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책임자: 김 연 희 포천중문의대 재활의학과 부교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SM200 우리의 상품을 세계로 해외사업부영업관리부관리부선적관리부 2 SM200 핸드폰 해외 판매 전략.
Advertisements

사용자를 위한 효율적인 UI 란 ? 부서 : IT 사업부 디자인팀 발표자 : 현인철. 목 차목 차 1.UI (User Interface) 란 ? 2. UI 를 고려한 디자인의 필요성 3. 성공적인 UI 를 위한 방법 4. UI 분석과 평가법 5. 효과적 UI 제작을 위한방법.
EFFECTS OF TRAINING WITH A ROBOT-VIRTUAL REALITY SYSTEM COMPARED WITH A ROBOT ALONE ON THE GAIT OF INDIVIDUALS AFTER STROKE 상지영서대학 오효선 김은진.
6 장 클라이언트의 모델. 기능회복 모델 포괄적인 평가 - 병력 - 문제점과 관련된 영역의 조사 - 구체적 평가 자료수집 후 평가 - 현재 상태의 정도 - 손상된 정도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손상 / 기능제한 / 장애의 근거한 진단 - 기능적 장애의 정도 - 만성 / 급성.
지식정보의 전략적 관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중급관리자 핵심역량 개발과정 (2004 년 7 월 15 일 ) 건양대학교 조세형.
스핀코터: ACE-200 초정밀 그래픽 스핀코터 실시간 스텝별 데이터를 그래픽으로 확인 코팅 데이터 구축에 최적
FIBER OPTIC 1Ch Contact Closure Link
Brain-Computer Interfaces for Communication and Control
주요 유해위험기계등의 방호장치 설치 및 인정기준 (주요 지원품목의 설치시 유의사항)
DIGITAL DATA LINK SERIES
DIGITAL HDMI LINK ( MEGA PIXEL )
데이터 모델링 방법론 2003년 03월.
소프트웨어와 운영체제.
Anatomy tv 이용매뉴얼 ㈜신원데이터넷.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 for Social Welfare
퇴행성 신경질환.
제2부 정신장애의 이해와 간호 불안 장애 간호.
사용자 경험 측정 (Measuring User Experience)
공업통계학 (과제) 과제 1-9 : 목요일 분반 6월 01일 실습 시간 전까지
Learning Classifier using DNA Bagging
사용자 경험 측정 (Measuring User Experience)
Progress Seminar 선석규.
통계적 분석을 통한 Insulin의 정상참고치 설정
활성화 및 신경화학적 두뇌 기능 영상 PET 연구
단위과제 고차 뇌기능 측정 및 분석 연구 박 현 욱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전공.
2-1 대기 중의 물.
Progress Seminar 선석규.
인간행동과 심리학 15. 뇌과학의 응용.
99mTc-DMSA신장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1장. 데이터베이스 자료의 조직적 집합체_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이해
지도교수 : 이상훈교수님 학과 : 컴퓨터시뮬레이션 학번 : 이름 : 진선미
Module 3 : 프로세스 평가 Process Assessment.
활성화 및 신경화학적 두뇌 기능 영상 PET 연구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마음과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전기진단검사 I.
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Visual Basic 실습 Project Portfolio 한문 모의고사 생성기
신경계 발달 Primary Neurulation 재태기간 3주부터 Neural plate 출현 → 신경관 형성
Inferences concerning two populations and paired comparisons
교육진단검사 PEP-R.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QUEST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박은지 배정화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04. DBMS 개요 명지대학교 ICT 융합대학 김정호.
Video Fluoro Scopy Study
Progress Seminar 선석규.
선택형 및 실험평가 문항 제작 2007 중등 심화 연수 By K.Y Lee
2015년도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비 타당성 평가
- Process 분석 기법 (As-Is, To-Be)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2017년 수출성공패키지 사업 운영계획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 안내.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정보 INFRA 구축 RF카드를 이용한 고객관리시스템 구축 에클라트소프트.
멀티미디어시스템 제 5 장.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개념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간식의 세계!!.
2011학년도 졸업작품 주제 발표 -카메라 기반 제스처 인식 UI-
Progress Seminar 선석규.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선석규.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Presentation transcript:

연구책임자: 김 연 희 포천중문의대 재활의학과 부교수 뇌신경망 가소성 및 재조직 기능 연구 연구책임자: 김 연 희 포천중문의대 재활의학과 부교수

2차년도의 연구목표 및 내용 뇌 신경망의 가소성 및 재조직 기전 규명 DB 관리 S/W의 보완과 표준뇌 완성을 위한 DB 구축 운동 신경망의 가소성 및 재조직 기전 규명 대뇌피질, 피질하부 및 뇌기저핵 등 운동신경망의 손상부위에 따른 신경망 재조직 양상 규명 뇌손상 후 시간에 따라 신경망재조직의 양상변화와 운동기능과의 연관성 규명 주의력 장애와 관련된 뇌 신경망 변화 및 가소성과 재조직 규명 인지재활훈련에 따른 변화 약물 처치에 따른 변화 DB 관리 S/W의 보완과 표준뇌 완성을 위한 DB 구축 DB 관리 S/W의 보완 검색 조건의 추가, 영상 출력의 다양화, GUI 환경 개선 등의 S/W 수정 및 보완 성별에 따른 DB 구축 성별에 따라서 100 case 이상의 데이터 획득

연구 내용 운동 신경망의 가소성 및 재조직 기전 규명 주의력 장애와 관련된 뇌 신경망 변화 및 가소성과 재조직 규명 훈련에 의한 운동피질의 재조직 양상 규명 손상부위에 따른 운동신경망의 회복기전 주의력 장애와 관련된 뇌 신경망 변화 및 가소성과 재조직 규명 뇌손상 환자에서 인재재활 훈련 후 신경망의 변화 양상 규명 뇌손상 환자에서 약물처치 후 신경망의 변화 양상 규명 DB 관리 S/W의 보완과 표준뇌 완성을 위한 DB 구축 DB 관리 SW의 수정 및 보완 성별에 따른 DB 구축

연구 결과 1. 운동 신경망의 가소성 및 재조직 기전 규명 연구 결과 1. 운동 신경망의 가소성 및 재조직 기전 규명

뇌졸중 후 단기간의 집중 훈련 후 운동신경망의 재조직 양상 규명 (n=8) Clinical Test & fMRI Gross Motor Activities Fine Motor Activities Occupational Therapy Intensive Training Clinical Test & fMRI 5~6 hours with constraint or without constraint

Good Function & Plasticity Pre-Training Post-Training Patient 1 Patient 2

Moderate Function & Plasticity Pre-Training Post-Training Patient 3 Patient 4

Moderate Function & Plasticity Pre-Training Post-Training Patient 5 Patient 6

Poor Function & Plasticity Pre-Training Post-Training Patient 7 Patient 8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과제지향적 치료에 의한 대뇌피질 활성화 양상의 변화(1.5T fMRI) fMRI images before (A), and after (B), task-oriented training for 4 weeks. The contralateral SMC was newly activated in 2 patients (patients 1, and 2; single arrow). Ipsilateral SMC activity disappeared in 2 patients (patients 3, and 4; double arrow). The ipsilateral PMC (patient 1) and SMA (patient 3) disappeared and the contralateral PMC was newly activated in patient 2. Pre-TT; Pre-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Post-TT; Post-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미만성 축색 손상환자의 운동신경기능 회복 기전 (fMRI & TMS) (n=8) The contralateral primary sensori-motor cortex centered on the precentral knob was activated by the hand movements in a control subject (A) and in a patient (arrow) (C). The motor evoked potential (MEP) recorded from an abductor pollicis brevis muscle on stimulating the contralateral hemisphere in the same control subject (B) and in the same patient (D). The MEP of the patient was disper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subject. 

뇌손상으로 인한 편마비환자에서 보상운동패턴이 있는 환자의 대뇌피질 활성화 양상 (n=12)

Compensatory Movement Pattern Non-Compensatory Movement Pattern Average No.of activated voxels of contra. SM1 Percent of patients showing ipsilateral SM1 Unaffected Affected Compensatory group 62 135 83% Non-compensatory group 76 7

2. 주의력 장애와 관련된 뇌 신경망 변화 및 가소성과 재조직 규명

뇌손상 환자에서 인재재활 훈련 후 정확도 및 반응시간의 변화 (n=4) Accuracy Data (%) Reaction Time (msec.)

뇌손상 환자에서 인재재활 훈련 후 신경망의 변화 양상 (n=4) Visuospatial Attention Task Pre-Training Post-Training

Cingulate Activity pre- and post- CogRehab Training Visuospatial Attention Task Pre-Training Post-Training

뇌손상 환자에서 인재재활 훈련 후 신경망의 변화 양상 (n=4) Verbal Working Memory Task Pre-Training Post-Training

뇌손상 환자에서 콜린성 약물 처치 후 정확도 및 반응시간의 변화 (n=4) Accuracy Data (%) Reaction Time (msec.)

뇌손상 환자에서 콜린성 약물처치 후 신경망의 변화 양상 (n=4) Visuospatial Attention Task Pre-Training Post-Training

(Post minus Pre Medication) Subtraction Map (Post minus Pre Medication) Pre-Medication Post-Medication

뇌손상 환자에서 콜린성 약물처치 후 신경망의 변화 양상 (n=4) Verbal Working Memory Task Pre-Training Post-Training

3. DB관리 S/W의 보완과 표준뇌 완성을 위한 DB 구축

연구 목표, 필요성, 범위 연구 목표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범위 DB 관리 S/W를 보완하고 표준뇌 완성을 위한 DB를 구축하여 한국인이나 동양인에 맞는 표준뇌를 개발한다. 연구의 필요성 현재 대부분의 뇌기능 영상 분석 S/W는 서양인의 표준 뇌를 Template로 사용 (ex. SPM 99 – Talairach system) 한국인 뇌는 서양인의 뇌와 형태학적, 해부학적 차이가 있음 한국인의 기능적 뇌 지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해부학적 표준뇌가 필요 연구의 범위 검색조건의 추가, 영상 출력의 다양화, GUI 환경 개선 등의 DB 관리 S/W 수정 및 보완 성별에 따라서 100 case 이상의 데이터 획득

연구 내용 DB 관리 S/W 보완 DB Table 수정 질문지와 검사지를 바탕으로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피검자 정보들을 일관성있게 분류하여 새로이 설계 S/W 수정 새로운 DB Table과 연계되도록 GUI 개선 모든 객관적 데이터 검색기능 추가 피검자 정보 및 질문지 내용 피검자 기본정보, 현재병력, 과거병력, 행동과 생활습관, 능력과 취미, 현재건강과 신체상태, 영상정보 등을 포함 Edinburgh Handedness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ype A Behavior, Self-Rating Depression Scale, 사상체질 검사, Symptom Checklist, 지능진단 검사, 성격요인 검사 등을 포함

Graphic User Interface 사용자 인증 ODBC설정, 데이타삽입, 데이타삭제, 검색 피검자 정보 피검자 영상

Graphic User Interface Data Input 피검자자기본정보 현재 병력 사항 과거 병력 사항 행동 & 생활습관 영상 정보 능력 & 취미 현재건강과 신체상태 질문지 검사 기록

연구 내용 성별에 따른 DB 구축 Pulse sequence 3D MP_RAGE (Inversion Recovery Gradient Echo Type) Parameters TR = 10 ms, TE = 4 ms, TI = 100 ms, FOV = 220192192 mm, # of Slices = 128 Slice Gap = 0, Slice Thickness = 1.5mm Matrix Size = 256224128 획득된 피검자 수 및 연령정보

향후 계획 과제목표 향후계획 운동 신경망의 가소성 및 재조직 기전 규명 뇌손상 후 시간에 따라 신경망재조직의 양상변화와 운동기능과의 연관성 규명 주의력 장애와 관련된 뇌 신경망 변화 및 가소성과 재조직 규명 인지 훈련과 약물처치의 대상수 추가 인지 훈련과 약물처치 후 connectivity의 변화 양상 규명 DB관리 S/W의 보완과 표준뇌 완성을 위한 DB 구축 GM, WM, CSF 등의 segmentation 및 volumetry 20대와 40대의 성별 표준뇌 완성 및 비교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