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역 확산 통신의 기초 순천향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강 병 권 B.G.KANG SCH UNIVERSITY.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42 강 신호 변환 방식 5 과목 데이터통신 강사 이 민 욱. 42 강 신호 변환 방식  신호 변환 방식 1. 데이터와 신호 변환기 (1) 신호 변환기 ① Modem : 디지털 데이터 (Data) 를 아날로그 신호 (Signal) 로 변환시키는 장비로 PSTN( 공중.
Advertisements

4 세대 OFDM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 은 유럽, 일본 및 호주의 디지털 TV 표준으로 채택된 4 세대 (4G) 다중화 기술이다. ○ OFDM.
문자코드 1 박 2 일 (4 조 ) 이경도 이준집 이수연 엄태규. 문자코드란 ? 문자나 기호를 컴퓨터로 다루기 위하여, 문자나 기호 하나하나에 할당 시키는 고유의 숫자를 말하는 것이다.
Seminar Kim tae won.
컴퓨터와 인터넷.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추적 카메라 조원 : 최승호, 백진영, 이현지.
적분방법의 연속방정식으로부터 Q=AV 방정식을 도출하라.
“주파수가 인덕턴스에 미치는 영향”실험에 관련하여 실험결과가 다르게 나온 이유?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DSB-SC using Lab-Volt 3조 개미핥기 박창원 유현우.
통신시스템 공학 < 강의 자료 > 제 4 장 : AM (DSB-SC,DSB-LC)
연결리스트(linked list).
Chapter 7 Transmission Media.
메카 세미나 무선통신
10장 랜덤 디지털 신호처리 1.
Windows Server 장.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전기공학실험 함수발생기 설계.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 윤성우 저 열혈강의 C 프로그래밍 개정판 Chapter 12. 포인터의 이해.
DSB-SC using MATLAB 3조 개미핥기 박창원 유현우.
WCDMA 기반 3G 이동통신 시스템   물리계층 전송방식 및 성능분석.
Chapter 13 Wired LANs: Ethernet.
RS 및 D 플립플롭 RS Flip Flop 래치는 어떤 입력 레벨에 의해서 제어되는 데 플립플롭은 클록 입력이라고
JK 및 T 플립플롭 JK Flip-Flop JK 플립플롭은 디지털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립플롭으로
5 장 부호화(Encoding) 5.1 디지털-대-디지털 5.2 아날로그-대-디지털 5.3 디지털-대-아날로그
디지털영상처리 및 실습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제9장 채널용량(Channel capacity)
컴퓨터 계측 및 실습 D/A-converter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1. 초음파 가공의 구성 1. 초음파 가공 ◆ 초음파 가공기의 장치 구성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방법) 이름 : 김대진 학번 :
Young-Tae Han 다중화 Young-Tae Han
AM, FM.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자료구조: CHAP 4 리스트 (3)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하 상 호.
osp.chungbuk.ac.kr/2012년 강의자료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자료구조: CHAP 7 트리 –review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하 상 호.
Java의 정석 제 5 장 배 열 Java 정석 남궁성 강의 의
Quiz #7 다음 수들을 합병 정렬과 퀵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름 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데이터 이동 회수를 각각 구하라. 여러분은 정렬 과정을 단계별로 보이면서 이동 회수를 추적해야 한다. 단, 퀵 정렬시에 피봇으로 배열의 왼쪽 첫 번째 원소를 선택한다. 5.
LCD Controller Colorbar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장 비 사 양 서 제품특징 제품사양 제조국 브랜드 KEVIC 모 델 KV2191 품 명 WIRELESS RECEIVER
[문제] PLC에 대해 설명하고 구성도를 그리시오
Term Projects 다음에 주어진 2개중에서 한 개를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하시오. 기한: 중간 보고서: 5/30 (5)
4 장 신호(Signals) 4.1 아날로그와 디지털(Analog and Digital)
2장. 직접 연결에 의한 컴퓨터 통신.
3 장 주파수 영역 해석: 이산 Fourier 급수 및 Fourier 변환.
Decision Tree & Ensemble methods
아날로그-디지털 부호화(1/7)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아날로그-디지털 부호화 과정.
Ch.6 주파수 응답과 시스템개념 김하린 오희재 이연재
차세대통신시스템 3. 진폭 변조 (2) April 11 – 12, 2011 Yongwon Lee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미디어 트랜스코딩 부하분산 정책
2. 누화와 케이블링 1. 서론 2. 용량성 누화 3. 유도성 누화 4. 복합적인 누화(누화의 일반적인 이해)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전반사(Total Reflection)와 광통신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1 컴퓨터의 데이터 표현 진법에 대한 이해 n 진수 표현 방식 : n개의 문자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 그림 4-1.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3장 JSP프로그래밍의 개요 이장에서 배울 내용 : JSP페이지의 기본적인 개요설명과 JSP페이지의 처리과정 그리고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에 대해서 학습한다.
9 장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9.1 오류 종류 9.2 검출 9.3 오류 정정 9.4 요약.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상관계수.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 음 성 문 자 영 상 초고속 data 1 G 2 G 3 G 4 G 5 G 빠른 반응 analog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A/D 변환 시 고려하여 할 샘플링 주파수 D/A 변환기
꽃잎의 수로 피보나치 수열하기 장전초등학교 6학년 신찬유.
Presentation transcript:

대역 확산 통신의 기초 순천향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강 병 권 B.G.KANG SCH UNIVERSITY

대역 확산 통신 대역 확산(Spread Spectrum)통신은 말 그대로 신호의 대역을 확산시켜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이다. 대역을 확산시킴으로써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다수 사용자의 동시 사용을 목적으로 한 경우 SSMA통신이라고 한다. 대역 확산 통신의 시초는 군용 통신이며, 대역을 확산시킴으로써 적의 도청을 어렵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민간용으로 전환되어 상용으로 개발되면서 최대한 많은 사용자를 동시에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대역 확산 통신을 이동통신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1980년대에 SSMA 통신이라는 이름으로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CDMA 통신이라는 이름으로 점차 바뀌어졌다. 즉, SSMA와 CDMA 통신은 결과적으로 내용이 동일한 것이다. B.G.KANG SCH UNIVERSITY

SSMA통신의 개요 SSMA 통신에서 각 사용자는 고유의 코드 시퀀스를 할당 받는다. 이 코드는 확산 코드라고도 하며, 정보 신호에 곱해져 대역을 확산시킨다. 수신기는 이 확산 코드를 미리 알고 있어 이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복호하며, 원래의 정보를 복구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원하는 사용자의 코드와 다른 사용자의 코드 간에 상호 상관(cross-correlation)이 작기 때문이다. 확산 코드가 곱해진 신호는 원래의 정보 신호보다 대역폭이 훨씬 크기 때문에 코드를 곱하는 과정은 신호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는 과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이 과정을 대역 확산 변조라고도 한다. 결과적인 신호는 대역 확산된 신호가 된다. 전송되는 신호의 대역 확산으로 인하여 SSMA통신 또는 CDMA통신은 다중 접속 능력을 갖게 된다. B.G.KANG SCH UNIVERSITY

SSMA통신의 개요(2) 대역 확산 변조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전송 대역폭은 정보 신호의 대역폭보다 훨씬 커야 한다.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RF 신호의 대역폭은 전송되는 정보 신호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독립적인 상태이다. 즉, 대역폭은 정보 신호와 통계적 독립이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주파수 변조(FM)나 위상 변조(PM)은 대역 확산 통신의 변조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전송되는 신호의 대역폭과 정보 신호의 대역폭 비를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의 처리 이득(processing gain) Gp 라고 한다. 전송 신호의 대역폭을 Bt, 정보 신호의 대역폭을 Bi라고 하면 처리 이득은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B.G.KANG SCH UNIVERSITY

대역 확산 신호의 성질 신호의 대역폭이 넓음으로 인하여 대역 확산 신호는 협대역 신호와는 매우 다른 성질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대역 확산 신호의 성질을 고찰해 본다. 다중 접속 능력(Multiple access capability)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대역 확산 신호를 전송한다면, 수신기는 각 사용자의 고유한 코드를 알고 있으므로 원하는 사용자의 신호를 복구할 수 있다. 단, 이때 각 사용자 코드 간에 상호 상관의 값은 충분히 작아야 한다. 수신된 신호와 어느 사용자의 코드를 상관시키면, 이 사용자의 신호만 역확산(despread) 되고 다른 사용자의 신호는 여전히 넓은 대역폭 상에 확산된 상태로 남아 있다. 역확산이란 대역 확산 신호가 원래의 정보 신호 대역폭으로 작아 지는 것을 말하며, 따라서 정보 신호의 대역폭 만을 보면 원하는 사용자의 신호 전력이 다른 간섭 사용자들의 신호 전력보다 월등히 크기 때문에 원하는 신호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다음 페이지에 그림으로 설명하였다. B.G.KANG SCH UNIVERSITY

대역 확산 신호의 성질(2) 아래 그림에서 협대역의 두 사용자 신호는 (a)와 같이 각각 고유의 코드에 의하여 확산되고, 두 사용자 신호가 (b)와 같이 동시에 전송되어 섞여 있다고 하더라도 1번 사용자 신호의 코드를 수신기에서 발생시켜 상관시킴으로써 1번 사용자의 정보 신호를 복구할 수 있다. 대역 확산 다중 접속의 원리[16] B.G.KANG SCH UNIVERSITY

대역 확산 신호의 성질(3) 2. 다중 경로 간섭으로부터의 보호(Protection against multipath interference) – 무선 채널에서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는 다수의 신호 경로가 존재하며, 이는 신호가 여러 물체에 반사되어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러 경로의 신호는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각 경로 신호마다 신호의 크기, 위상, 시간 지연, 도달 각도 등은 서로 다르다. 대역 확산시에 사용되는 코드의 한 비트를 칩(chip)이라고 하는데 다중 경로의 신호가 시간 지연되어 맨 처음 도착한 경로 신호보다 한 칩이상 늦어지면 상관 작용으로 인하여 역확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다른 간섭 신호로 인식된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확산 코드간의 상관이라도 한칩이상 어긋나면 자기 상관이 아닌 상호 상관이 되는 것이다. 즉, 맨 처음 도착한 신호는 수신기에서 자기 상관에 의하여 원래의 신호 대역폭으로 좁아지는 반면, 한 칩이상 지연된 신호는 마치 다른 사용자 신호와 같이 상호 상관이 발생하게 되어 대역 통과 필터 또는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하여 제거된다. B.G.KANG SCH UNIVERSITY

대역 확산 신호의 성질(4) 3. 비밀성(Privacy) – 전송된 신호는 오직 확산시 사용된 코드를 알고 있는 수신기에서만 역확산 시켜 정보 신호를 복구할 수 있다. 4. 간섭 제거(Interference rejection) – 확산용 코드를 임의의 협대역 신호와 상호 상관시키면 협대역 신호의 전력을 확산시켜 결과적으로 정보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간섭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대역 확산된 신호를 s로, 간섭 i로 표시하였다. 수신기에서 SS신호는 역확산되지만 간섭 신호는 확산되어 거의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과 같은 레벨이 된다. 간섭 제거[16] B.G.KANG SCH UNIVERSITY

대역 확산 신호의 성질(5) 5. 의도적 잡음에 대한 대항 능력(Anti-jamming capability) – 이 성질은 간섭 신호가 의도적인 것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간섭 제거와 거의 같은 개념이다. 이 성질은 다음 6번 성질과 함께 대역 확산 변조가 군용 통신에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6. 도청의 어려움(Low probability of interception : LPI) – 대역 확산으로 인하여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매우 낮아지므로 적이나 제 3자에 의한 검출과 도청이 매우 어렵다. 도청을 더욱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매우 긴 주기의 확산 코드를 사용하거나 두 개 이상의 확산 코드를 발생시켜 혼합 사용하기도 한다. B.G.KANG SCH UNIVERSITY

대역 확산 통신의 종류 대역 확산 통신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직접 확산(Direct Sequence),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 시간 도약(Time Hopping), 혼합 방식(Hybrid Modulation)으로 나눌 수 있다. 직접 확산 방식 – 정보 신호가 높은 칩 발생율을 갖는 확산 신호와 직접 곱해진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CDMA 방식이 직접 확산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주파수 도약 방식 – 정보 신호가 전송되는 최종 RF 반송 주파수가 확산 부호에 의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방식이다. 시간 도약 방식 – 정보 신호가 불연속적으로 전송되는 방식이다.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이 확산 코드에 의하여 결정된다. 혼합 방식 – 위의 방법 중 두개 이상의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혼합 방식은 각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 만을 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B.G.KANG SCH UNIVERSITY

대역 확산 통신의 종류(2) SSMA 방식은 위에서 언급한 것 외에도 다른 변조 방식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아래 그림은 대역 확산 통신 방식의 종류와 결합 가능한 변조 방식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SSMA/CDMA 통신의 종류[16] B.G.KANG SCH UNIVERSITY

직접 확산(Direct Sequence) 방식 아래의 그림은 DS-SSMA 또는 DS-CDMA 통신의 송신기 구조이다. 이진 데이터 신호는 RF 반송파 신호를 변조시킨다. 변조된 반송파는 다시 코드 신호에 의하여 변조된다. 이 코드 신호는 칩(chip)이라고 하는 다수의 코드 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DS-SS 시스템의 송신기 블록도[16] B.G.KANG SCH UNIVERSITY

직접 확산 방식(2) 위의 구조에서 신호의 대역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코드 신호의 칩 발생율(chip rate)이 정보 신호의 비트율보다 훨씬 빨라야 한다. 확산 변조를 위하여 여러 가지 변조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위상 변조 방식(PSK ; Phase Shift Keying)이 사용되며, 주로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MSK(minimum shift keying) 등의 방식이 사용된다. 위의 그림에서 데이터 변조 블록을 생략하고 BPSK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면, 다음 페이지와 같이 변형된 형태의 블럭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신호 파형을 동시에 표시하였다. 코드 신호의 발생율을 칩 레이트(chip rate)라고 하며, 한 칩은 확산 코드 신호의 한 심볼을 의미한다. 다음의 그림에서 한 비트의 정보 신호당 10 칩의 코드 신호가 곱해지며, 따라서 이 경우의 처리 이득은 10 이다. B.G.KANG SCH UNIVERSITY

직접 확산 방식(3) DS-SS 송신기의 변형된 블록도[16] BPSK 변조된 SS 신호의 발생[16] B.G.KANG SCH UNIVERSITY

직접 확산 방식(4) 신호가 전송된 후에 수신기는 수신기에서 발생시킨 코드 시퀀스를 사용하여 대역 확산된 신호를 역확산시킨다. 역확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수신기는 확산 코드를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수신된 신호 속에 들어 있는 코드 신호와 수신기에서 자체 발생한 코드 신호의 동기를 맞추어야 한다. 이러한 동기(synchronization)는 신호의 수신과 함께 이루어 져야 하며, 전체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유지되어야 한다. 아래 그림에 수신기의 블럭도가 있으며, 코드 동기/추적(code synchronization/tracking) 블록이 이 기능을 수행한다. 역확산 후에 데이터 변조된 신호가 얻어지고, 이를 복조하면 원래의 데이터가 복구된다. B.G.KANG SCH UNIVERSITY

직접 확산 방식의 장단점 확산 코드 신호의 발생이 용이하고, 이와 정보 신호를 곱하여 대역 확산시키는 과정도 간단하다. 오직 하나의 반송 주파수가 발생되어야 하므로 반송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주파수 합성기가 단순하다. DS 신호의 동기(coherent) 복조가 가능하다. 사용자 간의 동기가 불필요하다. 수신된 신호와 수신기에서 발생된 신호간의 동기 획득과 동기 유지가 어렵다. 정확한 수신을 위하여 동기 오차가 매우 작아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실제 대역폭은 10~20 MHz로 제한된다. 기지국에 가까운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전력이 멀리 있는 사용자의 수신 전력보다 훨씬 크다. 이를 원근 문제(near-far problem)라고 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수신되는 모든 사용자의 전력이 동일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하여야 한다. B.G.KANG SCH UNIVERSITY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 방식 주파수 도약 방식은 직접 확산 방식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변조된 정보 신호의 반송 주파수가 일정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바뀐다. 일정한 시간 구간 T 동안 반송 주파수는 일정하지만 이 시간 구간이 지나면 반송 주파수는 다른 값으로 뛰게(hop)된다. 어느 주파수로 뛰는가 하는 도약 패턴은 확산 코드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약 가능한 주파수 세트를 hop-set 이라고 한다. FH-SS 시스템의 주파수 점유 형태는 DS-SS 시스템과 크게 다르다. 직접 확산 방식은 신호 전송시에 전체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는 반면, 주파수 도약 시스템은 신호 전송시에 전체 대역폭의 일부만 점유하며, 전송 후에는 다른 주파수로 천이한다. FH-SS 방식과 DS-SS 방식간의 주파수 대역 사용의 차이점을 다음 페이지에 그림으로 설명하였다. B.G.KANG SCH UNIVERSITY

주파수 도약 방식(2) 아래 그림에서 주파수 도약 시스템은 첫번째 심볼구간 동안 2번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두번째 구간에서는 6번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반면에 직접 확산 방식은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신호의 전력을 전체 주파수 대역에 확산시킨다. 결과적으로 첫번째 심볼 구간 동안 2번째 주파수 대역의 입장에서는 DS 방식의 전력보다 FH 방식의 신호 전력이 훨씬 크다. 그러나, 평균적으로 보면 이 두 방식은 주어진 주파수 대역 내에서 동일한 전력을 송신하는 것이다. FH와 DS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 점유[16] B.G.KANG SCH UNIVERSITY

주파수 도약 방식의 송수신기 FH-SSMA 시스템의 송수신기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다.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신호는 기저 대역 변조되며, 빠른 주파수 합성기를 사용하여 반송 주파수는 전송 주파수로 변환된다. 수신기에서는 역과정이 진행된다. 수신기에 수신된 신호는 수신기에서 발생된 코드 시퀀스를 사용하여 기저 대역으로 복조된다. FH-SSMA 시스템 송수신기 블록도[16] B.G.KANG SCH UNIVERSITY

FH 시스템의 장단점 DS 시스템에 비하여 동기(synchronization)가 훨씬 쉽다. 스펙트럼의 확산이 매우 빠른 호핑 주파수에 의한 것이 아니라 큰 hop-set에 의한 것이므로 hop time은 DS 시스템의 chip time 보다 훨씬 길다. 따라서, FH 시스템에서는 DS 시스템에서 보다 더 큰 동기 오차를 허용한다. FH 신호가 도약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연속적으로 있어야 할 필요가 없다. 주파수 합성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대역이면 어디든 도약할 수 있으므로 DS 방식에 비하여 더 큰 대역 확산을 이룰 수 있다.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확률이 매우 적다. 따라서 원근 문제를 DS방식에서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매우 복잡한 주파수 합성기가 필요하다. 신호의 주파수가 갑자기 변경되는 경우 신호의 점유 대역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주파수가 변경될 시에는 신호가 ON/OFF되어야 한다. 신호의 도약으로 인한 신호 위상의 유지가 어려워 동기식(coherent) 복조가 어렵다. B.G.KANG SCH UNIVERSITY

핵심 용어 정리 대역확산 방식의 개요 DS 방식의 변복조 DS 방식의 장단점 FH 방식의 변복조 FH 방식의 장단점 B.G.KANG SCH UNIVERSITY

참고 문헌 [1] 손병태, 이동통신공학, 도서출판 세화, 1997. [2] 차균현, 성태경, 셀룰라 이동전화시스템, 생능출판사, 1993. [3] 대한전자공학회, 이동통신, 청문각, 1997. [4] 강창언, 강민구, 김남, 조형래, 셀룰라 이동통신공학, 복두출판사, 2000. [5] Seiichi Sampei, Applications of Digital Wireless Technologies to Global Wireless Communications, Prentice Hall, 1997. [6] Michel Daoud Yacoub, Foundations of Mobile Radio Engineering, CRC Press, 1993. [7] 대한전자공학회, PCS 기술, 청문각, 2000. [8] Yoshihiko Akaiwa, Introduction to Digital Mobile Communications, Jhon Wiley & Sons, 1997. [9] Bernard Sklar, Digital Communications, Prentice Hall, 2nd Edition, 2001. [10] Tero Ojanpera, Ramjee Prasad, Wideband CDMA for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rtech House, 1998. [11] Fuqin Xiong, Digital Modulation Techniques, Artech House, 2000. [12] Simon Haykin, Digital Communications, John Wiley & Sons, 1998. [13] I. A. Glover, P.M. Grant, Digital Communications, Prentice Hall, 1998. [14] Raymond Steele, Mobile Radio Communications, IEEE Press, 1992. [15] Leon W. Couch II, Digital and Analog Communication Systems, 4th Ed., Macmillan, 1993. [16]Tero Ojanpera, Ramjee Prasad, Wideband CDMA for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Artech House, 1998 B.G.KANG SCH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