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에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자동혈구분석기 ADVIA 120 과 Gen-S 의 백혈구 감별 계산 및 Flag 기능 평가 혈액학계 : 정유진.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Clostridium difficile 정량 배양과 반정량 배양의 비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박상준.
측정법에 따른 갑상선자극호르몬 결합억제면역글로블린의 임상적 유용성 검토
폐암 진단을 위한 Anti-p53 검사의 유용성 평가
Advances in the laboratory diagnostics of acute pancreatitis The Finnish Medical Society Duodecim, Ann Med 1998; 30: 임상병리과 생화학계 김정란.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B형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종양표지자 CA19-9 검사 - Cobas Core 와 Elecsys 의 비교 -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IVKAII 검사의 유용성 면역혈청계 곽은민.
월요 소화기내과 컨퍼런스 The role of fecal biomarkers (calprotectin and lactoferrin) in the evaluation and monitoring for IBD 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고원진.
장루장애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엄재민.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장현주, 최민호, 은창수, 계세협, 이 진
Symptomatic Small Bowel Obstruction due to Capsule Impaction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SCHWANNOMA 신경초종 홍아람 병리학적 소견, MRI 소견.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B형간염의 혈청학적 표지자 검사를 위한 정량적 효소면역법과 화학발광면역법
제76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월 · 례 · 집 · 담 · 회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퇴행성 신경질환.
유 방 암 6조:최복엽 문성호 곽동우 이연자 김소원.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화기내과 강 창돈
M10 통풍(Gout).
소화기계 간담도 검사 [Hepatobilliary Scan] 혈관종 검사 [Hemangioma scan]
안재석 ∙ 김지나 ∙ 원우재 국립암센터 핵의학과
08. 선천성 및 유소아 질환 1. 선천성 유전질환 1) 유전학적으로 본 병인의 분류
Anti-CCP Ab 검사 진단검사의학과 면역혈청파트 김 영 란.
위암과 감별하기 어려웠던 위 아니사키스증 1예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Clostridium difficile 연관 설사 진단을 위한 Toxin A/B immunoassay의 유용성 평가
Dept. of Laboratory Medicine Hee Joo Lee 2006, 5, 25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99mTc-DMSA신장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근관치료학 개요.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TB Ag MPT64 미생물파트 이유희
인체기생충학 (14강) - 기생충검사법 -.
B형 간염.
ECG (ElectroCardioGram)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결핵 진단을 위한 COBAS AmplicorTM 검사의 유용성
99mTc-MAA를 이용한 간세포암의 간동맥 관류 스캔의 유용성
Acid Phosphatase 검사의 현황
Antibody Structure and the Generation of B-Cell Diversity
고등학교 생물 학습자료 이 자료는 고등학교 ‘생물’ 의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세포 분열에 관한 수업을 위한 것입니다.
Preg-Q를 이용한 임신반응검사의 평가 진단검사의학과 생화학계 이 상 연.
혈액 검체의 채혈안내 ♦ 바코드 정보 ♦ 채혈방법 ♦ 검체 취급 시 주의사항 1.검사명과 검체 용기 일치
TOXOPLASMA 항체 검사 면역혈청학계 박지연.
당뇨병에서의 C-peptide와 Insulin, Glucagon의 ratio 상관성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onoTotal™ 유용성 평가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03. 염증 1. 염증의 정의 2. 급성염증 염증 유발성 자극에 의해 발생한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혈관성 방어 반응)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03. 염증 1. 염증의 정의 2. 급성염증 염증 유발성 자극에 의해 발생한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혈관성 방어 반응)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이화의대 소화기내과 김성은·심기남·염혜정·조유경·이종수·이창배·정성애
15. 지 혈 * 지혈이란? -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을 막는 것 인위적인 지혈(동맥, 큰 혈관)
박성태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포항병원 진단방사선과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Flowcytometer.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홍채 부위별 기능과 영역 동공 직경 10-12mm 폭 4-5mm 두께 mm
Presentation transcript: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에서 ASCA(Anti-Saccaromyces cerevisiae Ab) 검사 2002 년 10 월 24 일 진단검사의학과 혈청학계 한 윤 숙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역 학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미국,영국, 스칸디나비아 등 빈도 높음 우리나라에서는 육아종성 장결핵과 유사하여 진단이 어려움 인구 10만명 당 20- 40명으로 최근 증가하는 추세 20~25세 노인과 어린이에서도 발생 인구 10만 명당 70-150명 최근 증가하는 추세 (1986~1988년 매년 새로 진단된 환자의 수가 인구 10만 명당 0.2, 1995~1997년 인구 10만 명당 1.2 - 10년 사이 6배 증가) 1997년말 현재 질환중인 환자의 총 인원- 인구 10만 명당 7.6명 정도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호 발 부 위 임 상 증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직장-항문부위 (말단 회장부) 소장, 대장등을 포함한 모든 소화기관 대장에 국한적 임 상 증 간헐적 설사 발열 우하복부 국한적 통증 간혹 우하복부 종괴 촉지 출혈성 설사, 점액성 설사, 고열 대변 배설 후 하복부 통증,경련 독성 거대결장(급성 침습시 장기 능의 소실로 인함) 수분 및 전해질 대사 이상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육 안 소 견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아프타 모양의 궤양 Cobblestone mucosa (부종과 진행된 궤양으로 인해 정상점막이 밀려 조약돌 모양 형성) String sign (진행되면서 장벽 전층의 섬유성 비후, 내강 협착) Skip lesions (분절성 침범, 동시다발적 궤양으로 건너 뛰기 형태) 화농이 점막하에서 옆으로 확산 점막을 파고들어가며 수많은 원형, 타원형모양의 궤양형성 Pseudopolyposis (연속적 궤양부위끼리 융합되어 폴립의 형태를 취함) 연속적이며 진행적인 궤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조 직 학 적 소 견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점막 궤양과 더불어 점막 에서 장막까지 전층의 만성 염증, 섬유성 비후 * 비건락성의 유상피세포의 육아종 열구(Fissure)- 근육층 및 장막층까지 길고 좁은 궤양을 형성할 떄 발생 장샘 농양과 근층까지 연장된 궤양 1. 급성 결장염-점막의 심한 울혈과 출혈 배상세포의 감소, 상피의 괴사와 재생 2. 완해중 결장염- 혈관의 감소, 배상세포의 회복, 상피의 재생,   3. 완해기 결장염   비활성 결장염- 장샘의 수적 감소, 만성염증세포의 침윤, 점막근층 의 비후, 분절 현상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예 후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절제술 이후 재 수술율 - 5년이내 재 수술율 40% - 15년이내 재 수술율 85% 소장 등의 절제술이 반복 적이다보면 소화기능의 비정상화로 인한 합병증 예상 반복적 염증과 수복의 과정을 통해 다른 부위보다 더 침윤적이 고 다발성인 암종으로의 변화 가능 대장염 때문에 암의 증세와 소견 이 가려지기 쉬워 조기 발견이 어렵고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예후가 불량함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 1. Barium enema 2. Abdominal CT scan 3. Mesenteric angiography 4. Nuclear medicine scans 5. Colonoscopy 6. Serological test Ulcerative colitis- Anti-intestinal goblet cell Ab, p-ANCA 등 Crohn’s disease- ASCA, Anti-pancreas acini Ab 등

우리병원에서 시행한 ASCA 검사 제품- Euroimmune Antibodies against Pancreas acini, Intestinal goblet cell, Saccaromyces cerevisiae and Granulocyte: instructions for the immnofluoresence test (Luebeck, Germany) 시약가- 1 Kit/100 Test = 원 1건당 원 제품 상태- Slide 상에 냉동된 췌장의 분비조직, 소장조직, Granulocyte, Saccaromyces cerevisiae 부착됨 검사원리- 간접 면역 형광 염색법

ASCA 검사 술식 1. 검체- 혈청은 PBS-Tween Buffer 에 희석 (Ig G 는 10배, Ig A 는 100배) 25ul 사용 2. 술식 검사 전 처리- 냉동된 모든 시약은 사용 직전 실온으로 Warm Up Slide 에 희석된 검체 25ul분주 - 30분 실온반응 - Wash - Fluoresein-labelled Anti-human Ab conjugate 20ul 분주 - 30분 실온 반응 – Wash – Embedding medium으로 Mounting – 형광현미경으로 검경

ASCA 검사 결과 판정 정도 양성 반응 * Laminar epithelial mucosa 의 배상세포 세포질에 형광패턴   ► Anti- intestinal goblet cell Ab 는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28% 정도 양성 반응 * Laminar epithelial mucosa 의 배상세포 세포질에 형광패턴 ► Anti- pancreas acini Ab 는 크론병에서 39% 반응, 췌장의 분비조직에서 망상 또는 방울진 모양의 미세망상구조의 형광패턴 ► p- ANCA 는 Granulocyte 의 핵주변 세포질에 리본모양의 형광패턴, 궤양성 대장염환자에서 57%, 크론병에서 7%  ► Anti – Saccaromyces cerevisiae Ab 는 구형의 Yeast 모양의 형광패턴, 크론병에서 50~60%

형광현미경상 양성 반응 Fig. 1. APA 및 Anti-goblet cell Ab 양성 사진

형광현미경상 양성 반응 Fig. 2. ASCA 와 p-ANCA 양성 사진

우리 병원에서의 ASCA 검사 대상군 (총 33명) 우리 병원에서 크론병으로 진단 받은 환자- 8명, 궤양성 대장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 25명

우리 병원에서의 ASCA 검사 결과 ASCA P-ANCA 양성 음성 크론병(n=8) 4 1 7 궤양성 대장염(n=25) 6 Table 1. 대상군에서 ASCA 검사와 p-ANCA 검사 결과 ASCA P-ANCA 양성 음성 크론병(n=8) 4 1 7 궤양성 대장염(n=25) 6 19 14 11

민감도 및 특이도 통계 Sensitivity Specificity PPV NPV ASCA양성 (CD) 50% (4/8) 76% Table 2. ASCA 검사와 p-ANCA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 Sensitivity Specificity PPV (양성 예측률) NPV (음성예측률) ASCA양성 (CD) 50% (4/8) 76% (19/25) 40% (4/10) 83% (19/23) p-ANCA양성 (UC) 56% (14/25) 88% (7/8) 93% (14/15) 39% (7/18) ASCA + / p-ANCA - 92% (23/25) 67% (4/6) 85% (23/27)

결 론 ◈ 염증성 장 질환에서 p-ANCA와 ASCA 검사는 민감도가 낮아 진단적 검사로서의 유용성은 떨어지나, 결 론 ◈ 염증성 장 질환에서 p-ANCA와 ASCA 검사는 민감도가 낮아 진단적 검사로서의 유용성은 떨어지나, 염증성 장 질환의 분류에 있어서는 이들 혈청학적 검사가 도움이 되고, 특히 ASCA와 p-ANCA 검사결과의 조합은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의 감별 진단에 있어 중요한 가치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