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5 장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단기 상충관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M irae Asset Global Investments Emerging Market Experts Brazil Economy & Equity Strategy July 2011 For Financial Professional Use Only.
Advertisements

현 대 전 쟁현 대 전 쟁현 대 전 쟁현 대 전 쟁. 현대전쟁의 특징 (1) 1. 전쟁수단으로서 동원될 수 있는 무기체계 일부가 전쟁의 본질을 변화시킴 ○ 과거 : 정치, 이념, 종교차원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쟁 ☞ 다양한 무기체계 동원 ○ 현대 : 대량살상무기.
19 장. 보건통계 (Public Health Statistics). 제 1 절. 보건통계의 정의 ▶ 보건통계의 의미 1. 지역사회나 국가의 보건 수준및 보건 상태 2. 보건사업의 필요성 결정 3. 보건입법을 촉구하며, 보건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을 촉진하게 할수 있음 4.
시장경제와 계획경제, 경제력 차이의 요인인가 ? 남한과 북한을 표본으로. 분단 60 년, 자유시장 지킨 한국의 경 제력은 계획경제 지킨 북한의 38 배 2013 년 북한의 주요 통계지표에 따르면 한국의 GNI 는 1279 조 5000 억원으로 북한의 33 조 4790.
2009 년 & 4/4 분기 건 설 정 보 실건 설 정 보 실. 2 목 차 1. 국민경제에서 건설업의 위치 1) 산업별 경제성장률 ) 산업별 경제성장 기여도 ) GDP 중 건설업 생산비중
0 동일제지에 투자하고픈 이유  골판지업종은 과점화 추세 및 공장가동율 93% 이상으로 가격경쟁 지양 가능성  내년에는 농산물 포장화로 매출 확대 가능성  동일제지 기업군은 골판지 분야에서 거대 세력화 및 점유율 점차 증대  영업이익율 동종업종내 최고  탁월한.
환율과 외환시장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강의 순서 1. 환율이란 2. 환율의 거시경제적 효과 3. 최근의 글로벌 환율 전쟁 4. 과거 사례 5. 캐리 트레이드란 6. 토빈세 부과 바람직한가 7. 기축통화 문제.
한국경제의 발전과 과제 [ 2013년 대학과 지성 ] 한성대학교 부동산학과 백 성 준
제 23장 국민소득의 측정.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2) 육지가 넓고 인구가 많은 북반구.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9. 인플레이션과 실업
업무 프로세스 및 체크리스트
제4장 2절 (금융시장과) 통화정책.
제6강 연금보험 노령화와 사회보장연금 공적 연금보험제도의 개요 우리나라의 연금보험제도 주요국의 사회보장연금제도.
7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한국경제의 발전과 과제 [ 2014년 대학과 지성 ] 한성대학교 부동산학과 백 성 준
금창호(한국지방행정연구원, 자치행정연구실장)
제 35 장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세명통통 사용자 매뉴얼 [표준 매뉴얼] 세명통통 사용자 매뉴얼.
김승연(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복지시민연대 사회행동위원장)
남북협상수석대표에게 듣는 통일과 북한 이야기 통일연구원 정책협력단장 서 호.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 2007 Thomson South-Western.
거시경제의 수요측면:폐쇄경제의 경우.
제31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개념.
제 30 장 인플레이션: 원인과 사회적 비용.
제 34 장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1.
제 23장 국민소득의 측정.
디지털 시대 CEO의 역할.
제 5 장 총 수요곡선: 폐쇄경제 제 4장 가격경직성과 총공급곡선.
지휘활동과 리더십.
집념과 고집 : 한라산 등반 사고 골 절 탈 진 2016 염 좌 탈골 사망 조난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양념소갈비(구이/찜) ◆ 판매가격: 원/100g 원 부정불량식품신고는 국번없이 1399
생계비의 측정.
제 32 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정 책 결 정 론 제8장 의사결정론 정책결정론.
탄력성과 그 응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지난 40년, 한국경제발전의 회고와 향후 발전전략
제 8 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7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생계비의 측정 © 2007 Thomson South-Western.
Power Point 2007년 정보화교육 원미구청 총무과 통신전산팀.
거시경제의 수요모델 :개방경제.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4단원: 나는 이성친구에게 피임 Policy를 제안한다
맨큐의 경제학 4판 김경환·김종석.
제 34 장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1.
에너지자원을 둘러싼 인류의 갈등 박구용 이 은.
생계비의 측정.
체크포인트 가정 내 일어나는 사고에 대해 알아보고 사고예방을 위해 주의한다. | 예방법 장소별 사고 – 방과 거실 1 2 높은 곳 에 물건 두지 않기! 날카로운 모서리는 천으로 씌우기!
제 7 강 농 업.
2011년 1학기 < 강의자료 > [ 부동산 투자론] 강사 : 구 효서 부동산 컨설팅학과 동 원 대 학 교.
맨큐의 경제학 5판 김경환·김종석.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 2007 Thomson South-Western.
실물경제 따라잡기 재정과 물가.
탄력성과 그 응용.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3장 사회조사방법의 기본개념 변수(variable): 사람, 물건, 사건 등의 특성이나 속성이 두 가지 이상의 가치(value)를 가질 때 변수라고 함. 즉 상호배타적인 속성들의 집합 1) 속성에 따른 분류 -. 명목변수(Nominal Variable): 분류에 기초를.
맨큐의 경제학 5판 김경환·김종석.
교육행정 및 경영 제13장 교육재정 (화) 안 봉 직.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서울, 1964년 겨울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김승옥.
국어지도 유아교육과 권수연 김아람 중등특수교육과 박수진 양한솔
다가올 미래는 신흥시장의 시대.
합리적 의사결정이론(rational decision-making theory)
‘그’라고 말하는 것은 ‘나’라고 말할 수가 없기 때문이네
Part6 개혁개방 박서 아.
건강증진 전략 개발을 위한 이론.
Presentation transcript:

제 35 장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단기 상충관계

KEY QUESTIONS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는? 장단기의 차이는? 공급측면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두 관계는? 합리적 기대는?

실업과 인플레이션 총수요-총공급 그림을 사용하여 다음 사실을 확인해 보자. 1. 정부가 총수요를 증가시키면, 경기를 부양시켜 실업을 단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그 결과 물가가 상승한다. 2. 마찬가지로, 정부가 총수요를 축소 시키면, 물가는 안정되지만, 경기침체와 실업이 유발된다.

필립스곡선 실업과 인플레이션간의 단기적 상충관계(trade-off)를 보여 주는 곡선 1958년에 경제학자 Phillips가 1861년부터 1957년 사이의 영국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자료를 그래프에 표시해 본 결과, 놀라운 현상을 발견 실업률이 낮은 해는 물가상승률이 높고, 실업률이 높은 해는 물가상승률이 낮더라. 그 이유는 • • •

필립스곡선과 총수요, 총공급 어떤 이유에서 한 해 동안 총수요가 증가했다면, 그 해에는 경기가 상승하고, 동시에 물가도 상승하게 될 것이다.(그 반대도 마찬가지) 경기가 상승하면, 실업률은 낮아진다. 단기적으로 경기의 변동은 대부분 총수요 의 변동에 의해 유발된다. 따라서 필립스 곡선 관계가 발생한다.

단기필립스곡선 인플레이션율 B 6% A 2% 실업률 4% 7%

장기 필립스곡선 그러나 앞 장에서 장기 총공급곡선이 수직이라는 사실을 배웠다. 따라서 장기 필립스곡선은 수직선이다. 그 이유는? 어느 수준의 GDP에서? 따라서 장기 필립스곡선은 수직선이다.

장기 필립스곡선 인플레이션율 B 6% A 2% 실업률

장기 필립스곡선 인플레이션율 B 6% 완전고용실업률 = 자연실업률 A 2% 실업률 3%

단기 필립스곡선 관계의 소멸 그런데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높은 실업률과 높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함으로써, 단기 필립스곡선 관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여졌다. 필립스곡선 관계를 사라지게 한 것은 무엇일까? 사실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이동한 것이다.

단기 필립스곡선의 이동 단기 필립스곡선이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이유는 두 가지 예상 인플레이션(inflation expectation) 공급충격(supply shocks)

예상 인플레이션의 역할 단기적으로는 사람들의 물가에 대한 예측이 틀릴 수 있다. 그 결과 사람들의 상대가격에 대한 판단, 임금과 가격의 조정*이 실제 물가상승률과 차이가 날 수 있다. (*총공급곡선이 플러스 기울기를 가지는 이유) 예측이 틀린 만큼, 총수요의 변화가 단기적으로 실업률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u = u* - a ( %p - %pe ) 예상 인플레이션의 역할 그러나 장기적으로 사람들의 예측이 반복적으로 항상 틀릴 수 있을까? 물론 아니다. (인간합리성에 대한 경제학의 가정) 따라서 사람들의 인플레이션율에 대한 예상이 높아짐에 따라 단기 필립스곡선도 위로 이동한다. 단기필립스곡선의 식 u = u* - a ( %p - %pe )

예상 인플레이션 예상심리의 역할 장기적으로 필립스곡선은 자연실업율 위에 서 있는 수직선이다. 단지, 정부의 정책에 의해 사람들이 예상하지 못한 인플레이션이 유발될 경우 단기 적으로 실업률이 자연실업율 아래로 내려갈 뿐이다.

자연실업율 가설 (natural rate hypothesis) 이것은 경제의 자기치유능력(self-correcting power of economy)의 다른 표현이다. 교과서 그림 33-6과 33-7을 보면 이 가설이 경험적으로도 미국에서 입증됨을 알 수 있다. 1970년대 이후 한국의 경험도 마찬가지

단기 필립스곡선의 이동과 경기순환 인플레이션율 c 6% B D 4% A 단기 2% 단기 실업률 2% U* 5%

공급충격의 효과 단기 필립스곡선은 공급측면의 충격에 의해서도 이동한다. 국제석유가격의 상승, 범세계적인 흉작 등, 공급측면의 해로운 충격은 단기 필립스곡선을 위쪽으로 이동시켜 정부로 하여금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사이의 상충관계를 악화시킨다. 예: 1970년대의 석유파동

공급충격의 효과 사례분석: OPEC이 1970년대에 국제원유 생산을 줄이고, 원유가격을 큰 폭으로 인상하였다. 이 상황에 대응하여 각국은 다음의 괴로운 선택을 해야만 했다. (교과서 그림 33-8 참조) 통화팽창을 통해 실업률 상승을 막거나 • • • (그리고 물가상승을 더 부추기거나) 또는 물가상승을 억제하고, 고실업상태를 감수하거나 • • •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비용 인플레이션을 해소하려면, 중앙은행이 통화긴축정책(contractionary monetary policy)을 시행해야 한다(예: 금리인상). 중앙은행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하면 시중 금리가 상승하여, 투자와 소비가 위축된다. 이에 따라 총수요가 감소하여, 물가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낸다. 그러나 경기 침체와 실업이 유발된다.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비용 이것은 단기적으로 정부의 정책에 의해 경제가 단기 필립스곡선상에서 아래쪽으로 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면, 어느 나라 경제든지 일시적인 불경기와 고실업을 감내해야만 하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비용 이와 같은 상충관계를 “희생비율(sacrifice ratio)”로 나타낼 수 있다. 희생비율: 인플레이션을 1% 낮추는 과정에서 초래되는 연간 GDP의 % 감소율 미국의 경우 이 비율은 대체로 5 그러나 1980년대 초에 물가안정을 위해 반드시 불경기와 고실업을 유발할 필요가 없다는 이론이 제기되었다. 이 이론은 • • •

합리적기대이론 (rational expectation theory) 합리적기대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의 인플레이션과 정부정책에 대한 예측이 번번이 일관되게 틀릴 수는 없다고 본다. 즉, 사람들은 미래의 물가상승을 예측할 때, 과거의 경험과 현존하는 모든 정보를 합리적으로 분석평가하여 판단한다는 것이다.

합리적기대이론 (rational expectation theory) 즉,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예측이 합리적이라면, 임금과 가격의 조절이 효율적이 되기 때문에, 단기 총공급곡선이 비교적 비탄력적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단기 총공급곡선이 비탄력적이면, 단기 필립스곡선도 가파른 기울기를 갖게 될 것이다.

합리적기대이론 (rational expectation theory) 만약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예측이 완벽하게 합리적이라면, 단기 필립스곡선이 완전 수직선이 되어, 단기에서 조차 물가와 실업의 상충관계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물가안정을 위해 실업을 유발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이다.

합리적기대이론 (rational expectation theory) 물론 여기에는 사람들의 예측이 완벽하게 합리적이어야 한다는 전제가 성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람들의 예측은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 • • 합리적기대이론이 주는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 정부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정책효과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새고전학파이론 주요 가정 단기 총공급 곡선 단기 총공급곡선이 비탄력적이면, 단기 필립스곡선도 가파른 기울기를 갖게 됨. 합리적기대 임금과 물가의 신축성 단기 총공급 곡선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합리적 예측을 바탕으로 임금과 가격이 조절 되면단기 총공급곡선이 비교적 비탄력적이 됨 질문: 임금과 가격의 즉각적인 조절이 가능한가? 단기 총공급곡선이 비탄력적이면, 단기 필립스곡선도 가파른 기울기를 갖게 됨. 단기에도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성립 안함.

ASSIGNMENT 복습문제 응용문제: #2, 3,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