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 10장 탄수화물 대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북한기도제목 4 월 3 주 (4/15-4/21). 1. 북한정치 - 통일부와 국방부는 11 일 잇따라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7 일 북한 해외 식당 종업원 들이 집단 탈북한 데 이어 북한 정찰총국 출 신 북한군 대좌와 북한 외교관이 지난해 잇 따라 한국으로 망명한.
Advertisements

NO. 구입처실험결과 NO. 구입처실험결과 0 대조군 ( 살아있는 생 고등어 ) 롯데마트 ( 안성 ) 홈플러스 ( 금천 ) 이마트 ( 가양 ) 홈플러스 ( 시흥 ) 이마트 ( 공항 )
우리테크 녹색경영을 달성하기 위한 녹색경영 방침 □ 우리테크는 파워 드레인트탭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로써 오랜경험과 축적된 노하우를 통해 독 자적인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또한 우리테크는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항상 연구와.
생화학 13 장. 핵산의 구조와 기능 피리미딘 염기와 퓨린 염기 오탄당 – 리보오스와 디옥시리보오스.
도민 기대수명 연장을 위한 도민 기대수명 연장을 위한. 함 양 군 보 건 소 추 진 배 경추 진 배 경 1 목적 및 목표 2 추진현황과 실적 3 향후 추진계획 4 목 차.
에너지 대사 (Energy Metabolism). 생명의 특징 (attributes of living matter) Six most important life processes Metabolism ( 신진대사 ) Responsiveness ( 반응, adaptation.
식 품 학 제 3 장 탄수화물. 6CO 2 +6H 2 O C 6 H 12 O 6 +6O 2.
3. 미생물의 영양 및 생장 1. 미생물의 영양 1-1 영양소 요구 1) 필수영양소 - 대량원소 (macronutrient): 미생물생장에 많은 양으로 필요 (95% 이상 ) -> C, H, O, N, S, P, K, Ca, Mg, Fe -> C H O N S P: 탄수화물,
유기산(Organic acid) Organic acid - R-COOH
남성에게 있어 조루증은 정말 부끄러우면서도 자신감을 잃게 만들게 합니다
Media.
제5장 에너지의 성질과 세포의 에너지 획득 만성적인 비소 중독으로 인한 피부질환. 지하 대수층을 뚫어는데 그곳은 비소를 많이 함유한 지층으로 비소는 영양소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중요한 효소의 작용을 방해함.
해당작용 미생물생리학 미생물학과3학년 엄현지.
-탄수화물 대사의 주요회로(그림8.1) 8.1 해당작용 -혐기성생물: 해당과정 이용 (EMP 회로로도 불림)
운동과 호르몬 반응.
Chapt 9 우유 및 유제품.
8.3 오탄당인산 회로 5탄당인산 회로(pentose phosphate pathway)
Chapter 3 세포대사 (Cell metabolism) - 효소의 중요성 - 대사 경로 (catabolism) - 세포구성분의 생합성 (Anabolism)
기능성 탄수화물 대구공업대학 호텔식음료조리과 나 경 수.
24 산성비(Acid Rain)의 지구 규모화 김병립 우성웅 화학공학과
식품화학 개요.
    6. 제초제의 작용기구 1. 광합성의 저해 광합성은 광과 엽록체가 있는 상태에서 이산화탄소(CO2)와 물(H2O)을 탄수화물과 같은 유기화합물로 전환시키고 산소(O2)를 방출하는 복잡한 과정으로서 명반응(明反應)과 암반응(暗反應)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명반응은 엽록체의.
유기산(Organic acid) Organic acid R-COOH Acetic acid Lactic acid
트레이닝 생리학.
19장 산화인산화 I 19장 전자전달 사슬 진핵 세포에서 산화적 인산화 반응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Alcohol fermentation 포도주 과실주 맥주 전통주 기타 주류.
Carbohydrate metabolism
18장 시트르산 회로 II 18장 회로로부터 전자들의 수확
15장 해당작용 (glycolysis) 1. 해당작용은 에너지 변환 경로이다.
아미노산(Amino acid) Amino acids - 아미노산의 기본 구조 - 아미노산의 종류
영양 강화제 뇌교육학과 서 호 찬.
8. 유산균의 분류 및 특징 1. 정의 2. 유기산 생성균과의 차이 ☞ 유산균, 젖산균, lactic acid bacteria
제3장 세포표면과 세포골격 3.1 세포막과 세포의 기능
발효유 (Fermented milk) 표유류 (양, 물소, 염소, 소)의 젖을 젖산균이나 효모 등의 미생물에 의해서 발효시켜 특유한 풍미를 갖게 한 유제품 원유 또는 유 가공품을 유산균, 효모로 발효시킨 것 젖산발효유: Yoghurt 알코올 젖산 발효유: Kefir, Koumiss.
1. 혈 액 Blood--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동맥, 모세혈관, 정맥을 거쳐 몸 전체를 순환하는 액체
Chapter 26~ Chapter 28 1조 정효진 고가람 김연실 정태익 김현지 박상은 전아람 명귀관 박수민
생화학6조 조원: 권은혜,김지연, 백성현, 이소명,이은선,이상호, 정우희, 조다모 ,조수현 Chapter 17,23,24
The Citric Acid Cycle, the Glyoxylate Cycle, and the Pentose Phosphate Pathway: Production of NADH and NADPH 혐기성 생물체의 경우 해당과정에서 2분자의 ATP 형태로 수집되는 에너지는.
생화학 10장 탄수화물 대사.
생화학 10장 탄수화물 대사(3. 당신생).
미생물의 대사작용 Microbial Metabolism
An Introduction to Metabolism and Bioenergetics
단감 시비처방서 교육 장성군농업기술센터 한국 농림원 2016년 09월 01일.
8장 세포 호흡.
3. 적혈구 당대사 1. Embden-Meyerhof 경로 결합(혈색소와 산소),
7 태양에너지 포획: 광합성 1.
자연과학의 이해 (화학) 초등학교 교과서-6 김한제 과학교육과 과학관 년 6월 첫째주.
가 축 영 양 학 한국방송통신대학 농학과 송재용
11장 지질 대사 2. 지방 – 지방산의 산화.
3장 생체 에너지학 핵심: ATP의 생산 Power 운동생리학.
Running the Microbial Machine
II. 에너지론, 효소 및 산화환원 3.3 미생물의 에너지 종류 3.4 생물에너지론 3.5 촉매작용과 효소
제3장 세포표면과 세포골격 먹장어(hagfish)는 포식동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점액성분을 내뿜는데, 결국 자신도 이 점액성분으로부터 탈출하여 자유로운 활동을 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세포골격과 필라멘트에 관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3부 식품에서 미생물의 유용한 사용 - 식품과 환경 중 미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 발효식품에서 미생물의 사용
(생각열기) 염화나트륨은 고체 상태에서는 전류가 통하지 않지만 용융 상태나 물에 녹으면 전류가 잘 통한다. 그 이유는?
생화학 3장(9장) 생체 에너지학.
다량무기질.
제 5장 세포의 에너지 획득 숨쉬기와 호흡의 차이 세포의 에너지 획득 방법 해당과정 해당과정 이후 – 유산소 호흡
(생각열기) 1족 원자는 전자 1개를 잃기 쉽다. 전자 1를 잃으면 어떤 이온이 되는가? ( )
생화학 7장 1.탄수화물대사-소화와 흡수.
Membrane구조 화학시스템공학과 정태윤
8.4 소당류 소당류 (oligosaccharide) - 2~6개의 단당류가 축합되어서 이루는 당의 중합체.
6. 영양.
원소의 분류 원소 줄 세우기.
(4)잎의 구조와 기능 학습목표 잎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수 있다. 기공의 구조와 증산의 조절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효소의 분류, 보조효소(Coenzyme)와 보조인자(Cofactor)
교 육 순 서 화재예방과 진화요령 긴급상황 시 대처요령 소방시설 사용 화재진화 및 피난 기타 당부 및 질문.
14강. 산화와 환원.
텍스트 기반 및 서열 클러스터링에 의한 단백질 분류
쥐의 시간, 코끼리의 시간 (체중과 물질대사) 청원고등학교 배상기.
Presentation transcript:

생화학 10장 탄수화물 대사

1. 서론 : 1) 탄수화물(hydrocarbon) 대사 동화 반응 : 저분자 → 고분자, anabolism 이화 반응 : 고분자 → 저분자, catabolism

(pentose phosphate pathway) 2) 탄수화물의 주요반응 (glycogenesis) (glycogenolysis) (pentose phosphate pathway) (glycolysis) (gluconeogenesis) 탄수화물 대사의 주요 회로 3

① 해당작용(glycolysis) :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세포 내 에너지 저장량이 낮아지면 글루코오스가 분해 → 두 분자의 피루브산 (pyruvate), 에너지 ② 글리코겐 합성(glycogenesis) : 글루코오스 농도가 높을 때 간과 근육에서 글리코겐으로 저장 ③ 글리코겐 분해(glycogenolysis) : 글루코오스 농도가 낮을 때 글루코오스로 분해 ④ 글루코오스 신생(gluconeogenesis, 당신생) : 비탄수화물 전구체로부터 글루코오스 합성

<소화작용> 3)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고분자 영양소를 체내에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 단당류 이외의 당질, 지질, 단백질은 그 자체로 흡수가 안되므로 - 당질 ---> 단당류 - 단백질 ---> 아미노산 - 지질 --->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라이드로 가수분해되는 것 물, 무기질, 비타민은 그대로 흡수

<당질의 소화작용> 구강내에서 아밀라아제에 의한 전분 분해 시작 - α-amylase(pH가 6.7일 때가 최적) 십이지장까지 내려오면 췌장에서 분비한 아밀라아제에 의해 이당류로 됨 (아밀롭신) 소장에서는 이당류 분해효소에 의해 단당류로 소화되지 않은 찌꺼기는 대장으로 당질의 최종 분해산물은 단당류 :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소화기관 효소 분비기관 작용 입 타액 아밀라아제 침샘 전분  덱스트린, 맥아당 소장 췌장 아밀라아제 췌장 전분, 덱스트린  맥아당 maltase 소장벽 maltose  포도당 + 포도당 sucrase sucrose  포도당 + 과당 lactase lactose  포도당 + 갈락토오스

<당질의 흡수> <흡수 형태> <흡수 경로> <흡수 방법> <흡수 속도> 단당류(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즈) <흡수 경로> 소장의 모세혈관 → 간문맥 → 간(간정맥 --> 심장 --> 전신) <흡수 방법> 능동수송(포도당, 갈락토오즈), 촉진확산(과당, 운반체를 갖고 있다.) <흡수 속도> 갈락토오스(110), 포도당(100), 과당(43), 만노오즈(19), 자일로즈(15), 아라비노스(9) <흡수율> 98 %

소장의 점막세포 내 sucrase, maltase, isomaltase, lactase에 의해 단당류로 바뀜 문맥을 통해서 흡수 : 갈락토오스 > 포도당 > 과당 간에서 글리코겐으로 저장 – 간 무게의 6 % - 골격근의 근육무게의 0.7 % 필요 이상의 탄수화물은 지방으로 전환 – 지방조직으로 저장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 수동적 이동, 능동적 이동, 음세포 이동> 능동적 이동 - 용질의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 - 에너지 필요 - 운반체에 의한 이동 - 포도당, galactose, 아미노산(중성, 염기성), 장쇄 지방산, 비타민 B12, Fe 수동적 이동 - 용질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것으로 이동 - 에너지 불필요 - 단순 확산과 촉진 확산이 있다. <단순 확산> - 생체막을 경계로 농도 경사에 차이가 있을 때 - 물질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운반체 필요 없음) - 수용성 비타민, 대부분의 무기질, 단쇄 지방산, 중쇄 지방산 <촉진 확산> - 운반체에 의한 이동 - 과당, 산성 아미노산 음세포 작용 – 중성지질(분자량이 작은 것들) 흡수 속도 : 능동적 이동 > 촉진 확산 > 단순 확산

4) 혈당 혈액내 포도당은 0.1%(80~120 mg/100ml) 혈당이 떨어지면 –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분해 - 혈액으로 이동하여 혈당 유지 저장 글리코겐을 다 쓰면 포도당신생과정으로 혈당 유지 혈당 조절은 인슐린(췌장에서 분비) 정상인의 정맥혈당이 170~180 mg/100ml 이상이면 소변으로 배설(당뇨증)

<글루코오스의 세포내 유입> 글루코오스는 촉진확산(facilitated diffusion) 혹은 능동수송(active transport) 중에서 한가지 방법으로 세포막을 통과함 세포막 통과는 수송체를 필요로 함 글루코오스 수송체(glucose transporter, GLUT)는 14종이 있음 - GLUT1, GLUT3, GLUT4 = 혈액에서 조직으로만 글루코오스 유입 시킴 - GLUT2 = 고혈당시 : 조직으로 유입, 저혈당시 : 혈액으로 유출 시킴 = 간, 신장에 존재 능동수송은 소장에서의 흡수나 신장의 요생성 중의 재흡수에서 일어남 - 글루코오스는 소장관이나 세뇨관보다 농도가 높은 세포쪽으로 이동 함 - Na+ 농도 구배에 의한 2차 능동수송 - ATP가 소모됨

2. 해당작용(glycolysis) : 1) 서론 ① 해당작용 : 당 분해 EMP 회로(Embden-Meyerhof-Parnas pathway, 엠덴-마이어호프-파르나스 회로) 한 분자 글루코오스(C6) → 두 분자 피루브산(C3) 2개의 ATP와 2개의 NADH 생성 모든 조직의 세포질에서 일어남(산소 필요 없음)

2) 에너지의 생성

③ 두 단계 해당작용(전체 10개 반응)(그림 참조) 두 번 인산화된 글루코오스 절단 → 두 분자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gly- ceraldehyde-3-phosphate, G-3-P), 2ATP 소모, G-3-P의 인산기는 ATP 합성에 이용 G-3-P → 피루브산, 4ATP, 2NADH 생성 D-글루코오스 + 2ADP + 2Pi + 2NAD+ → 2피루브산 + 2ATP + 2NADH + 2H+ + 2H2O

2) 해당회로의 반응 ① 글루코오스-6-인산 합성 글루코오스의 인산화 : 헥소키네이스(hexo kinase)에 의해 촉매 세포로부터 글루코오스의 운반을 방지, 인산 에스테르의 산소 반응성(oxygen reactivity) 증가 ATP는 Mg2+와 ATP-Mg2+ 복합체 형성(ATP소모)

③ 프록토오스-6-인산의 인산화 포스포프룩토키네이스-1(phosphofructokinase, PFK-1)가 관여 ATP 소모

디히드록시아세톤인산(dihydroxyacetone phosphate, DHAP)으로 절단   ④ 프록토오스-1,6-이인산의 절단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과 디히드록시아세톤인산(dihydroxyacetone phosphate, DHAP)으로 절단 알돌절단(aldol cleavage) : 알돌레이스(aldolase)

⑤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과 디히드록시아세톤인산의 상호전환   ⑤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과 디히드록시아세톤인산의 상호전환 삼탄당 이성질화효소(triose phosphate isomerase) : DHAP ⇄ G-3-P 글루코오스 → 두 분자의 G-3-P

⑥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의 산화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 탈수소효소(GAPDH) NAD+, Pi 관여 → NADH, H+ 생성

⑦ 인산기 전이 글리세린산인산 키네이스(phosphoglycerate kinase) ATP 합성 : 기질수준 인산화(substrate-level phosphorylation) 반응

⑩ 피루브산의 합성 피루브산키네이스(pyruvate kinase) 한 분자의 글루코오스로부터 2분자 ATP 생성

3) 피부르산의 운명

① 산소 존재 : 구연산 회로(citric acid cycle)의 기질인 아세틸 CoA 생성 전자전달계(electron transport system) CO2, H2O, ATP 생성

② 혐기성 조건 : 발효(fermentation), 젖산(lactate) 호모젖산 발효생물(homolactic fermenter) - 젖산만을 생성 - 우유를 시큼하게 만듬 - 산성으로 근육에 축척되면 피로 유발 - 젖산을 혈액으로 보내고 산소 공급이 잘되는 간에서 피루빈산으로 산화 (코리 회로) 헤테로젖산 발효(heterolactic fermenter) - 여러 유기산(organic acid)을 생성, 가스(메탄, 이산화탄소)도 방출 - 소의 반추위(rumen) :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공생생물들은 젖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을 생성 → 반추위에 흡수 영양물질로 이용

4) 해당작용의 조절 헥소키네이스는 간과 근육에 모두 있으나 글루코키네이스는 간에만 있으며 유도효소이다. (혈당이 증가하면 글루코키나아제 작용은 증가하지만, 헥소키나아제는 변화 없음) 헥소키네이스는 6-인산포도당에 의해서 억제된다(Feedback) 포스포프록토키네이스는 해당작용을 조절하는 제한 효소이다. (ATP와 citrate에 의해서 그 작용이 억제, AMP와 Pi, 1,6-이인산과당에 의해서 촉진) ♨ 파스테르 효과 : 세포가 혐기적에서 호기적 조건으로 바뀔 때 해당작용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

5) NADH의 재산화 글리세린산-3-인산 탈수소효소의 작용은 NAD+의 공급이 필요 세포질에서 NAD+ 농도는 낮으므로 해당과정이 계속 진행되려면 NADH가 재산화 되어야 함 산소공급이 원활하면 NADH의 산화는 전자전달계가 있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진행 됨 미토콘드리아가 없는 세포나 저산소상태에서는 프루브산이 젖산으로 전환될 때 NADH가 산화 됨 수정체, 각막, 신장 수질, 정소, 백혈구 및 적혈구는 미토콘드리아가 없거나 혈액 공급이 원활치 않는 조직으로 해당과정의 최종산물은 젖산

<해당과정 정리> 1) ATP 소모반응 : 포도당 --- 포도당-6-인산 : 헥소키네이스 과당-6-인산 --- 과당-1,6-이인산 : 포스포프럭토키네이스(PFK) 2) ATP 생성반응 : 글리세르산-1,3-이인산 --- 글리세르산-3-인산 : 포스포글리세르산키네이스 포스포에놀피루브산 --- 피루브산(피루브산키네이스) 3) NADH 생성반응 : 글리세르산-3-인산 --- 글리세르산-1,3-이인산 : 글리세르알데하이드-3-인산 탈수소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