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U Case Study -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08802027 우은경.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어지럼증 이란 ? 어지럼증의 원인은 ? 노인에서 어지럼증이 많은 이유는 ? 어지럼증은 어떻게 진료를 받는가 ? 어지럼증의 치료는 ?
Advertisements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생체계측 및 의료기기 (2004, 3rd quarter)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How to assess hypertensive patients?
Cetirizine 2014/05/30 Son Han Pyo.
81병동 Case Study 이수미.
Case Study 102 병동 성인간호학 실습 양남영 교수님 이상희.
성인간호학 (ICU) CASE STUDY 목 차 서 론 1) 사례연구의 목적 및 문헌고찰 본 론 1) 간호사정 2) 환자사정
Case Study – 102병동 김초아 성인간호학 실습 - 양남영 교수님.
사 례 연 구 hypoglycemia (저혈당증)
‘중환자실 CASE’ 유지영.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증 례 59세 남자환자 비소세포 폐암으로 좌측 폐 전 절제술 (Left pneumonectomy) 받고, 경과 관찰 중 호흡곤란 및 발열 발생하여 중환자실 입원함.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뇌졸중 대상자 관리.
102w case study 배혜인.
Patient Monitor 김지희 홍새미.
퇴행성 신경질환.
사례 연구 81병동 – 소화기내과 과 목 명 성인간호학Ⅳ 학 과 간호학과 담당교수님 양남영 교수님 학 번
SICU 사례연구 -최OO – 진단명 : Hemoperitoneum 박민수.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Case Presentation 날짜: 장소: Sub-intern:.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 101w 실습 > CASE STUDY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배혜인.
성인 간호학 (내과계 병동) case study
ER(응급실) CASE STUDY 서효혜.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환자의 사례연구 102병동 CASE STUDY
구강악안면외과 환자와 치과위생사.
Company Logo 만성신부전증 (CRF) 별관5병동 이 승 연.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ICU case study 배혜인.
CASE study - ICU 방예경.
102병동 CASE STUDY   학과 : 간호학과 학번 : 학년 : 3학년 이름 : 이민성.
ER CASE STUDY 장누리.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ICU case study -AMI 박효은.
ECG (ElectroCardioGram)
CASE STUDY: PNEUMONIA.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토혈과 흑혈변을 주소로 내원한 신증후성 출혈열 환자 1예
CCU Case 환자 보고서 서효혜.
마취와 부정맥 발표자: RN 이동정.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수혈 부작용 응급검사실 신선옥.
Case Presentation 날짜: 장소: Sub-intern:.
노인의 설사.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병리학의 영역 박 주 완.
면역 장애 1 1.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이화의대 소화기내과 김성은·심기남·염혜정·조유경·이종수·이창배·정성애
2010년 609병동 QI 환자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낙상 예방활동.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급, 만성 신부전 환자 관리 김현정.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임상시험대상자 모집 공고 건강한 남성 자원자에서 rosuvastatin과 ezetimibe 각 약물의 단독투여 시와 rosuvastatin 및 ezetimibe 병용투여 시 약동학적 상호작용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가천대 길병원 임상시험센터에서는 상기.
이화의대 내과학교실, 의과학 연구소 조유경, 심기남, 이종수, 염혜정, 김성은, 정성애, 유권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Presentation transcript:

ICU Case Study -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08802027 우은경

목 차 문헌고찰 간호사정 간호과정 - 간호문제 -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 환자사정 - 간호진단 - 진단적 검사 목 차 문헌고찰 간호사정 - 환자사정 - 진단적 검사 - 투여약물 간호과정 - 간호문제 -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 간호진단

문헌고찰 질환명 :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저산소성 허혈성 뇌질환 ‣ 심 정지 후 제 시간 안에 뇌에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여 저산소에 따라 발생하는 뇌증이다. 심 정지 후 적어도 12시간 안에 환자가 소생하지 못하면 사망할 수 있다. 심한 급성 저혈당증, 급성 일산화탄소와 barbiturate 중독증의 경우도 유사한 형태의 신경손상이 발생한다.

문헌고찰 원인 2. 증상 3. 진단검사 -분만 전후나 분만 도중에 질식상태 -뇌혈류량 감소, 저혈당, 저혈압 등의 상황 -손상 후 뇌 혈관이 약해져 있어 재관류가 되면 출혈이나 허혈 상태 발생 2. 증상 강직, 마비, 실어증, 동공 고정, 복시, 두통, 혼수 3. 진단검사 MRI, CT, Chest PA, EKG, C-spine AP/lat

문헌고찰 4. 치료 5. 간호 효율적인 기도유지, 수분과 전해질 균형유지, ‣ 보전적 치료- 물리치료, ‣ 잠재적 치료- 약물치료(신경보호제)  5. 간호 효율적인 기도유지, 수분과 전해질 균형유지, 피부통합성 유지, 건강한 구강점막의 유지, 각막 통합성 유지, 발열완화, 요 배설 증진, 장 기능 증진, 가족 교육과 지지, 관절운동범위 유지

간호사정- Ⅰ.환자사정 1. 일반적 배경 (General background) ‣ 환자명 : 김oo ‣ 입원일 : 2010. 5. 16 ‣ 진단명 : Hanging injury ‣ 연령 : 29 ‣ 성별 : M ‣ 종교 : 기독교 ‣ 학력 : 대졸

간호사정- Ⅰ.환자사정 2. 건강력 (Health history) 1) 가계도 2) 과거력(Past history) ‣ 과거질환- 무 ‣ 입원경험- 무 ‣ 수술경험- 무 pt

간호사정- Ⅰ.환자사정 3) 현병력 (Present health state) ‣ 발병당시- 입원 전 ‣ 입원- 간호사정 당시 상기남환 2010년 5월 15일 2: 35경 목멘 채 발열로 ER 통해 NCU adm. ‣ 입원- 간호사정 당시 HR 30~40Eq/ml, irregular ATP와 phospho-creatine(PCr)과 같은 고에너지 대사물이 고갈→ 세포독성 부종과 세포 내 칼슘 축적 → 뇌손상 → 질식

간호사정- Ⅰ.환자사정 4) 주증상 (Chief complains) ‣ Coma mentality 소뇌의 Purkinje 세포, 해마의 Sommer’s sector의 추체세포, 대뇌의 회백질에서 신경세포의 괴사

간호사정- Ⅰ.환자사정 3. 신체검진 (Physical excamination) ‣ 키: 178cm ‣ 체중: 80kg ‣ 활력징후 B.P: 66/33 저혈압 H.R: 125 빈맥 R.R: 18 정상 B.T: 38 고체온

간호사정- Ⅰ.환자사정 ‣ 소화기계 ‣ 심혈관계 ‣ 신경계 복부: 부드러움 장음: 감소 복부: 부드러움 장음: 감소 ‣ 심혈관계 심박동수: 130 온도: warm 특징: 전신부종 ‣ 신경계 의식: coma 언어능력: 의사소통 불가능 반사: 빛 반사 무반응 RSS: 6 (외부자극에 반응 없음) GSC: Eye(1), Verbal(1), Motor(1) 문제점 : 신경계의 이상으로 감각이 없어지고 지남력 상실

간호사정- Ⅰ.환자사정 ‣ 근골격계 ‣ 비뇨기계 ‣ 피부계 limb movement/C.M.S : 모두 0점 문제점 : 혼수상태로 보행능력, 근력, ROM 불가능 ‣ 비뇨기계 소변색: bilirubinuria 소변양상: 혼탁함 ‣ 피부계 피부색: 창백 탄력성: 저조 욕창: Neck, Back 7점 → 고위험군 감각인지(1), 습기(2),활동(1), 기동력(1), 영양(1), 마찰쏠림(1) 문제점 : 목에 끈을 메단 자국이 선명하며 기동력 부족으로 욕창 발생

각종 혈액검사를 위한 채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 간호사정- Ⅰ.환자사정 Ambu & mask 산소공급 C-line 장기간 수액 공급 L-tube 위관을 통하여 영양을 공급하기 위함 A-line 각종 혈액검사를 위한 채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 Ventilator 기계장치를 동원하여 인위적으로 호흡시켜 주는 것  SPO2 : 100 E-tube F-cath (16F) 방광의 내용물을 비우기 위함 IV 18G Urine bag 시간당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 Patient monitoring 환자의 체온, 심박수, 혈압, 심전도 따위를 전자 계측기로 늘 감시하는 장치

간호사정- Ⅱ.진단적 검사 검사항목 결과 정상수치 임상적의의 BUN 79 6~17㎎/㎗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소혈증 AST(GOT) 1480 13~37u/L 간세포 파괴로 대사성 노폐물 축적 ALT(GPT) 675 10~34u/L Creatinine 7.44 0.8~1.8g/day 사구체신염, 신부전, 근위축, 요독증 Albumin 2.08 3.3~5.3g/dL 간의 합성불량으로 간세포 파괴로 대사성 노폐물 축적 Na 148 136~147mEq/ 수분부족,원발성 알도스테론증 K 5.48 3.5~4.8mEq/L 급성 및 만성 신부전, 용혈성 질환, Addison Disease

간호사정- Ⅱ.진단적 검사 검사항목 결과 정상수치 임상적의의 PH 7.158 7.35-7.45 대사성, 호흡성 산증 HCO₃ 13.4 22-23 mmol/L 대사성 산증 TCO₂ 11.6 47-60 mmol/L 대사성 산 증가로 인한 산 축적 ABEe -0.6 0-+2 mmol/L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적음 WBC 10.90 4-10 출혈 MCV 97.2 81-94 fL 악성빈혈, 거대적 아구성 빈혈

Flavin adenine dinucleotide 간호사정- Ⅲ.투여 약물 약물명 용량 경로 투여목적 부작용 Sodium chloride 0.9% 1L/Bag IV 다른 약물을 용해시켜 투여하기 위해 고나트륨혈증,울혈성심부전, 부종 Flavin adenine dinucleotide A Vit.B2 결핍 질환 Shock,구역,발진 Naloxone 2MG/A 허혈성 뇌신경장애 경련,구토,빈맥,저혈압 Cinepazide maleate 80mg 뇌손상 후유증 증상 개선 백혈구감소,두통,어지러움,AST/ALT/BUN↑ Ulinastatin 10만iu/2ml Others 급성순환부전 치료 Shock,과민증,오심,하리 Sod. Bicarbonate 1.6g 2ml/A 저나트륨혈증 경련,지각이상,발열 Sodium valproate 300mg/A 뇌속의 GABA농도↑ 설사,구토,진정,빈혈

Noreinephrine bitartrate 간호사정- Ⅲ.투여 약물 약물명 용량 경로 투여목적 부작용 Ketoprofen 100mg/A IV 급성통풍,골관절염,동통 오한,호흡곤란,BUN↑ Hydrocortisone 100MG/V 망막염, 각막염방지 고혈압,근무력증,두통 Noreinephrine bitartrate 20mg/20ml 염손실성 부신생식기 증후군 방지 Dopamine HCl 200mg/A shock,저혈압 치료 부정맥,호흡곤란,협심증 Fludrocortision 100mcg/T BF 안약 부종성고혈압

간호과정 문제발생 일 간호진단 근거자료(주관적자료/객관적자료) 2010.5.15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수단을 택한 비효과적 부정 주관적자료: 무 객관적자료: 여자친구와 다툰 후 목을 메달아 자살 시도 2010.5.17 뇌손상으로 인한 감각지각 장애 객관적자료 -소뇌의 Purkinje 세포, 해마의 Sommer’s sector의 추체세포, 대뇌의 회백질에서 신경세포의 괴사 -RSS : 6점 -VAS: 측정불가 -의식: coma -반사: 동공 고정

간호과정 문제발생 일 간호진단 근거자료(주관적자료/객관적자료) 2010.5.18 기동력 부족으로 인한 피부 통합성 장애 주관적자료: 무 객관적자료 -의식상태: coma -VAS: 측정불가 -RSS: 6 -욕창: neck 감각인지(1), 습기(2),활동(1), 기동력(1), 영양(1), 마찰쏠림(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