자에 의한 자기
Electromagnetics (전자기학) Electricity (전기학) Magnetics (자기학)
고분자 화학 4번째 시간.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무게법에 의한 강철 속의 니켈 정량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Nickel in steel)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2. 누화와 케이블링 1. 서론 2. 용량성 누화 3. 유도성 누화 4. 복합적인 누화(누화의 일반적인 이해)
1-5 용해도.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비열.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신소재열처리(제7강)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담당교수 : 신순기.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86.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1. 화학 결합 … 01. 분자 구조의 다양성 02. 화학 결합의 성질 03. 이온 결합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광물과 광물학.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저온지구시스템화학 및 실험 Ch.6 용해도도 JYU.
신소재열처리(제4강)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담당교수 : 신순기.
Presentation transcript:

Fe3C 평형 상태도

◈ 상태도 관련 용어 정리 ◈ -중량농도(wt%) : 중량 비 ①1계에서 물리화학적으로 균일한 부분 1. 계(System) 한 물질 또는 몇 개의 물질의 집합이 외부와 관계없이 독립해서 한 상태를 이루는 것 예) 1성분계(1원계), 2성분계(2원계) 2. 성분(Component) 1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 예) Cu-Ni계 : Cu와 Ni이 성분 3. 농도(Concentration), 조성(Composition)   1계에서 성분 상호간의 관계분량 즉 상호간의 비율   -중량농도(wt%) : 중량 비     -원자농도(at%) : 원자수의 비 4. 상(Phase) ①1계에서 물리화학적으로 균일한 부분 예) 물+기름 : 2성분계 2상, 물+에틸알콜 : 2성분계 1상   ②순 금속, 고용체(Solid solution), 금속간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 -용체(Solution) : 1물질 중에 타 물질이 용해되어 균질한 물질을 만들고 있는 것 액체인 경우는 solution(liquid solution), 고체인 경우는 solid solution이라 함 -금속간화합물 : 두 가지 이상의 금속원소가 간단한 정수비로 결합된 화합물 보통의 합금인 고용체와는 달리, 결정구조나 물리화학적 성질이 그 성분원소와 명확히 다름, 또한 일정한 녹는점을 가진 것

5. 상변태(Phase Transformation) 한 결정 구조에서 다른 결정 구조로 바뀌는 것 보통 1개의 상은 처음부터 화합물인 경우와 용체인 경우로 나뉨 6. 변태점 상의 변태가 일어나는 온도 예)순철의 변태 A3변태 A4변태 α - Fe ------> γ - Fe ------> δ - Fe (BCC) 912℃ (FCC) 1394℃ (BCC) 7. 평형 (Equilibrium) 1계에서 압력, 온도의 변화가 없는 경우 계의 상태가 시간이 경과해도 변화하지 않는 안정한 상태   -상태도 : 1계에 있어서 임의의 농도, 온도, 압력에서 평형상태에 있는 각 상의 종류와 상호량을 도시한 것 8. 상률(Phase rule) 계의 상태를 변화 시키지 않고 그 값을 독립적으로 자유로이 변화 시킬 수 있는 자유도를 규정한 법칙 -자유도의 변수 : 압력, 온도, 성분의 종류와 그 조성

◈ 평형 상태도 ◈ 1. 평형상태도 (equilibrium phase diagram) 온도, 압력, 성분농도가 변화하는데 따라서 합금의 상이 어떠한 상태로 되는 가를 나타내는 그림. 즉, 평형적으로 존재하는 합금의 상의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 평형 상태도이다. 2. 고용체의 평형상태도 ①액상선(Liquidus) : 곡선 A'C2D2B'이 액상선이며 이 선에서 초정(初晶)이 검출되는 변태개시 온도곡선이다. ②고상선(Solidus) : 곡선 A'C3D3B'이 고상선이며 이 선에서 액체에서 고체로의 변태가 완료된다.

◈ Fe-Fe3C 평형상태도 ◈ 6.67%C까지의 탄소를 가지는 Fe-C 합금을 매 우 서냉 시킬 때 온도에 따라서 존재하는 상영역을 나타낸 그림. 2. 종류 ① Fe-Fe3C계 :Cementite, 시멘타이트 (실선) ② Fe-C계 :Graphite, 흑연(점선) 시멘타이트로 부르는 Fe3C는 금속간화합물로평형상이 아닌 준평형상이기 때문에 이 상태도는 엄밀하게 말하면 평형 상태도가 아니며, 어떤 조건하에서 시멘타이트는 더욱 안정한 상인 철과 흑연으로 분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Fe- Fe3C계 상태도는 준 안정 상태도이다. 그러나 Fe3C는 한번 형성되기만 하며 실질적으로 매우 안정하게 존재함으로 평형상으로 간주된다.

4. Fe-C계 상태도에서 각 선 및 점이 가지는 의미 A 순철의 응고점( 1539℃) AB δ고용체의 액상선 (liquidus line, 초정선), 용액에서 δ고용체가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 AH δ고용체의 고상선(solidus line), 탄소함유량 0.1%이하의 강에서 δ고용체의 정출 완료 온도 BC γ고용체의 액상선, 융액에서 γ고용체가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 JE γ고용체의 고상선, γ고용체의 정출 완료 온도 HJB 포정선(peritectic line)이며, 일정온도(1490℃)에서 탄소함유량 0.1%~0.5%사이의 강에서는 다음 포정 반응을 일으킴 [δ고용체]H + (융액)B ↔[γ고용체]J 이 반응은 3상 공존이므로 일정온도에서 진행됨 N 순철의 A4 변태점 ([δ]N ↔[γ]N)(1400℃) NH δ고용체가 γ고용체로 변태하기시작하는 온도 NJ δ고용체가 γ고용체로 변태하는 것이 끝나는 온도, 탄소함유량의 증가에 따라서 A4변태 개시점과 완료점 은 상승함 CD cementite (Fe3C)의 액상선, 융액에서 Fe3C가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 E γ고용체에 대한 C의 포화량(2.0%)를 표시함. γ고용체를 austenite라 부름. C F-C계 상태도의 공정점, 탄소량 4.3%, 온도 1130℃ ECF 공정선, 탄소함유량 2.0% ~ 6.67%까지 ES Fe3C의 초석선, γ고용체에서 Fe3C가 석출하기 시작하는 온도, Acm선 G 순철의 A3 변태점 즉 [α]↔(γ) (910℃)

GS α고용체의 초석선, 강의 A3변태점에 해당하며 냉각시에 그 온도에 달하면 γ고용체에서 α고용체 가 석축하기 시작함. 이 점들은 탄소함유량의 증가에 따라서 강하하여 C 0.8%에서 A1점(732℃) 과 합치됨. GP C 0.025%이하의 합금에서 γ고용체에서 α고용체가석출 완료하는 온도 M 순철의 A2 변태점 MO 강의 A2 변태선, 온도 768℃ S 공석점, 723℃, 약 0.8%C이고, γ고용체에서 α고용체와 Fe3C가 동시에 석출하여 pearlite라고 부르는 공석강을 만드는 점 P α고용체의 탄소포화점, 탄소량 0.025%, α고용체를 ferrite라 부름 PSK A1변태선 또는 공석선, 온도 723℃, 탄소량 0.025% ~ 6.67%까지이며, 이 사이에서 Fe-C 합금은 공석 반응을 함 PQ α고용체의 탄소용해도 곡선이고 α철 중에 고용할 수 있는 C의 양은 온도강하에 따라서 감소하여 상온에 서 0.08%정도 임

5. Fe-C계 상태도에서 각 구역의 조직과 결정구조 <각 구역의 조직 성분> 구역 조직성분 Ⅰ 용액 Ⅶ Fe₃C+용체 Ⅱ δ고용체+용액 Ⅷ γ고용체+Fe₃C Ⅲ δ고용체 Ⅸ α고용체+γ고용체 Ⅳ δ고용체+γ고용체 Ⅹ α고용체 Ⅴ γ고용체 Ⅺ α고용체+Fe₃C Ⅵ γ고용체+용액 <조직과 결정구조> 기 호 명 칭 결 정 구 조 α α ferrite B.C.C γ austenite F.C.C δ δ ferrite Fe3C cementite or 탄화철 금속간 화합물 α+Fe3C pearlite(공석조직) α와Fe3C의 기계적 혼합 γ+Fe3C ledeburite(공석조직) γ와Fe3C의 기계적 혼합

① α 페라이트(α-Ferrite) ② 오스테나이트(Austenite) - γ철에 탄소가 고용되어 있는 고용체 - α철에 탄소가 고용되어 있는 고용체, α 페라이트 또는 단순히 페라이트라고 함 - BCC 결정구조 - 탄소고용도 최대 탄소고용도는 723℃에서 0.02% (페라이트에 고용할 수 있는 탄소량은 매우 적음)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서 감소(상온 0℃에서 0.008%정도) 탄소원자는 철 원자에 비해서 비교적 원자크기가 작으므로 철의 결정격자내의 침입형 자리에 위치 ② 오스테나이트(Austenite)    - γ철에 탄소가 고용되어 있는 고용체 - FCC 결정구조 - 탄소고용도 최대 탄소고용도는 1148℃에서 2.08% α 페라이트보다 매우 큼.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서 감소(723℃에서 0.8%) α 페라이트에서와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는 철의 결정격자내의 침입형 자리에 위치

③ δ 페라이트(δ-Ferrite) ④ 시멘타이트(Cementite) - δ 철에 탄소가 함유되어 있는 고용체 - BCC 결정구조 - 탄소고용도 최대 탄소고용도는 1495℃에서 0.09% ④ 시멘타이트(Cementite)    - Fe-C의 금속간화합물인 철탄화물(Fe3C) - 6.67%의 탄소 / 93.3% 철(Fe) - 사방정 결정구조 (단위격자 당 12개의 Fe원자와 4개의 C원자를 가짐) - 매우 경하고 취약한 성질  

① 공석반응(Eutectoid Reaction) 6. 불변반응 ① 공석반응(Eutectoid Reaction) - 어떤 일정한 온도에서 한 개의 고용체로 부터 동시에 다른 두 개의 고상이 석출되는 현상 - 공석반응 : γ -> α + β - Fe-Fe3C 상태도에서의 공석반응 0.8% C의 조성을 갖는 γ 오스테나이트가 723 ℃의 일정한 온도에서 0.02% C의 조성을 갖는 α 페라이트와 6.67% C의 시멘타이트( Fe3C) 로 분해되는 반응 - 공석강 : 0.8% C의 조성을 갖는 강 - 공석조직 α (페라이트) + Fe3C(시멘타이트) => Pearlite (펄라이트) 723 ℃ α 페라이트 + 시멘타이트 (0.02%C) (6.67%C) γ 오스테나이트 (0.8%C)

- 용융합금이 냉각 할 때 일정한 온도(공정점)에서 두 고상 ② 공정반응(Eutectic Reaction) - 용융합금이 냉각 할 때 일정한 온도(공정점)에서 두 고상 이 동시에 정출되는 현상 - 공정반응 : L -> α + β - Fe-Fe3C 상태도에서의 공정반응 4.3%C의 조성을 갖는 액상이 1148℃의 일정한 온도에서 2.08%C의 조성을 갖는 γ 오스테나이트와 6.67%C의 시멘 타이트로 변화하는 반응 - 공정점: 공정반응이 일어나는 조성과 온도 공정조직 : 층상구조 1148 ℃ γ 오스테나이트 + 시멘타이트 (2.08%C) (6.67%C) 액상 (4.3%C)

- 하나의 고상(α)과 하나의 액상(L)이 반응하여 새로운 고상 ③ 포정반응(Peritectic Reaction) - 하나의 고상(α)과 하나의 액상(L)이 반응하여 새로운 고상 이 (β ) 정출되는 항온변태 반응 - Fe-Fe3C 상태도에서의 포정반응 0.53%C의 조성을 갖는 액상과 0.09%C의 조성을 갖는 δ 페라이트가 1495℃의 일정한 온도에서 0.17%C의 조 성을 갖는 γ 오스테나이트로 변화하는 반응 - 포정조직: α상 주위에 β가 둘러싸는 듯한 조직 1148 ℃ 액 상 + δ 페라이트 (0.53%C) (0.09%C) γ 오스테나이트 (0.17%C)

◈ 탄소강의 변태 ◈

<Fe-Fe3C계 평형상태도와 변태조직도> <공석강(共析鋼, Eurectoid Steel)> -공석반응에 의해 형성 0.8%C를 함유하는 조성의 탄소강(S점)이 723℃이하로 냉각될 때 오스테나이트가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로 분 해되는 반응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A1선 (723℃) -공석변태, 펄라이트(pearlite)변태, A1변태 -아공석강(亞共析鋼, Hypoeutectoid Steel) : 0.8%C 이하 순철이 γ 철로 변태하는 온도는 910℃(Ac3점)이지만 아공 석강이 γ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변태하는 온도는 GS선 이상이므로 이 GS선을 A3선이라고 한다.   -과공석강(過共析鋼, Hypereutectoid Steel) : 0.8%C 이상 과공석강에서는 SE선 이상으로 가열될 때 단상의 오스테나이트 로 변태하므로 이 SE선을 Acm선이라고 부른다. <Fe-Fe3C계 평형상태도와 변태조직도>

e f 1. 탄소강의 서냉시 조직변화 ① 공석강 공석탄소강 오스테나이트 공석온도 직상, 오스테나이트 ① 공석강   가열(750 ℃) 공석탄소강 (0.8%C) 오스테나이트 서냉 공석온도 직상, 오스테나이트 e α 페라이트+시멘타이트(Fe3C)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교대로 반복되어지는 층상조직(lamellar structure)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형태가 진주(pearl)와 비슷하기 때문에 펄라이트(Pearlite)라고 부른다.   f

c d b ② 아공석강 아공석탄소강 (0.8%C) 오스테나이트 서냉 가열(900 ℃) ② 아공석강   펄라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페라이트는 초석 페라이트와 구별하기 위해서 공석 페라이트(eutectoid ferrite)라고 한다. 가열(900 ℃) 아공석탄소강 (0.8%C) 오스테나이트 서냉 약 775℃,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서 초석페라이트 핵생성 b 오스테나이트 속으로 초석페라이트 계속 성장 c 페라이트가 형성된 지역의 과잉탄소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계면으로부터 오스테나이트 쪽으로 밀려나므로, 남아있는 오스테나이트의 탄소량은 점점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A1변태온도 직상인 c점에 도달되면 남아 있는 오스테나이트의 탄소량은 0.4%에서0.8%로 증가하게 된다. d A1 변태온도 (723℃ )직하, 오스테나이트 ---->펄라이트 (공석반응)

j k h ③ 과공석강 과공석탄소강 (0.8%C) 오스테나이트 서냉 가열(950 ℃) ③ 과공석강   펄라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시멘타이트는 초석 시멘타이트와 구별하기 위해서 공석 시멘타이트 (eutectoid cementite)라고 부른다. 가열(950 ℃) 과공석탄소강 (0.8%C) 오스테나이트 서냉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서 초석시멘타이트 핵생성 h 초석시멘타이트 계속 성장-오스테나이트 내의 탄소 고갈 j 이 냉각과정이 평형냉각이라고 가정할 때에 j점의 온도에서 남아 있는 오스테나이트의 탄소량은 1.2%에서 0.8%로 감소하게 될 것이다. k A1 변태온도 (723℃ )직하, 오스테나이트 ----->펄라이트 (공석반응)

2. 강의 열처리에 중요한 임계온도 A1 페라이트-시멘타이트 영역과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 또는 오스테나이트와 시멘타이트 영역간의 경계 *강의 가열시 변태온도* 723 – 10.7Mn – 16.9Ni + 29Si + 16.9Cr + 6.38W + 290As A3 ② A3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와 오스테나 이트 영역간의 경계 *강의 가열시 변태온도* 910 - 203√C – 15.2Ni + 44.7Si + 104V + 31.5Mo + 13.1W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