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농축 고등학교 공통과학 96719-023 이 하 나
<< 차 례 >> 전시 학습 확인 (개념도) 본시 학습 목표 생물농축의 정의 농약에 의한 생물농축 << 차 례 >> 전시 학습 확인 (개념도) 본시 학습 목표 생물농축의 정의 농약에 의한 생물농축 중금속에 의한 생물농축
전시 학습 확인 생 물 농 축 수 질 오 염 대 기 산 성 비 존 층 온 실 효 과 방 사 능 소 음 환경 BOD 자정작용 교사 : 지난 시간부터 환경에 대해 배우기 시작했다. 그 첫 시간으로 수질 오염에 대해 알아봤는데, 지난 시간에 가장 중요하게 다루었던 세 가지 개념이 있었다. 무엇 무엇일까? 대답해 보자. 학생 : BOD, DO, 자정작용 BOD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DO는 용존산소량, 자정작용은 물이 스스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작용이라고 간략히 요약하여 설명한다. DO BOD 자정작용
학습목표 생물농축의 원인이 되는 여러 가지 오염 물질을 알 수 있다. 생태계 내에서 오염 물질이 어떻게 이동되고 축적되는지 알 수 있다. 생물농축으로 인한 피해 사례, 예방대책을 알 수 있다.
생물농축 생물농축이 뭘까? 농약이나 중금속이/ 생물체내에 들어와/ 분해되거나 배출되지 않고/ 먹이연쇄를 통해/ 상위의 영양 단계로 갈수록/ 농축되는 현상`
생물농축 과정 (수중, 육상) * 무기 환경 → 생산자 → 1차 소비자 → 2차 소비자 2857배 357배 114286배
농약에 의한 생물 농축 .농약의 종류 .농약이 농축되는 이유 DDT PCB 지속성 지방질에 잘 녹음 (세포질에 잘 흡수됨)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살충제 이것의 발견으로 노벨상 수상 생물 농축에 의한 피해 알려지면서 DDT 사용 금지됨 PCB는 엄밀히 말해 농약은 아니지만, 농약과 같은 염소계 화합물에 속하므로 편의상 농약이라 하자. 농약에 의한 생물 농축 .농약의 종류 DDT PCB 절연성이 강함 가전제품의 부속품, 복사지 등으로 이용 .농약이 농축되는 이유 지속성 지방질에 잘 녹음 (세포질에 잘 흡수됨)
농약에 의한 생물 농축 .농약 농축에 의한 피해 DDT : PCB : 생태계 먹이 사슬 파괴 칼슘대사 장애유발 뇌졸증, 고혈압, 간암 유발 등 암, 신경 장애, 근육 마비 등
농약에 의한 생물 농축 .농약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 유기 농법 천적 사용 호르몬 이용
중금속에 의한 생물 농축 .중금속의 종류 수은 카드뮴 납 합성섬유, 합성세제, 질소비료 등을 제조할 때 수은을 이용하므로 이 때에 물과 함께 배출 중금속에 의한 생물 농축 .중금속의 종류 수은 카드뮴 납 전기도금, 은 땜, 전선, 건전지, 사진 등에 쓰임 체내에 들어와 간으로 이동되어 간과 신장에 저장됨 광산의 광석, 재활용 금속 등에서 흘러나옴 체내에 들어오면 뼈와 치아 등에 축적.
중금속에 의한 생물 농축 .중금속이 농축되는 이유 .중금속 농축에 의한 피해 수은- 미나마타 병 카드뮴 - 이따이 이따이 병 단백질(효소) 등과 잘 결합 .중금속 농축에 의한 피해 수은- 미나마타 병 카드뮴 - 이따이 이따이 병
중금속에 의한 생물 농축 .중금속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 무연 가솔린 사용 건전지 분리 수거 자동차 사용 절제
흙 속에 남는다 짚 쌀 사람 살포 벼 젖소 우유
고양이 공수 작전 보르네오섬은 아열대 기후 로 모기가 많아 말라리아에 노출되어 있었다. DDT를 살포하여, 모기는 사라졌으나 농축에 의해 고양이들이 죽어 갔고 쥐가 들끓기 시작했다. 쥐는 다시 페스트를 옮겨, 쥐의 수 감소를 위해 1995년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영국공군의 도움으로 고양이를 낙하산에 매달아 공수하게 된 것이다.
조류 알 껍질의 칼슘대사 장애 알 껍 질 두 께 의 지 수 1967년 영국의 생물학자인 Derek Ratcliffe는 영국의 peregrine falcon(송골매)의 수가 과거에 비해 많이 줄어든 사실을 알게 됐다. 그 원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는 송골매의 알이 가끔씩 새끼가 부화하기도 전에 깨져 버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후에 Ratcliffe는 자신이 직접 수집한 알과 박물관에서 빌려온 알을 가지고 알껍질의 두께를 조사하여 그래프를 그렸는데 다음과 같았다. 수집한 알들은 1900년에서 1970년에 해당하는데 알의 두께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그래프에서 우리가 주목할 사실은 1900~1945년에서는 알껍질의 두께가 지수 2정도였는데, 그 이후에 갑자기 1.5정도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즉 1945년 이후에 알의 껍질이 더 얇아졌음을 알수 있다.
천적을 이용한 솔잎혹파리 방제 솔잎혹파리는 솔잎의 밑부분에 알을 낳고 그 유충이 솔잎의 수액을 빨아먹어 잎을 고사시킨다. 이 솔잎혹파리를 방제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솔잎혹파리의 유충에 알을 낳는 말벌을 이용하고 있다. 말벌의 알이 깨면 솔잎혹파리의 유충의 몸을 먹고 자라므로 솔잎혹파리는 유충시기에 죽게 된다.
미나마타 병
이따이 이따이 병 일본 도마나현에서는 사람들이 고통 속에서 ‘아프다 아프다’라고 외치며 죽어 가는 원인 모를 병이 발생했다. 이 이따이 이따이 병은 공장에서 카드뮴이 많이 들어 있는 폐수를 강으로 그냥 버려 생물농축이 발생한 것이었다.
다음시간엔 대기오염에 대해 배운답니다. 끝~