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인보관과 인보정신 * 인보관의 각 국가별 기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1. 사회 변동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 하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가치 관 등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페스탈로치에대해 … 엘리트 ㅋㅋㅋ. 페스탈로치의 성장배경  1746 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출생  가난한 사람을 무료로 치료해 주는 아버 지로부터 인격적인 영향을 많이 받음.  어려운 살림에도 고아원을 도와 주는 어 머니의 사랑 정신에 영향을 받음. 처음으로.
지역사회복지론 ) Community welfare 제 4 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목차 Ⅰ.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Ⅱ.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Ⅲ.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2. 민주주의의 시련과 경제 개발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과정과 그 성과는 ? Ⅹ. 대한민국의 발전.
지역사회복지론 3 주차 :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3 교시 :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김경석 교수.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회복적 생활교육 Restorative Discipline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Volunteer work.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2-3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지역사회복지론 -.
2-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지역사회복지론 -.
지방자치제의 개념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역사회복지 로컬 거버넌스 사회복지 재정분권
<실습일정표> 7월 3일~8월 4일(5주)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해.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님비현상과 핌비현상.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Loading 생명의 시작.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Ⅱ. 가족복지 정책 가족복지론 최진령.
도라도라 작전 국제관계학과 정민화.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제장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제1절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실천 지도교수 : 장 덕 희 교수님 발 표 자 : 권 영 주.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의 실천.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미국 영국.
과목명 : 중학교 사회 3학년 단원명 : Ⅵ. 인구 성장과 도시 발달 3. 인구 및 도시 문제 (교과서 p )
제 2 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외국(미국, 영국).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Anyang Volunteer Center
저소득 어르신의 무료급식 지원 및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5. 도시 재개발과 주민 생활의 변화 ② 도시 재개발 과정.
3. 연구접근방법 가. 분석 수준(level of analysis) 1) 거시적 분석수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제8장 지역사회복지.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남양주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0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지방자치제도.
Presentation transcript:

Ⅰ. 인보관과 인보정신 * 인보관의 각 국가별 기원 - 영국 : 토인비 홀(Toynbee Hall)(바네트목사 Samuel Barnett 1884) - 미국 :  헐하우스(Hull House) (제인 아담스 Jane Addams 1889) - 일본 : 킹스레이 관 (가타야마 신 1897) - 한국 :  태화종합사회복지관(메리 마이어스 Miss Mary D. Myers 1921) => 우리나라는 1980년대 중반 28개소였던 사회복지관이 최근 350여개소 로 양적 확대 => 하지만 사회복지관 설립에 대한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기능적인 프로그 램 위주로 운영하는 사회복지관의 경영적 측면에 대한 비판이 제기 => 일하는 사회복지사와 그 기관이 가져야할 인보정신이 약화된 것

1. 영국의 인보관 (1) 인보관의 탄생배경 - 18세기 말 영국은 생산과 부의 팽창을 가져왔다 1. 영국의 인보관 (1) 인보관의 탄생배경 - 18세기 말 영국은 생산과 부의 팽창을 가져왔다 => 이로 인해 많은 사회문제가 발생, 실업자가 증가 => 1879년대에 이르러 도시의 인구집중에 따른 슬럼문제가 쟁점화 => 바테트 목사(Samuel Barnett)와 젊은 청년들은 슬럼문제의 해결에 고뇌 하던 중 세틀먼트(settlement)의 이념을 실천하기로 => 인보관은 산업사회 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슬럼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 하려는 의식있는 사람들의 활동이 시초

1. 영국의 인보관 (2) 바네트목사와 토인비 홀  - 바네트목사는 교회주변 빈곤지역의 상황에 관심을 갖고 이의 개선의 필요 성을 인식 - 문제에 대한 개선을 사회로 확산시켜나가는 방법을 모색 - 옥스퍼드대학의 학생들과 교회 청년들에게 교회교육을 통해 구제활동에 자 원봉사자로 학생들이 참여할 것을 권유 - 그의 지도아래 교회를 중심으로 인보(세틀먼트)라고 불리우는 활동이 전개

1. 영국의 인보관 (3) 토인비홀의 설립취지 - "무슨 일을 우리가 할 수 있을 까?"하는 문제제기에서 인보관 운동이 시작 1. 영국의 인보관 (3) 토인비홀의 설립취지 -  "무슨 일을 우리가 할 수 있을 까?"하는 문제제기에서 인보관 운동이 시작  Not money but your-self (4) 토인비홀의 설립목적 ①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빈곤자들에게 교육과 문화적인 활동을 향상시킬 것  ② 인보관에 활동하고 있는 대학자원봉사자들에게 빈곤자들 상황과 사회개 량 필요성 알릴 것 ③ 사회문제, 보건문제, 사회입법에 관해 일반 지역주민들과 사회에 관심 을 높일 것

1. 영국의 인보관 (5) 토인비 홀의 사업내용 - 빈곤으로 인한 무지에 대한 교육 - 문화적인 활동 - 보건문제 1. 영국의 인보관 (5) 토인비 홀의 사업내용 - 빈곤으로 인한 무지에 대한 교육 - 문화적인 활동 - 보건문제 - 빈곤자 문제에 지역주민들이 관심을 갖도록 하는 것  (6) 인보관의 발전 - 영국에서 런던을 중심으로 100개의 인보관이 확산 설립 - 인보관 운동에 참여했던 대학생과 지식인들은 자원봉사자로서 활동

2. 미국의 인보관 (1) 미국의 시대상황 - 1880년 대 초 미국사회는 산업화로 인한 슬럼가에 비참한 생활 2. 미국의 인보관 (1) 미국의 시대상황 - 1880년 대 초 미국사회는 산업화로 인한 슬럼가에 비참한 생활  - 슬럼지역에서는 교육과 문화적인 생활을 하기가 힘들었고  - 인종과 종교적인 배경 차이 발생  - 사용언어 다른 빈민들 사이에 서로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  - 대도시의 공장지역과 주택지역에서의 생활격차가 심화  - 노동자 사회에 비위생적이고 비도덕적인 범죄문제가 발생하기 시작 

2. 미국의 인보관 (2) 이웃협동 길드  - 코이트, 스토버가 영국 인보사업에 종사하던 블리스를 통해 인보사업을 배 우고=> 1886년 뉴욕시에 설립 => 이후 대학인보관으로 개칭되고 현재도 활동  (3) 헐하우스(Hull House) - 미국 최초의 인보관으로 1889년 아담스와 케이트 시카고에 설립 - 1890년 우즈에 의해 보스턴시에 앤도버하우스 인보관이 설립 * 1886년부터 1891년까지 5년간 미국에 인보관이 도입 - 1891년 : 6개소 -> 1897년 : 74개소 -> 1915년 : 550개소로 증가

2. 미국의 인보관 (4) 헐하우스의 사업목적 - 높은 시민의식과 사회생활을 하도록 하며 - 교육을 실시 2. 미국의 인보관 (4) 헐하우스의 사업목적 - 높은 시민의식과 사회생활을 하도록 하며 - 교육을 실시 - 자선계획을 수립 추진 - 시카고의 산업지역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조사 파악하고 개선하는 사업 을 추진하는 것을 목적 (5) 헐하우스 주 사업 - 여성과 소년소녀의 클럽 조직활동(집단사회사업으로 발전) - 보육원의 운영 - 거리청소 등 지역사회의 개선 - 무료목욕실 제공 - 도서관, 일요학교 - 노동보호입법의 제안 - 이민자 상담 및 교육서비스등의 활동  

2. 미국의 인보관 (6) 미국인보관의 발전 - 20세기 들어서 혁신주의가 대두되고 그 영향으로 인보관운동이 확산 2. 미국의 인보관 (6) 미국인보관의 발전 - 20세기 들어서 혁신주의가 대두되고 그 영향으로 인보관운동이 확산 => 제인아담스는 미국 전체의 사회복지계를 이끌어가는 지도자가 됨 => 하지만 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혁신주의사상이 쇠퇴하면서 인보 관 운동도 약화되기 시작  (7) 새로운 변화 - 미국이 혁신주의 사상을 받아들이면서 인보관 사업을 산업사회와 다민 족 이민사회에서 파생한 여러 사회문제에 접근하여 활용하려고 노력 - 세계대전과 함께 쇠퇴하던 인보관 운동 => 1929년 경제대공황과 함께 지역사회 중심으로 근린지역사회센터가 생겨 남

3. 일본의 인보관 (1) 일본 최초의 인보관 - 1897년 가타야마 신이 일본 간다에 설립한 킹스레이관 (2) 사회적 배경 3. 일본의 인보관 (1) 일본 최초의 인보관 - 1897년 가타야마 신이 일본 간다에 설립한 킹스레이관 (2) 사회적 배경  - 일본 자본주의의 발전기이면서 동시에 전체주의 확립기  => 지식계급과 노동자계급을 통하여 자본주의 제도가 제약을 받음 - 가부장제 가족을 중심으로 한 가족구조와 봉건적인 인간관계 문제에 직면 - 빈곤에 대한 국가가 책임지지 않는 전근대적인 상황 

3. 일본의 인보관 (3) 발전 과정 ① 1900년 제정된 치안경찰법에 의해 노동운동에 탄압 3. 일본의 인보관 (3) 발전 과정 ① 1900년 제정된 치안경찰법에 의해 노동운동에 탄압 -> 가타야마 신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운동이 일부 발전  -> 경찰의 탄압에 의해 사회주의 운동이 약화 => 종교적인 목적이나 사회기술을 중심으로 한 인보운동으로 사회주의 운동 이 전환점을 맞게 됨  ② 가타야마 신은 토인비 홀에서 체재하면서 배운 인보사업을 킹스레이 홀이 라는 인보관을 설립 ->초기 인보관은 종교와 관련된 사회적 개량사상은 부족한 편 ③ 일본 초기에 설립된 인보관인 주로 기독교 전도를 목적으로 설립운영 

3. 일본의 인보관 (3) 발전 과정 ④ 1916년부터 1925년까지 일본에 설립된 인보관은 43개(이전까지 합하 면 50개소로 추정) - 43개의 경영주체: 불교-13, 기독교-10, 지방자치체-10, 반관만민형태- 8, 대학-2, 기타-2개소로 운영 4. 한국의 인보관 * 최초의 인보관을 인정받는 태화 사회관 * 1906년 미국 감리교 여선교사인 놀스(Miss Marry Knowles)가 원산에 반열 방(班列房)이라는 명칭으로 여성들의 계몽운동을 펼친 것을 인보관으로 보 는 학자도 있다. 

4. 한국의 인보관 (1) 태화사회관 - 우리나라 최초로 설립된 인보관, 1921년 미국인 선교사 마이어스(Miss Mary D. Myeres)에 의해 세워졌다.  - 설립 후 1932년까지 초창기는 마이어스 관장이 주도적 역할 - 1942년 까지(성장기) : 빌링스레이 관장이 책임자로 운영 - 1954년 까지는 수난기 : 외국 주제 선교사의 본국송환에 따라 사업이 중단 - 1963년(회복기) :  빌링스관장이 책임자로 근무 - 1964년부터 : 한국인이 관장(김만두)이 맏아 운영 - 1981년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으로 명칭을 변경

4. 한국의 인보관 (2) 동부인보관 - 조선총독부에서 1929년 최초로 설립한 인보관 4. 한국의 인보관 (2) 동부인보관 - 조선총독부에서 1929년 최초로 설립한 인보관 => 이후 북부, 마포, 성동, 영등포인보관 등 5개소가 설립운영 => 1954년 이후 폐쇄 * 의의 - 일본의 조선의 빈민대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표면적인 목적이외에 도 질서유지나 지배강화를 도모하기 위한 통치의 목적 - 우리나라 사람이 기부에 참여하고, 6명의 한국인 이사가 인보사업에 참여 (관장은 이강혁)

4. 한국의 인보관 (3) 이화사회관 - 설립 목적 :1956년 이화여대에서 사회사업학 학생들을 위한 실천의 장 을 제공 4. 한국의 인보관 (3) 이화사회관 - 설립 목적 :1956년 이화여대에서 사회사업학 학생들을 위한 실천의 장 을 제공 - 사업 내용 : 구호사업, 보건사업, 근로청소년 초중등교육사업, 탁아사업, 직 업보도사업, 유아의료사업 - 의의 : 최초의 대학인보관

Ⅱ. 영국 토인비홀의 신화와 현실 1. 토인비 홀 활동의 과거와 현재 (1) 조사연구 1. 토인비 홀 활동의 과거와 현재 (1) 조사연구  * 인보관 운동 전개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과학적인 조사에 의 한 욕구파악 * 베버리지는 1903-1907까지 토인비 홀의 부관장으로 재직 => 그의 지도력에 인해 토인비홀은 경험주의 사회조사의 주요 거점으로 발 전 => 새로운 조사사업으로 무주택자, 부랑인, 실업자등에 관한 선구적인 조사 => 실업의 원인이 노동시장이 갖고 있는 구조적인 결함에 있다고 지적 하는 참신한 의견을 제기하였다.

1. 토인비 홀 활동의 과거와 현재 (2) 교육사업 : 토인비 홀이 계속 힘을 기울인 사업 1. 토인비 홀 활동의 과거와 현재  (2) 교육사업  : 토인비 홀이 계속 힘을 기울인 사업 => 현재는 음악교육사업, 외국어교육, 각종강연회, 청소년 교육 사업의 실시 (3) 아동 청소년사업 - 취학전 아동그룹사업 :  2-5세까지 어린이를 대상으로 수년간 계속 - 소년 사업 : 브라우니, 스카우트 운동 등

1. 토인비 홀 활동의 과거와 현재 (4) 사회복지 - 1938년 서민상담소가 토인비홀에 최초로 개설 1. 토인비 홀 활동의 과거와 현재  (4) 사회복지  - 1938년 서민상담소가 토인비홀에 최초로 개설 - 무주택자나 신원불명의 사람을 대상으로 자원봉사자를 파견하여 도움 제공 - 1957년 정신지체장애인과 그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설  (5) 보건사업  1973년에 시작, 의사와 자원봉사자가 의료보건상담사업

1. 토인비 홀 활동의 과거와 현재 2. 토인비 홀의 문제점 (6) 법률상담 1. 토인비 홀 활동의 과거와 현재  (6) 법률상담 - 법률상담소가 1989년 개설되어 자원봉사자 변호사에 의해 상담 - 범죄자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보호사업이 수도사의 지도로 진행 => 현재는 다시 중간적인 치료사업으로 부활 2. 토인비 홀의 문제점 엘리트주의 부권주의, 전문가주의에 있다.

3. 토인비 홀의 시사점 (1) 인보관의 목적은 교육받은 사람들이 저소득층 사람들에게 변화와 자립 3. 토인비 홀의 시사점   (1) 인보관의 목적은 교육받은 사람들이 저소득층 사람들에게 변화와 자립   (2) 토인비 홀의 영향을 받아 미국에 헐하우스가 1889년 시카고에 설립  (3) 우리나라는 1921년 마이어스 선교사에 의해 건립된 태화사회관에 영향  (4) 현재 토인비홀에서는 각종 사업이 활발히 진행 (5)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사업도 자립과 변화 필요

Ⅲ.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태동기 : 1890년대-1910년대 1. 지역사회복지의 태동기 : 1890년대-1910년대 - 인보관운동(social settlement movement), 자선조직협회운동, 농촌개발운 동 시작. - 자선조직협회는 적자생존론에 기초한 사회진화론을 수용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 1920년대-1950년대 - 1차 세계대전과 1929년 대공황으로 1935년에 사회보장법이 입법화 => 사회복지영역에서 연방정부의 개입 확대 => 국가계획위원회(National Planning Board, 1933-1944)가 지역사회복지 에 영향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 1920년대-1950년대 * 1939년 레인위원회 보고서 '지역사회조직의 실천분야(The field of community organizations)’의 의미 첫째, 사회사업실천방법으로 지역사회조직을 공식화하고, 지역사회조직이라 는 용어를 과정과 분야로 언급 둘째, 지역사회조직의 과정은 사회사업의 일반영역 내에서뿐만 아니라 밖에 서도 수행되며, 셋째, 사회사업 내에서 지역사회조직과정은 사회복지기관의 주요 기능 또는 이차적 기능으로 수행되며, 넷째, 지역 및 주, 국가 수준에서 지역사회조직과정이 존재하며, 다섯째, 지역사회조직은 사회복지전문직으로 공식화되었으며, 전통적 사회사 업실천방법의 하나로 자리잡게 됨

3.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 1960년대 이후-현재 - 사회적 배경 : 빈곤문제의 인종문제화, 시민권운동의 성장, 빈곤과의 전쟁, 베트남전쟁 ※ 로스만의 세 가지 모델(지역사회개발, 사회계획, 사회행동) 등장  - 지역사회복지의 내용이 보건, 지역사회 정신건강, 교육, 주택 등에 대한 관 심으로 확대 -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사회개혁과 지역사회개입을 위한 전문 사회복지 방법은 위축 -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자조를 기반으로 하는 모델이 강조 - 최근 목표 및 접근방식의 세분화 및 다양화

Ⅳ.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한국에서의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 (1) 근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발달 * 촌락 단위의 협동관행이 중심 - 두레 : 촌락단위에 조직된 농민들의 상호협동체 - 계 : 공익, 산업, 영리, 친목, 공제 목적의 모임 - 품앗이 : 부락내 농민들이 노동력을 상호 차용 또는 교환하는 조직 - 향약 : 지역사회의 발전과 지역주민들의 순화, 덕화, 교화를 목적으로 한 지식인들 간의 자치적인 협동조직 - 오가통제도 : 강제성을 지닌 조선시대 인보제도. 지방행정의 운영을 돕는 제도.

1. 한국에서의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 (2) 근대화시기의 사회복지 발달 - 반열방 : 1906년. 원산. 최초의 인보관 - 태화여자관 : 1921년. 마이어스(Miss Mary D. Myeres)에 의해 세워짐  - 일제 시대 인보관 설립 : 1927년 동부 인보관 등 5곳 => 일제시대 서울의 인보관운동은 생활지도나 직업소개, 생활자금 대부, 개 인상담 등의 사업을 실시 - 해방 후 6.25 전쟁을 거치면서 외국의 원조기관들이 전쟁고아들을 위한 시 설보호와 빈민구호활동에 주력하면서 초보적인 틀을 마련 - 1956년에는 최초의 대학 인보관인 ‘이화사회관’이 이화여대 부설 사회복 지관으로 건립

1. 한국에서의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 (3) 지역사회개발로서의 새마을운동 - 1970년에 농촌 중심으로 새마을 가꾸기 운동 시작 => 1977년 공장 새마을 운동이 시작 => 1979년 도시 새마을 운동으로 확대 => 5공화국 이후 민간주도의 새마을운동으로 전환

1. 한국에서의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 (4) 지역사회조직사업의 형성과 발전 - 1970년대 지역사회조직사업의 맹아기 - 주민들의 자각과 주체적 역량이 절대적으로 부족 => 야학이나 탁아소, 어머니 교실과 같은 직접 서비스의 제공이나 주민교육 에 치중했다는 한계 - 1980년대 빈민지역운동의 대폭발 => 절대빈곤 대신 빈부격차와 상대적 빈곤의 문제가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 - 1990년대 이후에 지역사회실천의 다양화가 이루어짐 => 정치적 민주화이후 제도적 정착단계에 진입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 1950년대~1970년대 - 해방 이후 급속한 사회변화로 수용시설사업이 주류를 형성 - 외국민간원조기관에 의한 사회복지사업이 1970년대 초반까지 주종 - 1970년대 들어와 시설의 운영재원에서 차지하던 외원기관 지원 비중 축소 - 1974년이 지나면서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었고, 이를 정부의 지원이 대신 - 대학부설사회복지관의 출현과 민간사회복지관의 설립

3.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 1980년대~1990년대 초반 - 1980년대에 들어와서 지역사회복지는 커다란 전기를 맞이함 - 1980년데 초반까지는 양적, 질적인 면에서 기본적으로 1970년대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 -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에 따라 사회복지관은 공식적으로 국가의 지원을 받게 됨 * 1980년대 후반의 사회복지관의 발전과정에서 몇 가지 특징적인 조치 첫째, 영구임대주택단지 내에 사회복지관의 건립이 시작되었으며 둘째, 민간단체에 의한 사회복지관의 건립이 활성화되었으며, 셋째, 1989년에 사회복지관 운영̇⋅건립 국고보조사업지침이 마련되어 국가지 원금 산출방식이 제정되었다.

4.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 1990년대 초반 이후~현재 - 1990년대 이후 지역사회복지는 과거에 비해 지역중심성에 대한 강조, 전문 성의 강화 등을 기초로 질적인 변화를 경험 - 사회복지관은 1990년대 이후 급속한 양적확대를 가져와 1990년 58개소에 서2008년 5월 현재 전국에 410개소가 설치. 운영 - 1990년대에 들어 재가복지는 비로서 정부 차원의 지원을 받아 종합적인 프 로그램으로 발전 - 1992년부터 재가복지봉사센터를 설치⋅운영 * 재가복지의 특성을 요약 - 서비스 실천의장은 주로 재가복지 봉사센터 - 서비스 실천의 주체는 주로 자원봉사자 -서비스 실천의 대상은 가족기능이 취약한 재가의 노인이나 장애인, 아동

Chapter 04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