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혼합유의 정성ㆍ정량분석 2006. 2. 한국석유품질관리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14.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수송연료 · 소재 생산기술 개발 4,072 백만원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450 백만원 중 신규 700.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염기 비누화 반응 (Saponification)
주방세제의 기능단위 시험 방법 산업생활본부 생활제품팀 김지연.
IPCC 탄소배출계수(CARBON EMISSION FACTOR: CEF)
혼합유기용제분석 산재의료관리원 안산중앙병원 정 지 애.
Ⅱ. 측정(Measure) (2) Gage R&R (Crossed) – ANOVA 방법 [1] Data 입력
제4강 바이오메스 (Biomass) 물리,에너지학부 (6월4일, 수).
고순도 요소수 소개 고순도 요소수가 필요한가? 고순도 요소수 생산 제품 경쟁력 트리우렛으로 백탁 현상 < SCR 고장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크로마토그래피 장준우.
Evidence 장비를 이용한 CEA assay
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 대한 이해 ㈜ 휴텍스.
투명 비누 만들기.
지질(Lipid).
1,3-Propanediol 분리/정제 공정 개발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종류와 크기가 다른 고체입자의 겉보기밀도 측정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염화수소 (티오시안산 제2수은법).
ECO-IOC 200 제품 사용 설명서 친환경 이온성 탈지제 (침적 및 전해탈지용)
RBS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metry) 러더포드 후방산란분석법
몰리브덴 블루법에 의한 인산염 인(PO4-P) 정량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바이오디젤 사용 실태와 발전 방향 비엔디에너지㈜.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단백질의 정량 -Bradford 법
Hydrogen Storage Alloys
5-3. 화석 연료의 이용 세계 에너지 소비량
FloraSolv LX311 삼열물산
경유 연료 사용의 문제점 출력 저하 소음 발생 엔진 수명 단축 매연 발생 연비 불량 연소 퇴적물 윤활성 불량 노킹 현상 불완전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Ch.2. 기권: 지구를 둘러싼 가스 시스템 많은 환경 문제들이 일어나는 곳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전지 안정성 평가를 위한 과충전 비교시험 ENERGREEN R&D Center
우리나라 관할해역의 해상 중력 (자력) 이상도
폐목재와 폐PE을 이용한 목질계 연료개발 발표자 : 김시형 강명희.
In-situ Reaction Raman 의 소개 및 응용
단백질의 정량 -Bradford 법
Preg-Q를 이용한 임신반응검사의 평가 진단검사의학과 생화학계 이 상 연.
무게법에 의한 강철 속의 니켈 정량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Nickel in steel)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위험물 제조소 등의 종류 주식회사 한국소방엔지니어링.
Chromatography.
Boil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억 톤 산업용 배출량 가정용 배출량
ThemeGallery 비누화 반응
Gas Chromatography & 증 류 탑
식품의 냄새.
정확도와 정밀도 및 물질의 분리 방법.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단백질의 정량 -Bradford 법
최소의 실험 횟수에서 최대의 정보를 얻기 위한 계획방법 분석방법: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참기름 분석법 식품약품분석과 안 양 준.
1-1. 탄소 화합물의 성질 알코올(2)과 에테르 (p142~143 에테르까지)
아스피린(Aspirin)의 정량.
기타가스처리 1. 염소의 처리 1) 특징 (1) 가장 적합한 처리법 : Ca(OH)2 수용액 흡수법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Work SMART, Smart CammSys
차량의 배기가스에 의한 공해로 엔진의 소음과 출력 저하로 신경이 쓰이십니까? 자!! Bio-Power Long으로
기업지원 현황 (1/7) 최종 목표 : MMPDS 요구만족 장비구축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 내용 NO.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바이오디젤 혼합유의 정성ㆍ정량분석 2006. 2. 한국석유품질관리원

바이오디젤 이란 ASTM Biodiesel Task Force description Biodisel is defined as the mono alkyl esters of long chain fatty acids derived from renewable lipid feedstocks, such as vegetable oils and animal fats, for use in compression ignition engines. General Definition of Biodiesel Biodiesel is a domestic, renewable fuel for diesel engines derived from natural oils like soybean oil, and which meets the specifications of ASTM D 6751. Definition of Biodiesel by EU Biodiesel is a renewable fuel produced from vegetable oils such as those from rape seed and sunflower seed.

바이오디젤 이란 바이오디젤 바이오디젤 혼합유 산자부 고시 제2005-55호 “바이오디젤”이라 함은 식물성 油脂(쌀겨, 폐식용유, 대두유, 유채유 등)와 알코올을 반응시켜 만든 脂肪酸 메틸에스테르로서 순도가 96.5% 이상인 것을 말한다. 바이오디젤 “바이오디젤 혼합유”(이하 “BD20”이라 함)라 함은 석유제품인 자동차용 경유 (이하 “경유”라 한다) 80%와 바이오디젤 20%를 혼합하여, 경유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료를 말한다. 바이오디젤 혼합유

바이오디젤 이란 전형적인 반응식 CH2OH R’’’COOR CH2OCOR’’’ Catalyst* + + 3ROH CH2OH R’’COOR CH2OCOR’’ CH2OH R’COOR CH2OCOR’ Alcohols (usually MeOH) Methyl Esters (biodiesel) Triglyceride (oil or fat) Glycerine * NaOH, KOH 원료 (Feedstocks) : 자국의 에너지이용 효율화 관점 (Energy Security) - 미국 : 대두 (Soybean oil) - 유럽 : 유채 (Rapeseed oil) - 국내 : 대두, 유채, 폐식용유 (Used flying oil), 폐우지 (Yellow Grease oil)

바이오디젤 제조공정도 (연속공정식) 생 산 공 정 고압공정 유리 지방산 함량이 높은 원료 유리 지방산 함량이 높은 원료 산촉매 (황산), 최대 80기압, 최고 250℃ 저압공정 염기촉매 (KOH), 최대 9기압, 최고 100℃

바이오디젤 제조공정도 (회분식) 증류관 콘덴서 M M Methyl ester 반응 미반응 메탄올 회수 글리세린 분리 폐식용유 투입 촉매 투입 증류관 M M M 메탄올 물 메탄올저장 탱크 Methyl ester 반응 미반응 메탄올 회수 M 1. 반옹 조건 가. 반응온도 : 70 – 80℃ 나. 반응시간 : 약 3시간 정치 메틸에스테르 : 미증류시 (mono + di or tri) 글리세린 분리 바이오디젤 Pitch로 제거 : 증류시 (5-8%) 70℃, 3회 수 세(soap과 촉매 제거) 비중차에 의한 글리세린 분리 (soap포함 13%) 진공 탈 수 증류 공정 진공, 180 – 220℃

바이오디젤 제조공정도 (회분식) QC 원부재료 입고 회수유 정제(여과 및 탈수) 촉매, 메탄올 원료 투입(식물성 오일) 반 응 메탄올 회수 정치 후 분리 바이오디젤 글리세린 수 세 증 발 탈 수 약품처리 증 류 증류 포장/저장 Tank 이송 포장/저장 Tank 이송 출 하 출 하

바이오디젤 제조공정도 제 조 공 정 반 응 수 율 Process Input Levels Process Output Levels =

바이오디젤 현황 세계의 바이오디젤 보급현황 유럽 세계의 바이오디젤 보급현황 유럽 ’03. 5월 EU Directive 2003/30/EC 를 발효, ’05년부터 자동차연료의 2%, ’10년에 5.75% 혼합연료 사용 의무화 - BD 5는 일반 디젤연료로 인정 (EN 590에 규정) 미국 ’98년 국회 및 EPA에서 BD20을 디젤차량 연료로 승인 ’01년 바이오디젤유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천명 공공차량을 중심으로 사용량이 계속 증가 일본 ’04년도 초부터 바이오디젤에 대한 검토 및 규격화 조사작업 시작. (경제산업성) ’05년도 말을 목표로 시험방법 정립 및 규격화작업 진행중

바이오디젤 현황 세계의 바이오디젤 보급현황

바이오디젤 현황 바이오디젤 사용 현황 국 가 바이오디젤 생산량 (’04) 사용방식 사용처 미국 63만톤 국 가 바이오디젤 생산량 (’04) 사용방식 사용처 미국 63만톤 경유 80% + 바이오디젤 20% 관공서차량, 대형트럭, 공공버스 독일 1,035만톤 100% 바이오디젤 도심용 버스 경유 95% + 바이오디젤  5% 대도시 주변 일반 디젤 차량 프랑스 348만톤 경유 70% + 바이오디젤 30% 도심버스, 관공서차량 경유 97% + 바이오디젤  3% 공해가 심한 대도시 버스 스웨덴 1.4만톤 극저유황 경유 70~95% + 바이오디젤 30~5% 대도시버스 이탈리아 320만톤 대도시 난방용 연료 일본 – 경제산업성 자원에너지청 산하 연료정책소위원회에서 규격 및 시험방법을 검토 중 ’05년 말경 규격화 예정 브라질 – BD2 (’05년 개시, ’07년 의무), BD5 (’10년) 공급

바이오디젤 현황 국내의 바이오디젤 생산•보급현황 국내의 바이오디젤 원료수급 폐식용유 수급 생산업체 생산현황 (톤) 생산능력 (톤/년) 원료 ’03년 ’04년 가야에너지 1,600 3,000 100,000 대두, 폐식용유 BDK 918 1,000 6,000 현미유부산물/ 폐식용유 우리정유 - 400 폐식용유 에코에너텍 생산없음 21,000 “ 국내의 바이오디젤 원료수급 폐식용유 수급 - 국내 폐식용유 발생량 : 100만톤/년 - 수거 가능량 : 20만톤/년

바이오디젤의 잇점 Biodiesel Benefit by EBB Biodiesel has been demonstrated to have significant environmental benefits in terms of decreased global warming impacts, reduced emissions, greater energy independence and a positive impact on agriculture. Various studies have estimated that the use of 1 kg of biodiesel leads to the reduction of some 3 kg of CO2. Hence, the use of biodiesel will result in a significant reduced in CO2, particulate emissions and other harmful emissions. Biodiesel is extremely low in sulfur, and has a high lubricity and fast biodegradability. These are all advantages which have been confirmed by the Auto Oil II program. 배출가스 형태 B100 B20 규제 대상물질 Total unburned Hydrocarbons -67% -20% Carbon Monoxide -48% -12% Particulate Matter -47% Nox +10% +2% 미규제 물질 Sulfates -100% PAHs -80% -13% Nitrated PAHs -90% -50% Ozone potential of speciated HC -10%

바이오디젤의 개선점 Biodiesel Di-benefit 저온유동성 열악 (유동점, CFPP) → WAFI 등 저온유동성향상제 투여에 의한 개선 정제부산물인 글리세린 및 메탄올에 의한 엔진마모 공기중의 산화반응에 의한 산화안정성 열악 (저장안정성 열악) <BD 혼합율 증가에 따른 CFPP 변화>

바이오디젤의 개선점 첨가제 투여에 따른 저온유동성 강하 효과 (CFPP) 첨가제함량 무첨가 첨가제 A 첨가제 B 첨가제 C 0.1% -2℃ -7.5 ℃ -3 ℃ -5.5 0.05% -1 ℃ -2 ℃ 디젤 -25 ℃ BD 20 -16 ℃ -20 ℃ -21 ℃ -23 ℃ - BD 5 -19 ℃ -22 ℃ ※ 대두유 (순도 97%) 기준

연 구 배 경 연 구 목 적 연 구 내 용 바이오디젤 정성•정량 분석 연구 석유대체연료사업법 및 산자부고시 제2005-55호에 의거한 바이오디젤 시범보급 바이오디젤 (BD100)에 대한 시험방법은 기 확립되어 있으나, BD5 및 20 등 혼합유에 대한 지방산메틸에스테르 (FAME) 함량 시험방법 미정립 ’06. 1월 부터 전국 보급이 예상되어 짧은 시간에 많은 검사물량을 처리가능한 시험방법 요구 연 구 목 적 바이오디젤 혼합유에 대한 신속․정확한 품질관리 및 평가를 위한 성분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분석방법 및 신속 스크린 시험방법 개발 연 구 내 용 1. 적외선분광광도계에 의한 BD 혼합유의 지방산메틸에스테르 (FAME) 함량 시험방법 개발 연구 2.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BD 혼합유의 지방산메틸에스테르 (FAME) 함량 시험방법 개발 연구 3. 근적외선분광광도계 (NIR)을 이용한 BD 혼합유 스크린 시험방법 개발 연구

FT-IR 정량 분석방법 기 본 이 론 바이오디젤의 에스테르 작용기 (R-COO-R')는 일반 정상 경유에는 전혀 들어있지 않은 화합물로서 IR에 강한 흡수 (1,745㎝-1) 밴드를 나타내며, 이 흡광도는 경유에 함유되어 있는 에스테르 화합물 농도와 비례 탄소수 조성 (%) 비 고 Palmitic acid C16 7.5 (16:0) Stearic acid C18 11.0 (18:0) Oleic acid 11.6 (18:1) Linoleic acid 12.9 (18:2) Linolenic acid 15.1 (18:3) Eicosenoic acid C20 17.7 (20:0) Erucic acid C22 31.8 (22:1)

FT-IR 정량 분석방법 가야에너지 BD 검량선 에코에너텍 BD 검량선 우리정유 BD 검량선 BDK BD 검량선

미지시료 검증 연 구 결 과 FT-IR 정량 분석방법 □ 검증용 시료 (40건) - 정상경유 - 바이오디젤 혼합유 : Cross Blending에 의한 시료 조제 □ 검증용 시료 측정결과 - 정상경유 : FAME 함량이 0으로 BD 비혼합 경유로 판정 가능 - 바이오디젤 혼합유 : 최대 오차범위 약 5%이내로 판정 가능 연 구 결 과    ◦ 반복성 0.1부피%로 유럽연합규격인 EN 14078 반복성 0.3부피%보다 우수    ◦ 실측치 대비 대단히 양호한 결과값을 보이고 있어 정량 시험방법으로 타당    ◦ FAME 원료인 트리글리세라이드 (Tri-gliceride)와 피크 중첩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여 추후 보완

기 본 이 론 GC 분석조건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정량 분석방법 물질의 비점 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컬럼을 선택하여, 비교적 고온 (170℃)에서 디젤 (C12~C28)을 분리한 다음 바이오디젤 (C16~C22) 분리 GC 분석조건 컬럼 : 석유제품 분석용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극성 HP-1 컬럼 - 빠른 분리를 위해 고온의 조건 (170℃)에서 약 8분 가량 지속시켜 디젤을 분리한 다음, 10℃/분의 승온조건으로 지방산메틸에스테르 분리 온도조건, 희석율 및 시료주입량 등을 변경하면서 최적조건 확립

분 석 조 건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정량 분석방법 컬럼 dimethylpolysiloxane (5m×0.53mm×2.65㎛) 검출기 FID 이동상가스 Helium Split ratio 50:1 온도조건 (140℃, 6분) → 10℃/분 → (240℃, 5분) Inlet Temp. 300℃ Detector Temp. 시료주입 0.1㎕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정량 분석방법 GC 분석결과 <바이오디젤 (BD100)의 GC 크로마토그램>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정량 분석방법 GC 분석결과 정상경유 크로마토그램 BD 100 크로마토그램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정량 분석방법 GC 분석결과 A社 BD혼합유 크로마토그램 B社 BD혼합유 크로마토그램

GC 분석결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정량 분석방법 정상경유 + 윤활기유 (7:3)의 GC 크로마토그램 BD 혼합유 + 윤활기유 (7:3)의 GC 크로마토그램

문 제 점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정량 분석방법 대두, 유채, 쌀겨 및 폐 우지 등 다양한 원료에서 기인하는 상이한 탄소수 분포 - 폐식용유의 탄소분포 : C18 (약 90%) - 쌀겨 유래의 오일 탄소분포 : C16이하에서의 탄소분포가 타사에 비해 높음. 분자량이 경유에 비해 작은 등유, 부생연료유 및 용제류 등이 혼입되었을 경우 FAME 피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정량분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나,    비교적 분자량이 큰 윤활기유와 같은 Heavy compound가 혼입될 경우는 FAME 피크에 중첩이 생겨 바이오디젤 정량 불가능   특히, 바이오디젤의 주 피크에 분자량이 큰 경유분이 충분히 분리가 되지 않아 피크가 중첩됨에 따라 정확한 정량이 어려움.    따라서, 바이오디젤 혼합유의 FAME 정량분석방법 부적합

표준시료 조제 기초 데이터 확보 BD 혼합유의 신속스크린 시험방법 □ 표준시료의 기초 데이터 확보를 위하여 경유 혼합시료 (5개 정유사 생산       시료)와 BD, 용제, 윤활기유 및 부생연료유 등을 혼합한 조제시료 130건 조제 정상경유 바이오디젤 조제용 시료 주변유종 윤활기유 솔벤트 5개 정유사 생산 자동차용 경유 4개 생산사 BD 원액 등유2호 부생연료유1, 2호 용제 5호 기초 데이터 확보 □ 증류성상, 인화점, FAME 함량, 동점도, 밀도, 유동점, 조성분포 및 세탄지수

미지시료 검증 BD 혼합유의 신속스크린 시험방법 ◦ 항목별 모델링 - 각 항목 상관계수 (R2) : 0.95 이상     ◦ 항목별 모델링        - 각 항목 상관계수 (R2) :  0.95 이상        - 팩터 (Factor), 검량표준오차 (SEC : Standard Error of Calibration)    및 상관계수 고려하여 최적의 모델링 선정     ◦ 정량모델 평가       - 검증표준오차 (SEP : Standard Error of Prediction)를 이용하여 검량에 포함되지 않는 바이오디젤유로 검증

실측값 (Measured Data)과 검증값 (NIR DATA) BD 혼합유의 신속스크린 시험방법 실측값 (Measured Data)과 검증값 (NIR DATA) <T10 (R2=0.982)> <T50 (R2=0.989)> <T90 (R2=0.989)> <FAME (R2=0.998)> <동점도 (R2=0.994)> <밀도 (R2=0.999)> <세탄지수 (R2=0.991)> <유동점 (R2=0.998)>

실측값 (Measured Data)과 검증값 (NIR DATA) BD 혼합유의 신속스크린 시험방법 실측값 (Measured Data)과 검증값 (NIR DATA) <조성분포 #1 (R2=0.999)> <조성분포 #2 (R2=0.996)> <조성분포 #3 (R2=0.999)>

연구결과 BD 혼합유의 신속스크린 시험방법 검량 (Calibration) 검증 (SEP) KS 및 KPQI Method 반복성   검량 (Calibration) 검증 (SEP) KS 및 KPQI Method 반복성 (Repeatability) 재현성 (Reproducibility) 상관계수 (R2) 검량표준오차 (SEC) 증류 성상 T10 0.982 2.38 2.23 1.5 4.0 T50 0.989 2.76 2.65 4.5 T90 1.08 1.02 2.0 FAME 함량 0.998 0.20 0.19 0.3 0.9 동점도 0.994 0.06 0.03 0.18 밀도 0.999 0.32 0.30 0.5 1.2 세탄지수 0.991 0.71 0.67 유동점 0.983 0.93 0.85 2.5 5.0 조성 분포 #1 0.36 5% 10% #2 0.996 0.59 0.56 #3 0.24 0.22

연구결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정량 분석방법 근적외선분광광도계 (NIR)에 의한 자동차용 경유 및 바이오디젤 혼합유의 각 물성항목의 측정치가 기존 시험방법의 오차에 필적 또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시험결과의 반복성 및 재현성이 우수한 것으로 검토   연구결과, 경유 품질기준 상의 8개 항목에서 각 실행표준오차 (SEP) 범위내의 결과가 도출되어,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스크린 테스트용으로 채택가능한 것으로 판단됨    기존 시험방법 보다는 측정 반복성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